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85Y1 - 360도 회전형 선풍기 - Google Patents
360도 회전형 선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8085Y1 KR200458085Y1 KR2020090006969U KR20090006969U KR200458085Y1 KR 200458085 Y1 KR200458085 Y1 KR 200458085Y1 KR 2020090006969 U KR2020090006969 U KR 2020090006969U KR 20090006969 U KR20090006969 U KR 20090006969U KR 200458085 Y1 KR200458085 Y1 KR 2004580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rotating
- fan
- uni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40—Flow geometry or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며, 하부로 회전 축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과 축 체결되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집게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클립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물림 고정되는 클립부; 및 상기 지지부와 클립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서로 역방향 회전시 360도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분할된 회전구간에 정지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클립 고정용 선풍기의 헤드 지지부와 클립부의 연결 부위를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클립이 기구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회전각의 제한 없이 모든 방향으로 선풍기의 바람을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풍기, 클립형, 360도, 회전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 고정용 선풍기의 헤드 지지부와 클립부의 연결 부위를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회전각의 제한 없이 모든 방향으로 선풍기의 바람을 보낼 수 있는 360도 회전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프로펠러가 회전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선풍기는 구동장치들이 들어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등으로 구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지탱하는 받침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선풍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클립 고정형 선풍기(탁상용 선풍기 등), 스탠드형 선풍기, 천장 고정형 선풍기, 벽걸이형 선풍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 고정용 선풍기는, 헤드부의 하부에 집게 형상의 클립을 구비시킴으로써, 기구물(책상 등)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립 고정용 선풍기는, 클립이 구조물에 고정된 상 태에서 헤드부가 정해진 회전반경 내에서만 회동하게 되어 있어, 선풍기의 바람이 송풍 되는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 고정용 선풍기의 헤드 지지부와 클립부의 연결 부위를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클립이 기구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회전각의 제한 없이 모든 방향으로 선풍기의 바람을 보낼 수 있는 360도 회전형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며, 하부로 회전 축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과 축 체결되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집게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클립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물림 고정되는 클립부; 및 상기 지지부와 클립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서로 역방향 회전시 360도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분할된 회전구간에 정지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하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에 위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의 하부 입구 부위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걸림 위치되는 볼부재; 및 상기 볼부재의 하부가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되도록 원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이 상부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 축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그 하부가 상기 클립부의 상부 면에 고정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판은, 하부에 복수의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클립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부가 기구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회전각의 제한 없이 모든 방향으로 선풍기의 바람을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의 회전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의 회전부재가 결합 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100)는, 헤드부(200), 지지부(300), 클립부(400) 및, 회전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00)는 프로펠러(211)를 후방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212)와, 상기 구동부(212)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미도시)가 구동부(212)의 하방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212)는 외부에 구동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커버의 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장치(미도시)들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211)의 외부에는 구동부(212)의 전방에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안전망(21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12)에는 선풍기(100)의 구동부(212)를 온/오프 하여 프로펠러(21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회전부(미도시)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미도시)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2)와 회전부(미도시)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설명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들이 더 있을 수 있으나 공지된 것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지지부(300)는, 상기 헤드부(200)를 지지하며 하부 면에는 하부로 연장된 회전축(3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0)의 하부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10)은, 후술 될 회전부재(500)의 탄성부재(510)와 볼부재(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부재(5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300)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구동부(212)의 버튼(미도시) 대신에 구동부(212)를 온/오프 하여 프로펠러(21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회전부(미도시)를 조작하여 풍속, 좌우 회전, 타이머 등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 (미도시)들이 구비 될 수도 있다.
클립부(400)는, 지지부(300)의 하부 회전축(320)과, 그 상부가 축 체결되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립부(400)의 구성은, 지지부(3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클립(410)과, 상기 상부클립(410)의 하부와 힌지축(430)에 의해 체결되어 전방이 상하로 회동 되는 하부클립(420) 및, 상기 상부클립(410)과 하부클립(420)의 힌지축(43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클립(420)의 전방이 탄성력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상부집게(410)의 전방과 맞물리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클립부(400)는, 지지부(300)의 하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책상 등)에 선풍기(100)를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클립(410)의 후방 상부 면과 하부클립(420)의 후방 하부 면에는, 회전방향과 직각으로 복수의 미끄럼을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오목한 손잡이부(411, 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클립(410)과 하부클립(420)의 손잡이부(411, 4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클립(420)의 손잡이부(411, 421)를 상부클립(410)의 손잡이부(411, 421)로 회전시 후, 상기 상부클립(410)과, 하부클립(42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기구물(600)의 일부분을 삽입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하부클립(420)의 손잡이부(411, 421)를 놓으면, 상기 상부클립(410)과, 하부클립(420)의 전방이 탄성부재(440)의 탄성에 의해 기구물(600)의 일부분을 물게 됨으로써, 선풍기(100)가 기구물(6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 다.
다음으로, 회전부재(500)는 지지부(300)와 클립부(40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지지부(300)와 클립부(400)가 서로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분할된 회전구간에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500)의 구성은, 상기 삽입홈(310) 내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재(510)와, 상기 제2탄성부재(510)의 하단에 위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310)의 하부 입구 부위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걸림 위치되는 볼부재(520) 및, 상기 볼부재(520)의 하부가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되도록 원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531)이 상부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0)의 회전 축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그 하부가 상기 상부클립(410)의 상부 면에 고정되는 걸림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510)는, 코일스프링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탄성부재(510)의 상단이 삽입홈(310)의 상부 면에 밀착되고, 그 하단이 볼부재의 상부 면에 밀착되어 상하로 압축력을 작용시킨다.
볼부재(520)는, 구 형상의 금속 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지름이 가장 큰 볼부재(520)의 중심 부위가 상기 삽입홈(310)의 하부 입구 측 단부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재(510)의 하단이 볼부재(520)를 하부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볼부재(520)의 하부는 삽입홈(310)의 하부 입구부위를 통해 일정부분이 노출된다.
걸림판(53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판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지지부(300)의 회전축(320)이 통과하여 상부클립(410)에 축 체결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판(530)의 하부에는 복수의 삽입돌기(53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532)가 상기 상부클립(410)의 상부 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100)의 회전부재(5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풍기(100)의 클립부(400)부를 구조물(책상 등)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클립부(400)가 구조물(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300)를 원하는 회전 각으로 회전시킨다.
이 순간, 걸림판(530)의 걸림홈(531)에 걸림 위치된 복수의 볼부재(520)가 상기 걸림홈(531)에서 빠지면서 걸림판(530)의 상부 면을 따라 원을 이루면서 이동하게 되며, 원을 이루며 이동하는 상기 볼부재(520)는, 인접한 걸림홈(531)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각만큼 이동한 후 걸림홈(531)에 삽입 고정된다.
즉, 볼부재(520)가 상부로 이동될 때 제2탄성부재(510)가 압축되고, 인접한 걸림홈(531)에 삽입되는 순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볼부재(520)가 걸림홈(531)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는 소정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정 힘 이상을 가해 지지부(3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헤드부(200)의 송풍 각을 제한 없이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360도 회전형 선풍기(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의 회전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의 회전부재가 결합 된 상태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선풍기 200: 헤드부
211: 프로펠러 212: 구동부
213: 안전망 300: 지지부
310: 삽입홈 320: 회전축
400: 클립부 410: 상부클립
411: 손잡이부 420: 하부클립
421: 손잡이부 430: 힌지축
440: 제1탄성부재 500: 회전부재
510: 제2탄성부재 520: 볼부재
530: 걸림판 531: 걸림홈
532: 삽입돌기 600: 기구물
Claims (3)
-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며, 하부로 회전 축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과 축 체결되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집게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클립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물림 고정되는 클립부 및, 상기 지지부와 클립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서로 역방향 회전시 360도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분할된 회전구간에 정지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되,상기 지지부는, 하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에 위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의 하부 입구 부위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걸림 위치되는 볼부재 및, 상기 볼부재의 하부가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되도록 원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이 상부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 축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그 하부가 상기 클립부의 상부 면에 고정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회전형 선풍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판은, 하부에 복수의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클립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회전형 선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969U KR200458085Y1 (ko) | 2009-06-03 | 2009-06-03 | 360도 회전형 선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969U KR200458085Y1 (ko) | 2009-06-03 | 2009-06-03 | 360도 회전형 선풍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199U KR20100012199U (ko) | 2010-12-13 |
KR200458085Y1 true KR200458085Y1 (ko) | 2012-01-18 |
Family
ID=4420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6969U KR200458085Y1 (ko) | 2009-06-03 | 2009-06-03 | 360도 회전형 선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808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508A (ko) | 2014-12-31 | 2016-07-1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360도 방향 냉온 선풍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1907B1 (ko) * | 2011-01-27 | 2013-07-03 | 주재학 | 선풍기의 좌, 우 선회각 조절장치 |
KR101698493B1 (ko) * | 2015-06-09 | 2017-01-20 | 삼성물산(주) | 한중콘크리트의 품질 향상과 양생비용 절감을 위한 열풍순환 보온양생공법 |
RU2652583C1 (ru) * | 2017-03-14 | 2018-04-26 | Вале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Панченко |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яции |
KR200487716Y1 (ko) * | 2017-06-30 | 2018-10-24 | 저지앙 조요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선풍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0199A (ko) * | 1973-07-04 | 1975-03-26 | ||
JPH10306791A (ja) * | 1997-05-09 | 1998-11-17 | Matsushita Seiko Co Ltd | 扇風機 |
-
2009
- 2009-06-03 KR KR2020090006969U patent/KR20045808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0199A (ko) * | 1973-07-04 | 1975-03-26 | ||
JPH10306791A (ja) * | 1997-05-09 | 1998-11-17 | Matsushita Seiko Co Ltd | 扇風機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508A (ko) | 2014-12-31 | 2016-07-1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360도 방향 냉온 선풍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199U (ko) | 2010-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8085Y1 (ko) | 360도 회전형 선풍기 | |
US7197962B2 (en) | Light bulb installation and removal device | |
EP3591467B1 (en) |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 |
US20140112791A1 (en) | Adjustable fan and post mount | |
CN204393640U (zh) | 可调风向吹风机及其风向调节装置 | |
US20080286114A1 (en) | Portable fan | |
WO2007049791A3 (en) | Game machine | |
WO2016078510A1 (zh) | 开关装置 | |
KR102223291B1 (ko) |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 |
KR200477482Y1 (ko) |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 |
JP6087509B2 (ja) | 扇風機 | |
JP2008511810A5 (ko) | ||
KR100783612B1 (ko) |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 |
KR20130065635A (ko) | 중력 보조 회전 기구 및 그와 협력하는 발전기 장치 | |
JP2004019916A (ja) | 旋回構造物の支持装置 | |
KR200374013Y1 (ko) | 구이기의 화력조절장치 | |
KR200272110Y1 (ko) | 코펠 | |
JP2015208447A (ja) | 物干装置 | |
JP3177139U (ja) | 回転固定装置及び該回転固定装置を備えた照明装置 | |
JP6009781B2 (ja) | 扇風機 | |
JP5614025B2 (ja) | パイプ構造体 | |
CN207739753U (zh) | 一种可任意角度转动限位的门窗执手 | |
JP5192333B2 (ja) | 電気ストーブ | |
CN208578745U (zh) | 一种支架风扇 | |
CN105922297A (zh) | 一种具有攻击锥的折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