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71Y1 -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71Y1
KR200475171Y1 KR2020100004203U KR20100004203U KR200475171Y1 KR 200475171 Y1 KR200475171 Y1 KR 200475171Y1 KR 2020100004203 U KR2020100004203 U KR 2020100004203U KR 20100004203 U KR20100004203 U KR 20100004203U KR 200475171 Y1 KR200475171 Y1 KR 200475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interlock
stopp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169U (ko
Inventor
박재창
김석원
곽성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4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7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8Operating arrangements with a plurality of interruptible circuit paths in single vacuum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는, 진공차단기의 몸체에 설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 축 방향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력 전달에 의해 디스커넥션, 테스트, 커넥션의 3 포지션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인터록 스크류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서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스크류의 길이방향 일단을 록킹 및 해지시키고, 록킹 해지시 상기 인터록 스크류가 1 포지션 회전할 때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해 록킹 위치로 복귀되는 스토퍼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일단을 밀어 록킹 해지 위치로 걸림 위치시키고, 상기 스토퍼가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될 때 걸림이 해지되는 록킹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기 스토퍼로 이동시켜 록킹 해지를 이루고, 상기 스토퍼와 걸림이 해지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푸쉬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3-Position Interlock Mechanism for Vacuum CircuitBreak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포지션(Dis-connection, Test, Connection)에서 진공차단기(VCB)가 도착할 때 자동으로 랙(Rack)을 걸어 인출입이 되지 않도록 하고, 다시 인출입을 시도할 때에는 랙(Rack)을 해지한 상태에서만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출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나 재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록킹을 해지하기 위한 방법이 핸들 타입이 아닌 푸쉬버튼 타입이기 때문에 작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정상 부하 시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되는 아아크(Arc)를 진공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통상적으로 코일이 전류 차단 중에 분리된 접점들 사이에 설정된 아크 전류 통로에 평행하게 축 방향 자계를 인가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진공차단기들 중에서는 컨넥션 포지션(Connection Position), 테스트 포지션(Test Position), 디스컨넥션 포지션(Disconnection Position)으로 구성된 3-포지션 인출입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인출입장치는, 인출입시 각 포지션에서 록킹을 해지할 경우, 사용자가 핸들 타입의 레버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해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인출입장치는 핸들 타입의 레버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경우, 레버에 과도한 힘이 레버에 가해져 레버 자체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 레버의 복귀 동작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3 포지션(3-Position)에서 위치했을 때 푸쉬버튼의 누름 동작을 통해 록킹 및 해지 동작을 이룸으로써, 진공차단기의 인출입시 록킹 및 해지를 보다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제공되고, 푸쉬버튼의 복귀 속도가 빠르고 정확하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확보되는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의 몸체에 설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 축 방향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력 전달에 의해 디스커넥션, 테스트, 커넥션의 3 포지션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인터록 스크류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서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스크류의 길이방향 일단을 록킹 및 해지시키고, 록킹 해지시 상기 인터록 스크류가 1 포지션 회전할 때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해 록킹 위치로 복귀되는 스토퍼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일단을 밀어 록킹 해지 위치로 걸림 위치시키고, 상기 스토퍼가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될 때 걸림이 해지되는 록킹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기 스토퍼로 이동시켜 록킹 해지를 이루고, 상기 스토퍼와 걸림이 해지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록 스크류는, 길이방향 일단의 원주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제1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인터록 스크류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과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걸림판의 록킹 및 해지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판은 일단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절개된 걸림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단부를 록킹 해지 위치로 밀기 위해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따라 록킹 해지 위치로 밀려 이동된 상기 걸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 홈을 이루는 가이드 홀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 홀의 길이 만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2-포지션 인출입장치.
또한,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록킹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록킹을 해지한 상태에서만 인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인출입시 푸쉬버튼을 이용해 록킹 및 해지 동작을 편리하게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취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방지, 제품의 보호, 품질향상, A/S의 축소 등으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의 록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의 록킹 해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의 록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의 록킹 해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렉 해지구조는, 진공차단기의 몸체(100)에 설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200) 상에 축 방향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디스커넥션(Dis-connection), 테스트(Test), 커넥션(Connection)의 3 포지션(3-Position)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인터록 스크류(300)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200) 상에서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의 길이방향 일단을 록킹 및 해지시키고, 록킹 해지시에는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가 1 포지션 회전할 때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해 록킹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을 이루는 스토퍼(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2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스토퍼(400)의 일단을 밀어 록킹 해지 위치로 걸림 위치시키고, 상기 스토퍼(400)가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될 때 걸림이 해지되는 록킹 플레이트(500)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20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500)를 상기 스토퍼(400)로 이동시켜 록킹 해지를 이루고, 상기 스토퍼(400)와 걸림이 해지된 상기 록킹 플레이트(500)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푸쉬버튼(60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중, 인터록 스크류(300)는 인터록 플레이트(2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포지션으로 회전하여 인출입을 이루며,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제1걸림홈(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홈(310)은 인터록 스크류(300)의 원주를 따라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400)는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의 길이방향 일단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411)과, 상기 관통홀(411)의 내주에는 상기 제1걸림홈(31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412)가 돌출 형성되는 걸림판(41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걸림판(410)은, 인터록 플레이트(200)의 상면에서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의 길이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412)가 제1걸림홈(310)에 삽입 및 탈거 됨에 따라 인터록 스크류(300)가 회전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410)의 일면과 인터록 플레이트(200)의 상부 면에는 인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제1탄성부재(52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520)는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관통홀(411)은, 상기 걸림판(410)의 록킹 및 해지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걸림판(410)이 록킹 및 해지 위치로 가변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이동길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걸림판(410)의 일단에는 록킹 플레이트(50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절개된 걸림단부(41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부(413)는 걸림판(410)의 일단 하부에 형성되어 록킹 플레이트(500)가 출몰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500)는 걸림판(410)이 위치된 일단에 경사면(5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510)은 걸림판(410)을 향하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510)을 따라 록킹 해지 위치로 밀려 일측으로 이동된 상기 걸림단부(413)가 삽입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제2걸림홈(520)이 경사면(510)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510)은 걸림판(410)을 록킹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록킹 플레이트(500)가 걸림판(410)으로 이동할 때 경사면(510)이 걸림단부(413)를 록킹 해지 위치로 밀게 된다.
이때, 걸림판(410)은 인터록 스크류(300)를 록킹하는 위치에서 록킹 해지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 순간 인터록 스크류(300)의 제1걸림홈(310)에 삽입된 걸림돌기(412)가 분리가 됨과 동시에, 걸림단부(413)가 록킹 플레이트(500)의 제2걸림홈(520)에 걸림 위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인터록 스크류(300)의 록킹이 해지된 상태가 되고, 제1탄성부재(520)가 걸림판(410)이 이동한 거리 만큼 일정한 길이로 늘어난 상태가 된다. 이후, 인터록 스크류(300)가 1 포지션 회전하면서 걸림판(410)을 록킹 해지 위치로 조금 더 밀어 이동시키면, 제2걸림홈(520)에 삽입된 걸림단부(413)가 분리되면서 록킹 플레이트(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후, 인터록 스크류(300)가 1 포지션 회전을 완료하면, 걸림판(410)이 제1탄성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제1걸림홈(310)에 걸림돌기(412)가 삽입되어 인터록 스크류(300)가 회전되지 않는 록킹 상태로 변경e된다.
한편, 상기 록킹 플레이트(5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 홈을 이루는 가이드 홀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530)에는, 상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200) 상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 플레이트(500)가 상기 가이드 홀(530)의 길이 만큼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체결부재(5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홀(530)과 체결부재(540)는 록킹 플레이트(5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터록 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정확한 경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푸쉬버튼(600)은, 인터록 플레이트(200)를 통해 록킹 플레이트(500)에 연결되며,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200)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차단기가 디스커넥션(Dis-connection) 위치에서 인입을 하기 위해 인터록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구비된 푸쉬버튼(600)을 누르는 경우, 상기 푸쉬버튼(600)에 연결된 록킹 플레이트(500)가 스토퍼(4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는 푸쉬버튼(600)을 누르는 힘에 의해 가압 된 상태가 된다.
이때, 록킹 플레이트(5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510)이 걸림판(4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단부(413)를 록킹 해지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때 작용하는 힘에 의해 걸림판(410)이 록킹 해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걸림단부(413)가 경사면(510)을 타고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록킹 플레이트(500)의 일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걸림홈(520) 내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며, 인터록 스크류(300)의 걸림돌기(412)가 제1걸림홈(3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인터록 스크류(300)의 록킹이 해지된 상태가 되므로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가해지는 구동력에 의해 인터록 스크류(300)가 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록 스크류(300)가 회전을 시작할 경우 인터록 스크류(300)의 원주 면이 걸림돌기(412)의 단부를 록킹 해지 방향으로 밀면서 걸림판(410)을 조금 더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걸림판(410)이 조금 더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걸림단부(413)가 록킹 플레이트(500)의 제2걸림홈(52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상기 제2걸림홈(520)과 걸림단부(413)가 분리됨과 동시에 푸쉬버튼(600)에 구비된 제2탄성부재의 압축력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5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인터록 스크류(300)가 1 포지션 회전을 완료하면, 제1탄성부재(520)의 인장력에 의해 걸림판(4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걸림돌기(412)가 인터록 스크류(300)의 제1걸림홈(310) 내부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인터록 스크류(300)가 걸림판(410)의 걸림돌기(412)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푸쉬버튼(600)을 다시 누르기 전까지는 인출입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쉬버튼(600)을 눌러 록킹을 해지한 상태에서 디스커넥션, 테스트, 커넥션 포지션으로 선택 위치시킨 후 인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록킹을 해지한 상태에서만 인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인출입시 누름 동작에 의한 편리한 록킹 동작과 탄성력에 의한 빠른 해지 동작을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취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방지, 제품의 보호, 품질향상, A/S의 축소 등으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몸체 200: 인터록 플레이트
300: 인터록 스크류 310: 제1걸림홈
400:스토퍼 410: 걸림판
411: 관통홀 412: 걸림돌기
413: 걸림단부 420: 제1탄성부재
500: 록킹 플레이트 510: 경사면
520: 제2걸림홈 530: 가이드 홀
540: 체결부재 600: 푸쉬버튼
610: 제2탄성부재

Claims (6)

  1. 진공차단기의 몸체에 설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 축 방향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력 전달에 의해 디스커넥션, 테스트, 커넥션의 3 포지션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인터록 스크류;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서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스크류의 길이방향 일단을 록킹 및 해지시키고, 록킹 해지시 상기 인터록 스크류가 1 포지션 회전할 때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해 록킹 위치로 복귀되는 스토퍼;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일단을 밀어 록킹 해지 위치로 걸림 위치시키고, 상기 스토퍼가 록킹 해지 위치로 더 이동될 때 걸림이 해지되는 록킹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기 스토퍼로 이동시켜 록킹 해지를 이루고, 상기 스토퍼와 걸림이 해지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푸쉬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스크류는, 길이방향 일단의 원주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인터록 스크류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과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판은, 일단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절개된 걸림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단부를 록킹 해지 위치로 밀기 위해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따라 록킹 해지 위치로 밀려 이동된 상기 걸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걸림판의 록킹 및 해지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 홈을 이루는 가이드 홀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 홀의 길이 만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록킹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KR2020100004203U 2010-04-21 2010-04-21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KR200475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03U KR200475171Y1 (ko) 2010-04-21 2010-04-21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03U KR200475171Y1 (ko) 2010-04-21 2010-04-21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169U KR20110010169U (ko) 2011-10-27
KR200475171Y1 true KR200475171Y1 (ko) 2014-11-11

Family

ID=5228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03U KR200475171Y1 (ko) 2010-04-21 2010-04-21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0150A (zh) * 2017-07-11 2020-03-06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底盘车合闸闭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59Y1 (ko) * 2010-08-23 2015-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CN109346972B (zh) * 2018-11-29 2023-11-24 常州市耕耘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抽出式断路器的改进型三位置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651A (ko) * 2004-07-13 2006-0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차단기용 주 스위치 이송장치
KR200441146Y1 (ko) * 2007-03-08 2008-07-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0952655B1 (ko) * 2009-07-06 2010-04-13 현대파워텍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포지션별 동작 제어장치
KR20110015920A (ko) * 2009-08-10 2011-02-17 대영정공(주)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651A (ko) * 2004-07-13 2006-0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차단기용 주 스위치 이송장치
KR200441146Y1 (ko) * 2007-03-08 2008-07-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0952655B1 (ko) * 2009-07-06 2010-04-13 현대파워텍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포지션별 동작 제어장치
KR20110015920A (ko) * 2009-08-10 2011-02-17 대영정공(주)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0150A (zh) * 2017-07-11 2020-03-06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底盘车合闸闭锁装置
CN110870150B (zh) * 2017-07-11 2021-03-09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底盘车合闸闭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169U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9641B2 (en) Installation switchgear having a spring-loaded terminal arrangement
KR101010764B1 (ko)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JP4153794B2 (ja) 引出形遮断器の搬送機構
KR200475171Y1 (ko)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US6838626B2 (en) Electric switch with a drive shaft and a blocking mechanism for blocking actuation of the drive shaft
JP6334641B2 (ja) 気中遮断器の引込及び引出装置
US11164705B2 (en) Switc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switch
US6031195A (en) Latch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overload protection switch, in particular for a motor-protection circuit breaker
US7978458B2 (en) Locking device and withdrawable rack provided with said locking device
KR200476959Y1 (ko)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783216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US2943162A (en) Circuit breaker having locking provision
JP414849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20120045730A (ko) 2중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CN209929836U (zh) 抽出式开关柜的联锁机构及抽出式开关柜
KR200473530Y1 (ko) 진공차단기용 3-포지션 랙 해지 버튼 잠금장치
KR101668026B1 (ko)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JP4449667B2 (ja) 引出形開閉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219436494U (zh) 用于开关柜的抽屉和开关柜
KR20210015797A (ko)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안전 스위치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CN220306828U (zh) 抽屉联锁装置和低压开关柜
JPS62155706A (ja) 電気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