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20Y1 -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 Google Patents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20Y1
KR200467520Y1 KR2020120000174U KR20120000174U KR200467520Y1 KR 200467520 Y1 KR200467520 Y1 KR 200467520Y1 KR 2020120000174 U KR2020120000174 U KR 2020120000174U KR 20120000174 U KR20120000174 U KR 20120000174U KR 200467520 Y1 KR200467520 Y1 KR 200467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over
cable
extension
sing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권재철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일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흥 filed Critical (주)일흥
Priority to KR2020120000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3Combined coupling means, e.g. gas, electricity, water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용접작업 및 용접기의 이동시 아답터 연결부위를 평행하게 잡아주어 꺾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피복을 넓은 범위에서 고정시켜 케이블 파손 및 훼손을 예방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된 제1커버(100)와; 상기 제1커버(100)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결합되며 내측으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a)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된 제2커버(100a)와; 상기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는 케이블 삽입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 또는 볼트(200)가 결합되는 너트(115)가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160-1)(160a-1)이 구비된 길이연장부(160)(16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Grip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connection of extension single cable and adapter}
본 고안은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급장치를 연결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 (Extension single cable)이 용접작업 및 용접기의 이동시 아답터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평행하게 잡아주어 꺾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피복을 넓은 범위에서 고정시켜 케이블 파손 및 훼손을 예방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CO2가스 용접기는, 부분별로 나누어진 철판을 지상에서 각 개별로 용접과 조립으로 제작되는 여러개의 동체가 도크(Dock)로 운반되어져, 설계상의 위치대로 놓고 이들간의 맞대어진 수직 또는 수평선을 따라 다시 용접조립을 실시하는, 즉 수없이 많은 용접과정이 수행되어지는 대형 선박제조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CO2 가스 용접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싱글 케이블(7)이 연결되어져 주송급장치(푸시피더)(3)에 CO2가스와 제어신호 및 용접전원을 공급하고 주송급장치(푸시피더)(3)에서 상기의 CO2가스와 제어신호 및 용접전원을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싱글 케이블(7)과 와이어를 공급하는 패일팩이 보조송급장치(풀피더)(2)사이에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9)로 연결되어 CO2가스, 제어신호, 용접전원 및 와이어가 보조송급장치를 통해 토치(8)에 공급하면서 용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종래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9)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스프링 라이너(60)가 위치하고 스프링 라이너(60) 둘레에 CO2 공급관(20)이 위치하고, CO2공급관(20) 둘레에 용접전원 전달용 파워선(도체)(30)과 다수의 용접기 조작제어용 제어선(40)이 혼합,배치되어 외피(10)로 피복되고 외피(10)의 내측에는 부직포(11)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다른 구조의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9)로는 첨부도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는 도 2a와 유사하며 220V의 전원선(31)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9)은 15~25m 이상의 케이블을 용접 작업 이동 시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주송급장치(푸시 피더 ; push feeder)와 보조송급장치(풀 피더 ; Pull feeder)를 들고 옮기거나 그립(G)만을 잡고 움직일 경우 그립(G) 끝단부에서 꺾임 현상이 발생하여 라이너 송급성이 저하되거나 심하게는 내부 호스가 손상되어 가스 누수 및 케이블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피복이 과도한 당김으로 인해 그립(G)에 고정되지 못하고 밀려 케이블 외장재가 노출되는 등의 케이블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 된다. 그리하여 케이블 꺾임 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그립 끝단부에 보강용 스프링이나 고무 튜브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꺾임현상의 개선 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 그 이유는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호스와 파워 및 스프링 라이너로 이루어진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아답터 끝단부와 그립(G) 끝단부 길이 차가 거의 없고 피복을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하여 작은 꺾임에도 케이블 손상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0020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27461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답터 끝단부에서 꺾임 부위를 최대한 멀게하여 아답터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와 파워 및 스프링 라이너 즉,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꺾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피복을 넓은 범위에서 고정시켜 피복 탈피 현상을 줄여 케이블 손상을 예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그립은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케이블 손상에 대한 유지, 보수에 소용되는 시간과 자재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꺾임 현상을 예방하여 와이어 송급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존 그립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립감이 우수하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는 이점 등이 있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있어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된 제1커버(100)와;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a)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된 제2커버(100a)와; 상기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는 케이블 삽입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 또는 볼트(200)가 결합되는 너트(115)가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160-1)(160a-1)이 구비된 길이연장부(160)(16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1)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있어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되되 케이블 삽입부(112)의 끝단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구비된 제1커버(100)와; 상기 제1커버(100)와 대응되게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되되 케이블 삽입부의 끝단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구비된 제2커버(100a)와; 케이스(310)의 내측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걸려지는 걸림홈(320)이 형성되고 걸림홈(320)과 연통되게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160-1)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요홈(160-1)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공(330)을 형성한 길이연장부재(3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1)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송급장치와 보조송급장치를 연결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용접작업 및 용접기의 이동시 아답터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평행하게 잡아주어 꺾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피복을 넓은 범위에서 고정시켜 케이블 파손 및 훼손을 예방하도록 하여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케이블 손상에 대한 유지, 보수에 소용되는 시간과 자재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꺾임 현상을 예방하여 와이어 송급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존 그립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립감이 우수하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가스 용접용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이산화탄소가스 용접용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는 종래 이산화탄소가스 용접장치에 있어서 그립과 아답터의 결합 구조만을 보여주는 사진.
도 3b는 종래 이산화탄소가스 용접장치에 있어서 그립과 아답터 및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그립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인 그립(1)구조는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된 제1커버(100)와,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a)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된 제2커버(100a)와, 상기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는 케이블 삽입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 또는 볼트(200)가 결합되는 너트(115)가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160-1)(160a-1)이 구비된 길이연장부(160)(16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효과는 첨부도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를 분리한 후 어느 한 쪽에 동력을 공급하는 파원선과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호스 및 스프링 라이너가 연결된 아답터를 삽입 설치하며, 이때 아답터 설치부(111)에는 아답터의 일부분이 그립(1)에서 노출되게 설치되며, 그립 내부에 위치하는 아답터의 나머지 부분은 공간부(113)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아답터를 그립(1)에 설치하면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가 그립의 1/2 위치 또는 2/3 위치에 놓여지게 되며 케이블 삽입부(112)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삽입부(112)에 설치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은 다시 길이연장부(160)(160a)의 안착요홈(160-1)(160a-1)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안착요홈(160-1)(160a-1)은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호스와 파워 및 스프링 라이너로 이루어진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9)이 연결되어 있는 아답터 끝단부와 그립 끝단부 길이 차가 없던 구조에서 첨부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답터 끝단부와 그립 끝단부의 길이 차를 L1을 형성하도록 하여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을 길게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길이연장부(160)(160a)를 일체로 형성한 제1커버(100) 또는 제2커버(100a)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아답터와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을 연결 설치한 후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를 포개어 볼트(200)로 결합 고정한다.
상기 결합된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는 케이블과 아답터를 감싸고 있다가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를 결합하면 케이블과 아답터를 완전하게 둘러 감싸게 된다.
한편 길이연장부(160)(160a) 또한 케이블과 아답터를 감싸게 되므로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Extension single cable)이 용접작업 및 용접기의 이동시 아답터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평행하게 잡아주어 꺾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피복을 넓은 범위에서 고정시켜 케이블 파손 및 훼손을 예방하도록 하여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케이블 손상에 대한 유지, 보수에 소용되는 시간과 자재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의 구조는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되되 케이블 삽입부(112)의 끝단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구비된 제1커버(100)와 상기 제1커버(100)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내측의 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되되 케이블 삽입부(112)의 끝단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구비된 제2커버(100a)가 서로 결합되어 그립(1)을 형성한다.
이때 케이스(310)의 내측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걸려지는 걸림홈(320)이 형성되고 걸림홈(320)과 연통되게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요홈(16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공(330)을 형성한 길이연장부재(3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연장부재(300)를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를 조립한 후 몸체(110)(110a)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결결속부(170)를 길이연장부재(300)의 걸림홈(320)에 삽입하여 제1커버(100) 및 제2커버(100a)와 길이연장부재(3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안착요홈(160a-1)에는 케이블이 삽설되어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 및 연결부로부터 일정한 길이의 케이블을 꺾임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송급장치를 연결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 (Extension single cable)이 용접작업 및 용접기의 이동시 아답터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평행하게 잡아주어 꺾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피복을 넓은 범위에서 고정시켜 케이블 파손 및 훼손을 예방하도록 하여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케이블 손상에 대한 유지, 보수에 소용되는 시간과 자재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꺾임 현상을 예방하여 와이어 송급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존 그립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립감이 우수하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100 : 제1커버 100a : 제2커버
110,110a : 몸체 111 : 아답터 설치부
112 : 케이블 삽입부 113 : 공간부
114 : 통공 115 : 너트
160,160a : 길이연장부 160-1,160a-1 : 안착요홈
170 : 연결결속부 200 : 볼트
300 : 길이연장부재 310 : 케이스
320 : 걸림홈 330 : 결합공

Claims (2)

  1.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있어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된 제1커버(100)와;
    상기 제1커버(100)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결합되며 내측으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a)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된 제2커버(100a)와;
    상기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는 케이블 삽입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 또는 볼트(200)가 결합되는 너트(115)가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160-1)(160a-1)이 구비된 길이연장부(160)(16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1)구조.
  2.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에 있어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에는 볼트(200)가 관통하는 통공(114)이 구비되되 케이블 삽입부(112)의 끝단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구비된 제1커버(100)와;
    상기 제1커버(100)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결합되며 내측으로 아답터가 설치되는 공간부(113)를 중심으로 일측은 아답터가 돌출되게 놓여지는 아답터 설치부(111)의 반대쪽에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112)로 이루어진 몸체(110a)에는 볼트(200)가 나합되는 너트(115)가 인설트되어 구비되되 케이블 삽입부의 끝단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구비된 제2커버(100a)와;
    케이스(310)의 내측에는 연결결속부(170)가 걸려지는 걸림홈(320)이 형성되고 걸림홈(320)과 연통되게 케이블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안착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요홈(160a-1)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100a)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공(330)을 형성한 길이연장부재(3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1)구조.
KR2020120000174U 2012-01-06 2012-01-06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KR200467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74U KR200467520Y1 (ko) 2012-01-06 2012-01-06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74U KR200467520Y1 (ko) 2012-01-06 2012-01-06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20Y1 true KR200467520Y1 (ko) 2013-06-19

Family

ID=5138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174U KR200467520Y1 (ko) 2012-01-06 2012-01-06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2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461Y1 (ko) * 2006-07-13 2006-09-27 박선수 이산화탄소용접기의 싱글 케이블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461Y1 (ko) * 2006-07-13 2006-09-27 박선수 이산화탄소용접기의 싱글 케이블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357B2 (en) Waterproof cable guide device for railway vehicle
KR101472099B1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JP4118314B1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101858536B1 (ko) 로봇용 용접토치
KR200475423Y1 (ko) 케이블 보호관
KR200467520Y1 (ko)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과 아답터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그립구조
KR100678538B1 (ko) 용접용 케이블을 위한 커플링 장치
KR20080109982A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방법
KR101877026B1 (ko) 가공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JP5654059B2 (ja) 補修スリーブ
KR20160046156A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20110003503U (ko) 케이블 포설기구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CN102981218B (zh) 光纤保护装置
KR20120004540U (ko) 어스 케이블 꺾임 방지기능을 갖는 용접용 접지 클램프
JP608308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部構造、端部構造製造方法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KR101486891B1 (ko) 전자 교반기의 전원공급장치
CN211086715U (zh) 一种光缆接头盒
CN206727311U (zh) 连接器组件以及传输线路
JP2010031943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連結装置
CN105782583A (zh) 一种管件固定块
CN217656328U (zh) 强电线缆安装辅助器
CN211137219U (zh) 穿线管及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