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96Y1 -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96Y1
KR200475696Y1 KR2020130003742U KR20130003742U KR200475696Y1 KR 200475696 Y1 KR200475696 Y1 KR 200475696Y1 KR 2020130003742 U KR2020130003742 U KR 2020130003742U KR 20130003742 U KR20130003742 U KR 20130003742U KR 200475696 Y1 KR200475696 Y1 KR 200475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ail
fixed
b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891U (ko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이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형 filed Critical 이준형
Priority to KR202013000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9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0Travelling or camp beds adapted to be used in or connected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량용 시트가 앞뒤로 움직이고 시트 등받이가 절첩되어 베드시트를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의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 시트는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에 이동레일이 장착되고, 시트가 설치되는 차체바닥면의 양쪽에는 이동레일이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이 장착되어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수단과, 시트 등받이를 접철시키는 접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물차량 시트의 슬라이딩수단을 통해 시트를 앞으로 이동시켜 시트 뒷부분의 여유 공간을 만든 후 접철수단을 통해 시트 등받이를 여유 공간을 향해 뒤로 접혀서 플랫상태로 만들어 시트를 베드로 변환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장거리 운송시 운전자의 피곤을 해소할 수 있는 휴식 공간에 의해 안전운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A truck seat of bed change type}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들의 잠깐의 휴식 또는 취침시 손쉽게 시트를 베드형태로 변환하여 넓고 편리한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화물 등을 운반/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을 말한다.
산업발달과 더불어 각종 화물의 육상 수송수단으로 화물차량이 이용되어 지는데 장거리 수송의 경우 교통체증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대개 주간 운행보다는 야간운행을 하고 있는 것이 통례적이나 주간운행 및 야간운행을 막론하고 장거리 운행이라는 그 자체만으로도 운전자들에게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많은 부담을 주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장거리 운행시 운전자는 운행도중 피로함을 느끼게 되면 안전운행을 위해 잠깐의 휴식 또는 취침으로 피로를 회복한 후 운행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운전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화물차량 내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운전석에 앉은 상태 그대로 쪽잠을 자는 등의 휴식을 취하게 된다. 이는 오히려 자세가 불편하여 피곤을 가중시키게 된다.
그래서, 최근 화물차량에는 차량의 캡(Cab) 내부 좌석 등받이 뒷편에 일정간격의 공간부를 두고 간이베드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휴식 또는 취침토록 하기도 한다.
하지만, 화물차량 내의 한정된 공간에 간이베드를 추가 장착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좁아서 충분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화물차량 운전자들은 만족할만한 휴식을 취하지 못한 채 여전히 피곤하고 불편한 상태의 장거리 운전이 불가피하며, 결국에는 안전운행을 위협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운전자들에게 좀더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하고자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 시트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등받이를 접철시켜 베드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된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는, 시트 쿠션과 등받이로 구성되는 화물차량의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차체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시트 쿠션을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시트 등받이를 전후로 접철시키는 접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시트 쿠션이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시트 후방의 공간을 형성되고, 상기 접철수단에 의해 시트 등받이가 후방의 형성된 공간을 향하여 플랫되어 베드형태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는, 필요에 따라 시트를 앞으로 이동시켜 시트 뒷부분의 여유 공간을 만든 후 시트 등받이를 여유 공간을 향해 뒤로 접혀서 플랫(flat)상태로 만들어 시트를 베드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운전자들에게 보다 넓고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의 슬라이딩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a-5c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의 베드 변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 시트의 베드 변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를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시트(100)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시트쿠션(110)과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된 등받이(120)로 구성되되, 시트(100)의 베드(bed) 변환을 위해, 시트쿠션(110)은 시트(100)가 장착되는 차체바닥면(130)에 슬라이딩수단(200)을 매개로 하여 시트(10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 및 시트등받이(120)는 접철수단(300)을 매개로 하여 시트등받이(120)가 전·후로 기울어질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수단(200)은 시트쿠션(110)의 바닥틀(111) 좌우 양쪽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슬라이딩부(210,220)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슬라이딩부(210,220)는 시트(10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차체바닥면(13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211,221)과, 시트쿠션(110)의 바닥틀(111)에 장착되어 시트(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레일(212,222)로 구성된다.
고정레일(211,221)은 시트쿠션(110)이 설치되는 차체바닥면(130)의 양쪽에 받침대(140a,140b)를 통해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상부가 개구된 채널 단면 부재 형태인 금속이다.
이동레일(212,222)은 시트(100)의 시트쿠션(110)을 이동시키며 실질적으로 하부가 개구된 채널단면부재 형태인 금속으로, 고정레일(211,22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동레일(212,222)은 고정레일(211,221)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고정레일(211,221)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며, 시트쿠션(1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각 고정레일(211,221)의 내측벽 하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구멍(211a,221a)이 형성되고, 각 이동레일(212,222) 상에는 위치조절부재(213,223)가 대향하여 형성된다.
위치조절부재(213,223)는 각 이동레일(212,222)의 내측벽에 걸쇠(213a,223a)가 대향하여 형성되되, 걸쇠(213a,223a)는 축(213b,223b)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레일(211,221)에 형성된 구멍(211a,221a)에 걸림 혹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각 위치조절부재(213,223)의 회전축(213b,223b)중 하나의 축에는 손잡이(224)가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시트(100)의 길이 방향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손잡이(224)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닿을 수 있도록 시트쿠션(110)의 전방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24) 작동시 양쪽 이동레일(212,222) 상에 형성된 위치조절부재(213,223)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연결바(230)로 고정된다.
연결바(230)는 두 위치조절부재(213,223) 사이에 수평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213b,223b) 상에 형성된 고정판(213c,223c)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 시트의 베드 변환 동작을 도 4a 내지 도 6을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의 슬라이딩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의 베드 변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 시트가 베드 변환 형태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 및 도 5a와 같이 고정레일(211,221)과 이동레일(212,222)이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잠금상태에서 손잡이(224)를 작동시키면 고정판(213c,223c)에 연결된 연결바(230)에 의해 양쪽의 위치조절부재(213,223)가 모두 작동하게 된다. 즉, 도 4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회전축(213b,223b)을 따라 고정레일(211,221)에 형성된 구멍(211a,221a)에 걸려져 있던 걸쇠(213a,223a)가 빠져나오면서 고정레일(211,221)에 대해 이동레일(212,222)이 이동될 수 있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게 된다.
도 4b와 같이 잠금 해제상태에서, 손잡이(224)를 앞으로 당기면 이동레일(212,222)이 고정레일(211,221)을 따라 앞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도 5b와 같이 시트쿠션(1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손잡이(224) 작동시켜 걸쇠(213a,223a)를 다시 고정레일(211,221)의 구멍(211a,221a)에 걸리도록 하여 시트쿠션(1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물차량내 시트 뒷부분에 여유공간이 만들어지게 되면 시트등받이(120)에 형성된 접철수단(300)을 작동시켜 시트 등받이(120)를 만들어진 여유공간을 향하여 기울어트려 평편한 플랫 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접철수단(300)은 일반차량에 채용된 공지의 수단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석 옆좌석의 시트(100)를 베드 형태로 변환하려고 하는 경우, 손잡이(224)를 작동시켜 이동레일(212,222) 상에 형성된 걸쇠(213a,223a)를 해제위치에 위치시킨다.
걸쇠의 움직임은 연결바(230)에 의하여 다른 이동레일의 걸쇠로 전달되고, 상기 두 이동레일은 이제 해제되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트 쿠션(110)을 앞으로 최대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철수단(300)을 작동시킴으로써 등받이(120)를 뒤로 젖혀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로 만들어 베드 형태로 변환시킨다.
이 상태에서 화물차 운전자는 편안하게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시트를 본래 위치로 회귀시키기 위해서는, 첫 번째 행위로 접철수단(300)을 재작동시켜 등받이(120)를 원하는 위치로 기울인 후 슬라이딩수단(200)를 작동시켜 고정위치로 회귀할 수 있고 두 걸쇠(213a,223a)가 동시에 재잠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시트를 슬라이딩 및 접철시켜 가면서 베드형태로 시트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화물차량 시트 110 : 시트쿠션
120 : 시트등받이 200 : 슬라이딩수단
210,220 : 슬라이딩부 211,221 : 고정레일
212,222 : 이동레일 213,223 : 위치조절부재
213a,223a : 걸쇠 213b,223b : 회전축
213c,223c : 고정판 224 : 손잡이
230 : 연결바

Claims (6)

  1. 시트 쿠션과 등받이로 구성되는 화물차량의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차체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시트 쿠션을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시트 등받이를 전후로 접철시키는 접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시트 쿠션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부재로 구성되며, 각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시트 쿠션의 바닥면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과 평행하게 차체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레일이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을 이동시켜 시트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시트 쿠션이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시트 후방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철수단에 의해 시트 등받이가 후방의 형성된 공간을 향하여 플랫되어 베드형태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은 차체바닥면과의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받침대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벽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 및
    상기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이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고정레일에 대하여 이동레일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이동레일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걸쇠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각 이동레일의 내측벽에 장착되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각 고정레일의 내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 중 원하는 위치의 구멍에 체결되어 시트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쇠 사이에는 연결바로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작동시 연결바에 의해 양쪽 걸쇠가 연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KR2020130003742U 2013-05-13 2013-05-13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KR200475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742U KR200475696Y1 (ko) 2013-05-13 2013-05-13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742U KR200475696Y1 (ko) 2013-05-13 2013-05-13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91U KR20140005891U (ko) 2014-11-21
KR200475696Y1 true KR200475696Y1 (ko) 2014-12-23

Family

ID=5245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742U KR200475696Y1 (ko) 2013-05-13 2013-05-13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79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테스 레일을 이용한 플랫 리어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1907A (zh) * 2017-10-19 2018-03-13 德清舒华泡沫座椅有限公司 翻转椅背汽车后排座椅
CN112124169A (zh) * 2020-09-30 2020-12-25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商用车使用的可变形卧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045U (ja) * 1993-05-28 1994-12-20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045U (ja) * 1993-05-28 1994-12-20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79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테스 레일을 이용한 플랫 리어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91U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784B2 (en) Vehicle seat
EP0940288A2 (en) Seat device of a vehicle
US10596927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WO2009048107A1 (ja) 車両用格納シート
CN103863153A (zh) 用于车辆后座的斜倚装置
CA2841651C (en) Passenger vehicle and adjustable seat therefor
US9193281B2 (en) Reclining vehicle seat system
KR200475696Y1 (ko) 화물차량의 베드 변환형 시트
WO2012158071A1 (en) A driver's cab for a heavy truck
US7699398B2 (en) Backrest unit for a motor vehicle seat
WO2006101427A1 (en) Bunk arrangement
JP455649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714313B2 (ja) 車両構造
JP511973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2171498A (ja) 乗物の室内構造及び乗物用シート
US9840176B1 (en) Seat with integrated foldable table
JP2009035093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6366446B2 (ja) シートのハーネス支持構造
JPH11240365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CN218640714U (zh) 一种多功能座椅、驾驶室及起重机
JP441203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332001B1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KR101406568B1 (ko) 풀 플랫베드 타입 차량용 시트
CN210554364U (zh) 气囊式座椅结构及车厢结构
US20230322310A1 (en) Truck ca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