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19Y1 - 유아용 탁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19Y1
KR200474419Y1 KR2020120011353U KR20120011353U KR200474419Y1 KR 200474419 Y1 KR200474419 Y1 KR 200474419Y1 KR 2020120011353 U KR2020120011353 U KR 2020120011353U KR 20120011353 U KR20120011353 U KR 20120011353U KR 200474419 Y1 KR200474419 Y1 KR 200474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cushioning material
baby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598U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현 filed Critical 신동현
Priority to KR2020120011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1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3/00Children's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련의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의 외측면은 각각 테이블면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평탄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의 내측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쿠션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탁자에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탁자를 회전시키면 상판뿐만 아니라 바닥판 및 좌,우측판도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판과 바닥판 사이의 간격과 좌,우측판 사이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유아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성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탁자{TABLE FOR CHILDREN}
본 고안은 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드러운 재질의 외피 내부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재를 충전하여 유아들이 부딪히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처가 발생하지 않으며, 하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여 유아들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유아용 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는 식사·응접·회의 등에 쓰이는 가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판(板)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탁자는 그 용도에 따라 크게 식사용 탁자, 응접용 탁자, 티테이블, 회의용 탁자, 사이드 탁자 등으로 구분되며, 병원침대용 탁자나 유아용 탁자와 같이 특수한 용도로 제작되기도 한다.
이 중 유아용 탁자는 상판과 다리의 크기를 유아의 신장에 맞추어 소형으로 제작하여 주로 유아들이 식사를 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유아가 있는 가정이나 보육원, 어린이 집, 유치원 등에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63975호 '놀이 테이블(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과 같이 유아용 탁자의 상판에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형성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들은 항상 새로운 사물이나 자극에 흥미를 느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 개월 정도까지는 테이블에 형성된 놀이기구를 가지고 놀이를 즐기게 되지만 그 이후에는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어 급기야 방치되고야 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놀이 테이블은 상판과 다리가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서 몸의 평형을 잡는 감각기관이 아직 미성숙한 유아들이 테이블측으로 넘어지거나 부딪히게 되면 신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잦은 상처가 발생하여 부모들이 놀이 테이블을 사용하는 유아를 두고 자리를 비우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유아용 테이블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유아들이 오랜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 상면에서 식사와 학습 및 오락을 겸하여 즐길 수 있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들이 테이블을 향하여 넘어지거나 부딪히더라도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감쇄되어 멍이나 긁히는 등의 상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유아들이 테이블의 하부공간에서도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일련의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의 외측면은 각각 테이블면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평탄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의 내측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쿠션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탁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 사이에 상기 쿠션공간부를 가로방향으로 구획하는 중간판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일련의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바닥판 및 중간판은 부드러운 재질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형성되는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재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탁자를 회전시키면 상판뿐만 아니라 바닥판 및 좌,우측판도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판과 바닥판 사이의 간격과 좌,우측판 사이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유아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성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탁자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쿠션재와 부드러운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아들이 테이블에 부딪히더라도 멍이나 상처가 발생하지 않고, 테이블의 하부공간에 내측면이 쿠션재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쿠션공간부를 형성하여 유아들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모 또는 유치원 등의 교사들이 유아들을 안심하고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쿠션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전체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3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쿠션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전체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탁자(1)는 상판(10)과, 좌측판(30)과, 우측판(40)과, 바닥판(20) 및 중간판(50)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바닥판(20) 및 중간판(50)은 유아들이 탁자(1)로 넘어지거나 부딪혀도 멍이나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외피(L)와, 외피(L)의 내부에 형성되는 쿠션재(F)로 이루어진다.
쿠션재(F)는 상술한 바와 같은 충격흡수의 기능은 물론 부피감이 있는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져 탁자(1)의 골격을 이루는 외형적인 부피를 형성하도록 쿠션 작용이 좋고 단열성이 우수해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주며 친환경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형성된다. 물론, 폴리우레탄 폼 이외에도 스티로폼이나 발포수지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황토나, 토르말린 등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외피(L)는 쿠션재(F)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피부에 닿았을 때 부드러운 감촉과 느낌을 주며, 유아들이 물이나 쥬스를 엎지르거나 싸인펜으로 낙서를 해도 쉽게 제거될 수 있고, 먼지가 들러붙지 않도록 표면방수처리가 된 폴리우레탄 인조가죽으로 형성된다. 외피(L)의 재질이 폴리우레탄 인조가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닐류, 가죽류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아용 탁자(1)는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바닥판(20) 및 중간판(50)의 쿠션재(F1~F5)가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이루어진 쿠션재(F1~F5)의 외부를 외피(L)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및 바닥판(20)의 쿠션재(F1~F4)는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長方形)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서 서로 직각방향으로 접착되고, 좌측판 쿠션재(F3)와 우측판 쿠션재(F4) 사이에 상판 쿠션재(F1)를 지지하는 중간판 쿠션재(F5)가 접착되어 탁자(1)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일체로 형성된 쿠션재(F)의 전면(全面)에 외피(L)가 접착되어 상판(10)의 상면은 유아들이 식사를 하거나 학습을 할 수 있는 테이블면으로 형성되고, 상판(10)의 하부에는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바닥판(20) 및 중간판(50)으로 둘러싸여 아이들이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한 쌍의 쿠션공간부(60)가 형성된다.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바닥판(20) 및 중간판(50)의 조립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판 쿠션재(F2)의 좌,우측 단면에 좌,우측판 쿠션재(F3,F4)의 안쪽면의 하단부를 각각 접착하고, 바닥판 쿠션재(F2)의 상면의 중간에 중간판 쿠션재(F5)의 하단면을 접착한다. 그리고, 상판 쿠션재(F1)의 양단면을 좌,우측판 쿠션재(F3,F4)의 상단면과 접착한다. 상판 쿠션재(F1)의 양단면과 좌,우측판 쿠션재 (F3,F4)의 상단면은 수직 방향과 측면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대략 45도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사선방향의 접면을 갖는다. 이때, 중간판 쿠션재(F5)의 상단면도 상판 쿠션재(F1)의 중간에 접착된다.
그리고, 일체로 접착조립된 쿠션재(F)의 전면(全面)에 외피(L)를 접착한다. 이때, 상판(10)의 상면에 접착되는 외피(L)에 장력을 가하여 테이블면의 양단부를 뭉툭하게 라운드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외피(L)는 접착되지 않고 재봉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재봉선은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쿠션공간부(6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재(F1~F4)가 내장된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및 바닥판(20)으로 둘러싸이고, 중간판(5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사각단면의 터널형태로 형성되어 유아들이 의자에 착석하여 상판(10)의 상면에서 식사나 학습을 할 때 바닥판(20)의 상면에 유아들의 발이 부드럽게 안착될 수 있고, 기립시에는 무릎이나 발가락이 부딪혀도 충격이 없으며, 놀이시간에는 쿠션공간부(60)를 통과하며 놀이를 즐길 수가 있다.
한편, 상판(10), 좌측판(30), 우측판(40) 및 바닥판(20)의 외측면은 굴곡된 부분이 없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각각 테이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령, 유아용 탁자(1)를 상판(10)의 상면이 바닥에 접촉하도록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판(10)의 상면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닥판(20)의 저면을 테이블면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판(10)과 바닥판(20)이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측판(30,40)이 테이블면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측판(30,40)의 외측면을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판(10) 및 바닥판(20)은 유아들이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판(10)과 바닥판(20) 사이의 거리를 유아들의 앉은 키에 맞게 형성하여 제작하고, 좌,우측판(30,40) 사이의 거리는 성인이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책상의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유아용 탁자(1)를 회전하여 유아와 어른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 유아용 탁자 10 : 상판
20 : 바닥판 30 : 좌측판
40 : 우측판 50 : 중간판
60 : 쿠션공간부 L : 외피
F : 쿠션재 F1 : 상판 쿠션재
F2 : 바닥판 쿠션재 F3 : 좌측판 쿠션재
F4 : 우측판 쿠션재 F5 : 중간판 쿠션재

Claims (4)

  1. 일련의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의 외측면은 각각 테이블면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바닥판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은 전후가 개방되는 터널형태의 쿠션 공간부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는 상기 쿠션 공간부를 가로방향으로 구획하는 중간판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바닥판 및 중간판은 각각 쿠션재로 이루어져 일체형태로 접착되어 구성되고, 일체형태로 접착되어 구성된 쿠션재의 외부에는 외피가 감싸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탁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탁자.
KR2020120011353U 2012-12-05 2012-12-05 유아용 탁자 KR200474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53U KR200474419Y1 (ko) 2012-12-05 2012-12-05 유아용 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53U KR200474419Y1 (ko) 2012-12-05 2012-12-05 유아용 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98U KR20140003598U (ko) 2014-06-13
KR200474419Y1 true KR200474419Y1 (ko) 2014-09-17

Family

ID=5200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353U KR200474419Y1 (ko) 2012-12-05 2012-12-05 유아용 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1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788A (ja) 2006-05-13 2007-12-27 Hatsue Suda 自動車座席物品落下防止クッション籠
KR20080005081U (ko) * 2007-04-27 2008-10-30 김종성 쿠션테이블
KR20090031485A (ko) * 2007-09-22 2009-03-26 길재수 수납장 의자
KR20120058963A (ko) * 2010-11-30 2012-06-08 임지연 유아용 범퍼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788A (ja) 2006-05-13 2007-12-27 Hatsue Suda 自動車座席物品落下防止クッション籠
KR20080005081U (ko) * 2007-04-27 2008-10-30 김종성 쿠션테이블
KR20090031485A (ko) * 2007-09-22 2009-03-26 길재수 수납장 의자
KR20120058963A (ko) * 2010-11-30 2012-06-08 임지연 유아용 범퍼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98U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724B1 (ko) 접힘 부가 구성된 유아용 구르기 매트
US20160166068A1 (en) Chair with entertaining device for mutual interaction between people
JP2020507025A (ja) ドローイングカフェー
KR101503516B1 (ko)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200474419Y1 (ko) 유아용 탁자
KR101869343B1 (ko) 다목적 놀이블록
JP2007068784A (ja) 足置きマット
KR101779882B1 (ko) 식탁 의자 겸용 미끄럼틀
Gonzalez-Mena Infants and toddlers: What works? Assessing infant and toddler play environments
KR20100004819U (ko) 의자겸용매트
TWM568084U (zh) Padded combination structure
CN211984732U (zh) 一种可以转换成积木桌的座椅
KR200337301Y1 (ko) 쿳션부재를 구비한 아동용 의자
CN107960797A (zh) 一种多功能儿童桌椅
KR101574551B1 (ko) 다용도 가구
JP2014144089A (ja) ソファー
CN210077116U (zh) 一种多功能凳子
US11247096B2 (en) Mobility, muscle, and coordination development apparatus
Ivanova The Interior in School Buildings. Dimensions and Scales of the Elements of Interior Requirements for Elements of the Interior Space
KR200489212Y1 (ko) 다기능 유아용 의자
JP3219539U (ja) 相似縮小家具
JP3202729U (ja) ソファー
JP2007284924A (ja) 厚畳
KR200480832Y1 (ko) 다목적 유아용 테이블
KR200259615Y1 (ko) 꼬마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