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468U -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468U
KR20200002468U KR2020190001817U KR20190001817U KR20200002468U KR 20200002468 U KR20200002468 U KR 20200002468U KR 2020190001817 U KR2020190001817 U KR 2020190001817U KR 20190001817 U KR20190001817 U KR 20190001817U KR 20200002468 U KR20200002468 U KR 20200002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upling
tent
horizontal pol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주)에르젠아웃도어
이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르젠아웃도어, 이종대 filed Critical (주)에르젠아웃도어
Priority to KR2020190001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468U/ko
Publication of KR20200002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형 폴대와, 상기 횡형 폴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가 일측 상부에 설치된 차박 텐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coupling of tent and vehicle}
본 고안은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일측에 대하여 차박 텐트를 간단히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캠핑족이 늘어나면서 아웃도어 시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캠핑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오토 캠핑형 텐트는 물론 가까운 곳에서의 캠핑을 즐기는 고객들이 증가하면서 가볍고 간편한 기능성 캠핑 텐트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 텐트를 설치하는 일반 캠핑과 달리 차량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차체에 직접 연결하여 텐트를 설치하는 차박이 새로운 캠핑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박 텐트는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차량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로프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게 설치함으로써, 그 설치가 매우 어려워 숙련자 외에는 그 설치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0663호(2017.01.2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일측에 대하여 차박 텐트를 매우 간단히 고정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초보자를 비롯한 누구나가 매우 쉽고 간단히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는, 차량의 루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형 폴대와, 상기 횡형 폴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가 일측 상부에 설치된 차박 텐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횡형 폴대는, 차량의 루프 일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 단이 형성된 결합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그 단면 지름이 상기 결합 수용부의 개구 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횡형 폴대는, 차량의 루프 일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면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 방향으로 개구 단이 형성된 복수의 결합 수용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면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결합 수용부들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차박 텐트의 개방부 상부 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결합구가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들 사이에는 상기 결합구보다 전방을 향해 더 길게 돌출된 연결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의 일 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면과 벨크로 결합되기 위한 제2 벨크로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의 단면 지름은, 상기 결합 수용부의 개구 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일측에 대하여 차박 텐트를 매우 간단히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초보자를 비롯한 누구나가 매우 쉽고 간단히 연결,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의해 차량과 텐트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차량과 텐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의해 차량과 텐트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분리 평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의해 차량과 텐트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차량과 텐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는,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형 폴대(110)와, 일측이 개방되되 그 상부 단에 횡 방향으로 결합구(210)가 형성된 차박 텐트(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횡형 폴대(110)는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미도시됨)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12)와, 이 플레이트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 단(116)이 형성된 환형의 결합 수용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부(112)와 결합 수용부(114)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재가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차박 텐트(200)는, 차량의 일측과 밀착되는 일면이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의 상부 단에는 횡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는 결합구(210)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구(210) 단면의 지름은, 결합 수용부(114)의 개구 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100)과 차박 텐트(20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횡형 폴대(110)를 부착하여 결합시킨다.
즉,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등을 부착시키고, 횡형 폴대(110)의 플레이트부(112) 일면을 부착시켜서 고정시킨다.
다음에, 차박 텐트(200)를 펼친 상태에서 개방부가 차량(100)의 일측 즉, 횡형 폴대(110)가 부착된 일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개방부의 상부 단에 형성된 결합구(210)를 횡형 폴대(110)의 결합 수용부(114)와 결합시킨다.
즉, 차박 텐트(200)의 결합구(210) 일측 단을 횡형 폴대(110)의 결합 수용부(114) 일측 단을 통해 삽입시켜서 횡 방향 이동시킴에 따라 차박 텐트(200)와 차량(100)을 간단하게 고정되게 결합시킨다.
한편, 횡형 폴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가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 적용됨으로써, 결합 수용부(114)가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는바, 결합 수용부(114)의 개구 단(116)을 벌린 상태에서 이 개구 단(116)을 통해 결합구(210)를 인입시키게 되면, 개구 단(116)이 벌어졌다가 그 내부로 결합구(210)가 인입된 상태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게 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수용부(114) 내에 차박 텐트(200)의 결합구(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지되어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차박 텐트(200)의 개방부 상부 단에 형성된 결합구(210)와 횡형 폴대(110)를 결합시킨 이후에, 횡형 폴대(110)의 플레이트부(112)를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대하여 횡형 폴대(110)와 차박 텐트(200) 결합구(210)의 간단한 결합으로 인해 차량(100)의 일측에 차박 텐트(200)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시키게 되면, 차량(100)과 차박 텐트(200) 내부가 연통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캠핑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차량(100) 내부에서 물건 등을 빼내거나 하는 경우, 차박 텐트(200)와 연통되어 그 편의성이 증대되고, 차량(100) 내부 공간과 차박 텐트(2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용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의해 차량과 텐트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는,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형 폴대(120)와, 일측이 개방되되 그 상부 단에 횡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결합구(220)가 형성되고, 이 결합구(220)들 사이에 연결부(222)가 일정 간격마다 연장되어 형성된 차박 텐트(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횡형 폴대(120)는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22)와, 이 플레이트부(122)의 일 면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 방향으로 개구 단(128)이 형성된 복수의 결합 수용부(126)와, 플레이트부(122)의 일 면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결합 수용부(126)들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 면(1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부(122)와 결합 수용부(126)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재가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차박 텐트(200)는, 차량의 일측과 밀착되는 일면이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의 상부 단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결합구(220)가 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구(220) 단면의 지름은, 결합 수용부(126)의 개구 단(128)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결합구(220)들 사이에는 결합구(220)보다 전방을 향해 더 길고 돌출된 형태로 연결부(222)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연결부(222)들의 일 면에는 횡형 폴대(120)의 제1 벨크로 면(124)과 벨크로 접합되기 위한 제2 벨크로 면(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100)과 차박 텐트(20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횡형 폴대(120)를 부착하여 결합시킨다.
즉,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등을 부착시키고, 횡형 폴대(120)의 플레이트부(122) 일면을 부착시켜서 고정시킨다.
이 때, 차박 텐트(200)와의 결합 방향을 기준으로, 결합 수용부(126)가 차박 텐트(20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반대로 제1 벨크로 면(124)은 차박 텐트(200)와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차박 텐트(200)를 펼친 상태에서 개방부가 차량(100)의 일측 즉, 횡형 폴대(120)가 부착된 일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개방부의 상부 단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220)들을 횡형 폴대(120)의 대응되는 결합 수용부(126)들과 결합시킨다.
즉, 차박 텐트(200)의 각 결합구(220) 일측 단을 횡형 폴대(120)의 대응되는 각 결합 수용부(126)들 일측 단을 통해 삽입시켜서 횡 방향 이동시킴에 따라 차박 텐트(200)와 차량(100)을 간단하게 고정되게 결합시킨다.
한편, 횡형 폴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가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 적용됨으로써, 각 결합 수용부(126)가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는바, 각 결합 수용부(126)의 개구 단(128)을 벌린 상태에서 이 개구 단(128)을 통해 대응되는 결합구(220)를 인입시키게 되면, 개구 단(128)이 벌어졌다가 그 내부로 결합구(220)가 인입된 상태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게 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결합 수용부(126) 내에 차박 텐트(200)의 각 결합구(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지되어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에, 차박 텐트(200)의 연결부(222) 일 면에 형성된 제2 벨크로 면(224)을 횡형 폴대(120)의 플레이트부(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벨크로 면(124)과 벨크로 접합시키게 되면, 차박 텐트(200)가 횡형 폴대(120)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횡형 폴대(120)에 결합 수용부(126)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박 텐트(200)의 결합구(220)들 또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 수용부(126) 및 결합구(220)의 횡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는바, 그 결합이 앞선 제1 실시 예에 비하여 매우 수월해지게 된다.
또한, 결합 수용부(126)와 결합구(220)들 사이에 별도로 연결부(222)에 형성된 제2 벨크로 면(22$)과 횡형 폴대(120)의 플레이트부(122)에 형성된 제1 벨크로 면(124)이 이중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차량(100)과 차박 텐트(200)의 결합 구조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이 차박 텐트(200)의 개방부 상부 단에 형성된 결합구(220) 및 연결부(222)의 제2 벨크로 면(224)을 횡형 폴대(120)의 결합 수용부(126) 및 제1 벨크로 면(124)에 먼저 결합시킨 이후에, 횡형 폴대(120)의 플레이트부(122)를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루프 일측에 대하여 횡형 폴대(120)와 차박 텐트(20)의 결합구(220) 및 연결부(222)의 간단한 결합으로 인해 차량(100)의 일측에 차박 텐트(200)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시키게 되면, 차량(100)과 차박 텐트(200) 내부가 연통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캠핑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차량(100) 내부에서 물건 등을 빼내거나 하는 경우, 차박 텐트(200)와 연통되어 그 편의성이 증대되고, 차량(100) 내부 공간과 차박 텐트(2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용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실시 예>
100 : 차량 110 : 횡형 폴대
112 : 플레이트부 114 : 결합 수용부
116 : 개구 단 200 : 텐트
210 : 결합구
<제2 실시 예>
100 : 차량 120 : 횡형 폴대
122 : 플레이트부 124 : 제1 벨크로 면
126 : 결합 수용부 128 : 개구 단
200 : 텐트 220 : 결합구
222 : 연결부 224 : 제2 벨크로 면

Claims (4)

  1. 차량의 루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형 폴대와,
    상기 횡형 폴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가 일측 상부에 설치된 차박 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 폴대는,
    차량의 루프 일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 단이 형성된 결합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그 단면 지름이 상기 결합 수용부의 개구 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 폴대는,
    차량의 루프 일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면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 방향으로 개구 단이 형성된 복수의 결합 수용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면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결합 수용부들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차박 텐트의 개방부 상부 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결합구가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들 사이에는 상기 결합구보다 전방을 향해 더 길게 돌출된 연결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의 일 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면과 벨크로 결합되기 위한 제2 벨크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의 단면 지름은, 상기 결합 수용부의 개구 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KR2020190001817U 2019-05-02 2019-05-02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KR202000024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17U KR20200002468U (ko) 2019-05-02 2019-05-02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17U KR20200002468U (ko) 2019-05-02 2019-05-02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8U true KR20200002468U (ko) 2020-11-11

Family

ID=7319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17U KR20200002468U (ko) 2019-05-02 2019-05-02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4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040B1 (ko) 2021-03-10 2021-12-22 주식회사 아이두젠 차박 텐트 도킹부 결속부재
KR20230066681A (ko) 2021-11-08 2023-05-16 류지명 캠핑을 위한 차량 연계 텐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63B1 (ko) 2016-03-30 2017-01-31 최명순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63B1 (ko) 2016-03-30 2017-01-31 최명순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040B1 (ko) 2021-03-10 2021-12-22 주식회사 아이두젠 차박 텐트 도킹부 결속부재
KR20230066681A (ko) 2021-11-08 2023-05-16 류지명 캠핑을 위한 차량 연계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5467B (zh) 箱包拉杆
KR20200002468U (ko) 차박 텐트의 결합구조
CA2846532C (en) Quick camp frame system
EP2744313A2 (en) Display apparatus
JP2012019566A (ja) 電気接続箱
JP6047589B2 (ja) テント
CN203834782U (zh) 卡件结构及天花板组件
JP3152731U (ja) 継手固定構造
CN109107264A (zh) 净水机壳体及具有其的净水机
CN113431834B (zh) 可卸式组装结构
USH2226H1 (en) Mouse cable management
KR101458767B1 (ko) 바닥재 패널 조립용 클립
KR101187944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체결장치
US20210094470A1 (en) Folding type inflatable traffic accident notification device
US20120234988A1 (en) Structure for mounting cables to a device
TWI653005B (zh) 以卡接方式連接傘布之傘具
US8720006B2 (en) Elastic extension device and retractable pulling rod using the same
CN204554289U (zh) 智能设备支架
KR20110040558A (ko) 볼륨 노브 및 그 제작 방법
KR200478918Y1 (ko) 옷걸이를 구성하는 고정지주와 걸이부재의 연결장치
CN212985716U (zh) 精益管紧固件
CN215455912U (zh) 伞杆装置和伞具
CN209330363U (zh) 音响
CN214579461U (zh) 一种管道安装组合便捷接头
CN208046142U (zh) 一种移动塑料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