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22Y1 - 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22Y1
KR200475422Y1 KR2020140004759U KR20140004759U KR200475422Y1 KR 200475422 Y1 KR200475422 Y1 KR 200475422Y1 KR 2020140004759 U KR2020140004759 U KR 2020140004759U KR 20140004759 U KR20140004759 U KR 20140004759U KR 200475422 Y1 KR200475422 Y1 KR 200475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ody unit
unit
fast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to KR2020140004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16L1/161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the pipe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2Pip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케이블, 전력 케이블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몸체유닛과, 제2 몸체유닛과, 핀유닛을 포함하고 제1 몸체유닛과 제2 몸체유닛은 결합되면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태의 파이프형상을 가진다. 제1 몸체유닛은 제1 몸체부와,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제1 전방결합부와 제1 후방결합부를 포함한다. 제2 몸체유닛은 제2 몸체부와,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와, 제2 전방결합부와, 제2 후방결합부를 포함한다. 핀유닛은 제1 몸체체결핀부재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는 제2 몸체유닛과 대향되는 제1 하부결합면 및 제2 하부결합면을 가지면서 케이블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함몰공간을 형성한다.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는 제2 몸체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제1 하부결합면에서 연장되는 제1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된다. 제1 전방결합부는 제1 몸체부의 전방에서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후방결합부는 제1 몸체부의 후방에서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몸체부는 제1 상부결합면 및 제2 상부결합면을 가지면서 케이블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함몰공간을 형성한다.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는 제1 몸체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제2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대응된다. 제2 전방결합부는 제2 몸체부의 전방에서 제2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후방결합부는 제2 몸체부의 후방에서 제2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몸체체결핀부재는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제1 몸체유닛과 제2 몸체유닛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1 전방결합부 및 제2 전방결합부가 결합된 내부공간에는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의 후방결합부가 삽입된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관{Cable protecting pipe}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케이블, 전력 케이블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수유관, 청수관, 해저 전력선, 통신 케이블, 전력 케이블 등을 지상이나 해저에 매설할 경우에는 보호관을 씌워 매설한다. 특히, 육지와 섬 간의 전력을 전송하거나 통신하기 위해 해저에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은 육지와 섬의 인근지역에 매설되는데, 이와 같은 케이블은 육지와 섬의 인근지역에 정박된 선박의 닻 가지 등으로부터 손상될 수 있어 필수적으로 보호관을 씌워 매설해야된다.
종래의 케이블 보호관은 반경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관 및 하관을 구비하고 상기 상관 및 상기 하관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수용되었다. 여기서, 상기 상관과 상기 하관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상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하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면서 상기 상관과 상기 하관을 결합했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면서 상기 상관과 상기 하관을 결합하면 상기 상관과 상기 하관을 결합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그 부품을 별개로 구비해야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며, 부품의 수가 많아 조립이 번거롭고 설치시간이 증가되면서 설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132호 (발명의 명칭 : 케이블 보호커버, 등록공고일 : 2003.05.16.)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케이블, 전력 케이블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몸체유닛; 상기 제1 몸체유닛과 맞대어 결합되는 제2 몸체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은 결합되면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태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몸체유닛은 상기 제2 몸체유닛과 대향되는 제1 하부결합면 및 제2 하부결합면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블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함몰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하부결합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결합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유닛은 제1 상부결합면 및 제2 상부결합면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블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함몰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2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방결합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방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유닛은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을 결합시키는 제1 몸체체결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결합부 및 상기 제2 전방결합부가 결합된 내부공간에는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의 후방결합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은,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에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가 관통되는 제1 하부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가 관통되는 제1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제1 상부돌기와, 상기 제1 상부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돌기를 통과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가 관통되는 제2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제2 상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의 결합시 상기 제1 상부돌기 및 상기 제2 상부돌기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은,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는, 상기 제1 상부관통홀, 상기 제1 하부체결홀 및 상기 제2 상부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는 상기 제1 상부돌기,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상기 제2 상부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제2 상부관통홀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1 상부관통홀에 걸리면서 상기 제1 상부돌기,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상기 제2 상부돌기를 체결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은, 상기 제1 전방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전방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핀유닛은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와 상기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전방결합부와 상기 제2 전방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제1 전방체결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이 조립해야되는 부품을 이용하여 제1 몸체유닛과 제2 몸체유닛을 결합하는 대신 원터치 형식으로 제1 몸체유닛과 제2 몸체유닛을 결합함으로써, 많은 수의 부품을 구비해야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간단해지면서 설치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설치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은, 제1 몸체유닛과 제2 몸체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후 케이블의 교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보호관의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가 상기 제1몸체체결핀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케이블 보호관의 제1 위치결정돌기와 제1 상부위치결정홈 및 제2 위치결정돌기와 제1 하부위치결정홈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케이블 보호관과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보호관의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가 상기 제1몸체체결핀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케이블 보호관의 제1 위치결정돌기와 제1 상부위치결정홈 및 제2 위치결정돌기와 제1 하부위치결정홈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케이블 보호관과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1000)은 통신 케이블, 전력 케이블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몸체유닛(100)과 제2 몸체유닛(200)과, 핀유닛(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유닛(100)은 제1몸체부(110)와,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와, 제1 전방결합부(130)와, 제1 후방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은 제2 몸체부(210)와,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와, 제2 전방결합부(230)와, 제2 후방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핀유닛(300)은 제1몸체체결핀부재(310)와, 제1 전방체결핀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은 결합되면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태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상기 제2 몸체유닛(200)과 대향되는 제1 하부결합면(110a) 및 제2 하부결합면(110b)을 가지면서 케이블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함몰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는 상기 제2 몸체유닛(2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하부결합면(110a)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외측면에 돌출된다.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에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가 관통되는 제1 하부체결홀(1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전방결합부(13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는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131)가 돌출되며, 상기 제1 후방결합부(14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후방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전방결합부(130)는 이웃하는 케이블 보호관(미도시)의 제1 후방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후방결합부(140)는 이웃하는 또 다른 케이블 보호관(2000)의 제1 전방결합부(213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후방결합부(140)의 외측면은 상기 제1후방결합부(140)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2000)의 제1 전방결합부(2130)의 내측면과 형상맞춤 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210)는 상기 제1 하부결합면(110a) 및 상기 제2 하부결합면(110b)과 각각 대응되는 제1 상부결합면(210a) 및 제2 상부결합면(210b)을 가지면서 케이블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함몰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몸체부(210)는 상기 제1 상부결합면(210a) 및 상기 제2 상부결합면(210b)이 상기 제1 하부결합면(110a) 및 상기 제2 하부결합면(110b)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는 상기 제1 몸체유닛과(1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상부결합면(210a)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2 몸체부(210)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와 대응된다.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가 관통되는 제1 상부관통홀(221a)이 형성된 제1 상부돌기(221)와, 상기 제1 상부돌기(221)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돌기(221)를 통과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가 관통되는 제2 상부관통홀(222a)이 형성된 제2 상부돌기(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0)는 상기 제2 몸체부(210)의 전방에서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131)와 대응되는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231)가 돌출되며, 상기 제2 후방결합부(240)는 상기 제2 몸체부(210)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0)는 이웃하는 케이블 보호관(미도시)의 제2 후방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후방결합부(240)는 이웃하는 케이블 보호관(2000)의 제2 전방결합부(214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는 상기 제1 상부관통홀(221a), 상기 제1 하부체결홀(120a) 및 상기 제2 상부관통홀(22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1 몸체(311)와, 상기 제1 몸체(311)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 걸림돌기(312)와, 상기 제1 몸체(311)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 걸림돌기(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방체결핀부재(330)는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131) 및 상기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23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전방결합부(130)와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0)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의 결합시 상기 제1 상부돌기(221)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의 결합시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는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걸림돌기(312)가 상기 제2 상부관통홀(222a)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돌기(313)가 상기 제1 상부관통홀(221a)에 걸리면서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를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의 결합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는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에 억지끼움 상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를 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걸림돌기(312)는 상기 제1 상부관통홀(221a), 상기 제1 하부체결홀(120a) 및 상기 제2 상부관통홀(222a)을 통과하는 동안 수축되고 상기 제1 상부관통홀(221a), 상기 제1 하부체결홀(120a) 및 상기 제2 상부관통홀(222a)은 이완되었다가, 상기 제1 걸림돌기(312)가 상기 제2 상부관통홀(222a)에 통과된 후 상기 제1 걸림돌기(312)와 상기 제1상부관통홀(221a), 상기 제1 하부체결홀(120a) 및 상기 제2 상부관통홀(222a)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가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에 억지끼움 상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를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와 상기 제1 상부돌기(221),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 및 상기 제2 상부돌기(222)는 우레탄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부결합면(110b)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제2 하부몸체체결돌기(150)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상부결합면(210b)에 연장되는 상기 제2 몸체부(210)의 외측면에는 제2 상부몸체체결돌기(250)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핀유닛(300)은 상기 제2 하부몸체체결돌기(150)와 상기 제2 상부몸체체결돌기(25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을 결합시키는 제2 몸체체결핀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몸체체결돌기(150)는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몸체체결돌기(250)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체결핀부재(320)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하부몸체체결돌기(150), 상기 제2 상부몸체체결돌기(250) 및 상기 제2 몸체체결핀부재(32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131) 및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13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전방상부체결돌기(232)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231) 및 상기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23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전방하부체결돌기(132)는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방체결핀부재(330)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131), 상기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231) 및 상기 제1 전방체결핀부재(33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의 결합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결합되는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제2 위치결정돌기(212)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2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는 상기 제1 하부결합면(110a)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몸체부(2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상기 제1 몸체유닛(1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212)는 상기 제2 상부결합면(210b)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몸체부(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몸체유닛(100)이 상기 제2 몸체유닛(2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결합면(210a)에는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결합되는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결합면(110b)에는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212)와 결합되는 제1 하부위치결정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는 상기 제1 하부결합면(110a)에서 상기 제1 상부결합면(210a)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고 상단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은 상기 제1 상부결합면(210a)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은 억지끼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의 폭은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으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111)는 수축되고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은 이완되었다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에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의 삽입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 및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에 억지끼움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은 우레탄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212)는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위치결정홈(112)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212)와 상기 제1 하부위치결정홈(112)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조립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결합면(110a) 및 상기 제2 하부결합면(110b)이 상기 제1 상부결합면(210a) 및 상기 제2 상부결합면(210b)에 접촉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310)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120)와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220)를 체결시키고 상기 제2 몸체체결핀부재(320)는 상기 제2 하부몸체체결돌기(150)와 상기 제2 상부몸체체결돌기(250)를 체결시키면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111)가 상기 제1 상부위치결정홈(21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212)가 상기 제1 하부위치결정홈(112)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결합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이 결합된 상태의 케이블 보호관(1000)은 해저 등에 설치되면서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이 조립해야되는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을 결합하는 대신 원터치 형식으로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을 결합함으로써, 많은 수의 부품을 구비해야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간단해지면서 설치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설치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유닛(100)과 상기 제2 몸체유닛(200)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후 케이블의 교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결합부(130) 및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0)가 결합된 내부공간에는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의 후방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후방결합부(140) 및 상기 제2 후방결합부(240)가 결합된 내부 공간에는 이웃하는 또 다른 케이블 보호관(2000)의 전방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케이블 보호관은 다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블이 매설되는 길이에 따라 다수의 케이블 보호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0 : 케이블 보호관 100 : 제1 몸체유닛
110 : 제1 몸체부 110a : 제1 하부결합면
110b : 제2 하부결합면 111 : 제1 위치결정돌기
112 : 제1 하부위치결정홈 120 :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130 : 제1 전방결합부 131 :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 132 : 제2 전방하부체결돌기 140 : 제1 후방결합부
150 : 제2 하부몸체체결돌기 200 : 제2 몸체유닛
210 : 제2 몸체부 210a : 제1 상부결합면
210b : 제2 상부결합면 211 : 제1 상부위치결정홈
212 : 제2 위치결정돌기 220 :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
230 : 제2 전방결합부 231 :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
232 : 제2 전방상부체결돌기 240 : 제2 후방결합부
250 : 제2 상부몸체체결돌기 300 : 핀유닛
310 : 제1 몸체체결핀부재 320 : 제2 몸체체결핀부재
330 : 제1 전방체결핀부재

Claims (4)

  1. 제1 몸체유닛;
    상기 제1 몸체유닛과 맞대어 결합되는 제2 몸체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은 결합되면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태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몸체유닛은 상기 제2 몸체유닛과 대향되는 제1 하부결합면 및 제2 하부결합면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블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함몰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하부결합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결합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유닛은 제1 상부결합면 및 제2 상부결합면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블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함몰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2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방결합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방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유닛은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을 결합시키는 제1 몸체체결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결합부 및 상기 제2 전방결합부가 결합된 내부공간에는 이웃하는 다른 케이블 보호관의 후방결합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에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가 관통되는 제1 하부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상부몸체체결돌기는,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가 관통되는 제1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제1 상부돌기와, 상기 제1 상부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돌기를 통과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가 관통되는 제2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제2 상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유닛과 상기 제2 몸체유닛의 결합시 상기 제1 상부돌기 및 상기 제2 상부돌기는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는,
    상기 제1 상부관통홀, 상기 제1 하부체결홀 및 상기 제2 상부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체결핀부재는 상기 제1 상부돌기,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상기 제2 상부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제2 상부관통홀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1 상부관통홀에 걸리면서 상기 제1 상부돌기, 상기 제1 하부몸체체결돌기 및 상기 제2 상부돌기를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전방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핀유닛은 상기 제1 전방하부체결돌기와 상기 제1 전방상부체결돌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전방결합부와 상기 제2 전방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제1 전방체결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KR2020140004759U 2014-06-24 2014-06-24 케이블 보호관 KR200475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59U KR200475422Y1 (ko) 2014-06-24 2014-06-24 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59U KR200475422Y1 (ko) 2014-06-24 2014-06-24 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422Y1 true KR200475422Y1 (ko) 2014-12-02

Family

ID=5353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59U KR200475422Y1 (ko) 2014-06-24 2014-06-24 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633Y1 (ko) * 2006-07-27 2006-10-16 신승호 해저 케이블 및 파이프 프로텍터
KR20110052837A (ko) * 2009-11-13 2011-05-19 김락종 전선 보호관
KR101311687B1 (ko) * 2012-06-12 2013-09-25 정문식 해저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633Y1 (ko) * 2006-07-27 2006-10-16 신승호 해저 케이블 및 파이프 프로텍터
KR20110052837A (ko) * 2009-11-13 2011-05-19 김락종 전선 보호관
KR101311687B1 (ko) * 2012-06-12 2013-09-25 정문식 해저케이블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23Y1 (ko) 케이블 보호관
ES2905147T3 (es) Limitador de curvatura
KR100729613B1 (ko) 지중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200418039Y1 (ko) 거푸집 판넬의 연결조립부재
KR200475422Y1 (ko) 케이블 보호관
JP2002171655A (ja) 防護管
KR20080109982A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방법
KR101707338B1 (ko) 회전식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FR3084034B1 (fr) Structure de fixation d'alimentation en energie de vehicule
KR20200002468U (ko)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KR100958543B1 (ko) 관 연결용 압륜의 스파이크조립체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KR102011058B1 (ko) 수중작업로봇을 위한 모듈형 공용 플랫폼 장치
KR101580547B1 (ko) 수밀밴드가 구비된 조립형 암거박스
KR20110032699A (ko) 동일한 구조의 서브 보호관들을 사용하는 케이블 보호관
KR101707634B1 (ko)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KR101557645B1 (ko)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KR20140001101U (ko) 단자함 고정용 브라켓
JP2008245341A (ja) ケーブル防護管および防護管連結具
KR20200000257U (ko) 프로브 케이블용 클리트
KR200467520Y1 (ko)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KR200446556Y1 (ko) 다목적용 페네트레이터 판
KR102141951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KR20110022124A (ko) 암거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