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390B1 -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 - Google Patents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390B1
KR102226390B1 KR1020167013170A KR20167013170A KR102226390B1 KR 102226390 B1 KR102226390 B1 KR 102226390B1 KR 1020167013170 A KR1020167013170 A KR 1020167013170A KR 20167013170 A KR20167013170 A KR 20167013170A KR 102226390 B1 KR102226390 B1 KR 10222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unit
locking bar
operating table
receptac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243A (ko
Inventor
디터 하프너
지크프리트 훈트
울리히 비스루카
Original Assignee
마쿠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쿠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쿠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7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1Clamping means for connecting accessories to the oper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Upper body, e.g.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5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 A61G13/128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having modular surface parts, e.g. being replaceable or turn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5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radi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대(100)에서의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10)를 고정하기(fastening) 위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과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과 관련된다.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은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의 커플링 요소(402)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204)을 포함한다. 또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은, 커플링 요소(402)가 리셉터클(204)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위치에서 프리로드되는 볼트(206)를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240)을 사용하여, 볼트(206)는 작동 요소(214)를 사용한 작동 후에 커플링 요소(402)가 리셉터클(204)로부터 제거되거나 작동 요소(214)가 다시 작동될 때까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은, 장착부(406)에 대해 중간 피스(404)를 지향시킴으로써(orienting)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406) 및 중간 피스(40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DEVICE FOR SUPPORTING A PATIENT TO BE X-RAYED TO AN OPERATING TABLE}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대해 고정 가능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의 커플링 요소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과 관련된다. 베이스 바디 상에서, 잠금 바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잠금 위치에서, 잠금 바는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 해제 위치에서,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의 리셉터클로의 도입을 위한 커플링 요소를 갖는 중간 피스를 포함하고,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과 관련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수술대,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를 수술대에 고정하기 위한 수술대-측 및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을 포함하는 배치와 관련된다.
다양한 수술들에서, 특히, 허리 수술에서, 수술 동안 환자는 x-레이 촬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C-형상의 x-레이 장치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환자는 "C"의 개방된 부분(opening)에서 지지된다. 특히, 최대 270°까지 스위블될 수 있는 C-원호(arc)가 또한 3D 이미지들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전통적인 수술대들의 사용은 가능하지 않거나, x-레이 촬영이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하므로,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다. 3D-뷰들을 기록하기 위해, 가능한 한 넓은 영역에서 환자에 최대한 가깝게 C-원호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수술대들의 표준적인 환자 받침들(rests)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너무 넓게 구성된다. 한편, 수술대는 종종 두꺼운, 금속-포함 구조물들을 포함하고, 따라서 x-레이 촬영이 불충분한 품질로만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어려움에 더해지는 또 다른 요인은 구조물들의 두께 및 외형(contour)들이 매우 상이하여, x-레이 이미지의 품질에 추가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C-원호를 사용하여 기록하는 x-레이 기록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술대에 부착될 수 있는 환자 지지를 위한 디바이스들이 사용된다. 수술을 받고 x-레이 촬영되는, 환자의 몸통은 부착된 디바이스 상에서 받쳐지고(rest on) 환자의 다리들 만이 수술대 자체 상에서 받쳐진다.
수술 동안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이러한 디바이스는, 예컨대, 문서 US 7,600,281 B2에서 알려져 있다. 거기에서 설명된 디바이스는 수술대에 대해 일 측 상에서 고정되고 스탠드에 대해 다른 측 상에서 고정되며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하는 2개의 바들을 포함한다. 바들 상에서, 환자, 특히 환자의 몸통 및 둔부가 지지될 수 있는, 몇몇의 받침 표면들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받침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이들을 연결하는, 2개의 바들 사이의 전체의 영역에서 돌출한다.
전술된 디바이스는, 받침 요소들에 의해, 기록된 x-레이 이미지의 품질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받침 요소들의 외형들은 결국 x-레이 이미지가 되어, 오판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추가로, 경성의(rigid) 받침 요소들은 환자의 개별적인 해부에 대해 불충분한 조정(adaptation) 만을 허용하여 따라서, 환자가 수술을 위해 최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염려가 있을 수 있다.
알려진 디바이스들에서, 레일들은 2개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수술대에 고정되고, 2개의 인터페이스들 사이에, 크로스(cross) 연결이 존재하며, 2개의 인터페이스들이 조작 요소(operating element)의 도움으로만 잠금 해제될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가 수술대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조작 요소가 마련된다. 추가로, 프레임과 같이, 추가적인 금속 크로스 연결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x-레이의 투과성이 이러한 영역에서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게 된다는 단점을 갖고, 이는 질적으로 열악한 x-레이 이미지들로 이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수술대 및 서로에 대해 환자-지지부들을 조절하기 위한 매우 제한된 가능성들 만이 가용하게 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레일들 및 수술대 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지 않으며, 수술대에 대한 패스닝 배치들의 기울임(angling)이 대략 50°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용이하면서, 안정적인 고정, 조절의 높은 가능성 및 넓은 영역에서 품질이 높은(high-value) x-레이 이미지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허용하는,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 및 수술대,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패스닝 유닛들로 구성된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 대응하는 독립항에 따른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 및 추가적인 독립항에 따른 배치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본 발명의 개발물들은 종속항들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위치에서 잠금 바를 프리로드하는, 탄성 요소가 제공된다. 잠금 바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 요소를 사용하여, 잠금 바는 프리로딩 요소의 탄성력에 대항하여(against)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바를 유지(holding)하기 위한 래칫(ratchet)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고 잠금 바가 작동 요소를 사용하여 잠금 해제 위치 또는 이러한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 이동된 때, 적어도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되거나 작동 요소가 다시 작동될 때까지, 이러한 래칫 메커니즘은 잠금 바를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한다.
그 결과는, 디바이스-측 부착 유닛의 릴리즈 및 리셉터클로부터의 커플링 요소의 제거 모두를 위해, 작동 요소가 한 번 만 작동될 필요가 있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잠금 바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되고, 따라서 조작자는 디바이스를 고정 해제(unfasten)하기 위한 자유로운 양 손을 갖게 된다. 특히,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레일들 상에서 사용되는 경우, 또는 수술대에 대한 고정을 위한 2개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수술대-측 패스닝 요소들은 따라서 하나씩 편리하게 릴리즈될 수 있다. 래칫 메커니즘의 자동적인 릴리즈로 인해, 즉,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된 때, 래칫 메커니즘이 더 이상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바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잠금 바가 다시 잠금 위치로 자동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달성되고, 따라서, 새로운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 수용(fed into)될 때, 잠금 위치로 자동적으로 배치되어 이러한 잠금 위치에서 커플링 요소를 신뢰성 있게 유지한다.
대안적으로, 래칫 메커니즘은 또한, 작동 요소의 부적절한(inadvertent) 작동의 경우에, 잠금 위치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리셉터클로부터 커플링 요소를 제거하게 함 없이 재설정 될(reestablished) 수 있는 이점을 갖는, 작동 요소의 새로운(renewed)작동을 통해 릴리즈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더 증가된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작동 요소의 작동은, 특히, 작동 요소가 접촉 부분(abutment)까지 완전하게 작동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래칫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소위 플립-플롭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래칫 메커니즘은 또한 예컨대, 가이드 캠(cam)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지지를 위한 디바이스는, 특히,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을 통해 및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을 통해 수술대에 각각의 경우에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레일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은 여기에서 또한 레일-측 패스닝 유닛으로서 참조된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또한 사이드 암들을 갖는 단 하나의 레일 또는 2개 이상의 레일들, 예컨대, 3 또는 4개의 레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특히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one piece) 형성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는, 특히, 로드로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한 볼, 또는 후크를 통해 가이드되는 링, 또는 수술대에 대해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틸팅을 허용하는 여하한 다른 형태(form)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탄성 요소는 토션(torsion) 스프링이고, 그 제1 단부는 베이스 바디 상에서 지지되고 그 제2 단부는 잠금 바 상에서 지지된다.
특히, 잠금 바는 베이스 바디 내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원형의 트랙(track) 상에서 이동되는 방식으로 가이드 되고, 따라서, 잠금 바는 또한 회전 잠금 바로서 또한 참조되고 따라서, 특히, 원호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가이드 트랙에 조정된다(adapted).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V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로 인해 리셉터클 내에서 디바이스-측 패스닝 요소의 커플링 요소의 안정적인 유지가 달성된다. 리셉터클의 바닥 영역은, 즉, "V"의 개구한 부분이 향하는(face) 영역은, 여기에서 둥글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에 대해 보완적으로(complementary) 구성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및 커플링 요소 간의 유격(play)이 최소화되고, 안정적인 지지가 보장된다.
작동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바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래칫 메커니즘을 릴리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 및 장착되는, 잠금 바에 고정된 풀 레버(pull lever)를 포함하고, 따라서, 커플링 요소가 수납된 경우에도, 잠금 바가 탄성 요소들에 의해 베이스 바디가 그로부터 후퇴되어야(pulled back) 하는 잠금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이로써, 풀 레버가, 잠금 바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또는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달성된다. 특히, 잠금 요소가 그 의도된 목적에 따라 정렬되는 경우, 풀 레버는 패스닝 유닛의 하부 측 상에서 배치되고, 따라서, 쉽게 부적절하게 작동될 수 없으며 "그러한 방식으로 동작(hang around in the way)"하지 않는다. 특히, 풀 레버는 잠금 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따라서 공간-절약의(space-saving) 방식으로 접혀(folded back)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잠금 바에, 중력 진자(gravity pendulum)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중력에 의해, 중력 진자는 공간 내에서 그 완전한 정렬(absolute alignment)을, 패스닝 유닛의 정렬에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중력 진자는 작동부가 수평에 대해 소정의 정렬 범위(alignment range)의 바깥에 배치될 때 작동 요소의 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은, 특히 수술대의 리셉터클들 내에, 수납되고, 이들은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이 수평에 대해 상방 및 하방으로 틸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최대의 조절 가능성이 달성되고, 이러한 조절 가능성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및 수술대 간의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중력 진자의 제공에 의해, 수술-측 패스닝 유닛이 대략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될 때에만 잠금의 릴리즈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 보장되고, 따라서, 특히, 패스닝 유닛이 기울어지는 때에 릴리즈가 방지되며, 지금까지(so far that), 이러한 중력에 의해, 커플링 요소의 잠금 바가 없이는, 이는 리셉터클의 바깥으로(out of) 자동으로 빠지게(slip) 될 것이다.
또한, 리셉터클로 돌출하는 잠금 바의 단부는, 잠금 위치에서 배치되는 결과로(to the extent that), 리셉터클로부터 커플링 요소의 제거를 방지하는 잠금 바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 도입될 때, 커플링 요소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의 밖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베벨링되고(beveled), 따라서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 도입될 수 있으면 유리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잠금 바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완전하게 배치되는 잠금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충분하게 멀리 이동되지 않고, 즉, 래칫 메커니즘의 위치에 종속하여 견고하게 잠금 바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래칫 메커니즘에 대해 충분히 멀리 이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링 요소는, 그러한 목적을 위한 특별한 잠금 바의 작동 없이, 단순히 리셉터클로 눌려지는 것이 요구되므로, 특히 단단한 취급이 달성된다. 한편, 잠금 바는 다시 잠금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장되고, 따라서 이는 누락될 수 없으며(cannot be forgotten)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달성된다. 따라서, 특히, 래칫 메커니즘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고정된 잠금 바를 부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패스닝 유닛은 리셉터클 내의 커플링 요소의 수납을 검출하기 위해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필러(feeler) - 리셉터클(204)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제1 위치에서 다른 탄성 요소를 사용하여 프리로드됨 -를 포함한다. 제2 위치에서, 필러는 제1 위치에 관해 추가적인 탄성 요소의 복귀력(resetting force)에 대항하여(against) 리셉터클의 밖으로 베이스 바디로 이동된다. 필러는 여기에서,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 도입될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때까지 수납된 커플링 요소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필러를 사용하여, 언제나 기계적으로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 내에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하기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래칫 메커니즘의 자동적인 릴리즈가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필러의 이동에 의해, 특히, 추가적인 탄성 요소가 베이스 바디로부터 수술대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를 사용하여, 패스닝 유닛 및 수술대 간의 유격이 최소화, 바람직하게는 제거되어, 수술대에 대한 흔들림-없는(wobble-free) 고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탄성 요소는, 특히, 실리콘 블록이다.
래칫 메커니즘이, 각각의 경우에서 공통된 샤프트 상에서 토션-방지(torsion-proof)의 방식으로 장착되는, 제1 래칫 휠, 제2 래칫 휠 및 스퀘어 와셔(square washer)를 포함하면 유리하다. 또한, 래칫 메커니즘은, 특히, 스프링에 의해, 차단 위치에서 프리로드된 차단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차단 위치에서, 차단 요소는 제2 래칫 휠과 체결되고 따라서 제1 방향으로의 제2 래칫 휠의 회전과 따라서 샤프트 및 거기에 부착된 요소들의 회전을 또한 방지한다. 한편, 블록킹 요소가 프리로딩에 대항하여(against) 릴리즈된 위치에 배치되면, 이후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래칫 휠 및 제2 래칫 휠은, 특히, 레칫 휠들이 각각의 경우에서, 차단 요소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제1 방향에 대항하는(against) 회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필러가,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결과로, 차단 요소와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을 사용하여, 이러한 차단 요소를 그 프리로딩에 대항하여(against) 릴리즈된 위치에서 유지하면 유리하다. 한편, 필러가 제2 위치에서 배치되면, 이는 이후 더 이상 릴리즈된 위치에서 차단 요소를 유지하지 않고, 따라서, 차단 요소는 그 프리로딩에 의해, 차단 위치로 이동되고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회전이 필러가 제1 위치에서 배치될 때에만, 즉, 리셉터클 내에 커플링 요소가 배치되지 않을 때 가능하게 되는 것이 달성된다. 한편,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면,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회전은 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특히, 잠금 바는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는 스퀘어 와셔와 체결되고 따라서, 스퀘어 와셔가 차단 각 위치(blocking angular position)로 정렬될 때, 차단 요소가 차단 위치에서 배치되고, 잠금 바가 작동 요소를 사용하여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간 때(moved past the unlocked position), 스퀘어 와셔는 잠금 바를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한다.
이미 전술된 것처럼,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 도입될 때, 차단 요소는 그 차단 위치에서 배치되고 따라서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한다. 커플링 요소의 도입 후, 잠금 바는 잠금 위치로 자동으로 배치된다. 작동 요소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작동되면, 잠금 바가 처음으로(first) 잠금 바가 래칫 메커니즘의 스퀘어 와셔를 통해 유지될 수 있는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서 작동될 때, 외측으로의(outward) 이동이 이후 일어난다. 스퀘어 와셔가 이후 차단 각 위치에서 배치되는 결과로, 돌출부는 잠금 바가 돌아갈 때(move back) 스퀘어 와셔와 체결한다. 샤프트는 제1 방향에 대항하여(against), 따라서, 차단 각 위치의 밖에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스퀘어 와셔에 대해, 및 잠금 바 요소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잠금 바 요소의 탄성 요소에 대해, 회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제1 방향으로의 이러한 회전은 차단 위치에서 배치된 차단 요소에 의해 방지되고,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은 차단 해제된 위치에서 잠금 바를 유지한다.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되면, 이후 필러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그 결과로서 차단 요소는 릴리즈된 위치로 이동되어, 따라서 샤프트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 이는 또한 잠금 바의 탄성 요소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일어남 -.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은 커플링 요소의 제거 동안 자동적으로 릴리즈되고 잠금 바는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스퀘어 와셔가 차단 해제 각 위치에서 배치되면, 이후 이는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잠금 바의 이동을, 차단 요소가 제1 방향으로 샤프트의 회전을 방해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허용한다. 제1 래칫 휠의 형상 및 제2 래칫 휠의 형상은, 특히, 서로에 대해 조정되고, 따라서, 제1 회전 방향에 대항하는(against) 하나의 노치에 의한 제1 래칫 휠의 회전 동안, 스퀘어 와셔의 정렬은 차단 각 위치 및 차단 해제 각 위치 사이에서 각각 전환한다. 여기에서, 샤프트는 및 따라서 스퀘어 와셔는 또한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즉, 제1 방향에 대항하여(against) 이동된다.
제1 래칫 휠은, 특히, 스퀘어 와셔의 코너들의 수의 2배의 수의 노치들을, 즉 바람직하게는 8개의 노치들을 갖는다.
특히, 잠금 바 상에서, 제1 래칫 휠을 접촉하기 위한 접촉 요소가 마련되고, 작동 요소가 작동될 때, 접촉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서 제1 래칫 휠을 접촉하고, 제1 방향에 대항하여(against) 하나의 노치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각 작동으로, 스퀘어 와셔는 차단 각 위치 및 차단 해제 각 위치에서 변화된다. 이는, 특히, 잠금 바가 작동 요소의 제1 작동에 의해 이동될 때, 커플링 요소가 리셉터클 내에 수납되더라도, 잠금 바는, 간단하게 다시 작동 요소를 작동 시킴으로써 다시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접촉 요소는 잠금 바에 대해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특히, 잠금 바의 오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잠금 바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멀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는, 잠금 바가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것이 멈춤쇠(pawl)들의 베벨링된 측들 상에서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잠금 바 내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잠금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의 잠금 바의 이동을 방지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패스닝 유닛은 패스닝 유닛을 수술대의 다리 부분(leg section) 인터페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부는 수술대에 대한 고정을 위한 스냅-인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또한 패스닝 유닛의 하부측(underside) 상에 배치된, 특히, 버튼인, 추가적인 작동 요소가 스냅-인 메커니즘을 릴리즈하기 위해 마련된다. 연결부는 따라서 간단한 방식으로 여하한 경우에서 수술대 상에 이미 마련된 인터페이스들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또한 수술대에 대한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각 위치의 변화(variation)을 허용한다. 디바이스의 각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커플링 요소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높이가 또한 수술대의 중심 부분에 대해 변화될 수 있다.
스냅-인 메커니즘은, 특히, 수술대 상의 보완적인 오목부 내에 체결하는 볼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는 추가적으로 수술대의 오목부로 도입되고 패스닝 유닛의 꼬임(twisting)을 방지하기 위한 핀을 포함한다.
추가로, 패스닝 유닛은 RFID 칩을 포함하고, 이를 사용하여 그것이 명확하게(unequivocally) 식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은 시간 압박 없이 사람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2개의 인터페이스들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작동되어야 하므로, 부적절한 릴리즈에 대한 안정성이 더 보장된다. 패스닝 유닛의 하부 측 상에서의 작동 요소의 배치는, 작동 요소가 작업 영역 내에서 방해하는 방식으로 돌출하지 않고, 부적절한 릴리징이 잘 일어나지 않고, 동일한 조작성을 갖는 동일한 패스닝 유닛이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좌측 레일에 대해 및 우측 레일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는 이점들을 갖는다. 따라서, 혼동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고, 결과적인 생산이 비용 효율적이게 된다.
설명된 래칫 메커니즘은 동일한 조작을 사용하여, 즉, 작동 요소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허용한다. 하방으로의 당김으로서의 작동이 특히 인간 공학적으로 유리하다.
커플링 및 또한 커플링 해제(uncoupling) 동안의, 즉, 안으로의 수용 및 커플링 요소의 제거 동안의, 자동적인 잠금은 사용자에 의한 부정확한 조작들 및 추가적인 작업 단계의 방지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과 관련되고,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은 디바이스에 대해 고정 가능한 장착부 및 회전축에 대해 장착부에 관하여,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중간 피스를 포함한다. 중간 피스 상에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의 리셉터클 내로의 도입을 위한 커플링 요소가 마련된다. 또한, 중간 피스는, 특히 장착부의 플레이트에 대항하여(against) 지탱하는(bear) 플레이트를 갖고, 2개의 플레이트들은 서로에 대항하여(against) 받쳐지고(braced) 서로에 대한 꼬임(twisting)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 피스의 플레이트는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그러나 반대 측 상에 배치된, 즉, 특히, 회전축에 대한 점-대칭의 배치로, 2개의 오목부들을 갖는다. 장착부의 플레이트는 또한 중간 피스의 2개의 오목부들 처럼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오목부를 갖는다. 중간 피스의 커플링 요소는 회전축에 대해 오프셋되어(offset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배치되고, 즉, 커플링 요소의 회전축 및 종방향의 축은 교차하지 않고, 따라서, 중간 피스가 장착부에 대해 어떻게 회전되는지에 따라, 커플링 요소는 상이한 위치에서, 특히, 상이한 높이로, 장착부에 대해 배치되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간단한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특히, 커플링 요소는 전술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의 리셉터클에 대해 보완적이고 이러한 패스닝 유닛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하게 설계된다.
특히, 커플링 요소는 로드, 볼, 또는 링으로서 구성된다.
장착부는 바람직하게는 볼트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중간 피스는 이러한 리셉터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트를 갖고, 볼트의 종방향의 축은 회전축을 형성한다. 중간 피스를 향하여 멀어지고(bolt facing away) 볼트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는 볼트의 단부 상에서 볼트가 볼트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가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부 및 중간 피스 간의 회전 가능성은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중간 피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착부에 대해 탈거 불가능하게(undetachably)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착 위치에서, 중간 피스는 장착부의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중간 피스의 오목부들 중 하나가 겹치도록, 즉 이들이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coaxially) 배치되는 방식으로, 장착부에 대해 회전된다.
한편, 제2 장착 위치에서, 장착부의 플레이트의 오목부와 중간 피스의 오목부들 중 다른 오목부가 겹친다. 중간 피스는 이러한 2개의 장착 위치들 사이에서, 특히, 장착부에 대해 180° 만큼, 회전된다. 회전축에 대한 커플링 요소의 이러한 배치의 결과로서, 2개의 장착 위치들 중 하나에서, 장착부의 변경되지 않은 정렬로, 커플링 요소가 회전 축 위에서 배치되고, 일 경우에서는 회전축 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디바이스 및 수술대 사이에서 상대적인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5 에서 9cm 사이의 높이 변화가, 바람직하게는 7cm의 높이 변화가 따라서 일어날 수 있다.
장착부는, 특히, 장착부에 대한 중간 피스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볼트를 포함한다. 스프링 볼트는 여기에서 장착부의 보어홀(borehole) 뒤에서, 중간 피스로부터의 장착부의 반대 측 상에서 배치된다. 스프링 볼트는 안정 위치에서 스프링을 사용하여 프리로드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 위치에서, 볼트는 서로 겹치는 양 오목부들을 통해, 즉, 장착부의 오목부 및 중간 피스의 오목부 모두를 통해 연장하고, 따라서, 장착부 및 중간 피스 간에 설정된 정렬, 즉, 제1 또는 제2 장착 위치가, 유지되고 부적절한 꼬임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볼트는 손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against), 그것이 더 이상 중간 피스의 오목부로 돌출하지 않는, 꼬인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중간 피스는 제1 및 제2 장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꼬이게(twisted) 될 수 있다.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을 사용하여, 빠르고 복잡하지 않은 수술대에 대한 디바이스의 높이 변화가 달성되고, 따라서 지지는 환자의 개별적인 해부에 따라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가장 높은 위치가 가정될 때, x-레이 장치의 C-원호가 수술대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도 여전히 디바이스의 아래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x-레이 이미지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조절을 사용하여, 가장 콤팩트한 가능한 낮은-높이 전체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특히,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이 부착될 수 있는, 2개의 레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은, 전술된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 및 전술된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을 또한 포함하고, 수술대에서의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배치와 관련된다. 서로에 대해 조절된 이러한 2개의 패스닝 유닛들의 조합의 경우에는, 간단하고 안정적인 조작성을 갖는 조절 가능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은 수술대,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 및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을 포함하는 배치와 관련된다.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2개의 레일들을 갖고, 각각의 경우에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은 레일들 중 각 하나에 부착된다. 수술대 상에서,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이 부착된다. 제1 레일 상에 배치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은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 중 제1 의 것과 체결하고, 디바이스의 제2 레일에 부착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은 따라서 제2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과 체결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레일들이 수술대에 대해 패스닝 유닛들 각각을 통해 배타적으로 고정되고,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이 개별적으로 릴리즈되어야 하므로, 패스닝 유닛들 간에 크로스 연결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로드들 사이에서 배치된 영역에서, 가능한 한 적은 물질들이 배치되고, 따라서, 적은 간섭 외형(few interfering contour)들이 x-레이 촬영 동안 나타난다. 추가로, 수술대에 대한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2개의 레일들의 고정은 수술대에 대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의 최대의 가능한 기울임을 허용하고, 따라서 대응하는 높이 조절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은 연결부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2개의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 또한 연결부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서로에 대해 연결되지 않는다. 직접적인 연결은 여기에서 요소가 2개의 패스닝 유닛들을 서로에 대해 연결하는 것, 특히, 이러한 패스닝 유닛들이 단일한 피스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언급된 측면에 따른 전술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과 유사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이 형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 언급된 측면에 따른 전술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에 따라 형성된다. 전술된 패스닝 유닛들의 사용은, 조작 요소로서, 패스닝 유닛들 간의 크로스 연결이 생략될 수 있고, 더 적은 간섭 외형들이 인터페이스 지지의 영역에 존재하게 되어, x-레이 촬영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x-레이 이미지들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내는 금속 구조들의 비율이 감소된다.
추가로, 전술된 조작부들을 사용하는 고정은 디바이스 및 수술대 간에 최대의 가능한 기울임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척추의 증가된 확장(expansion) 및/또는 퍼짐(spreading)과 관련된 조직에 대한 더 나은 접근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소위 Z 위치에서 환자 지지가 가능해진다. 추가로, 멸균율(sterility)을 보존하면서 수술 동안 각도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x-레이 장치의 C-원호를 배치하기 위해 더 많은 공간이 가용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충돌이 방지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하기의 기재로부터 비롯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실시 예시들을 사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허리 수술 동안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배치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치의 환자의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디바이스의 환자-지지부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분해된 상태에서 도 2에 따른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수술대에 대한 도 2 내지 4에 따른 디바이스의 고정을 위한 패스닝 배치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패스닝 배치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패스닝 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6 및 7의 패스닝 유닛의 내측 구성요소들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추가적인 조작 상태에서 도 6 내지 8의 패스닝 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6 내지 9에 따른 패스닝 유닛의 세부 사항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7 내지 9의 측면도로부터의 반대 측 상에서 본 도 6 내지 9에 따른 패스닝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2는기울어진 배치의 경우에 있어서 도 7 내지 11에 따른 패스닝 배치의 세부 사항을 나타낸다;
도 13은 패스닝 유닛의 추가적인 기울어진 배치의 경우에 있어서 도 6 내지 11에 따른 패스닝 배치의 세부 사항을 나타낸다;
도 14는 도 5에 따른 패스닝 배치의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패스닝 유닛의 추가적인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1 장착 위치에서의 도 14 및 15에 따른 2개의 패스닝 유닛들 및 2개의 레일들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제2 장착 위치에서의 도 16에 따른 패스닝 유닛들 및 레일들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수술 동안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배치(1000)의 개략적인 투시도가 표시된다. 배치는 수술대(100)와 x-레이 촬영되는 환자의 신체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러한 디바이스(1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특히, 디바이스(10)는 허리 수술 동안 환자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허리 수술들에서, 특히, 척추 수술들에서, 환자들은 대체로(as a rule)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C-형상의 x-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x-레이 장치의 C-원호는 3D 이미지들을 기록하기 위해 환자 주위에서 이동된다. 더 후술될 것처럼, 디바이스(10)는 간단한 방식으로 품질이 높은 x-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술대는 필요한 품질로 요구되는 영역들에서 x-ray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이러한 "보통의" 수술대(100) 상에서 지지될 수 없다. 한편으로, 수술대(100)의 큰 풋 컬럼(massive foot column)은 가능한 x-레이 촬영 길이를 제한하고, 다른 한편으로, 일반적인 수술대(100)는 x-레이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금속-포함 구조 요소들을 너무 많이 포함한다. 추가로, 수술대(100)의 환자-지지 표면은 사용되는 C-원호를 사용하여 3D 뷰들을 기록하기 위해 너무 넓다.
디바이스(10)는 2개의 레일들(12, 14)과 스탠드(20) 상에 장착되는 그 제1 단부들(16, 18)을 포함한다. 레일들(12, 14)의 제2 단부들(22, 24)은, 제1 단부들(16, 18)로부터 반대 측에 있고, 수술대(100)에 대해, 특히, 다리 부분들에 수술대(1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패스닝 유닛들(26, 28)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바닥 상에서 레일들(12, 14)을 지지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레일들(12, 14) 간의 소정의 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스탠드(20)가 사용되며, 스탠드(20)는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이를 사용하여 레일들(12, 14)의 2개의 제1 단부들(16, 18)이 서로에 대해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레일들(12, 14)의 제2 단부들(22, 24)은 다른 연결부(32)를 통해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따라서, 레일들(12, 14) 간에 소기의 거리가 유지된다. 레일들(12, 14)은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한다.
스탠드(20)는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즉, 바닥으로부터 레일들(12, 14)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탠드(20)는, 한편으로는, 핸드 크랭크(34) - 이를 사용하여 높이가 조정될 수 있음 - 및, 다른 한편으로는, 스탠드(20)의 발을 고정(fixing)하고 굳게(stiffening)하기 위한 핸드 휠(36)을 포함한다.
레일들(12, 14)이 패스닝 유닛들(26, 28)을 통해 고정되는 수술대는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높이-조절 가능하며, 따라서, 레일들(12, 14)은, 스탠드(20) 및 수술대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적합한 높이로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은 레일들(12, 14) 상에서 배치된다. 도 3에서, 이러한 환자-지지부들 중 2개(40, 42)는 측면도로 표시되고, 표시의 간략화를 위해, 레일들(12, 14)은 표시되지 않았다.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은 각각 환자가 받쳐지는 받침 패드(50)를 포함한다. 또한,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은 각각, 각각의 레일(12, 14)에 대해 각각의 환자-지지부(40 내지 46)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닝 유닛(52)과 높이 조절부(54) - 이를 사용하여 받침 패드(50)는 패스닝 유닛(52)에 연결되고 받침 패드(50) 및 패스닝 유닛(52) 간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음 -를 갖는다.
패스닝 유닛(52)은 U-형상의 베이스 바디(56) - 그 오목부(58) 내에 각각의 레일(12, 14)이 수납될 수 있음 -를 포함한다. U-형상의 베이스 바디의 개방 단부 상에서, 스크류(60)를 사용하여 잠길 수 있는 잠금 바(62)가 마련된다. 환자-지지부(40 내지 46)의 장착을 위해, 패스닝 유닛(52)은 잠금 바(62)가 열린 상태로 각각의 레일(12, 14) 상에 놓이고, 따라서, 이러한 레일은 U-형상의 오목부(58) 내에 수납된다. 그 다음으로, 잠금 바(62)는 닫히고 스크류(60)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안전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단하며 빠른 레일들(12, 14)에 대한 환자-지지부(40 내지 46)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환자-지지부들(40, 42)은 특히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환자-지지부들(44, 46)은 환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환자의 머리는 스탠드(20)의 방향으로 놓이고, 환자의 다리들은 수술대(100) 자체의 환자 지지 표면의 부분 상에서 받쳐진다.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특히,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환자-지지부들이 또한 레일들(12, 14)에 고정된다.
환자-지지부들(40, 44)은 제1 레일(12)에 대해 배타적으로 고정되고, 환자-지지부들(42, 46)은 제2 레일(14)에 배타적으로 고정된다. 서로에 대해 나란하게(next to) 배치된, 환자-지지부들(40, 42) 사이와 환자-지지부들(44, 46) 사이에는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은 따라서 레일들(12, 14) 상에서 서로에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따라서,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의 높이 조절과 함께, 수술 받는 환자의 개별적인 해부에 대해 최적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표시된 배치로부터 구별되는 것처럼 환자-지지부(40 내지 46)는, 항상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받침 패드들(50)은 상이한 높이들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환자-지지부들(40, 42)과 환자-지지부들(44, 46)의 받침 패드들(50) 간의 거리는, 따라서, 받침 패드들이 높이 조절부(54)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횡방향으로(transversely) 장착된다는 점에서, 변화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는 것처럼, 레일들(12, 14) 간의 거리와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의 치수들은, 상이한 레일들(12, 14) 상에 고정된 받침 패드들(50)의 서로 향하는 측들 간에 자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선택된다. 받침 패드들(50)의 이러한 간격(spacing)을 사용하여 환자-지지부들(40, 42 및 44, 46)을 연결하지 않음으로써, 직사각형 및 참조 번호 70으로 표시된 도2에서 지시되는, 물질-없는(free) x-레이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없는 x-레이 영역(70)에서, x-레이들은 어떠한 물질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따라서, 특히, 환자의 척주(vertebral column)가 이러한 영역에서 정확하게 지지되면, 최적의 x-레이 이미지가 가능하게 된다.
환자-지지부들(40 내지 46)의 받침 패드들(50)은, 특히, x-레이 투과 가능 물질, 예컨대,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다. 추가로, 그 형상은, x-레이 이미지 내에 복제되는(reproduced) x-레이 방사 흡수 차이들을 방지하기 위해, x-레이 촬영 영역과 접하는 영역에서 가능한 한 균일하고(homogeneous) 얇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패스닝 유닛(52) 및 높이-조절부(54)로부터 x-레이 영역(50)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들에서 적어도, 받침 패드들(50)은 x-레이에 대해 매우 투과 가능하고,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경우에서 추가적인 x-레이 영역(72)이 획득되고, 매우 높은 품질을 갖는 x-레이 이미지가 기록될 수 있다. x-레이 영역(70)과 함께, 결과는 따라서, 수술 중에 사용될 수 있는 확대된 x-레이 영역(74)이 된다.
패스닝 유닛(52) 및 높이 조절부(54)는 이들이 x-레이 영역(70)의 방향으로 레일들(12, 14)을 통해 가능한 한 적게만 돌출하도록, 최대의 가능한 추가적인 x-레이 영역(72)이 형성되고 따라서 확대된 x-레이 영역(74)이 가능한 한 크게 되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디바이스(10)는 따라서, 한편으로는, 환자의 개별적인 해부에 대한 조정에 있어서 최대의 가능한 유연성(flexibility)을, 다른 한편으로는 가장 높은 가능한 품질의 x-레이 이미지들을 기록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4에서, 도 2에 따른 디바이스(10)의 개략적인 투시도가 도시되고, 여기에서는, 디바이스(10)가 수술대(100)에 연결되지 않은, 분해된 상태가 표시된다. 대신에, 레일들(12, 14)은 이동 가능한 캐리지(102) 상에서 지지되고, 따라서 디바이스(10)는 간단한 방식으로 그 목적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패스닝 배치(26), 이를 사용하여 제1 레일(12)이 수술대(100)에 연결되는, 개략적인 투시도가 표시된다. 제2 패스닝 유닛(28)은, 특히, 유사하게 구축되고, 따라서 후술될 설명들은 그것과 따라서 관련된다.
패스닝 배치(26)는, 수술대(100)의 다리 부분들을 수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에 고정될 수 있는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과 레일들(12, 14)의 2개의 단부들(22, 24)에 고정될 수 있는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 이런 이유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의 맥락에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은 레일-측 패스닝 유닛(400)으로 참조됨 -을 포함한다. 패스닝 배치(26)를 통해, 각각의 레일(12, 14)는 단순한 방식으로 수술대(100)에 대해 탈거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6 내지 13에서, 각각의 경우에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이 표현되고, 이러한 도면들의 설명에서, 간편성을 위해 패스닝 유닛(200) 만이 참조된다. 여기에서, 모든 도면들은, 또한 도 5에서처럼, 내측의 구성요소들을 표현하기 위해 하우징의 측면의(lateral) 커버링들의 표현이 생략된다(dispensed). 도 8에서, 추가적으로, 베이스 바디(202)의 표현을 위해, 패스닝 유닛(200)은 또한 내측 구성요소들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생략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설명된 조작 상태들은 부분적으로 표현되고, 구조의 설명 후에, 기능의 설명과 관련하여, 추가로 후술된다.
패스닝 유닛(200)은 추가로 상세하게 후술될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바디(202)를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202)는, 로드(402)로서 구성되는, 레일-측 패스닝 유닛(400)의 커플링 요소가 수납되고, 이로 인해 레일들(12, 14)을 따라서 부착할 수 있는, V-형상의 리셉터클(204)를 갖는다.
패스닝 유닛(200)은 또한, 도 6, 7 및 11에서 표시된 잠금 위치 및 도 9에서 도시된, 베이스 바디(204)에 대한,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잠금 바(20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잠금 바(206)는 토션 스프링(208)을 통해 잠금 위치 내에서 프리로드되고, 이러한 토션 스프링(208)의 복귀력에 대항하여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위치에서, 잠금 바(206)의 제1 단부(210)는 오목부(204)로 돌출하고, 따라서, 도 11에서 표현된 것처럼, 잠금 바(206)가 잠금 해제 위치로 미리 이동되지 않는 한 로드(402)는 오목부(204)로부터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잠금 바(206)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단부의 반대 측의 제2 단부(212) 상에는, 작동 요소로서 풀 레버(214)가 배치된다. 특히, 이러한 작동 요소는 핀 및 너트(216)를 통해 잠금 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따라서, 풀 레버(214)는 베이스 바디(202)에 대해 접혀질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영역에서 최대한 적게 간섭한다. 패스닝 유닛(200)의 하부측 상에서의 배치는 또한 레버(214)가 부적절하게 작동될 수 없고, 최대한 적게 간섭하며, 인간 공학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패스닝 유닛(200)은 연결부(218)를 포함하고, 이를 사용하여 패스닝 유닛(200)은 수술대(1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드(220)는 수술대(100)의 대응하는 오목부 내에 도입되고 수술대(100)의 인터페이스 내에서 스냅-인 메커니즘(222)을 통해 체결하고, 따라서, 패스닝 유닛(200)은 부적절하게 릴리즈되지 않을 수 있다. 패스닝 유닛(200)의 하부 측 상에서, 버튼(224)가 배치되고, 이를 사용하여 스냅-인 연결이 다시 릴리즈될 수 있으며, 따라서, 패스닝 유닛(200)은 수술대(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8)는, 수술대의 대응하는 오목부 내에서 채결하고 따라서 로드(220)의 종방향의 축에 대한 꼬임을 방지하는, 핀(226)를 포함한다.
추가로, 패스닝 유닛(200)은 도 6 및 7에서 도시된 제1 위치에서 탄성 요소(232)를 통해 프리로드되는 필러(230)를 포함하고, 필러는 오목부(204)로 돌출한다. 로드(402)가 오목부(204)로 도입되면, 이후 이러한 로드는 필러(230)와 그 베벨링된 표면(234) 상에서 접촉하게 되고 필러(230)를 제1 위치로부터 도 9 및 11에서 표현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며, 필러(230)는 더 이상 리셉터클(204)로 돌출하지 않게 된다. 로드(402)가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어 있는 한, 이러한 로드는 필러(230)를 제2 위치에서 유지한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 동안, 수술대(100)를 향하는(facing) 패스닝 유닛(200) 측 상의, 실리콘 블록(236)은 이러한 패스닝 유닛의 바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수술대(100) 및 패스닝 유닛(200) 간에 존재하는 여하한 유격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추가로, 패스닝 유닛(200)은 래칫 메커니즘(240)을 갖고 이를 사용하여 잠금 바(206)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특정한 동작 상태(operating condition)들 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칫 메커니즘은 제1 래칫 휠(242), 제2 래칫 휠(244), 스퀘어 와셔(246), 샤프트(248) 및 차단 요소(250)를 포함한다. 래칫 휠들(244) 및 스퀘어 와셔(246)은 샤프트(248) 상에서 토션-방지의 방식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그로부터 형성된 유닛은 공통으로만(jointly) 회전될 수 있다. 차단 요소(250)는 도 11에서 도시된 차단 위치에서 토션 스프링(252)를 통해 프리로드된다. 이러한 차단 위치에서, 차단 요소(250)의 돌출부(254)는 제2 래칫 휠(244)의 노치에서 체결하고 이로 인해 제2 회전 방향(P1)으로의 제2 래칫 휠(244)의 회전을 방지한다. 래칫 휠(244)의 형상 및 차단 요소(250)의 형상은 차단 요소(250)의 위치에 따라 제1 방향(P1)에 대항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필러(230)가 제1 위치에서 배치되면, 이후, 노즈(256) 및 요소(250) 간의 접촉을 사용하여, 필러(230)는 이러한 요소를 릴리즈 위치에서 유지하고, 더 이상 제2 래칫 휠(244)과의 체결이 없어지고 따라서 제2 래칫 휠(244) 및 결과적으로 샤프트(248)와 거기에 장착된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 방향(P1)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것처럼, 필러(230)는 제1 위치에서 프리로드되기 때문에, 차단 요소(250)는 로드(402)가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지 않는 한 릴리즈된 위치에서 배치된다. 한편, 로드(402)가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면, 이후, 필러(230)는 제2 위치로 이동되고, 따라서 차단 요소(250)는 차단 위치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로드(402)가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지 않은 때, 샤프트(248)는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240)는 릴리즈된다. 한편, 로드(402)가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면, 차단 요소(250)는 제1 방향(P1)으로의 샤프트(248)의 회전을 차단하고,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240)은 차단된다.
샤프트(248)의 회전의 위치에 따라, 스퀘어 와셔(246)는 차단 각 위치 또는 차단 해제 각 위치에서 배치된다. 여기에서, 차단 해제 각 위치는 도 7에서 표시되고, 차단 각 위치는 도 9 및 10에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제1 래칫 휠(242) 및 스퀘어 와셔(246)은 서로에 대해, 제1 래칫 휠(242)가 하나 이상의 노치에 의해 제1 회전 방향(P1)에 대항하여(against) 회전될 때, 스퀘어 와셔(248)의 위치가 항상 차단 각 위치 및 차단 해제 각 위치 사이를 교번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정된다(adapted).
잠금 바(206) 상에서, 스퀘어 와셔(246)가 차단 각 위치에서 배치되면, 이러한 스퀘어 와셔와 체결하는, 돌출부(258)가 형성된다. 래칫 메커니즘(240)이 차단된 결과로, 즉, 방향(P1)에 대항하는 샤프트(248)의 회전이 방지되고, 잠금 바(206)가 풀 레버(214)를 통해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 화살표(P2)의 방향으로 더 이동된 때, 돌출부(248) 및 스퀘어 와셔(246) 간의 접촉은 잠금 바(206)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는 예컨대, 도 9에서 도시된다.
한편, 래칫 메커니즘(240)이 릴리즈되면, 이후 샤프트(248)는 잠금 바(206)의 신장에 의해(tensioning)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잠금 바(206)는 잠금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잠금 바(206)의 오목부에서, 접촉 요소(260)는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잠금 바(206)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또는 이러한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 이동될 때, 즉, 다시 말해, 풀 레버(214)가 완전하게 작동된 때, 이후 래칫 휠(242)은 하나 이상의 노치에 의해 제1 방향(P1)에 대항하여 회전되고, 따라서 스퀘어 와셔(246)는 차단 해제 각 위치로부터 차단 각 위치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잠금 바(206)는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다시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된 위치로부터 이동하고(도 10), 접촉 요소(260)는 이후 제1 래칫 휠(242)의 노치의 베벨링된 측과의 접촉을 사용하여 잠금 바(206)로 이동되고,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240)이 차단된 경우에도, 잠금 바(206)는 돌출부(258) 및 스퀘어 와셔(246) 간의 체결이 존재할 때 까지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잠금 바(206)는 도 9에서와 같이, 잠금 해제 위치에서 배치된다.
로드(402)가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지 않은 한, 필러(230)는 제1 위치에서 배치되고,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240)은 릴리즈된다. 잠금 바(206)는 이후 잠금 위치에서 배치된다. 풀 레버(214)가 작동된다고 하더라도, 릴리즈된 래칫 메커니즘(240)에 의해 샤프트(248)가 제1 방향(P1)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그 위치에 독립적으로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바(206)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므로, 잠금 바(206)는 잠금 위치로 되돌아갈 것이다.
로드(402)는 리셉터클(204)로 눌려지고, 이후, 한편으로, 필러(230)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따라서, 래칫 메커니즘(240)이 차단되고, 제1 방향(P1)으로의 이동이 그 이후로 로드(402)가 리셉터클(240) 내에 배치되는 한 방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리셉터클을 통한 로드(402)의 도입으로, 잠금 바(206)는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돌출부(58)가 스퀘어 와셔(246) 뒤로 이동될 때까지, 즉, 잠금 바(206)가 잠금 해제 위치에 배치될 때 까지는 아니다. 따라서, 잠금 바(206)는, 로드(402)가 지나간 후, 잠금 위치로 다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로드(402)가 리셉터클(204)로부터 이동되어야 하면, 그 때 잠금 바(206)가 먼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풀 레버(214)가 작동될 때, 잠금 바(206)는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서 이동되고, 제1 래칫 휠(242)의 노치들을 갖는 접촉 요소(260)를 통한 접촉에 의해, 제1 래칫 휠(242)이 방향(P1)에 대항하여 하나 이상의 노치에 의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이전에 차단 해제 각 위치에서 배치된, 스퀘어 와셔(246)는 차단 각 위치로 이동된다. 풀 레버(214)가 릴리즈된 후, 토션 스프링(208)은 잠금 바를 다시 돌출부(258)가 스퀘어 와셔(246)와 체결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래칫 메커니즘(240)이, 앞서 설명된 것처럼, 차단되므로, 샤프트(248)가 제1 방향(P1)으로 회전할 수 없고, 따라서, 스퀘어 와셔(246)는 그 방향(orientation)을 변경할 수 없고, 풀 레버(214)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되어 유지되어야 할 필요 없이, 그러므로 잠금 바(206)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로드(402)가 리셉터클(204)로부터 제거되면, 이후 필러(230)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하고, 그 결과로서 래칫 메커니즘(240)이 릴리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샤프트(248)는 제1 방향(P1)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스퀘어 와셔(246)는 다시 차단 각 위치로부터 차단 해제 각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스퀘어 와셔는 더 이상 잠금 바(206)를 유지하지 않고, 잠금 바(206)는 자동적으로 다시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풀 레버(214)의 한 번의 작동 후에, 풀 레버(214)가 부적절하게 작동되었기 때문에, 스퀘어 와셔(246)에 의해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잠금 바(206)가 로드(402)를 제거함 없이 다시 잠겨야 한다면, 조작자는 풀 레버(214)를 다시 당겨야만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잠금 바(206)는 잠금 해제 위로부터 베이스 바디(202)로 화살표(P2)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로서 접촉 요소(260)는 제1 래칫 휠(242)을 하나 이상의 노치에 의해 이동시킨다. 따라서, 스퀘어 와셔(246)가 다시 차단 각 위치로부터 차단 해제 각 위치로 이동되고, 따라서, 풀 레버(214)의 릴리즈 후에, 돌출부(258)는 스퀘어 와셔(246)를 지나 이동할 수 있고, 그러므로 잠금 바(206)는 자동적으로 잠금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전술된 잠금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조작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로드가 수납되면 신뢰성 있고, 안정적인 잠금을 허용하는, 간단하고 안정적인 잠금이 달성된다. 특히, 요구되는 조작 스텝들이 최소화된다.
잠금 바(206) 상에서, 패스닝 유닛(200)이 수평으로, 즉,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배치될 때, 풀 레버(214)가 작동될 때, 구멍부(opening)(264)로 이동하고 따라서 잠금 바(206)의 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지향되는, 중력 진자(262)가 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으로, 도 12 및 13에서 도시된 것처럼 - 수술대의 방향으로의, 도 12는 전방으로의 틸팅(tilting forward)을 나타내고, 도 13은 후방으로의 틸팅(tilting backward)을 나타냄 -, 패스닝 유닛(200)이 소정의 한계각을 넘는 각도에 의해 수평을 벗어나 이동되면, 이후, 중력 진자(262)는, 베이스 바디의 에지들(266, 268)과 체결하고 잠금 바(206)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풀 레버(214)의 작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중력 진자(262)를 사용하여, 잠금 바(206)의 잠금 해제가 대략적인 수평의 방향으로만 일어날 수 있는 것이 보장되고, 따라서, 예컨대, 패스닝 유닛(200)이 전방으로, 즉, 수술대(100)로부터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때, 로드(402)는 잠금 해제의 부적절한 릴리즈에 의해 리셉터클(204)의 밖으로 빠지지(slip out)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래칫 메커니즘 대신에, 다른 플립-플롭 메커니즘의 실시예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4 및 15에서, 각 경우에서의 도 5에 따른 레일-측 패스닝 유닛(400)의 개략적인 투시적 표현이 도시된다. 레일-측 패스닝 유닛(400)은 장착부(406) - 특히, 레일들(12, 14)과 로드(402)를 포함하는 중간 피스(404)에 대해 견고하게(durably) 고정 가능함 -를 포함한다. 도 14에서, 일반적으로 장착부(406)에 대해 탈거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간 피스가, 패스닝 메커니즘을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장착부로부터 분리되어 표시되었다.
장착부(406)는, 중간 피스(404)의 볼트가 장착되는, 볼트 리셉터클(408)을 포함하고, 따라서, 그것이 토크-방지(proofing) 디바이스에 의해 방해되면, 중간 피스(404)는 장착부(40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볼트 리셉터클(406)로부터 돌출하는 볼트(410)의 단부 상에서, 고정(securing) 디바이스가 부착되고, 이는 특히, 장착부(406)로부터 중간 피스(404)의 제거를 방지한다.
장착부(406) 및 중간 피스(404)는, 가능한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항하여 놓이고(lie against) 서로에 대항하여 꼬인 위치에 있는(twisted against) 플레이트(412, 414)를 각각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들(412, 414)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이 또한 존재하고, 따라서, 이러한 플레이트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중간(404)의 플레이트(414)는 2개의 보어홀들(416, 418) - 볼트(410)의 반대의 측들 상에서 볼트(4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배치됨 -를 갖는다. 특히, 서로에 대해 2개의 보어홀들(416, 418)을 연결하는 선은 볼트(410)의 종방향의 축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이러한 종방향의 축은 중심에서 보어홀들(416, 418)을 연결하는 선과 교차한다. 보어홀들(416, 418) 및 볼트(410)는 제1 방향으로 중심 축(424) 플레이트(410)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로드(402)는, 한편, 또한 중심 축(424)에 대해, 제1 방향의 반대 측인 제2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도 14에서 도시된 정렬을 참조하여, 보어홀들(416, 418) 및 볼트(420)는 중심선(424)의 아래에서 배치되고, 로드는 중심선(424)의 위에서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보어홀들(410 내지 420) 대신에, 다른 오목부들, 예컨대, 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중간 피스(414)의 플레이트(414)의 오목부들은 또한 이들이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플레이트(412)는 도 14 및 15에서 스프링 볼트(422)에 의해 커버되는 보어홀(420)을 갖고, 이는 중간 피스(404)를 향하여 멀어지는 장착부(406)의 측 상에 배치된다. 보어홀(420)은 볼트(410)로부터의 보어홀들(416, 418)과 볼트 리셉터클(408)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다.
중간 피스(404)는 장착부(406)에 대해 2개의 상이한 정렬들로 장착부 상에서 멈춰질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6에서, 제1 방위(orientation)이 도시되고, 도 17에서, 제2 방위가 도시된다.
도 16에서 도시된 제1 방위에서, 중간 피스(404)는 그 보어 홀(146)이 장착부(406)의 보어홀(420)에 대해 동축으로(coaxially) 설정되도록 회전되고, 따라서, 스프링 볼트(422)의 볼트가 서로 겹치는 이러한 2개의 보어홀들(416, 420)을 통해 돌출하고, 장착부(406)에 대한 중간 피스(404)의 꼬임을 방지한다.
도 17에서 도시된 제2 방위에서, 한편, 중간 피스(404)는 제1 방위에 대해 180° 만큼 볼트(410)의 종방향의 축에 대해 회전되고, 따라서, 보어홀(418) 및 보어홀(420)은 이제 겹치고, 즉, 이들은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스프링 볼트(422)의 볼트는 이러한 2개의 보어홀들을 통해 돌출하고 장착부(406)에 대해 중간 피스의 꼬임을 다시 방지한다. 장착부(406)에 대한 중간 피스(404)의 회전을 사용하고, 회전 축에 대해 오프셋된 로드(402)의 배치에 의해, 로드(402)는 레일들(12, 14)에서 상이한 높이에서 2개의 방위들로 배치되고, 따라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에 대해 고정하는 동안, 높이 조절이 따라서 달성된다.
특히, 중간 피스(404)의 회전에 의해, 대략적으로 7cm의 높이 조절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위를 변경하기 위해, 즉, 중간 피스(404)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프링 볼트(422)의 볼트는 스프링 볼트(42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against) 화살표(P3)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고, 따라서, 이러한 스프링 볼트는 적어도 더 이상 중간 피스(404)의 보어홀(416 또는 418) 각각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볼트가 리트랙트된(retracted) 때, 중간 피스(404)는 회전될 수 있다. 스프링 볼트(422)의 볼트가 다시 릴리즈되면, 이후, 이는 자동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방향(P3)에 대항하여(against) 이동되고, 따라서, 이제 볼트는 다시 홀(4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간 피스(404) 보어홀들(416, 418)로 돌출하고, 대응하는 방위에서 중간 피스(404)를 고정한다.
10 디바이스
12, 14 레일
16, 18, 22, 24 단부
20 스탠드
30, 32 패스닝 배치
34 크랭크
36 핸드 휠
40, 42, 44, 46 환자-지지부
50 받침 패드
52 패스닝 유닛
54 높이 조절부
56 베이스 바디
58 오목부
60 스크류
62 플레이트
70 x-레이 영역
72 추가적인 x-레이 영역
74 확대된 x-레이 영역
100 수술대
200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
202 베이스 바디
204 리셉터클
206 잠금 바
208 토션 스프링
210 단부
212 단부
214 견인 레버
216 너트
218 연결부
220 로드
222 스냅-인 메커니즘
224 바닥
226 핀
230 필러
232 탄성 요소
234 베벨
236 실리콘 블록
240 래칫 메커니즘
242, 244 래칫 휠
246 스퀘어 와셔
248 샤프트
250 차단 요소
252 토션 스프링
254 돌출부
256 노즈
258 돌출부
260 접촉 요소
262 중력 진자
264 구멍부
266, 268 에지
400 레일-측 /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
402 로드 / 커플링 요소
404 중간 피스
406 장착부
408 볼트 리셉터클
410 볼트
412, 414 플레이트
416, 418, 420 보어 홀 / 오목부
422 스프링 볼트
424 중심축
1000 배치
P1, P2, P3 방향

Claims (22)

  1. 수술대에서의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fastening) 위한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2, 14)에 대해 고정 가능한(fastenable)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의 커플링 요소(402)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204)을 갖는, 베이스 바디(202),
    상기 베이스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바디(202)에 대해 고정된 잠금(locking) 바(206) -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바(206)는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함-,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바(206)를 프리로드(preload)하는 탄성(resilient) 요소(208),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잠금 바(206)의 수동의 이동을 위한 작동 요소(214)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잠금 바(206)를 유지(holding)하기 위한 래칫(ratchet) 메커니즘(240)을 갖고,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 바(206)가 상기 작동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된 때, 적어도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로부터 제거되거나 상기 작동 요소(214)가 다시 작동될 때까지, 상기 래칫 메커니즘(240)은 상기 잠금 바(206)를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패스닝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204)은 V-형상으로 구성되고, 둥글게 된 바닥 영역(rounded bottom are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214)는, 상기 잠금 바(20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견인 레버(traction lever)(214)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 레버는, 상기 잠금 바(206)를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래칫 메커니즘(240)을 릴리즈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바디(202)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는(pulled away from) 방식으로 구성 및 장착되고, 따라서,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 내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잠금 바(206)가 상기 탄성 요소(208)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로 되돌아가게(move back)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206) 상에서, 중력 진자(gravitational pendulum)(26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력 진자(262)는 상기 패스닝 유닛(200)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정렬 영역(alignment area)의 바깥에 배치될 때 상기 작동 요소(214)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204)로 돌출하는 상기 잠금 바(206)의 단부(210)는,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로 도입될 때, 상기 잠금 바(206)가 상기 커플링 요소(40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위치의 방향(P2)으로 상기 잠금 위치의 밖으로(out of)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지만, 상기 잠금 바(206)를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래칫 메커니즘(240)에 대해 충분히 멀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베벨링되는(bevel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메커니즘(240)은 플립-플롭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유닛(200)은 상기 베이스 바디(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필러(feeler)(230)를 포함하고, 필러는 상기 리셉터클(204)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제1 위치에서 추가적인 탄성 요소(232)를 사용하여 프리로드되고, 필러는,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제2 위치에서, 상기 추가적인 탄성 요소(232)의 복귀력에 대항하여(against) 상기 리셉터클(204)로부터 상기 베이스 바디(202)로 이동되고, 상기 필러는 따라서,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로 도입될 때,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고 상기 커플링 요소(402)가 상기 리셉터클(204) 내에 배치되는 한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수납된 커플링 요소(402)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메커니즘(240)은, 공통된 샤프트(248) 상에서 토크-저항의 방식으로 장착되는, 제1 래칫 휠(242), 제2 래칫 휠(244) 및 스퀘어 와셔(square washer)(246)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메커니즘(240)은 차단된 위치에서 프리로드된 차단(blocking) 요소(250) - 상기 차단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래칫 휠(244)과 체결하고 제1 방향(P1)으로의 상기 샤프트(248)의 회전을 방지함 -를 포함하고, 릴리즈된 위치에서, 상기 차단 요소(250)는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상기 샤프트(248)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2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될 때, 상기 차단 요소(250)와 접촉하게 되어, 그 프리로딩에 대항하여(against), 상기 릴리즈된 위치에서, 이러한 차단 요소를 유지하며, 상기 차단 요소(250)는 상기 필러(23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배치될 때 상기 차단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206)는 돌출부(258)를 갖고, 상기 돌출부(258)는 상기 스퀘어 와셔(246)와 체결되고, 따라서, 상기 스퀘어 와셔(246)가 차단 각 위치(blocking angular position)로 정렬될 때, 상기 차단 요소(250)가 상기 차단된 위치에서 배치되고, 상기 잠금 바(206)가 상기 작동 요소(214)를 사용하여 상기 잠금 해제 위치를 지나간 때(moved past the unlocked position), 상기 스퀘어 와셔(246)는 상기 잠금 바(206)를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차단 해제(unblocking) 각 위치에서, 상기 스퀘어 와셔(246)는 상기 잠금 바(206)가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1 래칫 휠(242)의 형상 및 상기 스퀘어 와셔(246)의 형상은, 상기 제1 래칫 휠(242)이 하나의 노치(notch)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스퀘어 와셔(246)의 정렬이 상기 차단 각 위치 및 상기 차단 해제 각 위치 사이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변경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206) 상에서, 접촉 요소(260)가 상기 제1 래칫 휠(242)을 접촉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기 작동 요소(214)가 작동될 때, 상기 접촉 요소(260)는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제1 방향(P1)에 대항하여(against) 하나의 노치에 의해 상기 제1 래칫 휠(242)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260)는 상기 잠금 바(20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잠금 바(206)에 대해 상기 잠금 바(206)의 오목부(recess) 내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유닛(200)은 상기 패스닝 유닛(200)을 수술대(100)의 다리 부분(leg section) 리셉터클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18)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18)는 고정을 위한 스냅-인(snap-in) 메커니즘(222)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닝 유닛(200)은 상기 스냅-인 메커니즘(224)의 스냅 아웃(snapping out)을 위한, 추가적인 패스닝 요소(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5. 수술대에서의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fastening) 위한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2, 14)에 대해 고정 가능한 장착부(406) 및, 이러한 장착부에 대한, 회전축에 대해서, 상기 장착부(40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중간 피스(404)를 갖고,
    상기 중간 피스(404)는, 제1항에 따른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의 보완적인 리셉터클(204)로의 도입을 위한 커플링 요소(402)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피스(404)는 플레이트(414)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피스(404)의 상기 플레이트(414)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반대 측 상에 배치된, 2개의 오목부들(416, 418)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406)의 플레이트(412)는, 상기 중간 피스(404)의 상기 2개의 오목부들(416, 418)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배치되는, 오목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요소(402)의 회전축 및 종방향의 축은 교차하지 않는, 패스닝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06)는 볼트 리셉터클(408)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피스는 상기 볼트 리셉터클(40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트(41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410)의 종방향의 축은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장착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406)의 상기 오목부(420)와 상기 중간 피스(404)의 상기 오목부들(416, 418) 중 하나가 겹치고(overlap), 제2 장착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406)의 상기 오목부(420)와 상기 중간 피스(404)의 상기 오목부들(416, 418) 중 다른 오목부(416, 418)가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06)는, 상기 장착부(406)의 상기 오목부(420) 뒤에서, 상기 중간 피스(404)의 상기 플레이트(414)를 향하는(facing) 상기 장착부(406)의 상기 플레이트(412)의 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406)에 대한 상기 중간 피스(40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볼트(422)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볼트(422)의 볼트는 상기 스프링 볼트(422)의 스프링을 통해 상기 볼트가 상호 겹쳐지는 오목부들(416, 418, 420)을 통해 연장하는 안정 위치(secure position)로 프리로드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중간 피스(404)가 상기 장착부(406)에 대해 회전 가능한 꼬인 위치(twisted position)에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against) 수동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유닛.
  19. 수술대(100)에서의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10)를 고정하기(fastening) 위한 패스닝 배치(26, 28)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200), 및
    제15항에 따른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닝 배치.
  20. 수술대(100) 및
    2개의 레일들(12, 14)을 포함하고, 수술 동안,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10)를 갖고,
    각 레일(12, 14) 상에,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이 배치되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수술대(100) 상에,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200)이 배치되고,
    각각의 경우에서, 레일(12, 14)은 상기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200) 중 하나에 동일하게 배타적으로 부착된 상기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400)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200)은 제1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 및
    상기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400)은 제15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배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술대-측 패스닝 유닛들(200)은 연결부를 통해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 및
    상기 2개의 디바이스-측 패스닝 유닛들(400)은 연결부를 통해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배치.
  22. 삭제
KR1020167013170A 2013-10-18 2014-10-17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 KR102226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1522.5A DE102013111522B4 (de) 2013-10-18 2013-10-18 Operationstischseitige und vorrichtigungseitige Befestigungseinheit zur Befestigung einer Vorrichtung zum Lagern eines zu röntgenden Patienten an einem Operationstisch und deren Anordnung
DE102013111522.5 2013-10-18
PCT/EP2014/072322 WO2015055817A1 (de) 2013-10-18 2014-10-17 Befestigungseinheit zur befestigung einer vorrichtung zum lagern eines zu röntgenden patienten an einem operationstis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243A KR20160072243A (ko) 2016-06-22
KR102226390B1 true KR102226390B1 (ko) 2021-03-11

Family

ID=5189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170A KR102226390B1 (ko) 2013-10-18 2014-10-17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38569B2 (ko)
EP (1) EP3057556B1 (ko)
JP (1) JP6695273B2 (ko)
KR (1) KR102226390B1 (ko)
CN (1) CN105792788B (ko)
DE (1) DE102013111522B4 (ko)
PL (1) PL3057556T3 (ko)
RU (1) RU2660310C2 (ko)
WO (1) WO2015055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8574B4 (de) * 2013-08-08 2017-06-29 MAQUET GmbH Spannklauen zur Anbringung an einer Gleitschiene eines Operationstisches
DE102013111519B4 (de) * 2013-10-18 2016-11-10 MAQUET GmbH Patientenlagereinheit für eine Vorrichtung zum Lagern eines zu röntgenden Patienten während einer Operation
DE102014116169A1 (de) * 2014-11-06 2016-05-12 MAQUET GmbH Spannklaue zur Anbringung an einer Gleitschiene eines Operationstisches
US10149793B2 (en) * 2015-02-04 2018-12-11 Stephen Hoel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surgery table
AU2016201156B2 (en) * 2016-02-24 2023-02-23 Mizuho Orthopedic Systems, Inc. Patient platform connection device
EP3216439B1 (en) * 2016-03-08 2019-10-23 Mizuho Orthopedic Systems, Inc. Surgery table attachment apparatus
US10945905B2 (en) * 2017-05-31 2021-03-16 Mizuho Osi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or positioning a patient before, during, or after a medical procedure
CN107126330A (zh) * 2017-06-05 2017-09-05 张家港市华亿科教设备有限公司 试验培训用解剖台
DE102017125825A1 (de) 2017-11-06 2019-05-09 Schmitz u. Söhne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Anbauteils mit einem Medizinmöbel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DE102017125820B3 (de) 2017-11-06 2018-12-20 Schmitz u. Söhne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Anbauteils mit einem Medizinmöbel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JP7020085B2 (ja) * 2017-12-04 2022-0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X線撮影システム
US11234885B2 (en) * 2018-02-20 2022-02-01 Allen Medical Systems, Inc. Adjustable lithotomy positioning apparatus with a limb rest
DE202020106821U1 (de) * 2020-11-26 2020-12-18 Siemens Healthcare Gmbh Bediengerät für ein medizinisches System zur Bildgebung und/oder Interven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2765A1 (en) * 2004-11-10 2006-11-02 Skripps Thomas K Accessory frame for spinal surgery
WO2009029524A1 (en) 2007-08-24 2009-03-05 Allen Medical Systems, Inc. Surgical table accessory platform
JP2010512818A (ja) 2006-12-18 2010-04-30 マッケ・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ターハフトゥ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手術台に付属品を解放可能に取り付ける装置
US20120198625A1 (en) 2005-02-22 2012-08-09 Jackson Roger P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US20130133137A1 (en) 2011-11-28 2013-05-30 Roger P. Jackson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with coordinated continuous nonsegmented articulation, rotation and lift, and locking fail-saf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2021A (en) * 1969-09-19 1971-11-23 Fmc Corp Safety latches for rotary car dumper
US4018412A (en) * 1975-10-14 1977-04-19 Kees Surgical Specialty Company Bracket for an operating table
US5088706A (en) 1990-08-30 1992-02-18 Jackson Roger P Spinal surgery table
US5147287A (en) 1991-03-18 1992-09-15 Ohio Medical Instrument Company Neck support means for cervical surgery
IL117345A0 (en) 1996-03-04 1996-07-23 Gotfried Yechiel Height-adjustable support for lower-limb operations
US5908053A (en) * 1997-02-10 1999-06-01 Litton Systems, Inc. Integrated high pressure fill port and flow controller for cylinder recharger
US6154901A (en) 1997-09-26 2000-12-05 New York Society For The Relief Of The Ruptured And Crippled Maintain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Spinal-surgery table
US6076525A (en) 1999-01-28 2000-06-20 Hoffman; Michael D. Frame for prone surgical positioning
RU2161942C1 (ru) * 1999-11-03 2001-01-20 Колесник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больного при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и тазобедренного сустава
US6941951B2 (en) 2003-10-17 2005-09-13 Labelle Hubert Dynamic frame for prone surgical positioning
US7520008B2 (en) * 2004-11-10 2009-04-21 Allen Medical Systems Surgical table extension
US7600281B2 (en) * 2004-11-10 2009-10-13 Allen Medical Systems, Inc. Body support apparatus for spinal surgery
US7520007B2 (en) 2004-11-10 2009-04-21 Allen Medical Systems, Inc. Accessory rail clamp with latch and lock mechanisms
FR2882797B1 (fr) * 2005-03-02 2007-05-25 Itw De France Soc Par Actions Attache adaptee a etre fixee dans une cavite de contour predetermine
JP2006346343A (ja) 2005-06-20 2006-12-28 Nhk Sprin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
DE102005054175A1 (de) * 2005-11-14 2007-05-16 Maquet Gmbh & Co Kg Gelenkanordnung zur Verbindung zweier Segmente einer Patientenlagerfläche
DE102005054174A1 (de) * 2005-11-14 2007-05-16 Maquet Gmbh & Co Kg Patientenlagerfläche für einen Operationstisch
FR2916910A1 (fr) * 2007-05-30 2008-12-05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pour le verrouillage d'un dispositif connecteur et outil associe
DE102009004554B4 (de) 2008-01-23 2010-09-23 Lear Corp., Southfield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Kopfstützenanordnung
US7752764B2 (en) * 2008-05-12 2010-07-13 Robert Silvers Pendulum actuated automatic leveler
CN201397962Y (zh) * 2009-03-25 2010-02-03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电连接器的锁紧结构
DE102009053966A1 (de) * 2009-11-19 2011-05-26 Maquet Gmbh & Co. K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Zubehörteils mit einem Operationstisch
KR101332637B1 (ko) * 2011-11-09 2013-11-25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분리형 베드
US9161875B2 (en) * 2012-09-07 2015-10-20 Allen Medical Systems, Inc. Multi-axis joint for a spar of a limb holder
US9351895B2 (en) * 2012-10-12 2016-05-31 Yeditepe Universitesi Spinal surgical table
DE202013100213U1 (de) 2013-01-16 2013-03-13 Chien-Kun LEE Vier-Punkt-Perspektivisches Wirbelsäulenoperationsgestell
DE102014116169A1 (de) * 2014-11-06 2016-05-12 MAQUET GmbH Spannklaue zur Anbringung an einer Gleitschiene eines Operationstisch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2765A1 (en) * 2004-11-10 2006-11-02 Skripps Thomas K Accessory frame for spinal surgery
US20120198625A1 (en) 2005-02-22 2012-08-09 Jackson Roger P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JP2010512818A (ja) 2006-12-18 2010-04-30 マッケ・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ターハフトゥ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手術台に付属品を解放可能に取り付ける装置
WO2009029524A1 (en) 2007-08-24 2009-03-05 Allen Medical Systems, Inc. Surgical table accessory platform
US20130133137A1 (en) 2011-11-28 2013-05-30 Roger P. Jackson Patient positioning support structure with coordinated continuous nonsegmented articulation, rotation and lift, and locking fail-saf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111522A1 (de) 2015-04-23
KR20160072243A (ko) 2016-06-22
WO2015055817A1 (de) 2015-04-23
DE102013111522B4 (de) 2015-05-28
RU2016118588A (ru) 2017-11-23
US10238569B2 (en) 2019-03-26
EP3057556B1 (de) 2018-03-28
JP6695273B2 (ja) 2020-05-20
RU2660310C2 (ru) 2018-07-05
EP3057556A1 (de) 2016-08-24
PL3057556T3 (pl) 2018-07-31
US20160213543A1 (en) 2016-07-28
CN105792788B (zh) 2017-11-10
JP2016536058A (ja) 2016-11-24
CN105792788A (zh)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390B1 (ko) 수술대에 대해 x-레이 촬영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패스닝 유닛
US10188571B2 (en) Adapter for connecting at least one accessory device to an operating table
US20200390630A1 (en) Surgical Leg Positioner
KR102618184B1 (ko) 차량 시트에 부착될 수 있는 시트 엘리먼트 및 베이스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시스템
US5560728A (en) Positioning device adapted for use with operating tables
US9681924B2 (en) Skull clamp with improved positionability and cleaning capability
EP1366714B1 (en) Accessory clamping system for couch top
JP6103612B2 (ja) 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を備えたテーブルアダプタ
CN105853119A (zh) 手术台附接装置
US9572741B2 (en) Surgical table arm support assembly and surgical table
WO2015095299A1 (en) Bridge device for a patient positioning system
KR20160074589A (ko) 환자 지지를 위한 x-레이-최적화된 디바이스
JP2004511260A (ja) 患者支持装置の付属装置
CZ2013710A3 (cs) Sestava zábrany lůžka
US20070272808A1 (en) Multi-dimensional adjustable head support for shoulder arthroscopy chairs
US20120023675A1 (en) Tool-removable slide-off footboard
JP6527142B2 (ja) 手術中にエックス線検査される患者を支持するためのデバイス用の患者支持ユニット
US10973330B2 (en) Lateral support for a seat
JP6621333B2 (ja) 医療台
KR10164413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JPH08280724A (ja) 人体牽引具
JP3251482B2 (ja) デンタルレントゲン装置の椅子構造
CA2330073A1 (en) Clamping device for controlling rotation of a chair about a support shaft of a base frame
JPH0571512A (ja) グリツプ装置
CZ27770U1 (cs) Zařízení pro podporu pacienta s univerzální zábran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