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381A -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381A
KR20120004381A KR1020110137924A KR20110137924A KR20120004381A KR 20120004381 A KR20120004381 A KR 20120004381A KR 1020110137924 A KR1020110137924 A KR 1020110137924A KR 20110137924 A KR20110137924 A KR 20110137924A KR 20120004381 A KR20120004381 A KR 2012000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bar
backrest
cush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훈
Original Assignee
안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훈 filed Critical 안승훈
Priority to KR102011013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381A/ko
Publication of KR2012000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93Hanging by hanging the patient upside down or inclined downward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쿠션을 고정쿠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신체가 거꾸로 위치하는 과정에서 고정쿠션 및 이동쿠션이 사용자의 발목 전후방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 중 발목을 움직이더라도 고정쿠션과 이동쿠션의 벌어짐이 방지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지지대(100)의 상단에 중심축(171)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등받이(160)가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160)의 하단에는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해지하는 발걸이가 설치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6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바(270)와, 상기 길이 조절바(27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발판(210)과, 상기 발판(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쿠션(220)과, 단부가 발판(210) 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길이 조절바(270)의 표면에 경사각(Θ)이 유지되게 설치된 각도 유지바(230)와, 상기 각도 유지바(230)에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바(240)와, 상기 안내바(240)의 단부에 설치되는 이동쿠션(25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Massage device having a auto ankle fixing apparatus have inversion table}
본 발명은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쿠션을 고정쿠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신체가 거꾸로 위치하는 과정에서 고정쿠션 및 이동쿠션이 사용자의 발목 전후방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 중 발목을 움직이더라도 고정쿠션과 이동쿠션의 벌어짐이 방지할 수 있으며, 등받이에 내장된 맛사지봉의 동작으로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여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이하 "꺼꾸리"라 한다)는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켜 척추관절을 이완시킴으로써 요통을 치료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치료기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건강 운동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꺼꾸리는 발목부분을 고정한 상태로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켜야 하므로 그 사용 특성상 발목부분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종래에도 발목고정장치에 많은 연구가 있었고 이에 따른 개량제품이 꾸준히 양산되고 있다.
최근에 고안된 꺼꾸리는 실용신안등록 제043646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발걸이대가 조립되고, 상기 발걸이대의 단부에는 축핀으로 "ㄱ"형가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발걸이대의 내향돌출부 및 "ㄱ"형가동축에는 뒷굼치 받침로울러와 발등지지로울러가 각각 장착되어 발목을 고정하고 있다.
상기 종래 꺼꾸리는 명세서의 도4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뒷굼치 받침로울러와 발등지지로울러 사이에 발목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등판프레임을 회전시켜 자신의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키게 되면, 이 과정에서 "ㄱ"형가동축이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뒷굼치 받침로울러와 발등지지로울러가 서로 근접되어 이들 사이에 위치한 발목 전후방을 밀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꺼꾸리는 내향돌출부가 발걸이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내향돌출부에 설치된 뒷굼치 받침로울러는 고정되어 있고, "ㄱ"형가동축이 축핀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뒷굼치 받침로울러와 발등지지로울러에 의해 발목이 고정된 상태로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발목을 심하게 움직이거나 또는 발을 세워 발가락 끝부분이 하늘로 향하도록 하여 발등과 다리가 일직선 형태로 되면 발등지지로울러는 발등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 발목 고정상태가 불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발목을 더 움직이게 되면 종종 사용자가 추락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뒷굼치 받침로울러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ㄱ"형가동축이 임의대로 벌어지는 현상, 즉 발등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ㄱ"형가동축이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제어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 특허 등록 제0945533호는 손잡이가 형성된 양측 지지대 상단부에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등판을 받침지지하는 프레임이 장착되며, 상기 등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해지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고정봉이 발목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고정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봉 자유단부에 회전가능 설치되는 회전운동레버; 상기 회전운동레버 양측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등판에 누워 거꾸로 위치할 때 그와 대응되는 사용자의 발목 전방 부분을 지지고정하는 제1쿠션; 상기 고정봉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직선운동레버; 상기 제1쿠션과 대응되게 상기 직선운동레버 양측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등판에 누워 거꾸로 위치할 때 사용자의 발목 후방 부분을 지지고정하는 제2쿠션; 및 상기 회전운동레버 및 직선운동레버와 연결되어, 회전운동레버가 회전하여 제1쿠션이 사용자의 발목 전방 부분을 지지고정토록 할 때 상기 직선운동레버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2쿠션이 사용자의 발목 전방 부분에 위치되어 지지고정토록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장치는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사용자의 발목을 어느 정도 고정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발목을 심하게 움직이거나 또는 발을 세워 발가락 끝부분이 하늘로 향하도록 하여 발등과 다리가 일직선 형태로 되면 회전운동레버가 회전되면서 제1쿠션과 제2쿠션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발목 고정상태가 불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발목을 더 움직이게 되면 사용자가 추락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현대인은 각종 스트레스로 인하여 피로가 누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사지봉이 내장된 쿠션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쿠션은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됨은 물론, 운동과 동시에 피로감을 해소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이동쿠션을 고정쿠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발목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한편,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는 이동쿠션이 이동되는 방향을 상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이동쿠션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쿠션과 이동쿠션의 벌어짐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내부에 맛사지 봉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등 부분을 타격하는 것으로서, 근육을 이완시켜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지지대의 상단에 중심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등받이가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하단에는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해지하는 발걸이가 설치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바와, 상기 길이 조절바의 하단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쿠션과, 단부가 발판 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길이 조절바의 표면에 경사각이 유지되게 설치된 각도 유지바와, 상기 각도 유지바에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이동쿠션으로 이루어진 자동 발걸이부; 및 상기 등받이에 내장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마사지봉과, 상기 마사지봉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마사지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유지바가 설치되는 경사각은 30∼85ㅀ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중심축의 둘레면에 위치게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공에는 등받이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조절핀이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이동쿠션을 고정쿠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발목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한편,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는 이동쿠션이 이동되는 방향을 상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이동쿠션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쿠션과 이동쿠션의 벌어짐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의 내부에 맛사지 봉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등 부분을 타격하는 것으로서, 근육을 이완시켜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회전부를 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자동 발걸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자동 발걸이부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회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발걸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발걸이부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대(10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지지대(100)는 지면에 접촉되는 제1하부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부바(110)의 외측 둘레면에는 한 쌍의 제1지지바(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바(111)의 사이에는 가로대(113)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바(111)의 상단에는 제1힌지공(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면에 접촉되는 제2하부바(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부바(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제1지지바(111)와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게 제2지지바(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바(121)의 상부에는 지지판(130)이 설치되어 있고 제2지지바(121)의 상단에는 손잡이(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30)에는 제1힌지공(112)과 대응되는 제2힌지공(1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힌지공(112)과 제2힌지공(131)에는 힌지(14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2힌지공(131)의 일측에는 제1지지바(111)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핀(134)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0)에는 이후에 설명할 중심축(171)이 끼워지는 중심공(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공(132)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1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도 조절공(133)에는 조절핀(150)이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심공(132)에는 중심축(171)이 끼워져 있되, 그 중심축(171)은 회전부재(17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170)의 사이에는 등받이(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160)의 저면에는 길이 조절용 가이드바(1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길이 조절용 가이드바(180)에는 길이 조절바(27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조절바(270)는 길이 조절용 가이드바(180)의 표면에 설치된 스토퍼(190)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190)를 당긴 상태에서 길이 조절바(270)를 사용자의 신장에 일치되게 이동시키고 스토퍼(190)를 놓으면 스토퍼(190)의 단부는 길이 조절바(270)에 형성된 복수개의 길이 조절공(201)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바(270)를 고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장에 일치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길이 조절바(270)에는 자동 발걸이부(20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길이 조절바(270)의 하단에 발판(2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판(21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뒷꿈치 상부에 접촉되는 고정쿠션(2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바(270)의 표면에는 각도 유지바(230)가 경사각(Θ)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각도 유지바(230)의 단부는 발판(210)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도 유지바(230)에는 안내바(240)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되, 상기 안내바(240)는 각도 유지바(2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이 유지되도록 스프링(260)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바(240)의 단부에는 이동쿠션(2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도 유지바(230)의 경사각(Θ)은 30∼85ㅀ의 범위로 설치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사각(Θ)이 35ㅀ이하 이거나 85ㅀ이상일 경우에는 고정쿠션(220)과 이동쿠션(250)이 사용자의 발을 고정할 때 사용자의 발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안내바(240)가 분리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의 등 부분을 타격하여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한 마사지부(30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마사지부(30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마사지봉(301)이 등받이(160)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마사지봉(301)에는 그 마사지봉(301)을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30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302)는 제어수단(3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수단(303)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30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등 부분을 마사지 하고자 할 때에는 등받이(160)에 등이 접촉되도록 누운 상태에서 스위치(304)를 조작하면 제어수단(303)에서 동작신호가 발생되고, 그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솔레노이드(302)가 작동되어 마사지봉(301)이 등받이(160)의 표면으로 연속적으로 출몰되면서 사용자의 등 부분을 타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을 마사지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사지 할 때에는 등받이(16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 부분이 등받이(16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등받이(16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할 경우에는 지지대(100)의 제2하부바(120)를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지지바(111)를 당기면 상기 제1지지바(111)는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하부바(110)와 제2하부바(1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1지지바(111)가 걸림핀(134)에 접촉되면 제1지지바(111)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판(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133)중 어느 하나에 조절핀(150)을 삽입하여 자신이 원하는 운동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등받이(160)가 조절핀(150)이 삽입된 각도 까지만 회전되는 것이다.
일예로 최대각에 해당하는 각도 조절공(133)에 조절핀(150)을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핀(15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쿠션(250)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발로 밟으면 상기 안내바(240)는 각도 유지바(230)에서 인출되면서 고정쿠션(220)과 이동쿠션(250) 사이의 간격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스프링(260)은 인장된다.
상기 고정쿠션(220)과 이동쿠션(250)의 사이에 발을 삽입한 후 고정쿠션(220) 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쿠션(250)에 가해지 외력이 제거되는 것이므로 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서 안내바(240) 및 이동쿠션(250)이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목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쿠션(220)과 이동쿠션(250)이 긴밀히 접촉되어 발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체를 등받이(160)에 접촉시키는 것이며, 사용자의 손이 하부로 향하는 상태이므로 등받이(160)가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을 복부로 이동시키면 체중에 의한 중심의 위치가 상측으로 변경되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6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손을 머리위로 들면 체중에 의한 중심의 위치가 더욱 상측으로 변경되므로 등받이(16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등받이(160)가 더욱 회전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60)는 가로대(113)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것이고, 사용자의 등 부분은 등받이(160)와 분리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은 고정쿠션(220)과 이동쿠션(250)에 의해서 지지되어 거꾸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공(133)에 조절핀(150)을 삽입한 경우에는 회전부재(170)의 측면이 조절핀(150)에 접촉되면 등받이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안내바(240)가 분리되는 방향은 상측으로 향하게 되고, 사용자의 체중은 하부로 작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움직여도 안내바(240)가 분리되지 않게 되어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 부분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하여 발걸이를 간편하게 동작시킴은 물론,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발을 고정하는 발걸이의 분리방향이 상측으로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추락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100 : 지지대 130 : 지지판
133 : 각도 조절공 150 : 조절핀
160 : 등받이 171 : 중심축
200 : 자동 발걸이부 210 : 발판
220 : 고정쿠션 230 : 각도 유지바
240 : 안내바 250 : 이동쿠션
270 : 길이 조절바 300 : 맛사지부
301 : 마사지봉 302 : 솔레노이드
303 : 제어수단 304 : 스위치

Claims (3)

  1. 지지대(100)의 상단에 중심축(171)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등받이(160)가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160)의 하단에는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해지하는 발걸이가 설치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6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바(270)와, 상기 길이 조절바(27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발판(210)과, 상기 발판(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쿠션(220)과, 단부가 발판(210) 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길이 조절바(270)의 표면에 경사각(Θ)이 유지되게 설치된 각도 유지바(230)와, 상기 각도 유지바(230)에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바(240)와, 상기 안내바(240)의 단부에 설치되는 이동쿠션(250)으로 이루어진 자동 발걸이부(200); 및
    상기 등받이(160)에 내장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마사지봉(301)과, 상기 마사지봉(301)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302)와, 상기 솔레노이드(3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304)가 구비된 제어수단(303)으로 이루어진 마사지부(3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유지바(230)가 설치되는 경사각(Θ)은 30∼85ㅀ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상단에는 중심축(17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130)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130)에는 중심축(171)의 둘레면에 위치되게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공(133)에는 등받이(160)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조절핀(15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0110137924A 2011-12-20 2011-12-20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12000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24A KR20120004381A (ko) 2011-12-20 2011-12-20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24A KR20120004381A (ko) 2011-12-20 2011-12-20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81A true KR20120004381A (ko) 2012-01-12

Family

ID=4561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924A KR20120004381A (ko) 2011-12-20 2011-12-20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82Y1 (ko) * 2014-03-14 2015-06-17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82Y1 (ko) * 2014-03-14 2015-06-17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49489B2 (en) Neckpillow
EP3145367B1 (en) Activating platform
KR200438341Y1 (ko) 운동기능을 갖춘 발받침대
US20130005550A1 (en) Exercise chair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KR20160145379A (ko) 보행 재활 훈련용 발목 관절 각도 변화 유도 장치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101298882B1 (ko)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보드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20180089337A (ko) 노 젓기와 승마 운동 효과를 겸비한 헬스기구
KR10096584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191829B1 (ko) 휜 다리 교정용 기구
KR20120004381A (ko)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319622B1 (ko)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KR20160001422A (ko) 발끝 치기 기능을 구비하는 발 및 다리 운동기구
JP6345365B1 (ja) 運動具
EP1955735B1 (de) Trampolin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200453786Y1 (ko) 히프 트레이닝 장치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1590921B1 (ko)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