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43U - 볼링 아대 - Google Patents

볼링 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543U
KR20120000543U KR2020100007392U KR20100007392U KR20120000543U KR 20120000543 U KR20120000543 U KR 20120000543U KR 2020100007392 U KR2020100007392 U KR 2020100007392U KR 20100007392 U KR20100007392 U KR 20100007392U KR 20120000543 U KR20120000543 U KR 201200005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worm
bowling
plat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권
Original Assignee
박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권 filed Critical 박용권
Priority to KR2020100007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543U/ko
Publication of KR201200005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ow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54Bowling, i.e. ten-pin bow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링 경기를 할 때 손목의 부상을 막아주고 안정적인 손목의 모양과 자세를 잡아주는 볼링 아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등판과 손목판 간의 각도 조절시 웜 전동방식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각도조절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는 물론 조립이 쉽고, 다양한 각도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손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손목의 모양과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볼링 아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링 아대{A ampac bowlers glove}
본 고안은 볼링 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링 경기를 할 때 손목의 부상을 막아주고 안정적인 손목의 모양과 자세를 잡아주는 볼링 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 경기를 할 때에는 볼링공의 중량에 의한 손목의 과다 꺽임을 막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손목을 보호하고, 볼의 회전변화에 따른 투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한 볼링 아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볼링 아대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형태의 것이 제시되어 있는데, 가장 단순하게는 손목을 고정시켜 손목이 젖혀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 있고, 최근에는 볼링 아대의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하여 투구할 때 스핀이나 훅 등의 회전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볼링 아대는 무거운 볼링공으로 인한 손목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근래에는 안정적인 손목의 모양 및 자세를 만들도록 하여 보다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손목을 안쪽으로 굽힐수록 훅이 보다 강하게 되는데, 초보자의 경우 공을 놓는 순간에 손목이 풀려버리면 의도한 바의 훅이 들어가지 않게 되며, 이를 볼링 아대로 고정을 해주어 안정적인 훅이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손목의 좌우각이 공의 구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손목의 힘이 적은 사람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볼링 아대에 의한 고정이 필요하다.
이때, 구질에 따라 올바른 손가락 및 손목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손목의 상하 및 좌우로의 굽힘각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손등판과 손목판을 연결하면서도 이들의 연결각도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각도조절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현재 제시되어 있는 각도조절장치는 나사식과 단계별 걸림식의 두가지 방식이 대부분이며, 나사식의 경우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지만,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단계별 걸림식의 경우 간격이 정해져 있는 고정구멍에 끼워서 맞추는 방식인 관계로 미세한 조정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각도조절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시 손등판이 뒤로 젖혀졌을 경우에 걸림장치가 쉽게 이탈되는 등 큰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손등판과 손목판 간의 각도 조절시 웜 전동방식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각도조절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는 물론 조립이 쉽고, 다양한 각도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손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손목의 모양과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볼링 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볼링 아대는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판과, 상기 손목판에 결합되어 록/언록 레버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손목판 프레임과, 상기 손목판 프레임에 양단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손등판과, 상기 손목판 프레임에 장착되어 손등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의 조작용 홀과 앞쪽의 출입용 홀을 가지면서 손목판 프레임의 윗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형태의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대상에 양단 지지되면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웜,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웜의 아래쪽에 배치되면서 웜과 맞물리며 웜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 운동하면서 손등판을 밀어주는 웜바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장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대의 각도 조절시 웜 전동방식으로 아대의 각도를 다양하게 또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볼링 아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손등판과 손목판 간의 상하 각도를 웜 전동방식의 조작수단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각도조절 또한 미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웜기어만 돌리면 되므로, 손등판과 손목판의 구부림 각도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간단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쉽고 조립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제작성 및 조립성 측면에서 우수하고, 비용면에서도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넷째, 손등판과 손목판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손등판이 뒤로 젖혀지거나 각도가 뒤틀리는 등의 문제없이 손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손목의 모양과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에서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에서 각도조절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볼링 아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링 아대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손목과 손등을 각각 받쳐주는 손목판(10)과 손등판(14), 상기 손목판(10)과 손등판(14)을 연결하는 손목판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손목판(10)과 손등판(14)은 금속재질의 지지판체 내부에 쿠션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서, 착용시 손목과 손등에 편안하게 받쳐주면서 손목의 모양이나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손목판(10)과 손등판(14)은 손목판 프레임(12)에 의해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손목판 프레임(12)은 손목판(10)의 선단부 윗면에 뒷부분이 록/언록 레버(11)에 의해 결합되는 동시에 앞부분은 양쪽 측면의 힌지핀(13)에 의해 손등판(14)의 후단부 양측과 결합되므로서, 손목판(10)과 손등판(14)은 손목판 프레임(12)을 매개로 하여 하나의 일체식 아대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등판(14)을 포함하는 손목판 프레임(12) 전체는 록/언록 레버(11)를 풀거나 조이는 조작과 손폭판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 형상의 개구부(24)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손등판(1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등판(14)의 좌우 방향 각도조절을 위한 록/언록 레버(11)의 구조나 조작 방식은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손등판(14)은 양측의 힌지결합부위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면, 이때의 각도조절은 손목판 프레임(12)에 마련되어 있는 각도조절장치(15)가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등판(12)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각도조절장치(15)의 웜바(21)와 접촉하는 수직의 브라켓(23)이 마련되어, 웜바(21)에 의해 이 브라켓(23)이 밀려나면서 손등판(12) 전체가 회전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브라켓(23)은 손등판(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형태,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된 후에 조립을 통해 손등판(12)에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에서 각도조절장치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에서 각도조절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장치(15)는 웜 전동방식으로 손등판(12)의 각도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 다양한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18)가 마련되고, 상기 장치 본체(18)의 내부에는 앞뒤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대(1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본체(18)의 상부에는 조작용 홀(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노출되는 웜(20)을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여 돌릴 수 있게 되고, 또 장치 본체(18)의 앞쪽에는 출입용 홀(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웜바(21)가 케이스 바깥쪽으로 인출되거나 케이스 안쪽으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18)의 내부 바닥면에는 케이스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면서 케이스 폭 중간에서 일정깊이로 파여 있는 형태의 슬라이드홈(22)이 형성되며, 이 슬라이드홈(22) 내에 웜바(21)가 수용되면서 그 저면과 측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되므로서, 웜바(21)의 전후진 운동이 보다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치 본체(18)는 볼팅, 끼움, 조립 등의 방식으로 손목판 프레임(12)의 윗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조작수단으로서 웜(20)이 마련되고, 이 웜(20)은 장치 본체(18)의 내부에 있는 앞뒤쪽 지지대(19)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중심을 관통하는 축(25)을 이용하여 지지대(19)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장착되며, 축(25)을 중심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손등판(14)에 있는 브라켓(23)을 밀어주는 수단으로서 웜바(21)가 마련된다.
상기 웜바(21)는 장치 본체(18)의 내부 슬라이드홈(22) 내에 안착되면서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윗쪽의 웜(20)과는 치(齒) 결합 형태로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웜(20)을 회전시키면, 웜 전동에 의해 웜바(21)는 앞뒤로 전진 및 후진 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렇게 이동하는 웜바(21)의 인출된 정도에 따라 손등판(1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웜바(21)는 웜(20)과 맞물린 상태에서 웜(20)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운동을 통해 장치 본체(1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손등판(14)을 밀어주게 되므로서, 손등판(14)의 젖힘 각도, 즉 손등쪽으로의 젖힘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볼링 아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 아대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링 경기를 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이나 구질 등에 맞게 볼링 아대의 손등판(1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각도조절장치(15)를 손쉽게 조작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목판(10)을 기준할 때, 손등판(14)의 각도가 뒷쪽(손등쪽)으로 덜 꺽이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18)의 조작용 홀(16)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웜(2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이와 맞물려 있는 웜바(21)가 전진 운동을 하여 장치 본체(18)의 외부로 인출되고, 계속해서 웜바(21)가 손등판(14)의 브라켓(23)을 밀게 되므로, 손등판(14) 전체는 양쪽의 힌지핀(13)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앞쪽(손바닥쪽)으로 꺽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의 손등판(14)은 손바닥쪽으로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손등쪽으로는 웜바(21)에 의해 그 꺽임이 구속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볼링공을 파지한 상태에서 투구를 위하여 뒷쪽으로 팔을 젖힐 때, 손등판(14)에 의해 받쳐지는 손등 부분의 꺽임이 조절된 만큼만 꺽이게 되므로(즉, 손등판이 웜바에 구속됨에 따라 조절된 만큼 이상으로 더 이상 꺽일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인 손목의 모양과 자세를 유지하면서 볼링공을 투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손등 부분의 꺽임을 뒷쪽으로 더 가져가기 위해서는 웜(2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웜바(21)의 인출 정도를 줄이는(웜바를 수납시키는) 조작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볼링 아대에 따르면, 웜 전동방식으로 손등판과 손목판 간의 상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하고 미세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또 조작이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부품수가 매우 적고 구조 또한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성 및 조립성이 매우 우수하다.
10 : 손목판 11 : 록/언록 레버
12 : 손목판 프레임 13 : 힌지핀
14 : 손등판 15 : 각도조절장치
16 : 조작용 홀 17 : 출입용 홀
18 : 장치 본체 19 : 지지대
20 : 웜 21 : 웜바
22 : 슬라이드홈 23 : 브라켓
24 : 개구부 25 : 축
26 : 홀

Claims (3)

  1. 볼링 아대에 있어서,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판(10)과, 상기 손목판(10)에 결합되어 록/언록 레버(11)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손목판 프레임(12)과, 상기 손목판 프레임(12)에 양단 힌지핀(13)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손등판(14)과, 상기 손목판 프레임(12)에 장착되어 손등판(14)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15)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장치(15)는 상부의 조작용 홀(16)과 앞쪽의 출입용 홀(17)을 가지면서 손목판 프레임(12)의 윗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형태의 장치 본체(18)와, 상기 장치 본체(18)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대(19)상에 양단 지지되면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웜(20)과, 상기 장치 본체(18)의 내부 웜(20)의 아래쪽에 배치되면서 웜(20)과 맞물리며 웜(20)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 운동하면서 손등판(14)을 밀어주는 웜바(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 아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8)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며, 웜바(21)의 바닥과 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형태로 웜바(21)의 전후진 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 아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등판(12)의 후단부에는 각도조절장치(15)의 웜바(21)와 접촉하는 수직의 브라켓(23)이 마련되고, 이 브라켓(23)은 손등판(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손등판(12)에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 아대.
KR2020100007392U 2010-07-14 2010-07-14 볼링 아대 KR201200005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92U KR20120000543U (ko) 2010-07-14 2010-07-14 볼링 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92U KR20120000543U (ko) 2010-07-14 2010-07-14 볼링 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43U true KR20120000543U (ko) 2012-01-20

Family

ID=4584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392U KR20120000543U (ko) 2010-07-14 2010-07-14 볼링 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54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457A (ko) * 2015-04-27 2016-11-04 최경두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170002576U (ko) * 2016-01-07 2017-07-17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111087B1 (ko) * 2019-12-10 2020-05-14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원터치 타입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133459B1 (ko) 2020-02-04 2020-07-14 김태준 낚시용 아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457A (ko) * 2015-04-27 2016-11-04 최경두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170002576U (ko) * 2016-01-07 2017-07-17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111087B1 (ko) * 2019-12-10 2020-05-14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원터치 타입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133459B1 (ko) 2020-02-04 2020-07-14 김태준 낚시용 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20120000543U (ko) 볼링 아대
KR102226390B1 (ko)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
US20080004166A1 (en) Compact office exercise unit
US9055910B2 (en) Ultrasonic diagnosis device
US9622721B2 (en) Ultrasonic diagnosis device
CN107187344B (zh) 角度调节结构及儿童安全座椅
WO2011148987A1 (ja) 超音波診断装置
CN218074173U (zh) 摇椅运动装置以及摇椅
KR101212528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US1978230A (en) Golf bag supporting means
WO2013135810A1 (en) A support head for video-photographic equipment
KR20180115479A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JP2012071101A (ja) ベッド用グリップにおける回動機構
CN100553532C (zh) 带子装置以及具备其的尿布更换台或椅子
CN209790851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儿童游乐设备
KR200376187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TWM536932U (zh) 可調式頸部護具
KR200280206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상하각도 조절장치
US8858352B2 (en) Wrist guard for bowling
KR10164413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ES2355383T3 (es) Dispositivo de regulación de la posición horizontal de la parte de asiento de un asiento.
KR200493922Y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2540144B1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용이한 목욕 의자
KR100659948B1 (ko) 낚시대 거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