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82Y1 -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82Y1
KR200477482Y1 KR2020140002049U KR20140002049U KR200477482Y1 KR 200477482 Y1 KR200477482 Y1 KR 200477482Y1 KR 2020140002049 U KR2020140002049 U KR 2020140002049U KR 20140002049 U KR20140002049 U KR 20140002049U KR 200477482 Y1 KR200477482 Y1 KR 200477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housing
slot
angle
conn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Priority to KR2020140002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그 조립 및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기둥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한 기둥프레임에 구비되며, 라운드진 장공 구조의 제1관통슬롯 및 복수의 걸림공이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구획격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연결하우징; 상기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의 양 끝단 중 상기 연결하우징과 대응되는 측에 구비되며, 라운드진 장공 구조의 제2관통슬롯이 원주방향을 형성된 제2구획격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결합하우징; 그리고, 상기 연결하우징에 구비되면서 결합하우징과의 결합 방향을 향해 탄력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구획격벽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제2관통슬롯에 걸리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공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돌출된 제2걸림돌기를 갖는 각도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handstand exercise equipment angle adjustment device}
본 고안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그 조립 및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물구나무식으로 뒤집힐 수 있도록 하여 중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치우친 장기나 척추 관절의 하중을 일시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혈액 순환 및 신체 내장의 원활한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운동 가능한 양에 맞춰 등받이가 설정된 각도만큼 뒤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뒤집힘 각도는 각도 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252421호, 공개특허공보 특2002-0090099호 및 미국등록특허 US0786715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각 부품의 형상이 복잡하여 그의 제조를 위한 가공이 어려웠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전체의 형상의 복잡함으로 인한 부품수의 증가가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 역시 어려웠던 단점 및 조작성도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된 종래 기술 중 등록특허 제10-1252421호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조절손잡이가 단순히 일자형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물구나무서기시 발생되는 모든 하중이 상기 조절손잡이로만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상기 조절손잡이의 파손이 야기되어 사용자의 부상 등이 우려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기술은 조절손잡이를 커버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조작이 불편할 뿐 아니라 상기 장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장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되어 그 내부에 위치된 각종 동작 구성의 동작 불량을 야기시켰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그 조립 및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기둥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한 기둥프레임에 구비되며, 라운드진 장공 구조의 제1관통슬롯 및 복수의 걸림공이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구획격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연결하우징; 상기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의 양 끝단 중 상기 연결하우징과 대응되는 측에 구비되며, 라운드진 장공 구조의 제2관통슬롯이 원주방향을 형성된 제2구획격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결합하우징; 그리고, 상기 연결하우징에 구비되면서 결합하우징과의 결합 방향을 향해 탄력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구획격벽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제2관통슬롯에 걸리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공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돌출된 제2걸림돌기를 갖는 각도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제1구획격벽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제2구획격벽은 서로 간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작부는 상기 연결하우징의 개방된 외측 벽면을 폐쇄하여 상기 연결하우징 내의 제1구획격벽과의 사이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에 의해 형성된 연결하우징 내의 설치 공간에 위치되며, 양측 끝단 외면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가 상기 구획격벽을 향해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중앙 부위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커버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커버체와 상기 연결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탄력적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획격벽에 형성되는 제1관통슬롯 및 걸림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작부의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관통슬롯 및 제2관통슬롯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걸림공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각도조작부를 이루는 커버체의 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연결하우징 내의 공간으로 각종 이물질의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각도조작부를 이루는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의 배치 구조를 통해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제공받게 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그 파손이 방지되며, 더욱이 사용자는 조작핸들을 단순히 당기고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회전프레임의 회전 각도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형상이 복잡한 캠 구조나 돌출턱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각 구획격벽에 형성되는 각 관통슬롯 및 걸림공의 형상만으로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전체적인 부품수의 최소화 및 제조와 조립의 용이함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기둥프레임과 회전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기둥프레임과 회전프레임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중 각도 조작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기둥프레임과 회전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 혹은, 경사 구조를 이루면서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두 기둥프레임(20)과, 상기 두 기둥프레임(20)에 양측 끝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등받이(30)의 고정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회전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이하, “각도 조절장치”라 함)는 상기 두 기둥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회전프레임(40)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는 기둥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40) 간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면서, 크게 연결하우징(100)과, 결합하우징(200) 및 각도조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각도조작부(300)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단순 당김 및 회전 조작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물구나무서기를 할 때 제공되는 하중이 복수의 부위로 분산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하우징(100)은 각도조작부(300)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기둥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하우징(100)은 상기 두 기둥프레임(20)의 상측 끝단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격벽(1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획격벽(110)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지지축(1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제1구획격벽(110)에는 제1관통슬롯(111) 및 복수의 걸림공(112)이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관통슬롯(111)은 원호형의 라운드진 장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공(112)은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관통슬롯(111)과 상기 각 걸림공(112)은 상기 제1구획격벽(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서로 대칭되는 방향측에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하우징(200)은 상기 연결하우징(100)과 함께 기둥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40)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하우징(200)은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연결하우징(100)과 동일한 형태의 내부가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결합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획격벽(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획격벽(210)의 중앙에는 상기 제1구획격벽(110)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지지축(120)이 관통 설치되는 설치공(213)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구획격벽(210)의 중앙에 상기 회전지지축(120)을 고정하고 상기 제1구획격벽(110)의 중앙에는 상기 설치공(21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구획격벽(110)에 대하여 제2구획격벽(210)이 상기 회전지지축(120)의 지지를 받으면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하우징(200)의 제2구획격벽(210)에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슬롯(21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관통슬롯(211)은 원호형의 라운드진 장공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1구획격벽(110)의 제1관통슬롯(111)과는 대향되는 부위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작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프레임(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연결하우징(100)에 구비되면서 결합하우징(200)과의 결합 방향을 향해 탄력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구획격벽(1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작부(300)는 두 기둥프레임(20)에 고정되는 각 연결하우징(100)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고, 두 연결하우징(100) 중 어느 한 연결하우징(100)에만 구비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작부(300)가 어느 한 연결하우징(100)(도면상 좌측편의 연결하우징)에만 구비됨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각도조작부(300)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310)와, 제1걸림돌기(320)와, 제2걸림돌기(330)와, 연결플레이트(340)와, 중심축(350)과, 탄성부재(360) 및 조작핸들(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체(310)는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개방된 외측 벽면(외부로 노출되는 측의 벽면)을 폐쇄하여 상기 연결하우징(100) 내의 제1구획격벽(110)과의 사이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한 설치 공간 내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물론, 상기한 커버체(310)는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 내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의 조립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320)는 상기 커버체(310)에 의해 형성된 연결하우징(100) 내의 설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제1구획격벽(110)에 형성된 제1관통슬롯(111)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하우징(200)의 제2구획격벽(210)에 형성된 제2관통슬롯(311)에 걸릴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돌기(330)는 상기 커버체(310)에 의해 형성된 연결하우징(100) 내의 설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제1구획격벽(110)에 형성된 어느 한 걸림공(112)에 걸릴 수 있으면서도 제2구획격벽(210)에는 맞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340)는 상기 제1걸림돌기(320) 및 제2걸림돌기(330)가 일괄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커버체(310)에 의해 형성된 연결하우징(100) 내의 설치 공간에 위치되면서 양측 끝단에 상기 제1걸림돌기(320) 및 제2걸림돌기(330)가 각각 결합되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돌기(320) 및 제2걸림돌기(33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된다.
이와 같은 연결플레이트(340)와 각 걸림돌기(320,33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작업을 통해 서로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그 실시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플레이트(340)와 각 걸림돌기(320,330)는 단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350)은 상기 연결플레이트(340)에 회전 조작력 및 수평 이동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커버체(310)에 의해 형성된 연결하우징(100) 내의 설치 공간에 위치되면서 그 외측 끝단은 상기 커버체(3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6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40)가 탄력적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중심축(350)의 지지를 받아 상기 커버체(31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34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60)는 상기 중심축(35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됨을 그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핸들(370)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써, 상기 연결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커버체(3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중심축(3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작핸들(370)은 그 조작의 편의를 위해 외측 끝단이 상기 중심축(350)과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외향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돌출방향은 상기 연결플레이트(34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도록 구성함이 방향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구획격벽(110)에 형성되는 제1관통슬롯(111) 및 걸림공(11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작부(300)를 이루는 제1걸림돌기(320)는 상기 제1관통슬롯(111) 및 제2관통슬롯(211)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제2걸림돌기(330)는 상기 걸림공(112)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해 제1걸림돌기(320)가 걸림공(112)에 걸림과 더불어 제2걸림돌기(330)는 제1관통슬롯(111)에 걸리게 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걸림돌기(320)가 걸림공(112)에 걸림과 더불어 제2걸림돌기(330)는 제1관통슬롯(111)에 걸리게 될 경우 상기 제2걸림돌기(330)의 길이가 짧아서 제2관통슬롯(211)을 관통하여 결합되지 못함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조작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회전프레임(40)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 및 이에 의한 회전프레임(4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이루는 회전프레임(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겨우 상기 사용자는 각도조작부(300)를 이루는 조작핸들(370)을 당긴다.
이의 경우,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핸들(370)과 중심축(350)에 의해 연결된 연결플레이트(340)가 상기 조작핸들(370)의 당김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상기 연결플레이트(340)의 이동에 의해 제1걸림돌기(320)는 각 관통슬롯(111,211)으로부터 이탈됨과 더불어 제2걸림돌기(330)는 걸림공(11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작부(300)를 이루는 중심축(350)의 둘레에 위치된 탄성부재(360)는 커버체(31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340) 사이에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회전프레임(40)의 원하는 기울어짐 각도만큼 조작핸들(370)을 돌린 다음 그의 당김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3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작핸들(370)과 중심축(350)과 연결플레이트(340) 및 각 걸림돌기(330,320)는 그 당김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제1걸림돌기(320)는 제1관통슬롯(111) 및 제2관통슬롯(2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됨과 더불어 제2걸림돌기(330)는 해당 방향측에 위치된 걸림공(112)을 관통하여 걸리게 되면서 각도 조절이 완료된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각도의 조절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걸림돌기(320)의 위치에 따라 달리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걸림돌기(320)가 제1관통슬롯(111)의 하부에 위치될수록 회전프레임(40)은 더욱 큰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걸림돌기(330)는 상기 제1걸림돌기(320)가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조함과 더불어 상기 제1걸림돌기(320)로의 하중 제공시 상기 하중을 분산하여 제공받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도 조절을 완료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받이(30)에 등을 받친 후 뒤로 기울이게 되면 이러한 기울이는 힘에 의해 회전프레임(40)은 회전지지축(120)의 지지를 받아 두 기둥프레임(20) 사이에서 회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40)에 고정된 결합하우징(200) 및 그 내부의 제2구획격벽(210) 역시 상기 회전프레임(40)과 함께 회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구획격벽(210)에 형성된 제2관통슬롯(211)은 상기 제2구획격벽(2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제2관통슬롯(210)의 회전 반대 방향측의 끝단이 제1걸림돌기(320)가 위치된 부위에 도달되면 상기 제1걸림돌기(320)에 의한 걸림(부딪힘)이 이루어지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1걸림돌기(320)는 연결하우징(100)의 제1구획격벽(110)에 형성된 제1관통슬롯(111)을 관통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제2걸림돌기(330)는 걸림공(112)에 걸린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제2구획격벽(210)의 제2관통슬롯(211) 만이 상기 제2구획격벽(210)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제2관통슬롯(211)의 끝단이 상기 제1걸림돌기(320)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슬롯(211)의 끝단 부위가 상기 제1걸림돌기(320)에 걸리게 되면 이 제2관통슬롯(211)이 형성된 제2구획격벽(210) 및 상기 제2구획격벽(210)이 고정된 결합하우징(200) 역시 더 이상의 회전을 하지 못하면서 회전프레임(40)을 정지시키게 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기울기만큼 뒤집힌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물구나무식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는 각도조작부(300)를 이루는 커버체(310)의 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연결하우징(200) 내의 공간으로 각종 이물질의 유입됨이 방지된다. 즉, 상기 커버체(310)는 중심축(350)이 관통되는 중앙 부위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며, 상기 중앙 부위는 상기 중심축(350)이 관통된 상태로 해당 부위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이 상기 연결하우징(100) 내의 공간으로 유입됨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는 각도조작부(300)를 이루는 제1걸림돌기(320)와 제2걸림돌기(330)의 배치 구조를 통해 회전프레임(40)의 회전시 제공받게 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그 파손이 방지되며, 더욱이 사용자는 조작핸들(370)을 단순히 당기고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회전프레임(40)의 회전 각도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는 형상이 복잡한 캠 구조나 돌출턱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각 구획격벽(110,210)에 형성되는 각 관통슬롯(111,211) 및 걸림공(112)의 형상만으로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전체적인 부품수의 최소화 및 제조와 조립의 용이함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 메인 프레임 20. 기둥프레임
30. 등받이 40. 회전프레임
100. 연결하우징 110. 제1구획격벽
111. 제1관통슬롯 112. 걸림공
120. 회전지지축 200. 결합하우징
210. 제2구획격벽 211. 제2관통슬롯
213. 설치공 300. 각도조작부
310. 커버체 320. 제1걸림돌기
330. 제2걸림돌기 340. 연결플레이트
350. 중심축 360. 탄성부재
370. 조작핸들

Claims (4)

  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기둥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한 기둥프레임에 구비되며, 라운드진 장공 구조의 제1관통슬롯 및 상기 제1관통슬롯과는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걸림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제1구획격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원통형의 연결하우징;
    상기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의 양 끝단 중 상기 연결하우징과 대응되는 측에 구비되며, 라운드진 장공 구조의 제2관통슬롯이 원주방향을 형성된 제2구획격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원통형의 결합하우징; 그리고,
    상기 연결하우징에 구비되면서 결합하우징과의 결합 방향을 향해 탄력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구획격벽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의 개방된 외측 벽면을 폐쇄하여 상기 연결하우징 내의 제1구획격벽과의 사이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체와, 상기 제1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제2관통슬롯에 걸릴 수 있을 정도의 직경 및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공을 관통하여 걸릴 수 있을 정도의 직경 및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제2걸림돌기를 갖는 각도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제1구획격벽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제2구획격벽은 서로 간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작부는
    상기 커버체에 의해 형성된 연결하우징 내의 설치 공간에 위치되며, 양측 끝단 외면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가 상기 구획격벽을 향해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중앙 부위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커버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커버체와 상기 연결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탄력적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4. 삭제
KR2020140002049U 2014-03-14 2014-03-14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77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49U KR200477482Y1 (ko) 2014-03-14 2014-03-14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49U KR200477482Y1 (ko) 2014-03-14 2014-03-14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82Y1 true KR200477482Y1 (ko) 2015-06-17

Family

ID=5351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49U KR200477482Y1 (ko) 2014-03-14 2014-03-14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87Y1 (ko) 2014-12-05 2015-11-16 문건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N109646890A (zh) * 2019-01-04 2019-04-19 王春娟 一种腿部损伤康复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7154B2 (en) * 2009-05-01 2011-01-11 Teeter Roger C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KR20120004381A (ko) * 2011-12-20 2012-01-12 안승훈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252421B1 (ko) * 2012-09-12 2013-04-08 김삼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KR20130043138A (ko) * 2013-04-06 2013-04-29 안승훈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7154B2 (en) * 2009-05-01 2011-01-11 Teeter Roger C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KR20120004381A (ko) * 2011-12-20 2012-01-12 안승훈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252421B1 (ko) * 2012-09-12 2013-04-08 김삼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KR20130043138A (ko) * 2013-04-06 2013-04-29 안승훈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87Y1 (ko) 2014-12-05 2015-11-16 문건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N109646890A (zh) * 2019-01-04 2019-04-19 王春娟 一种腿部损伤康复训练装置
CN109646890B (zh) * 2019-01-04 2020-06-02 王春娟 一种腿部损伤康复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612B1 (en) Horizontal bar hook
US4621623A (en) Multi-function gymnastic device
US7867154B2 (e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JP6316989B2 (ja) 雲台構造およびそのギア調整機構
KR101633502B1 (ko) 카메라 짐벌
US20070174956A1 (en) Adjustable shower rod assembly
KR200477482Y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US20200038277A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KR101115545B1 (ko)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US11511150B2 (en) Rail system in pilates exercise devices
KR101639133B1 (ko) 철봉 운동용 기구
KR200458085Y1 (ko) 360도 회전형 선풍기
KR102147878B1 (ko)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KR200497609Y1 (ko) 조절 가능한 덤벨 구조
KR102282410B1 (ko) 이동식 엑스레이 거치대
CN109603125A (zh) 篮球练习器
KR20170129612A (ko) 타격 연습 장치
JPH1065999A (ja) チルトスタンド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20120000543U (ko) 볼링 아대
CN109590960B (zh) 一种工作台三维转动调节机构
TW201741002A (zh) 打擊練習裝置
IT201600093912A1 (it) Testa di supporto per apparecchiature video-fotografiche
KR101807402B1 (ko) 절첩식 간이 텐트용 설치유닛
KR101642438B1 (ko) 내부 강제 잠금 설정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