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73Y1 -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73Y1
KR200476673Y1 KR2020130009515U KR20130009515U KR200476673Y1 KR 200476673 Y1 KR200476673 Y1 KR 200476673Y1 KR 2020130009515 U KR2020130009515 U KR 2020130009515U KR 20130009515 U KR20130009515 U KR 20130009515U KR 200476673 Y1 KR200476673 Y1 KR 200476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cover
safety cover
connecting plate
conn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to KR2020130009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8Anti-vandal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용 보조유닛의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보조접점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닛은, 상·하부단자수용부와, 상기 상·하부단자수용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외측벽과, 상기 상부 및 하부단자수용부에 장착되는 단자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하부로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상부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박스형태의 상부커버본체와,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통공과,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일측면에서 경사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하부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박스형태의 하부커버본체와,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통공과,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일측면에서 경사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2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에 지지안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단절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소정거리 단절에 의한 측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일측에 별도의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구비시킴으로써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강도를 강화시켜 안전커버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연결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부재를 형성시키고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 사이에 측면홈을 형성시켜 안전커버가 전자접촉기에 결합됨으로 인해 단자수용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이외에 두께가 얇은 연결부재의 끝단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통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도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AUXILIARY UNIT SAFETY COVER FOR 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고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자접촉기에 손쉽게 탈부착되며 배선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는 전기회로를 기계적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기기로서 통상 모터 등의 과부하로 인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과부하 계전기(Thermal Rrlay)나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에 많이 사용되는 구성품이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일반적으로 입력전원부와 출력전원부로 구성되며, 입력전원부는 주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전자접촉기에 배선되며, 출력전원부에는 모터 등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전자접촉기에 배선된다.
이러한 입력전원부와 출력전원부에는 단자수용부가 형성되고 단자수용부에 구비된 각 단자에 입력 및 출력전원이 배선된다. 또한, 전자접촉기에는 전원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전자 개폐기를 제어하기 위해 접촉기의 측면에 보조접점유닛을 설치한다. 보조접점유닛의 경우 주접점의 경우와 같이 전기적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안전커버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보조접점의 경우에도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를 설치한다.
하지만 종래의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는 전자접촉기의 배선작업이나 보수점검시에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를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배선작업 후에는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를 재조립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배선작업이나 보수점검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82136호에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층상으로 구비되는 단자수용부와; 상단면에 조작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수용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상단면에 조작공이 관통 형성되고 평면 투영시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에 배치되는 하부커버와, 일단이 상기 상부커버의 폭방향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고정 결합되고 하향 연장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하부커버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커버를 구비한 전자접촉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된 기술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굵기가 가늘어 안전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연결부재의 강도가 약해 제조시에 불량률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커버를 케이스에 결합하게 되면 단자수용부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배선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시에 불량률을 대폭 축소할 수 있고,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자접촉기에 손쉽게 결합되고 배선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접촉기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보조접점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닛은, 상·하부단자수용부와, 상기 상·하부단자수용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외측벽과, 상기 상부 및 하부단자수용부에 장착되는 단자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하부로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상부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박스형태의 상부커버본체와,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통공과,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일측면에서 경사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하부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박스형태의 하부커버본체와,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통공과,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일측면에서 경사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2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하부커버; 및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에 지지안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단절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소정거리 단절에 의한 측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지지안착되면서 상기 외측벽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하부단자의 체결시 단자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배면에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상부단자수용부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안전커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본체 양측 하단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하부단자수용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안전커버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일측에 별도의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구비시킴으로써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강도를 강화시켜 안전커버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연결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부재를 형성시키고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 사이에 측면홈을 형성시켜 안전커버가 전자접촉기에 결합됨으로 인해 단자수용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이외에 두께가 얇은 연결부재의 끝단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통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도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금형제작시 제조되는 안전커버의 불량률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a)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b)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탈착된 상태에서의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고정돌기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용 보조 유닛의 안전커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a)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b)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탈착된 상태에서의 전자접촉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고정돌기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200)의 안전커버(240)는 전자접촉기(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부착되는 보조접점유닛(200)에 장착된다.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은 상부에 단자가 수용되는 상부단자수용부(210)와, 하부에 단자가 수용되는 하부단자수용부(220)와, 상기 상부단자수용부(210) 및 하부단자수용부(2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로 소정각도의 경사면(231)이 형성된 외측벽(230) 및 상기 상·하부단자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각 단자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안전커버(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단자수용부(210)와 상기 하부단자수용부(220)에는 외부에서 연결되는 단자를 고정시키는 상·하부단자고정판(213,220)과 나사 등의 체결부재(215,225)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벽(230)은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단자수용부(210)와 상기 하부단자수용부(220)에 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전단부에는 하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경사면(231)이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커버(240)는 상기 상부단자수용부(210)에 삽입되는 상부커버(241)와, 상기 하부단자수용부(220)에 삽입되는 하부커버(243)와, 상기 상부커버(241)와 상기 하부커버(24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45) 및 측면홈(2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241)는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단자수용부(210)에 구비된 단자를 덮으며 단자가 덮어지도록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241)는 외측형상이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단자수용부(210)의 상부에 삽입되어 단자를 덮는 상부커버본체(241a)와, 체결부재(215)의 조임과 풀림을 위해 상기 상부커버본체(241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통공(241b) 및 상기 상부커버본체(241a)의 일측면에서 경사면(231)까지 연장형성된 제1연결판(241c)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43)는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단자수용부(220)에 구비된 단자를 덮으며 단자가 덮어지도록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243)는 외측형상이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단자수용부(220)의 상부에 삽입되는 하부커버본체(243a)와, 상기 하부커버본체(243a)의 상부에 형성되어 체결부재(225)가 조여지거나 풀려지게 하는 하부통공(243b)과, 상기 하부커버본체(243a)의 배면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보강판(243d) 및 상기 보강판(243d)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본체(243a)의 일측면에서 경사면(231)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제2연결판(24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45)는 일측은 상기 제1연결판(241c)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연결판(243c)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판(241c)과 상기 제2연결판(243c)을 상하로 연결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240)는 각 단자를 덮는 상부커버(241)와 하부커버(243)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통공(241b)과 하부통공(243b)에 드라이버를 삽입한 다음 나사 등의 체결부재(215,225)의 잠금과 풀림을 조작함으로써 단자의 교체를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전커버(13)를 구성하는 연결부재(13c)가 별도의 구성을 이용하지 않고 상부커버(13a)와 하부커버(13b)에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연결부재(13c)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부커버(13a)와 하부커버(13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c)의 연결부위가 가늘어 안전커버(13)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 상부커버(241)에 제1연결판(241c)을 구비시키고 하부커버(243)에 제2연결판(243c)을 구비시켜 연결부재(245)가 제1연결판(241c)과 제2연결판(243c)을 통해 상부커버(241)와 하부커버(243)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245)의 강도를 강화시켜 안전커버(24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연결부재(245)가 파손될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안전커버(24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도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45)는 상기 제1연결판(241c)과 상기 제2연결판(243c)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벽(230)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231)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커버(240)를 상기 전자접촉기(100)에 구비된 보조접점유닛(200)의 내부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안전커버(240)는 상기 제1연결판(241c)의 외측면과 상기 제2연결판(243c)의 외측면이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에 형성된 외측벽(2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부재(245)의 후면이 상기 외측벽(230)의 전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31)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의 내부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측면홈(247)은 상기 제1연결판(241c)과 상기 제2연결판(243c)이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245)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판(241c)과 상기 제2연결판(243c)의 이격공간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의 (a)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전커버(13)의 경우 안전커버(13)를 전자접촉기(10)의 보조접점유닛의 내부에 결합시키면 연결부재(245)가 외측벽(11)을 통해 형성된 상·하부단자수용부(12)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안전커버(13)가 결합된 단자수용부(12)의 폭이 좁아져 단자에 배선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고안의 경우 연결부재(245)가 외측벽(230)의 경사면(231)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연결부재(245)가 단자수용부(210,220)를 벗어난 상태로 위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단자수용부(210,220)내에 측면홈(247)이 위치하게 되어 단자수용부(210,220)가 안전커버(240)로 인해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측면홈(247)을 통해 배선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외에 도 5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본체(241a)의 배면에는 고정홈(241d)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자수용부(210)의 배면에는 고정돌기(211)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본체(243a)의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돌기(243e)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단자수용부(220)의 양측에는 가이드홈(221)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전커버(240)를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의 상·하부단자수용부(210,22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홈(241d)에는 상기 고정돌기(211)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221)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43e)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홈(241d)과 상기 고정돌기(211)를 통해 상기 안전커버(240)가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뿐 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돌기(243e)와 상기 가이드홈(221)을 통해 상기 안전커버(240)가 상기 보조접점유닛(200)에 손쉽게 탈부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100: 전자접촉기 200: 보조접점유닛
210: 상부단자수용부 211: 고정돌기
213: 상부단자고정판 215: 체결부재
12,220: 하부단자수용부 221: 가이드홈
12a,223: 하부단자고정판 225: 체결부재
11, 230: 외측벽 231: 경사면
13, 240: 안전커버 13a,241: 상부커버
13b,243: 하부커버 13c,245: 연결부재
241a: 상부커버본체 241b: 상부통공
241c: 제1연결판 241d: 고정홈
243a: 하부커버본체 243b: 하부통공
243c: 제2연결판 243d: 보강판
243e: 가이드돌기 247: 측면홈

Claims (4)

  1. 전자접촉기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보조접점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닛은, 상·하부단자수용부와, 상기 상·하부단자수용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외측벽과, 상기 상부 및 하부단자수용부에 장착되는 단자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하부로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상부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박스형태의 상부커버본체와,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통공과,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일측면에서 경사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하부단자수용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박스형태의 하부커버본체와,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통공과,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본체의 일측면에서 경사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2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에 지지안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단절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소정거리 단절에 의한 측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지지안착되면서 상기 외측벽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하부단자의 체결시 단자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본체의 배면에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상부단자수용부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안전커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본체 양측 하단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하부단자수용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안전커버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KR2020130009515U 2013-11-19 2013-11-19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KR200476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15U KR200476673Y1 (ko) 2013-11-19 2013-11-19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15U KR200476673Y1 (ko) 2013-11-19 2013-11-19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73Y1 true KR200476673Y1 (ko) 2015-03-19

Family

ID=5305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15U KR200476673Y1 (ko) 2013-11-19 2013-11-19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7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472A (ja) 2001-04-27 2002-11-08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端子カバー
JP2004148751A (ja) 2002-10-31 2004-05-27 Aica Kogyo Co Ltd 磁性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2136Y1 (ko) 2005-01-28 2005-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차페기
KR101148282B1 (ko) 2010-08-12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단자커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472A (ja) 2001-04-27 2002-11-08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端子カバー
JP2004148751A (ja) 2002-10-31 2004-05-27 Aica Kogyo Co Ltd 磁性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2136Y1 (ko) 2005-01-28 2005-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차페기
KR101148282B1 (ko) 2010-08-12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단자커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1112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297904B2 (ja) 被支持部材と支持体との係止構造
US9502906B2 (en) Relay uni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5609464B2 (ja) 電気接続箱
US9943001B2 (en) Switch box
JP6038977B2 (ja) 係止構造、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190077242A (ko) 안정된 단자 위치 정확도를 구비한 전기함
JP2016040974A (ja) リーク遮断構造、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JP2015208124A (ja) インサートバスバー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149490B2 (ja) 組電池
US20140133109A1 (en) Field replaceable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circui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tactor
US7061351B2 (en) Complex relay device
JP2019009389A (ja) 電気機器及び分電盤
JP7346844B2 (ja) 電子モジュール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KR200476673Y1 (ko)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닛의 안전커버
JP4099424B2 (ja) ブスバー間の位置決め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2007228757A (ja) 電気接続箱
CN110912050B (zh) 电气连接箱及电气连接箱的制造方法
JP2006333576A (ja) 電気接続箱
JP2011055630A (ja) 電気接続箱
WO2013027424A1 (ja) 電流検出装置
CN114175867B (zh) 电子模块
KR200451950Y1 (ko) 단상 전용 전자접촉기
KR20100002979A (ko) 차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