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96Y1 - 전지 상부-캡 구조 - Google Patents

전지 상부-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96Y1
KR200476996Y1 KR2020140004536U KR20140004536U KR200476996Y1 KR 200476996 Y1 KR200476996 Y1 KR 200476996Y1 KR 2020140004536 U KR2020140004536 U KR 2020140004536U KR 20140004536 U KR20140004536 U KR 20140004536U KR 200476996 Y1 KR200476996 Y1 KR 200476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p
battery
we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빈
Original Assignee
임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빈 filed Critical 임선빈
Priority to KR2020140004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지의 상부-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부 밀폐되고 양 전극(+,-) 재료를 내장하도록 된 원통형 전지 케이스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는 상부-캡에 관한 것이다. 이 상부-캡은 일측 통공과, 상기 통공에 투입되고 용접되어 통공을 폐쇄하는 마감재와,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서 통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접시 열의 표면 확산을 방지하는 차폐용 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용접효율 및 용접 정밀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지 상부-캡 구조 {Upper-cap structure of battery}
본 고안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튬-전지(Lithium Battery)의 상부-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리튬-전지는 음극으로 금속 리튬을 사용한 전지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그 전극의 형태에 따라 보빈구조의 전지와 나선구조의 전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전자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기재된 전지는 거기에 한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전지는 특허등록 제1264850호에 개시된 리튬-전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부 밀폐된 원통형 금속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며, 원통형 세퍼레이터(4)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양극(2)과 음극(3)을 포함하는 전극;
상기 케이스(1)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에 전해액 충진용 통공(6)을 갖는 상부-캡(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통의 리튬-전지에서 상기 양극으로 카본 분말을, 상기 음극으로 리튬을 사용한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이산화망간, 염화티오닐 기타 알려진 재료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7은 상기 상부-캡(5)을 통과하여 내측 양극(2)에 삽입되는 집전봉 또는 헤더-핀이며, 부호 8은 절연재이다.
상기 통공(6)은 전해액이 충진된 후에는 폐쇄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SUS 볼(9)이 투입 및 용접 처리되어 폐쇄된다. 그런데 이때 용접 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가해진 용접 열이 상기 통공(6)의 주변에서 상부-캡(5)의 표면상으로 곧 바로 퍼져나감으로써 확산 및 소실되어, 용접 효율이 떨어지고 나아가 부분적으로 볼(9)의 용접처리가 완전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이러한 용접 불량이 약 30%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실제로 통공(6)을 가능한 수직적으로 하고 그 내면을 정밀하게 처리하는 것이 최선인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인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당연하겠지만, 통공(6) 자체의 정밀 처리로 인하여 용접 열의 효율적인 집중 내지 사용이 이루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상부-캡(5)의 위에 또 하나의 캡을 덧씌우는 제안이 있으나, 이는 전지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며, 특히나 케이스(1) 내부 전해액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관련 문헌]
특허등록 제1264850호
특허등록 제1264851호
실용신안등록 제199351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공과 그 폐쇄 마감재 간의 용접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 용접 열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의 상부-캡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지의 상부-캡 구조는:
하부 밀폐되고 양 전극(+,-) 재료를 내장하도록 된 원통형 전지 케이스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는 상부-캡으로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전해액을 충진하는 통공;
상기 통공에 투입되고 용접되어, 통공을 폐쇄하는 마감재;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서 통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접시 열의 표면 확산을 방지하는 차폐용 요홈;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홈은 환형 또는 호형이다.
또한, 상기 요홈은 하단부가 상기 통공 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V"홈 또는 "U"홈이다.
본 고안의 상부-캡 구조에 따르면, 용접 열이 확산 또는 손실되지 않으며, 투입된 마감재가 통공에 용접되는 데에만 집중적으로 처리 및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용접효율 및 용접 정밀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리튬-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캡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상부-캡 구조를 적용한 전지의 단면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 "전지 상부-캡 구조"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이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도면에서, 도 1과 비교하여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상기 상부-캡(10)은 하부 밀폐되고 양 전극(+,-) 재료를 내장하도록 된 원통형 전지 케이스(1)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는 상부-캡이다.
여기 예시된 상기 전지는 리튬-전지(2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부 밀폐된 원통형 금속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며, 원통형 세퍼레이터(4)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양극(2)과 음극(3)을 포함하는 전극;
상기 케이스(1)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에 전해액 충진용 통공(6)을 갖는 상부-캡(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통의 리튬-전지에서 상기 양극으로 카본 분말을, 상기 음극으로 리튬을 사용한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이산화망간, 염화티오닐 기타 알려진 재료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7은 상기 상부-캡(10)을 관통하여 케이스(1) 내측 양극(2)에 삽입되는 집전봉 또는 집전 헤더-핀이며, 부호 8은 전극과 케이스 또는 전극과 상부-캡(10) 간의 절연재이다.
상기 통공(5)은 케이스(1) 내부에 전해액이 충진된 후에는 폐쇄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마감재(9)로서 통상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SUS 볼이 투입 및 용접 처리되어 폐쇄된다.
이상은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전지로서, 종래의 리튬-전지를 설명한 것이다. 다만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는 한, 본 고안의 상부-캡(10)이 적용될 전지가 굳이 리튬-전지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캡(10)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원판형 재료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캡(10)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 내에 전해액을 충진하는 통공(6);
상기 통공(6)에 투입되고 용접되어, 통공(6)을 폐쇄하는 마감재(9);
상기 상부-캡(10)의 상면에서 통공(6)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접시 열의 표면 확산을 방지하는 차폐용 요홈(1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재(9)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볼이다.
실제로 상기 마감재(9)가 통공(6)에 투입되고 용접될 때, 용접 열은 상부-캡(10)의 표면으로 확산(도 1의 화살표 참조)되고, 따라서 상당 부분이 용접에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어 버린다. 이 경우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중요하게는 상기 마감재(9)와 통공(6) 간 용접 불량 즉 미세한 틈이 생기게 되어, 실제로 전지로서 사용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부-캡(10)의 상면에서 통공(6)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따라 차폐용 요홈(1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접시 열의 표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요홈(11)은 환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호형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 또는 위치에 형성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홈(11)은 하단부(12) 중심이 상기 통공(6) 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V"홈 또는 "U"홈이다. 상기 요홈(12)의 통공(6) 측 벽(13)은 가능한 통공(6)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11)의 형태는 용접 열을 급하게 차단함으로써, 열 차단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마감재(9)의 용접 열이 확산 또는 손실되지 않으며, 투입된 마감재(9)가 통공에 용접되는 데에만 집중적으로 처리 및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용접효율 및 용접 정밀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 케이스 2, 3. 전극
6. 통공 9. 마감재
10. 상부-캡
11. 요홈 12. 하단부
13. 벽

Claims (4)

  1. 하부 밀폐되고 양 전극(+,-) 재료를 내장하도록 된 원통형 전지 케이스(1)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는 상부-캡(10)으로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 내에 전해액을 충진하는 통공(6);
    상기 통공(6)에 투입되고 용접되어, 통공(6)을 폐쇄하는 볼(ball) 타입 마감재(9);
    상기 상부-캡(10)의 상면에서 통공(6)을 중심으로 그 외측 주변을 따라 환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접시 열이 상부-캡(10)의 표면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용 요홈(1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상부-캡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11)은 하단부(12)가 상기 통공(6) 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V"홈 또는 "U"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상부-캡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11)의 통공(6) 측 벽(13)은 통공(6)과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상부-캡 구조.
KR2020140004536U 2014-06-17 2014-06-17 전지 상부-캡 구조 KR200476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36U KR200476996Y1 (ko) 2014-06-17 2014-06-17 전지 상부-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36U KR200476996Y1 (ko) 2014-06-17 2014-06-17 전지 상부-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96Y1 true KR200476996Y1 (ko) 2015-04-23

Family

ID=5343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36U KR200476996Y1 (ko) 2014-06-17 2014-06-17 전지 상부-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05B1 (ko) * 2015-05-13 2017-05-08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구조 및 그 밀봉 방법
KR20180056994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49B1 (ko) * 2006-12-28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134985A (ja) * 2007-11-30 2009-06-18 Toyota Motor Corp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11020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비츠로셀 수지볼 이탈방지 구조의 헤더, 이러한 헤더가 설치된 전지, 및 이러한 전지의 제조방법
JP2014093151A (ja) * 2012-11-01 2014-05-19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49B1 (ko) * 2006-12-28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134985A (ja) * 2007-11-30 2009-06-18 Toyota Motor Corp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11020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비츠로셀 수지볼 이탈방지 구조의 헤더, 이러한 헤더가 설치된 전지, 및 이러한 전지의 제조방법
JP2014093151A (ja) * 2012-11-01 2014-05-19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05B1 (ko) * 2015-05-13 2017-05-08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구조 및 그 밀봉 방법
KR20180056994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805B1 (ko) 2016-11-21 2021-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3310B (zh) 密封电池
JP6091815B2 (ja) 2次電池
JP5862682B2 (ja) 電池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8115A (ko) 이차 전지
CN102986062B (zh) 密闭型电池
KR102642159B1 (ko) 이차 전지
JP2015099681A (ja) 密閉型電池
US20140370372A1 (en) Pouch-Type Batter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Type Battery
KR200476996Y1 (ko) 전지 상부-캡 구조
JP6217979B2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2009218099A (ja) 密閉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749423U (zh) 电池封口板、电池外壳、以及二次电池
JP2007103158A (ja) 角形密閉型電池
KR100571237B1 (ko) 캔형 이차 전지
US3489616A (en) Galvanic atmospheric-oxygen cell
JP2013143332A (ja) 電池
CN104466046B (zh) 一种锂电池
JP2016081830A (ja) 蓄電素子の製造方法、及び、蓄電素子
JP605216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05415B1 (ko) 2차전지
CN203746983U (zh) 密封型电池
CN205723812U (zh) 一种能增强稳定性的动力锂离子电池
KR100684732B1 (ko) 이차 전지
JP2004362870A (ja) 円筒形電池
KR100840776B1 (ko) 축전지용 전극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