KR200477065Y1 -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 Google Patents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65Y1
KR200477065Y1 KR2020130000190U KR20130000190U KR200477065Y1 KR 200477065 Y1 KR200477065 Y1 KR 200477065Y1 KR 2020130000190 U KR2020130000190 U KR 2020130000190U KR 20130000190 U KR20130000190 U KR 20130000190U KR 200477065 Y1 KR200477065 Y1 KR 200477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rity
plate
resin
impregnated
surfa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327U (ko
Inventor
성기두
Original Assignee
성기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두 filed Critical 성기두
Priority to KR2020130000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6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03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5/008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재활용 포대(자루)를 용융하고, 그 용융된 수지를 사출용 바인더로 제작하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내장되어 용융되어 유통되는 수지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집진되도록 내부에 다수의 걸름구멍이 형성되는 불순물 걸름판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걸름판에 내장되어 상기 불순물 걸름판의 표면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을 제공하는 히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불순물 걸름판에 히팅수단을 내장하고, 히팅수단을 통해 불순물 걸름판의 표면온도를 270 내지 400℃로 형성함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재활용 포대가 융용된 수지에 잔존하는 봉합 실(불순물)이 불순물 걸름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되게 유도하여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사출용 바인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되므로, 불순물 걸름판에 집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Resin melt devices used in the impurities filter plate}
본 고안은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순물 걸름판에 히팅수단을 내장하고, 히팅수단을 통해 불순물 걸름판의 표면온도를 270 내지 400℃로 형성함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재활용 포대가 융용된 수지에 잔존하는 봉합 실(불순물)이 불순물 걸름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되게 유도하여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사출용 바인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곡식이나 내용물을 간편히 담는 용도로 포대(자루)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대는 보통 황마나 다른 천연 섬유로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대부분이 단가가 저렴하고, 견고한 폴리프로필렌(PP)으로 만들어지는 실정이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은 재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성상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포대는 사용 후에 수집하여, 재생 수지 용융장치를 통해서 용융하여 사출용 바인더로 제작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한편, 사용된 포대를 재활용하기 위해 수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불순물이 유입되기 마련이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 내부에는 용융된 수지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집진하기 위해 내부에 다수의 걸름구멍이 형성되는 불순물 걸름판이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불순물 걸름판에 집진되는 불순물을 살펴보면, 통상 포대의 상부 및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재봉에 사용되는 봉합 실, 철, 천조각 등이 불순물로 집진되는데, 상기 봉합 실이 불순물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상기 불순물 걸름판에 형성된 다수의 걸름구멍에 불순물이 점차 집진되면 상기 불순물 걸름판을 통과하여 유통하는 용융된 수지의 흐름이 막히므로, 부득이하게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의 작동을 중지한 후에 상기 불순물 걸름판을 회수하여 집진된 불순물을 긁어 회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작업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시행되므로, 사출용 바인더 생산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상기 불순물 걸름판에 집진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시간 및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불순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봉합 실은 통상 나일론(녹는점:250℃) 또는 PET(녹는점:254~256℃)로 제작되는데,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서 폴리프로필렌(녹는점:165℃)을 용융하기 위해 통상 180 내지 200℃ 온도 하에서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함으로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봉합 실은 용융되지 못하고 유통되어 상기 불순물 걸름판에 집진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으로 수집된 포대에 재봉된 봉합 실을 회수하여 제거하면 되지만, 봉합 실을 회수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이 너무 많아 현실적으로 실현 곤란하고,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의 히팅 온도를 적어도 260℃ 이상으로 유지하면 봉합 실이 용융되어 상기 불순물 걸림판에 집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대형 장치의 특성상 소모되는 에너지 소모가 너무 많아 현실적으로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불순물 걸름판에 히팅수단을 내장하고, 히팅수단을 통해 불순물 걸름판의 표면온도를 270 내지 400℃로 형성함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재활용 포대가 융용된 수지에 잔존하는 봉합 실(불순물)이 불순물 걸름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되게 유도하여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사출용 바인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되므로, 불순물 걸름판에 집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재활용 포대(자루)를 용융하고, 그 용융된 수지를 사출용 바인더로 제작하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내장되어 용융되어 유통되는 수지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집진되도록 내부에 다수의 걸름구멍이 형성되는 불순물 걸름판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걸름판에 내장되어 상기 불순물 걸름판의 표면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불순물 걸림판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불순물 걸림판에 형성되는 걸름구멍과 연통되지 않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내장되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히터로 구성되는 히팅수단;과,
상기 불순물 걸림판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송신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을 제어하여 상기 불순물 걸림판의 표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순물 걸림판의 표면온도가 270 내지 400℃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불순물 걸림판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히터가 간편히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과 하판은 볼트결합을 통해 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에 의하면, 불순물 걸름판에 히팅수단을 내장하고, 히팅수단을 통해 불순물 걸름판의 표면온도를 270 내지 400℃로 형성함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재활용 포대가 융용된 수지에 잔존하는 봉합 실(불순물)이 불순물 걸름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되게 유도하여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사출용 바인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이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되므로, 불순물 걸름판에 집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은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재활용 포대(자루:5)를 용융하고, 그 용융된 수지를 사출용 바인더로 제작하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1)에 내장되어 용융되어 유통되는 수지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집진되도록 내부에 다수의 걸름구멍(2a)이 형성되는 불순물 걸름판(2)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걸름판(2)에 내장되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의 표면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을 제공하는 히팅수단(1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히팅수단(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순물 걸림판(2)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불순물 걸림판(2)에 형성되는 걸름구멍(2a)과 연통되지 않게 형성되는 삽입홈(11)과, 상기 삽입홈(11)에 내장되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히터(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송신하는 온도센서(20)와, 상기 온도센서(20)에서 측정한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터(12)의 온-오프(ON-OFF)을 제어하여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의 표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의 표면온도가 270 내지 400℃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1)를 통해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재활용 포대(5)가 용융되어 본 고안의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에 공급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수지에 잔존하는 봉합 실(6:불순물)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게 용융되게 유도하여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사출용 바인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나일론 또는 PET로 제작되는 봉합 실(6)을 용융하게 위한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의 표면온도를 300℃ 미만으로 형성하면 봉합 실(2)이 용융되는 속도가 다소 늦어져 장시간 사용시 봉합 실(6)로 인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이 막힐 수 있고,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의 표면온도를 350℃를 초과하면 봉합 실(6)이 용융되는 속도는 빠르나 에너지 소모가 다소 커 에너지 사용효율이 낮음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의 표면온도를 300 내지 350℃로 유지하여 봉합 실(6)이 신속하게 용융되되, 에너지 사용효율은 극대화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은 상판(41)과 하판(42)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히터(12)가 간편히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41)과 하판(42)은 볼트결합(3)을 통해 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은 불순물 걸름판(2)에 상기 히팅수단(10)을 내장하고, 그 히팅수단(10)을 통해 불순물 걸름판(2)의 표면온도를 270 내지 400℃로 형성함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재활용 포대(5)가 융용된 수지에 잔존하는 봉합 실(6)이 불순물 걸름판(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되게 유도하여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불순물 걸름판(2)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사출용 바인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불순물 집적으로 인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이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불순물 걸름판(2)에 집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재생 수지 용융장치(1)는 크게 재활용 포대가 투입되는 호퍼(1a)와, 그 호퍼(1a)에서 공급되는 포대(5)를 180 내지 200℃ 온도 하에서 용융하여 유통하는 히팅부(1b)와, 장치의 작동을 운영하는 컨트롤박스(1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고안의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에 내장된다.
이렇게, 내장된 본 고안의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은 제어부(30)의 제어를 통해 바람직하게 300 내지 350℃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1)의 작동을 운영하는 컨트롤박스(1c)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 수지 용융장치(1)의 호퍼(1a)로 재활용 포대(5)가 투입되어 상기 히팅부(1b)로 공급되면, 상기 히팅부(1b)의 온도(180 내지 200℃)로 인해 재활용 포대(5)가 용융되어 유통되며, 이렇게 유통되는 용융된 수지는 본 고안의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에 공급되어 통과되어 외부로 유출되는데, 이때, 용융된 수지에 잔존하는 불순물인 봉합 실(6)은 300 내지 350℃로 유지되는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을 통과하면서 용융되어 외부로 유출된다.
이렇게, 유출된 수지는 냉각된 후, 절단되어 사출용 바인더(미도시)로 제작된다.
즉, 본 고안의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100)으로 인해 불순물인 봉합 실(6)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에 집적되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불순물 걸름판(2)에 집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낭비되는 시간 및 인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재생 수지 용융장치 1a. 호퍼
1b. 히팅부 1c. 컨트롤박스
2. 불순물 걸름판 2a. 걸름구멍
3. 볼트결합 5. 포대
6. 봉합 실
10. 히팅수단 11. 삽입홈
12. 히터 20. 온도센서
30. 제어부 41. 상판
42. 하판
100.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Claims (4)

  1.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재활용 포대(자루:5)를 용융하고, 그 용융된 수지를 사출용 바인더로 제작하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1)에 내장되어 용융되어 유통되는 수지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집진되도록 내부에 다수의 걸름구멍(2a)이 형성되는 불순물 걸름판(2)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걸름판(2)에 내장되어 상기 불순물 걸름판(2)의 표면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불순물 걸림판(2)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불순물 걸림판(2)에 형성되는 걸름구멍(2a)과 연통되지 않게 형성되는 삽입홈(11)과, 상기 삽입홈(11)에 내장되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히터(12)로 구성되는 히팅수단(10);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송신하는 온도센서(20); 및
    상기 온도센서(20)에서 측정한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터(12)의 온-오프(ON-OFF)을 제어하여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의 표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의 표면온도가 270 내지 400℃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걸림판(2)은,
    상판(41)과 하판(42)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히터(12)가 간편히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41)과 하판(42)은 볼트결합(3)을 통해 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KR2020130000190U 2013-01-09 2013-01-09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KR200477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190U KR200477065Y1 (ko) 2013-01-09 2013-01-09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190U KR200477065Y1 (ko) 2013-01-09 2013-01-09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27U KR20140004327U (ko) 2014-07-17
KR200477065Y1 true KR200477065Y1 (ko) 2015-05-04

Family

ID=5244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190U KR200477065Y1 (ko) 2013-01-09 2013-01-09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265A (ja) * 2000-10-26 2002-05-10 Tokuden Co Ltd 加熱装置
KR20020089156A (ko) * 2001-05-22 2002-11-29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입자필터의 필터소자용 가열장치 및 입자필터
KR20030040004A (ko) * 2001-11-15 2003-05-22 한국기계연구원 전기히터 내장형 매연여과장치용 필터
KR20100039134A (ko) * 2008-10-07 2010-04-15 유한회사 영광 폐수지 용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265A (ja) * 2000-10-26 2002-05-10 Tokuden Co Ltd 加熱装置
KR20020089156A (ko) * 2001-05-22 2002-11-29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입자필터의 필터소자용 가열장치 및 입자필터
KR20030040004A (ko) * 2001-11-15 2003-05-22 한국기계연구원 전기히터 내장형 매연여과장치용 필터
KR20100039134A (ko) * 2008-10-07 2010-04-15 유한회사 영광 폐수지 용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27U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4252A (zh) 一种pet扁丝拉丝机组
CN204712411U (zh) 一种防堵塞的螺杆挤出机
CN103692576B (zh) 回收废旧除尘袋中ptfe纤维和pps的方法及其系统
KR200477065Y1 (ko) 재생 수지 용융장치에 사용되는 불순물 걸름판
CN205735662U (zh) 一种带有清洗干燥装置的塑料回收造粒机
CN108995082A (zh) 一种聚氯乙烯树脂回收用的高效造粒机
CN209126014U (zh) 一种纺织机用废料回收装置
CN107775846A (zh) 一种废旧塑料回收装置
CN108162241A (zh) 废旧混合塑料回收分离装置及方法
CN219690518U (zh) 沥青混凝土心墙施工用沥青摊铺机
CN104707844B (zh) 废旧滤清器的回收再利用方法、切盖机和脱盖机
CN106827665B (zh) 塑料袋密封条安装设备
CN206983049U (zh) 一种水果塑料框塑料再生机
CN207059042U (zh) 一种复合橡胶门垫的制造装置
CN209738093U (zh) 一种废旧编织袋回收装置
KR20080077449A (ko) 폐합성수지의 용융선별장치
CN108177906A (zh) 一种废墟处理运输车
CN210525574U (zh) 一种多功能废旧轮胎用钢丝回收装置
CN208321224U (zh) 一种刮胶槽
CN202608087U (zh) 一种隔热条的挤条机
CN219913710U (zh) 一种废旧塑料回收处理装置
CN2629954Y (zh) 双排气式免拆线自动脱水干湿两用废旧塑料再生造粒设备
CN217476356U (zh) 一种eva粒子加工用熔化设备
KR101663705B1 (ko) 수지 혼합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N206344393U (zh) 一种热流道再生塑料杂物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