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44Y1 - 꼬치구이기 - Google Patents

꼬치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44Y1
KR200475144Y1 KR2020130000846U KR20130000846U KR200475144Y1 KR 200475144 Y1 KR200475144 Y1 KR 200475144Y1 KR 2020130000846 U KR2020130000846 U KR 2020130000846U KR 20130000846 U KR20130000846 U KR 20130000846U KR 200475144 Y1 KR200475144 Y1 KR 200475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plate
moving frame
sk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653U (ko
Inventor
박미월
Original Assignee
박미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월 filed Critical 박미월
Priority to KR2020130000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4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캔의 하단부가 하측에 위치한 캔의 커버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캔의 커버에 결속용 밴드가 지나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하 개방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측판,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하판, 그리고 상기 측판의 하단부와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가 상호 맞물리어 상기 하판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시밍부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을 폐쇄하게 되는 가림판, 그리고 상기 가림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지게 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림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상방 돌출되되 상기 가림판의 가장자리에 시밍부걸림턱을 이루며 돌출된 네 융기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가 지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융기부 사이에 각각 마련된 네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바디와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가 네 공간부에 의해 커버의 가장자리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바디의 시밍부가 하측에 위치한 커버의 융기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캔의 적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꼬치구이기{Skewer roaster}
본 고안은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로의 상측에 놓인 꼬챙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꼬챙이에 꽂힌 음식물이 고르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화로의 상측에 놓인 꼬챙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꼬치구이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9682호(2012년 11월 08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화로가 구비된 통상의 꼬치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꼬치 구이기의 상부에 기본틀과 수용틀과 구동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케이스에 수용된 모터와 연동되는 캠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로 유동됨을 안내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과 상기 수용틀에는 치차가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은 기본틀에 형성된 베이스에 분리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꼬치대가 삽입되어 레일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는 기어체가 장착되어 꼬치대에 꽂아진 피구이물이 회전되면서 전체부분이 골고루 익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꼬치대에 끼워진 피구이물이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으며, 기존의 꼬치구이기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꼬치구이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캠의 회전에 의하여 수용틀과 레일이 좌우로 반복 유동되고, 이에 따라 레일에 형성된 치차와 맞물린 기어체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기어체에 끼워진 꼬치대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장치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우로 반복 유동되는 기어체에 꼬치대를 끼워넣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며, 레일과 기어체 사이에 낀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화로의 상측에 놓인 꼬챙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꼬챙이에 꽂힌 음식물이 고르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꼬챙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꼬치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꼬치구이기는,
화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홈을 갖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고,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을 진퇴 동작케 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각 안착홈에 놓인 철재 꼬챙이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꼬챙이를 끌어당기게 되는 자기장발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꼬치구이기는,
안착홈에 놓인 철재 꼬챙이가 이동프레임의 진퇴 동작시 자기장발생부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써, 꼬챙이에 꽂힌 음식물이 고르게 구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장치의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꼬치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프레임, 이동프레임 및 자기장발생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꼬치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꼬치구이기는 크게 고정프레임(100), 이동프레임(200), 구동유닛(300) 및 자기장발생부(4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고정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져 화로(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홈(110)을 갖는다.
여기서 화로(10)는 상단부에 결합된 플랜지(11)에 의해 식탁(30, 도 3 참조)의 중앙에 설치된다. 화로(10)는 숯불이 담기는 용기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로스터(roaster)와 같이 가스나 전기를 이용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횡프레임(120)과,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종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횡프레임(120)은 기다란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횡프레임(120)의 양단부 하부에는 이동프레임(200)을 받치게 되는 지지부(14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각 횡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홈(110) 배열된다.
각 안착홈(110)은 횡프레임(120)의 상면에서 하방 요입 형성되며, 각 횡프레임(120)에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두 안착홈(110)에 철재 꼬챙이(20)의 양측이 끼워져 놓이게 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00)을 화로(10)에 장착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100)의 네 모서리 하부에는 각각 하방 돌출된 장착부(150)가 형성되고, 화로(10)의 플랜지(11)에는 고정프레임(100)의 각 장착부(120)가 끼워지게 되는 대응장착부(12)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다 구워진 꼬챙이(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대(160)가 형성된다.
받침대(160)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프레임(100)과 연결된다.
이동프레임(200)은
고정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고정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프레임(200)은 사각 틀 형태로서, 고정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횡프레임(230)과,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종프레임(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프레임(200)의 각 횡프레임(230)과 각 종프레임(240)은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이때 이동프레임(200)의 횡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진퇴 동작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00)의 횡프레임(120)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갖는다.
이동프레임(200)은 고정프레임(100)에 형성된 지지부(140)에 얹혀진다.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200)은 고정프레임(100)을 이루는 종프레임(120)의 하부 측에 위치하게 되고, 각 안착홈(110)에 놓인 꼬챙이(20)는 이동프레임(200)의 상면에 얹혀지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지지부(140)에는 이동프레임(200)이 원활하게 진퇴 동작할 수 있도록 바퀴나 롤러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200)을 진퇴 동작케 하는 것으로서,
모터(310);
모터(310)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게 되는 편심부재(320);
편심부재(320)에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그 회전 중심이 모터(310)의 샤프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되고, 편심부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되는 중계부재(330); 그리고
중계부재(330)의 단부에 결합되고, 중계부재(33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요동 운동하게 되는 요동부재(3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310)는 식탁(30)의 하면에 장착된 브래킷(350)에 고정되며,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와 연결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편심부재(320)를 회전시키게 된다.
편심부재(320)는 원판(圓板) 또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모터(310)의 샤프트와 중계부재(330)의 회전 중심이 상호 이격되도록 모터(310)와 중계부재(330)를 연결하게 된다.
중계부재(330)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가로로 뉘어지게 배치되며, 편심부재(320)와 요동부재(34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요동부재(340)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기립 배치되며, 하단부가 중계부재(330)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화로(10)의 플랜지(11)를 관통하여 식탁(30) 위로 노출된다.
요동부재(340)는 그 중앙부가 브래킷(350)에 연결된 고정부재(36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에 따라 중계부재(330)의 왕복 운동시 식탁(30) 위로 노출된 상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 운동하게 된다.
한편, 이동프레임(200)에는 식탁(30) 위로 노출된 요동부재(340)의 단부가 연결되는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결합부(220)는 요동부재(340)의 상단부가 이동프레임(200)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동프레임(200)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며, 이 결합부(220)에 의해 요동부재(340)와 연결된 이동프레임(200)은 요동부재(340)의 요동 운동에 의하여 고정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 동작하게 된다.
자기장발생부(400)는
이동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고정프레임(100)의 각 안착홈(110)에 놓인 철재 꼬챙이(20)가 이동프레임(200)의 상면과 접하도록 꼬챙이(20)를 끌어당기게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자기장발생부(40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프레임(200)의 양측에는 각각 사각파이프 형태의 부착대(210)가 장착된다.
즉, 이동프레임(200)은 부착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기장발생부(400)는 부착대(210)에 내장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고장프레임(100)의 각 안착홈(110)에 놓인 철재 꼬챙이(20)가 부착대(2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꼬챙이(20)를 끌어당기게 된다.
그리고 이동프레임(200) 및 이의 부착대(210)가 구동유닛(300)에 의해 진퇴 동작되는 것과는 달리, 이동프레임(200)에 얹힌 꼬챙이(20)는 안착홈(110)에 걸리어 이동할 수 없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꼬챙이(20)는 이동프레임(200)의 진퇴 동작시 자기장발생부(400)의 자기력(磁氣力)에 의해 부착대(2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부착대(210)의 상면에 접촉된 철재 꼬챙이(20)는 자기장발생부(400)의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대(210)와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이동프레임(200)의 진퇴 동작시 부착대(210)의 상면을 구르며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기장발생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의 자석으로 이루어져 이동프레임(200)의 부착대(210)에 내장되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동프레임(200)의 각 횡프레임(230)에 내장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이동프레임(200)의 각 횡프레임(230)을 자석으로 제작하는 등, 자기장을 발생시켜 고정프레임(100)의 각 안착홈(110)에 놓인 철재 꼬챙이(20)가 이동프레임(200)의 상면과 접하도록 꼬챙이(20)를 끌어당기게 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꼬치구이기는 안착홈에 놓인 철재 꼬챙이가 이동프레임의 진퇴 동작시 자기장발생부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써, 꼬챙이에 꽂힌 음식물이 고르게 구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장치의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구이를 마친 후 장치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동유닛(300)에 의하면, 요동부재(340)의 요동 운동 방향과, 이동프레임(200)의 진퇴 동작 방향이 일치하게 됨으로써 이동프레임(200)의 진퇴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유닛(300)이 식탁(3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각종 음식물이나 기름때 등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더욱 간결하고 청결한 느낌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꼬치구이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정프레임
110 ; 안착홈 120 ; 횡프레임
130 ; 종프레임 140 ; 지지부
150 ; 장착부 160 ; 받침대
200 ; 이동프레임
210 ; 부착대 220 ; 결합부
230 ; 횡프레임 240 ; 종프레임
300 ; 구동유닛
310 ; 모터 320 ; 편심부재
330 ; 중계부재 340 ; 요동부재
350 ; 브래킷 360 ; 고정부재
400 ; 자기장발생부

Claims (3)

  1. 화로(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안착홈(110)을 갖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고정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00);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200)을 진퇴 동작케 하는 구동유닛(300);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각 안착홈(110)에 놓인 철재 꼬챙이(20)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꼬챙이(20)를 끌어당기게 되는 자기장발생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300)은
    모터(310);
    상기 모터(310)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게 되는 편심부재(320);
    상기 편심부재(320)에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그 회전 중심이 상기 모터(310)의 샤프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편심부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되는 중계부재(330);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33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중계부재(33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요동 운동하게 되는 요동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프레임(200)에는 상기 요동부재(340)의 단부가 연결되는 결합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양측에 각각 장착된 사각파이프 형태의 부착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장발생부(400)는 상기 각 부착대(210)에 내장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기.
  3. 삭제
KR2020130000846U 2013-02-01 2013-02-01 꼬치구이기 KR200475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46U KR200475144Y1 (ko) 2013-02-01 2013-02-01 꼬치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46U KR200475144Y1 (ko) 2013-02-01 2013-02-01 꼬치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53U KR20140004653U (ko) 2014-08-11
KR200475144Y1 true KR200475144Y1 (ko) 2014-11-12

Family

ID=5228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846U KR200475144Y1 (ko) 2013-02-01 2013-02-01 꼬치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615A (zh) * 2015-07-03 2015-09-23 陕西火柴机电科技有限公司 卧式自动烤串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29Y1 (ko) * 2016-05-13 2018-03-13 김욱동 테이블용 꼬치구이장치
KR101879035B1 (ko) * 2016-06-20 2018-07-16 김석원 테이블 사용을 위한 공간확보와 꼬치구이를 위한 레일의 설치가 용이한 꼬치구이기
KR102078902B1 (ko) * 2017-12-18 2020-04-02 김석원 레일이 임의로 놓여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장착되는 자동 꼬치구이기
KR200493253Y1 (ko) * 2019-08-08 2021-03-02 김 진 곤 자동 꼬치 구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91Y1 (ko) * 2007-10-01 2009-05-12 엘틱스 주식회사 꼬치구이 장치
KR20110018509A (ko) * 2009-08-18 2011-02-24 장춘란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91Y1 (ko) * 2007-10-01 2009-05-12 엘틱스 주식회사 꼬치구이 장치
KR20110018509A (ko) * 2009-08-18 2011-02-24 장춘란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615A (zh) * 2015-07-03 2015-09-23 陕西火柴机电科技有限公司 卧式自动烤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53U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144Y1 (ko) 꼬치구이기
JP6060154B2 (ja) 食品を細片に裁断するための器具
EP2124688B1 (en) Barbecue
EP2967256B1 (en) Cooking assembly
FR2538288A1 (fr) Plateau magnetique a aimants permanents
WO2017163239A1 (en) Automatically closing dispenser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ES2342789T3 (es) Tostadora.
US9131802B2 (en) Rotating grill for grilling food
KR101342307B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130021042A (ko) 자석식 꼬치 구이 장치
KR101879035B1 (ko) 테이블 사용을 위한 공간확보와 꼬치구이를 위한 레일의 설치가 용이한 꼬치구이기
KR102032692B1 (ko)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KR101961212B1 (ko) 꼬치 꼬챙이 절단기
JP2020081615A (ja) 調理装置
CN105832172B (zh) 一种烧烤炉
KR20110018509A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2126160B1 (ko) 로스터 장치
CN204520528U (zh) 打灰装置和具有该打灰装置的吸尘器
JP5767031B2 (ja) 炒め装置
KR20170136102A (ko) 전기 구이기
KR101105723B1 (ko) 그릴거치대를 구비하는 바비큐장치
KR101347695B1 (ko) 체인식 구이용 불판을 갖는 식탁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101896006B1 (ko) 불판유닛 이동형 스크래핑 불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