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06Y1 -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 Google Patents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06Y1
KR200476706Y1 KR2020140007412U KR20140007412U KR200476706Y1 KR 200476706 Y1 KR200476706 Y1 KR 200476706Y1 KR 2020140007412 U KR2020140007412 U KR 2020140007412U KR 20140007412 U KR20140007412 U KR 20140007412U KR 200476706 Y1 KR200476706 Y1 KR 200476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user
ankle
fram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선
Original Assignee
최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선 filed Critical 최혜선
Priority to KR2020140007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어떠한 힘의 작용없이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고 고정함으로써, 지친 다리의 부종을 완화시키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는 다리를 올려 놓고 지지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발목지지대(100), 상기 발목지지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400), 상기 프레임(400)의 하부에서 프레임(400)을 지지하되, 유체를 채워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는 베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에서도 심장보다 높게 다리를 지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베이스 부재가 분리되어 사용되어짐으로써, 기구의 활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상기 베이스(600)의 무게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구분의 제한이 없이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이 간편한 기구이다.

Description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The machine relieve to the leg swelling}
본 고안은 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어떠한 힘의 작용없이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고 고정함으로써, 지친 다리의 부종을 완화시키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부종이라 함은 직립보행을 하여 다리로 하중이 많이 전달되어지는 경우이거나 고정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함으로써, 인체 조직내에 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 등의 액체가 고여 과잉존재한 상태로 다리의 저림이나 관절이 뻑뻑해지고, 통증이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다리부종을 완화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지압법이나 음식조절법, 운동법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부분 주변 환경과 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고, 때로는 고통을 유발하거나 많은 피로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지루함을 유발하여 중도에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치료를 받기 위한 금전적인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111904 "발목 펌프 운동 장치" 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상기 종래의 특허등록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가 고정되어진 수평부재 위해 다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발목 아래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다리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발목펌프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기구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발명은 수평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안정된 자세를 잡기가 쉽지 않았으며, 전기를 이용해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해 다리가 수평부재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많았고, 베이스 부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일정한 자세로 한정적인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평탄한 바닥에서 사용하지 않을 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의 높이 조절과 각도변화가 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지지대로부터 다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자세에서도 편안하게 발목을 지지하며, 시간과 장소에 방해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베이스 부재를 분리하여 활용성을 높이고 편리성을 개선하여 사용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평탄하지 않은 바닥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프레임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고, 물통형 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를 제안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에서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심장보다 높게 다리를 지지할 수 있어 다리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함을 이용하여 다리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편리성과 활용성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유체를 이용한 무게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구분의 제한이 없고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이 간편하여,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다리부종을 완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도 1 은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에서 도시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3 은 도 1에서 도시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에서 도시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각도조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1에서 도시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높이조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9는 도 1에서 도시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다리가 지지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편안함을 유지하여 다리 부종 완화 및 체내 혈액순환을 더욱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다리 높이 또는 기구의 위치에 따라 각도의 변화가 자유로운 발목지지대와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프레임과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고 유체를 이용하여 무게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베이스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에 도시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다리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발목지지대(100)와 상기 발목지지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400)과 상기 프레임(400)의 하부에서 프레임(400)을 지지하는 베이스(60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도 1 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발목지지대(100)는 "U"자 형태처럼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져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형태이고, 상기 발목지지대(100)의 상부에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발목고정기(200)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다리가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높이 올려져 있을 경우라도 발목을 지지대로부터 이탈 없이 안전하게 발목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목지지대(100)에 저탄성, 충격흡수가 가능한 내부소재를 덧대고 탈부착이 가능한 흡습속건성 외피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오랜시간 지지대 위에 올려져 있더라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목지지대(100)는 도2 및 도 5의 예시를 볼 수 있듯이, 상기 프레임(400)과 결합하는데 있어서, 상기 발목지지대(100) 하부와 상기 프레임(400) 상부 사이에 회동가능한 각도조절기(300)가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발목지지대(100)의 각도 변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 다리를 완벽하게 지지함으로써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기(300)은 도 3 및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발목지지대(100)와 결합되어지는 조절판과, 상기 수평부재(310)와 결합되어지는 조절판으로 이루어지고, 핀을 포함한 레버를 통해 상기 두개의 조절판이 결합 되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잦은 움직임에도 변형이 적고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발목지지대의 각도가 변하도록 상기 도면의 예시와 같은 각도조절기를 결합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각도조절기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발목지지대(100)의 각도변화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개선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기(300)의 변화를 상기 프레임(400)의 설명과 함께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400)은 상기 수평부재(310)와 결합되어지는 상부프레임(410)과 상기 베이스(600)와 결합되어지는 하부프레임(420)으로 구성되어지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지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400)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진 원기둥 형태 이거나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진다. 도 2 와 도 4의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지름이 다른 상기 상부프레임(410)과 상기 하부프레임(420)이 내부 또는 외부로 외형을 포함하며 겹쳐짐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길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하기 위하여 핀으로 구성하거나 돌림형 나사 잠금기 형태와 같은 높이 조절기(500)를 결합하여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기(500)는 플라스틱 재질을 많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600)는 물통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고 유체를 넣을 수 있는 개구부가 존재하여 유체를 채워넣고 빼내기가 용이하다. 본 고안에 의한 기구 사용 시 상기 베이스(600)에 유체를 채워넣어 기구의 무게중심을 상기 베이스(6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하는데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0)에서 유체를 빼내어 기구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보관 또는 휴대하는데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프레임(400)을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내부가 비어 있더라도 형태의 변형이 없으며 사용자의 다리 무게와 상기 베이스(600) 상부의 구성을 더한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0)는 한쌍의 분할통(610, 620)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예시를 볼 수 있듯이, 사용자의 양쪽 다리를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각각의 프레임이 각각의 분할통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600)를 분리하여 사용자가 한쪽 다리만 상기 발목지지대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다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과 활용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분할통(610, 620)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러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미적 심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분할통(610, 620)은 도 2 내지 도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돌기 홈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분할통(610, 620)에 유체가 가득 채워져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하중의 다른 방향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결합 또는 분리할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기구를 바닥에 놓고 사용할 시 바닥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분할통(610, 620) 하단부에 논슬립(900)이 결합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논슬립(900)은 표면이 거칠거나 표면을 넓게 하여 예로는 고무재질과 같은 미끄러지는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의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누워서 본 고안을 사용하지만 각도가 70도 내외로 변할 수 있는 발목지지대와 80cm 내외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도 7 내지 도 9에서 실시예를 볼 수 있듯이, 의자에 앉아 다리를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본 고안을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함을 이용하여 다리간격을 조절하거나 구성을 독립적으로 사용 수 있는 등의 편리성과 활용성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를 물통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유체를 채워 기구의 무게 중심을 베이스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시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더라도 유체를 빼내어 기구를 보관하거나 휴대시 편리하게 일상생활에서 다리부종을 완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100: 발목지지대 200 : 발목고정기
300 : 각도조절기 310 : 수평부재
400 : 프레임 410 : 상부프레임
420 : 하부프레임 500 : 높이조절기
600 : 베이스 610, 620 : 분할통
700 : 물통마개 800 : 논슬립

Claims (5)

  1. 다리를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오목하게 형성된 한쌍의 발목지지대(100)와,
    상기 발목지지대(100)를 각각 지지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400)과,
    상기 프레임(400)의 상부와 상기 발목지지대(100) 하부 사이에 위치하고, 회동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기(300)와,
    상기 발목지지대(10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발목고정기(200)와,
    상기 프레임(400)의 하부에서 프레임(400)을 지지하는 베이스(60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600)는 유체를 채워 무게를 증감시키되, 돌기홈구조로 형성되어 결합과 분리 가능하도록 한쌍의 분할통(610, 6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400)은 상기 한쌍의 분할통(610, 62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측의 구성만으로 분리 사용가능한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7412U 2014-10-13 2014-10-13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KR200476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12U KR200476706Y1 (ko) 2014-10-13 2014-10-13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12U KR200476706Y1 (ko) 2014-10-13 2014-10-13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706Y1 true KR200476706Y1 (ko) 2015-03-25

Family

ID=5304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12U KR200476706Y1 (ko) 2014-10-13 2014-10-13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206A (ko) 2020-11-30 2022-06-08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리 부종 방지 받침대
KR102546755B1 (ko) 2023-03-07 2023-06-21 노은경 L자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72B2 (ko) * 1984-09-29 1992-01-28
JP2001079055A (ja) * 1999-07-09 2001-03-27 Washi Kosan Kk 脚部の浮腫・静脈瘤軽減装置
JP4004472B2 (ja) * 2002-02-06 2007-11-07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下肢用マッサージ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72B2 (ko) * 1984-09-29 1992-01-28
JP2001079055A (ja) * 1999-07-09 2001-03-27 Washi Kosan Kk 脚部の浮腫・静脈瘤軽減装置
JP4004472B2 (ja) * 2002-02-06 2007-11-07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下肢用マッサージ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206A (ko) 2020-11-30 2022-06-08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리 부종 방지 받침대
KR102546755B1 (ko) 2023-03-07 2023-06-21 노은경 L자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153B2 (en) Therapeutic device for improving neuromuscular balance and pain conditions
KR200438341Y1 (ko) 운동기능을 갖춘 발받침대
US20130150219A1 (en) Vertical auxiliary apparatus for both body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DK2822426T3 (en) BALANCE RENTAL
JP6419951B2 (ja) 活性化プラットホーム
KR200482054Y1 (ko) 척추 측만증 교정구
IL195905A (en) Balance device
KR200476706Y1 (ko)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KR101567324B1 (ko)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US8961374B2 (en) Health aid and method for treating pain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CN208510403U (zh) 一种学生用可调节多功能矫正坐姿座椅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EP2767313A1 (en) Therapeutic device for improving neuromuscular balance and pain conditions
KR100943968B1 (ko) 하지기능평가 재활운동기기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US10960267B2 (en) Hippotherapy device
KR102134804B1 (ko) 붕어운동기
ES2609248B1 (es) Aparato andador para personas con deficit de marcha
EP3075370B1 (en) Self-massaging device
KR200469998Y1 (ko) 스탠딩 테이블
KR20150035217A (ko) 통증완화 겸용 신체교정장치
KR101342924B1 (ko)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KR101048720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KR20120004381A (ko)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