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951B1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951B1 KR102141951B1 KR1020180070122A KR20180070122A KR102141951B1 KR 102141951 B1 KR102141951 B1 KR 102141951B1 KR 1020180070122 A KR1020180070122 A KR 1020180070122A KR 20180070122 A KR20180070122 A KR 20180070122A KR 102141951 B1 KR102141951 B1 KR 102141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corrugated
- conduit
- underground
- wire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8—Shrinkabl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를 지중구조물의 내외부로 연결시켜 주는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좌반부를 수용하는 바디와,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우반부를 수용하면서 바디에 결합되는 커플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성 요소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제조원가와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하게 되며, 관로구에 대한 파형 지중전선관의 연결 작업시 연결 보조 기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고 구성 요소도 간소하므로, 짧은 시간 안에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시공을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를 지중구조물의 내외부로 연결시켜 주는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 요소의 간소화를 달성하고, 지중배전선로를 구성하는 파형관과의 연결 및 맨홀에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한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립되는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은 지중배전선로를 구성하는 파형관을 통하여 부설되며, 이때 지중배전선로의 말단부는 맨홀벽 측에 고정되어 맨홀과 연통된다.
관로구는 지중배전선로의 인입 및 인출 처리를 위해 맨홀, 핸드홀 및 전력구와 같은 지중구조물을 매설할때 지중배전선로를 지중구조물의 내외부로 연결시켜 주는 부재를 지칭한다. 이러한 관로구는 선단부가 맨홀의 내부측을 향하고 후단부는 맨홀벽의 바깥쪽(즉, 지중매설부분측)을 향하며, 이에 어댑터라 불리는 중계관이 결합되고, 이 중계관에 관로의 중요한 부분인 파형관이 연결된다.
종래의 관로구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예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는데, 맨홀의 외측에서 접속관의 일단부에 관로구가 연결되면서 접속구의 타단부에는 지중전선관(파형관)이 연결되고, 관로구에 방수를 위한 고무패킹이 개재되면서 방수덮개가 결합이 된다. 또, 특허문헌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관로구는 맨홀벽에 고정되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면서 어댑터와 몸체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패킹이 개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지중전선관을 관로구에 연결할 때 관로구로부터 지중전선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쐐기형태의 록킹블록을 설치하기도 한다.
한편, 직경이 큰 지중전선관(파형관)은 중량이 무겁고 다루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지중전선관을 관로구에 연결할 때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득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것과 같은 연결 보조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에는 방수를 위한 패킹과 아울러 관로구로부터 지중전선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록킹블록 등이 별도로 필요하고 관로구에 지중전선관을 연결할 때는 연결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 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 소요 시간과 공사비가 증가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구성 요소의 수량이 간소화되어 제조원가와 시공 비용을 크게 낮추게 되고, 관로구에 대한 지중전선관의 연결 작업시 연결 보조 기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짧은 시간에 매우 간편하고 쉽게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는,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좌반부를 수용하는 바디와,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우반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플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바디는, 맨홀에 삽입 결합되는 반원형 단면 구조의 제1삽입단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삽입단부의 후측에서 파형 지중전선관의 우반부의 파형을 따른 파형관부가 구비된 우측 바디와, 제1삽입단부와 좌우 대칭 구조로 합치되어 맨홀에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단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2삽입단부의 후측에 마련되어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좌반부와 파형관부가 안착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되면서 제1수용부의 내주면에는 파형 지중전선관 및 파형관부의 파형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형성된 구조로 제1고무패드부가 구비된 좌측 바디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플링은, 제1수용부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우반부와 파형관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하고, 제2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제1고무패드부와 좌우 대칭 구조로 산부와 골부가 형성된 제2고무패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커플링의 결합을 위해, 좌측 바디에서 제1수용부의 외주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단부, 좌측 바디에서 제1수용부의 외주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단부, 커플링에서 제2수용부의 외주측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1결합단부와 결합되는 제3결합단부, 커플링에서 제2수용부의 외주측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2결합단부와 결합되는 제4결합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단부는 C형 단면의 지지홈부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3결합단부는 상기 지지홈부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홈부에는 돌출부가 매끄럽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제1경사면을 타고 지지홈부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홈부와 상기 돌출부는 각각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결합단부는 제1볼트구멍을 가진 제1플랜지면으로 이루어지고, 제4결합단부는 제1볼트구멍과 연통하는 제2볼트구멍을 가진 제2플랜지면으로 이루어져, 제1플랜지면과 제2플랜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1볼트구멍과 제2볼트구멍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단부는 걸림돌기를 가진 "ㄱ"자형의 걸림단으로 이루어지고, 제4결합단부는 걸림단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걸림돌기에 걸림작용되는 제2돌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걸림단과 제2돌출부는 각각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결합단부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C형 단면의 제1지지홈부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걸림돌기를 가진 "ㄱ"자형의 제1걸림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단부에 대응하는 제3결합단부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지지홈부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돌출부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걸림단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제1걸림돌기에 걸림작용되는 제4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제2결합단부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걸림돌기를 가진 "ㄱ"자형의 제2걸림단으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C형 단면의 제2지지홈부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단부에 대응하는 제4결합단부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걸림단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제2걸림돌기에 걸림작용되는 제5돌출부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지지홈부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6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고무패드부 및 제2고무패드부의 산부와 골부 표면에 형성되어 파형 지중전선관이 수용된 상태로 바디와 커플링이 결합될 때 압착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삽입단부와 제2삽입단부의 대향면에는 각각 서로 요철식으로 결합되도록 음각부와 양각부 중 어느 한가지씩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구성 요소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제조원가와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관로구에 대한 파형 지중전선관의 연결 작업시 연결 보조 기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고 구성 요소도 간소하므로, 짧은 시간 안에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바디와 커플링의 내주면에 고무패드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무패드부재를 관로구와 지중전선관 사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고무패드부에 형성된 돌기로 인해 관로구와 지중전선관 사이에 강한 밀폐력이 작용하여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지중전선관 내부에 삽입된 전선이나 통신선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구의 실시예를 지중전선관이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커플링을 제외한 상태로 관로구의 바디에 지중전선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좌측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우측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좌측 바디와 도 5의 우측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커플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대해 도 7의 커플링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1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2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3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4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관로구와 본 발명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종래의 관로구와 본 발명의 관로구에 대한 시공 작업 과정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2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3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4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커플링을 제외한 상태로 관로구의 바디에 지중전선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좌측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우측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좌측 바디와 도 5의 우측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커플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대해 도 7의 커플링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1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2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3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4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관로구와 본 발명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종래의 관로구와 본 발명의 관로구에 대한 시공 작업 과정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2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3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4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와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관로구의 실시예를 지중전선관이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커플링을 제외한 상태로 관로구의 바디에 지중전선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좌측 바디와 우측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좌측 바디와 도 5의 우측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 도 7은 도 1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커플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에 대해 도 7의 커플링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좌, 우, 선, 후 등의 접두사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중심으로 방향을 설정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는 그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의 실시예는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본 실시예에서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피치 나선의 길이, 이하 구성에서도 동일함)만큼 좌반부를 수용하는 바디(100)와,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우반부를 수용하면서 바디(100)에 결합되는 커플링(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기본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바디(100)는 좌측 바디(110)와 우측 바디(120)로 분할 구성이 되어, 도 6의 모습과 같이 결합이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측 바디(120)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면, 우측 바디(120)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삽입단부(121)와 파형관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제1삽입단부(121)는 후술하는 좌측 바디(110)에 구비되는 제2삽입단부(111)와 함께 좌우 대칭으로 합치되어 원형의 단면 구조가 되도록 반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합치되는 제1삽입단부(121)와 제2삽입단부(111)는 맨홀에 삽입 결합이 되는데,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삽입단부(121)와 제2삽입단부(1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파형관부(122)는 제1삽입단부(121)의 후측에 형성되며, 파형 지중전선관(P)의 우반부의 파형(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교번하여 반복 형성된 주름 형상)과 동일한 형상과 치수로 이루어진다.
또, 제1삽입단부(121)와 제2삽입단부(111)의 대향면에는 각각 서로 요철식으로 결합되도록 음각부와 양각부 중 어느 한가지씩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삽입단부(121)에는 도드라진 형태의 양각부(121a)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제2삽입단부(111)에는 오목한 형태의 음각부(111a)가 형성되어, 음각부(111a)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양각부(121a)가 끼워져 결합이 된다. 또는 제1삽입단부(121)에 음각부가 형성되고, 제2삽입단부에 양각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좌측 바디(110)는 앞서 언급한 제2삽입단부(111)와 더불어, 이 제2삽입단부(111)의 후측에 마련되는 제1수용부(112)와, 제1수용부(112)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고무패드부(113)로 이루어져 있다. 제1수용부(112)에는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의 좌반부가 안착됨과 아울러 우측 바디(120)의 파형관부(122)가 마주보는 형태로 안착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수용부(112)의 길이는 총 다섯 피치의 길이로 형성이 되는데,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이 두 피치 길이로 안착이 되고, 우측 바디(120)의 파형관부(122) 역시 두 피치 길이로 안착이 되면서,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과 파형관부(122) 사이에 한 피치의 공간이 남는 형태가 된다. 제1고무패드부(113)는 파형 지중전선관(P) 및 파형관부(122)의 파형을 따라 산부(113a)와 골부(113b)가 형성된 구조(본 실시예에서는 다섯 피치)로 이루어짐으로써, 파형 지중전선관(P)의 좌반부와 우측 바디(120)의 파형관부(122)가 꼭 맞게 밀착이 된다. 이처럼 제1수용부(112) 및 그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고무패드부(113)에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과 파형관부(122)가 각각 두 피치씩의 길이로 삽입되면서 그 사이에 한 피치의 공간이 남는 형태로 하게 되면, 여유 피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파형 지중전선관(P)을 삽입하기 위해 선단부를 절단할 때 굳이 수직 반듯하게 맞출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플링(200)은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수용부(210)와 제2고무패드부(220)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수용부(210)는 좌측 바디(110)의 제1수용부(112)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의 우반부를 감싸면서 수용함과 아울러, 우측 바디(120)의 파형관부(122)를 감싸면서 수용하게 된다. 제1수용부(112)와 동일하게 제2수용부(210)의 길이는 총 다섯 피치의 길이로 형성이 되는데, 좌측 바디(110)에서와 마찬가지로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이 두 피치 길이로 안착이 되고, 우측 바디(120)의 파형관부(122) 역시 두 피치 길이로 안착이 되면서,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과 파형관부(122) 사이에 한 피치의 공간이 남는 형태가 된다. 제2고무패드부(220)는 좌측 바디(110)의 제1고무패드부(113)와 좌우 대칭 구조로 산부(220a)와 골부(220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고무패드부(113)와 제2고무패드부(220)는 고무 재질과 같은 탄성이 풍부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좌측 바디(110)와 우측 바디(120)가 접합된 상태에서, 바디(100)와 커플링(200)의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서, 제1결합단부(114)와 제2결합단부(115) 및 제3결합단부(211)와 제4결합단부(212)가 구비된다. 제1결합단부(114)는 좌측 바디(110)에서 제1수용부(112)의 외주측 일단부(도 4에서 볼 때 하단부)에 형성이 되며, 제2결합단부(115)는 좌측 바디(110)에서 제1수용부(112)의 외주측 타단부(도 4에서 볼 때 상단부)에 형성이 된다. 또, 제3결합단부(211)는 커플링(200)에서 제2수용부(210)의 외주측 일단부(도 8에서 볼 때 하단부)에 형성이 되어 제1결합단부(114)와 결합이 되며, 제4결합단부(212)는 커플링(200)에서 제2수용부(210)의 외주측 타단부(도 7에서 볼 때 상단부)에 형성이 되어 제2결합단부(115)와 결합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단부(114)는 C형 단면의 지지홈부(114a)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3결합단부(211)는 이 지지홈부(114a)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이 되는 돌출부(211a)로 이루어진다.
특히, 지지홈부(114a)에는 돌출부(211a)가 매끄럽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경사면(114b)이 형성되고, 돌출부(211a)에는 제1경사면(114b)을 타고 지지홈부(114a)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경사면(114b)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21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단부(115)는 제1볼트구멍(115b)을 가진 제1플랜지면(115a)으로 이루어지고, 제4결합단부(212)는 제1볼트구멍(115b)과 연통하는 제2볼트구멍(212b)을 가진 제2플랜지면(21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도 8에 보이는 것처럼 이들 제1플랜지면(115a)과 제2플랜지면(212a)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1볼트구멍(115b)과 제2볼트구멍(212b)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300)와 너트(400)에 의해 결합이 완성된다.
한편, 좌측 바디(110)의 제1고무패드부(113)에 형성된 산부(113a) 및 골부(113b)의 표면과, 커플링(200)의 제2고무패드부(220)에 형성된 산부(220a) 및 골부(220b)의 표면에는 각각 돌기(113c,220c,113d,220d)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113c,220c,113d,220d)는, 파형 지중전선관(P)이 제1수용부(112)와 제2수용부(210)에 의해 감싸져 수용된 상태에서 바디(100)와 커플링(200)이 상기 제1결합단부(114)와 제3결합단부(211)에 의한 결합 및 제2결합단부(115)와 제4결합단부(212)에 의한 결합에 의해 결합이 될 때, 압착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로구와 이에 결합된 파형 지중전선관(P) 사이에 강한 밀폐력이 작용하여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파형 지중전선관(P) 내부에 삽입된 전선이나 통신선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과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9∼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관로구를 맨홀에 시공하는 제1단계∼제4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전술한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맨홀벽(W)에 다수 개의 맨홀(H)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지중배전선로의 인입 및 인출 처리를 위한 관로구 시공의 제1단계로서, 본 발명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바디(100)의 선단부에 구비된 삽입단부(즉, 제1삽입단부(121)와 제2삽입단부(111)의 결합체, 도 11에는 삽입단부가 맨홀에 삽입되어서 보이지는 않음)를 맨홀(H)에 삽입 결합한다. 여기서, 바디(100)는 좌측 바디(110)와 우측 바디(120)가 결합된 상태임은 물론이다.
제2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 부분을 일부 피치 길이만큼 안착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바디(100)의 제1수용부(112) 내주면에 마련된 제1고무패드부(113)에 안착이 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무패드부(113)의 산부(113a)와 골부(113b)를 따라 두 피치 길이로 파형 지중전선관(P)의 산과 골이 안착되도록 한다.
제3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커플링(200)을 결합함으로써, 바디(100)의 제1고무패드부(113)에 안착된 파형 지중전선관(P)의 선단 부분이 커플링(200)의 제2고무패드부(22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다. 이때, 커플링(200)의 제3결합단부(211)에 구비된 돌출부(211a)가 바디(100)의 제1결합단부(114)에 구비된 지지홈부(114a)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커플링(200)의 제4결합단부(212)는 바디(100)의 제2결합단부(115)에 밀착이 된다.
제4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200)의 제4결합단부(212)에 구비된 제2볼트구멍(212b)이 바디(100)의 제2결합단부(115)에 구비된 제1볼트구멍(115b)와 일치된 상태로 볼트(300)를 삽입하고, 이 볼트(300)에 도 10의 모습과 같이 너트(400)를 체결한다. 이로써, 바디(100)와 커플링(20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파형 지중전선관(P)에 의한 지중배전선로를 지중구조물의 내부로 안전하게 인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은 종래의 관로구와 본 발명의 관로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먼저, 종래의 관로구의 경우에는 맨홀에 삽입 결합되는 어댑터(본 발명의 삽입단부에 상응)를 구비한 관로구 바디와, 방수를 위한 고무링과 고무패킹, 그리고 관로구 바디로부터 지중전선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록킹블록 및 볼트 등을 구성 요소로 하면서, 관로구에 지중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시 필요한 연결 보조 기구가 소요됨에 따라, 총 6종 10개의 자재가 요구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관로구는 바디(100)와 커플링(200), 그리고 볼트(300) 및 너트(400)만을 구성 요소로 하고, 종래의 관로구에서와 같은 연결 보조 기구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총 3종 4개의 자재가 요구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로구는 종래의 관로구에 비하여 구성 요소의 수량이 간소화됨으로써, 제조원가와 시공 비용을 크게 낮추게 되고, 연결 작업시 연결 보조 기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짧은 시간에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4a 및 도 14b는 종래의 관로구와 본 발명의 관로구에 대한 시공 작업 과정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로서, 관로구를 맨홀에 설치함과 아울러 파형 지중전선관을 인입하는 데에 필요한 작업 공수를 대비하여 보여주고 있다.
먼저, 종래의 관로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파형 지중전선관에 고무링을 삽입하는 동작 1, 파형 지중전선관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동작 2, 관로구의 바디에 고무패킹을 끼우고 맨홀에 삽입하는 동작 3∼4, 연결 보조 기구를 준비하는 동작 5, 연결 보조 기구를 파형 지중전선관에 부착하는 동작 6, 고무패킹을 파형 지중전선관의 일정 피치 위치까지 삽입하는 동작 7∼10, 록킹블록 3개를 결합하는 동작 11∼13, 연결 보조 기구를 제거하는 동작 14로, 총 8단계에 걸쳐 14개의 동작이 요구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관로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로구의 바디를 맨홀에 삽입 결합하는 동작 1, 파형 지중전선관을 관로구의 바디에 안착하는 동작 2, 관로구의 바디에 커플링을 결합하는 동작 3,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동작 4∼5로, 총 4단계에 걸쳐 5개의 동작만이 요구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로구는 종래의 관로구에 비하여 관로구를 맨홀에 설치함과 아울러 파형 지중전선관을 인입할 때 짧은 시간에 매우 간편하고 쉽게 시공을 마칠 수가 있다.
한편, 도 15와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서 제1,2,3,4결합단부에 대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가 적용된 도면이다.
먼저 도 15의 실시예에서, 제1결합단부(514)의 지지홈부(514a)와 제3결합단부(611)의 돌출부(611a)는 각각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제2결합단부(515)는 걸림돌기(515aa)를 가진 "ㄱ"자형의 걸림단(515a)으로 이루어지고, 제4결합단부(612)는 걸림단(515a)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걸림돌기(515aa)에 걸림작용되는 제2돌출부(612a)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또, 이들 걸림단(515a)과 제2돌출부(612a) 역시 각각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앞서 서술한 실시예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제2결합단부와 제4결합단부가 결합되는 구조에 비하여 훨씬 간단하고 쉬우며 빠른 시간에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는 도 15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제1결합단부(514')의 지지홈부(514a')와 제3결합단부(611')의 돌출부(611a')는 각각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결합단부(515')는 걸림돌기(515aa')를 가진 "ㄱ"자형의 걸림단(515a')으로 이루어지고, 제4결합단부(612')는 걸림단(515a')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걸림돌기(515aa')에 걸림작용되는 제2돌출부(612a')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되, 걸림단(515a')과 제2돌출부(612a')는 각각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17의 실시예는 제1결합단부(714)와 제2결합단부(715) 및 제3결합단부(811)와 제4결합단부(812)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제1결합단부(714)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C형 단면의 제1지지홈부(714a)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걸림돌기(714bb)를 가진 "ㄱ"자형의 제1걸림단(714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결합단부(811)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지지홈부(714a)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돌출부(811a)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걸림단(714b)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제1걸림돌기(714bb)에 걸림작용되는 제4돌출부(811b)로 이루어진다. 또, 제2결합단부(715)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걸림돌기(715aa)를 가진 "ㄱ"자형의 제2걸림단(715a)으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C형 단면의 제2지지홈부(715b)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4결합단부(812)는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걸림단(715a)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제2걸림돌기(715aa)에 걸림작용되는 제5돌출부(812a)로 이루어지고,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지지홈부(715b)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6돌출부(812b)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도 15와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결합단부와 제3결합단부 및 제2결합단부와 제4결합단부가 매우 간단하고 쉬우면서 단시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바디 110 : 좌측 바디
111 : 제2삽입단부 112 : 제1수용부
113 : 제1고무패드부 113a : 산부
113b : 골부 113c,113d : 돌기
114 : 제1결합단부 114a : 지지홈부
114b : 제1경사면 115 : 제2결합단부
115a : 제1플랜지면 115b : 제1볼트구멍
120 : 우측 바디 121 : 제1삽입단부
122 : 파형관부 200 : 커플링
210 : 제2수용부 211 : 제3결합단부
211a : 돌출부 211b : 제2경사면
212 : 제4결합단부 212a : 제2플랜지면
212b : 제2볼트구멍 220 : 제2고무패드부
220a : 산부 220b : 골부
220c,220d : 돌기 300 : 볼트
400 : 너트 H : 맨홀
P : 파형 지중전선관 W : 맨홀벽
111 : 제2삽입단부 112 : 제1수용부
113 : 제1고무패드부 113a : 산부
113b : 골부 113c,113d : 돌기
114 : 제1결합단부 114a : 지지홈부
114b : 제1경사면 115 : 제2결합단부
115a : 제1플랜지면 115b : 제1볼트구멍
120 : 우측 바디 121 : 제1삽입단부
122 : 파형관부 200 : 커플링
210 : 제2수용부 211 : 제3결합단부
211a : 돌출부 211b : 제2경사면
212 : 제4결합단부 212a : 제2플랜지면
212b : 제2볼트구멍 220 : 제2고무패드부
220a : 산부 220b : 골부
220c,220d : 돌기 300 : 볼트
400 : 너트 H : 맨홀
P : 파형 지중전선관 W : 맨홀벽
Claims (11)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좌반부를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우반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플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는, 맨홀에 삽입 결합되는 반원형 단면 구조의 제1삽입단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삽입단부의 후측에서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의 우반부의 파형을 따른 파형관부가 구비된 우측 바디와, 상기 제1삽입단부와 좌우 대칭 구조로 합치되어 상기 맨홀에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단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2삽입단부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좌반부와 상기 파형관부가 안착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 및 상기 파형관부의 파형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형성된 구조로 제1고무패드부가 구비된 좌측 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1수용부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의 선단 일부 피치 길이만큼 우반부와 상기 파형관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고무패드부와 좌우 대칭 구조로 산부와 골부가 형성된 제2고무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와 상기 커플링의 결합을 위해, 상기 좌측 바디에서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단부, 상기 좌측 바디에서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단부, 상기 커플링에서 상기 제2수용부의 외주측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단부와 결합되는 제3결합단부, 상기 커플링에서 상기 제2수용부의 외주측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단부와 결합되는 제4결합단부가 구비된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단부는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C형 단면의 제1지지홈부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1걸림돌기를 가진 "ㄱ"자형의 제1걸림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결합단부는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상기 제1지지홈부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상기 제1걸림단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작용되는 제4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단부는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제2걸림돌기를 가진 "ㄱ"자형의 제2걸림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C형 단면의 제2지지홈부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결합단부는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상기 제2걸림단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상기 제2걸림돌기에 걸림작용되는 제5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형 지중전선관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머지 절반 길이에 있어서는 상기 제2지지홈부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6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122A KR102141951B1 (ko) | 2018-06-19 | 2018-06-19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122A KR102141951B1 (ko) | 2018-06-19 | 2018-06-19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887A KR20190142887A (ko) | 2019-12-30 |
KR102141951B1 true KR102141951B1 (ko) | 2020-08-06 |
Family
ID=6910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0122A KR102141951B1 (ko) | 2018-06-19 | 2018-06-19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95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2285Y1 (ko) | 1997-03-25 | 1999-07-15 | 오재진 | 관로구 장치 |
JPH1151268A (ja) * | 1997-07-30 | 1999-02-26 | Inoac Corp | 管継手 |
KR20140004607U (ko) * | 2013-01-29 | 2014-08-06 | 박현순 | 관로용 접속구 |
KR20140114154A (ko) | 2013-03-18 | 2014-09-26 | 주수영 | 관로구어댑터 |
KR101542741B1 (ko) | 2013-11-29 | 2015-08-07 | 주식회사 피앤아이 | 관 연결용 커플링 장치 |
-
2018
- 2018-06-19 KR KR1020180070122A patent/KR10214195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887A (ko) | 2019-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59905527D1 (de) | Wellrohr mit Fuss | |
RU2510554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конца защитной трубки кабеля | |
MY133366A (en) |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 |
KR101126728B1 (ko) |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 |
KR200484415Y1 (ko) |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 |
KR102141951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 |
KR100706785B1 (ko) |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 |
US10539256B2 (en) | Conduit adapters | |
KR100607034B1 (ko) |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 |
KR102321027B1 (ko) | 전선관 커넥터 | |
KR101035553B1 (ko) |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 |
KR20130096932A (ko) | 방수기능을 갖는 전선관용 커넥터 | |
KR101047503B1 (ko) | 분기관 소켓 | |
JP3708043B2 (ja) | 下水道本管補修方法 | |
KR100696402B1 (ko) | 내진형 관 연결구 | |
KR100646862B1 (ko) | 주택건설 배선용 주름관과 배전박스 연결 조립체. | |
KR100712315B1 (ko) | 건축 전기배관 누수 방지시설구조 | |
KR100987930B1 (ko) | 통신선 보호구가 마련된 지중매설용 하수관 | |
CN205609850U (zh) | 航空三通连接头 | |
KR100519107B1 (ko) | 상하수관 이음장치 | |
KR200436075Y1 (ko) | 수도관 연결장치 | |
JP3733474B2 (ja) | 防水性可撓電線管用コネクター | |
JP4180499B2 (ja) | 管体への取着体の取着装置、及び管体の取着構造 | |
JP4745402B2 (ja) | 銅ケーブル撤去用ジグ | |
KR100383429B1 (ko) | 케이블 다발 견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