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551B1 - 다용도 가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551B1
KR101574551B1 KR1020140097419A KR20140097419A KR101574551B1 KR 101574551 B1 KR101574551 B1 KR 101574551B1 KR 1020140097419 A KR1020140097419 A KR 1020140097419A KR 20140097419 A KR20140097419 A KR 20140097419A KR 101574551 B1 KR101574551 B1 KR 10157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fixed
main body
furniture
main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연주
Original Assignee
하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연주 filed Critical 하연주
Priority to KR102014009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는, 편평한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반대되며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를 가지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가구{MULTIFUNCTIONAL FURNITURE}
본 발명은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들은 부모나 보모들이 주의를 기울여 보호하여야 하며 신체 발달에 따라 운동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보살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를 보호하거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가구, 물품 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면 시간에 다른 사람들 또는 물건들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는 요람, 유아의 식사를 위한 유아용 식탁이 필요하며, 유아의 걷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행기, 놀이를 위한 유아용 장난감 등의 다양한 유아용 가구, 물품 등이 필요하다.
그런데 다양한 유아용 가구, 물품 등은 각각의 독립체로 형성되어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유아가 유아기를 지나 성장하게 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 버려지게 된다. 이는 경제적이지 않으며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유아 및 성인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용도로 변형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는, 편평한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반대되며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를 가지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 각각은 관통부를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1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4 가장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3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4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 각각은,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1 가장자리 쪽을 연결하는 제1 연결봉과,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2 가장자리 쪽을 연결하는 제2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를 전체적으로 덮는 시트 부재; 상기 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안장 부재; 상기 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테이블 판부재;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테이블 부재;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며, 상부로 연장되어 상부 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머리 부재;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되며, 경사지게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에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꼬리 부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바퀴 부재;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고정되는 판 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 부재;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등판부와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 부재;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바운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가장자리 위에 상기 시트 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다용도 가구가 흔들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브릿지부 위에 상기 시트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머리 부재의 상기 돌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머리 부재를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하고, 상기 꼬리 부재를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하여, 상기 다용도 가구가 흔들 요람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부재에서 상기 돌출된 부분에 장난감을 걸거나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브릿지부 위에 상기 안장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머리 부재의 상기 돌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머리 부재를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하고, 상기 꼬리 부재를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하여, 상기 다용도 가구가 흔들 목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의자 부재의 상기 등판부를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등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하여, 상기 다용도 가구가 흔들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상기 바운서 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다용도 가구가 바운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한 상태로 수납함 또는 요람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가 바닥 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봉에 상기 바퀴 부재를 장착하여 이동 수납함, 이동 요람, 보행기, 또는 장난감 자동차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봉에 상기 바퀴 부재를 장착하여, 이동 의자 또는 이동 스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봉에 상기 바퀴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상기 테이블 판부재를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상기 테이블 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다용도 가구가 이동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편평한 제1 가장자리와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에 의하여 제1 가장자리를 바닥에 위치시키거나 제2 가장자리를 바닥에 위치시켜 원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 부재, 안장 부재, 테이블 판부재, 테이블 부재, 머리 부재, 꼬리 부재, 바퀴 부재, 수납 부재, 의자 부재, 바운서 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부재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다용도 가구를 성인과 유아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생애 전반에 걸쳐 다용도 가구의 형태를 변형해 가면서 다용도 가구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이득이 되며 환경을 보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시트 부재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안장 부재와 테이블 판부재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테이블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머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꼬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바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수납 부재 및 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의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바운서 부재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일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는, 일정한 가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과,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130)와,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 프레임(110, 120) 각각은, 내부에 관통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110, 120) 각각은, 편평한 제1 가장자리(111a, 121a)를 포함하는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제1 가장자리(111a, 121a)와 반대되며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포함하는 제2 가장자리부(112, 122)와,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제2 가장자리부(112, 12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 가장자리부(113, 123)와,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제2 가장자리부(112, 12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4 가장자리부(114, 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를 가로지르면서 제3 가장자리부(113, 123)와 제4 가장자리부(114, 124)를 연결하면서 제2 가장자리부(112, 122)보다 제1 가장자리부(111, 121)에 가까이 위치하는 브릿지부(116, 126)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장자리부(111, 112, 113, 114)(121, 122, 123, 124)와 브릿지부(116, 126)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 120)은 가구의 강도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프레임(110, 120)은 자작나무 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작나부 합판은 원목에 비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레임(110, 120)이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30)가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일측(좀더 상세하게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3 가장자리부(113, 123))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140)가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타측(좀더 상세하게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4 가장자리부(114, 124))을 연결한다.
이때, 제1 연결부(130)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3 가장자리부(113, 123)의 제1 가장자리(111a, 121a) 쪽을 연결하는 제1 연결봉(131)과,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3 가장자리부(113, 123)의 제2 가장자리(112a, 122a) 쪽을 연결하는 제2 연결봉(13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연결부(130)의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에 의하여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3 가장자리부(113, 123)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의 단부는 마개부(134)에 의하여 마감될 수 있다. 마개부(134)는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외관을 향상시키고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 중 어느 하나에서 마개부(134)를 제거하고 이 부분에 바퀴 부재(도 2f의 참조부호 27, 이하 동일)를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연결부(140)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4 가장자리부(114, 124)의 제1 가장자리(111a, 121a) 쪽을 연결하는 제1 연결봉(141)과,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4 가장자리부(114, 124)의 제2 가장자리(112a, 122a) 쪽을 연결하는 제2 연결봉(14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 연결부(140)의 제1 및 제2 연결봉(141, 142)에 의하여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제4 가장자리부(114, 124)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봉(141, 142)의 단부는 마개부(144)에 의하여 마감될 수 있다. 마개부(144)는 제1 및 제2 연결봉(141, 1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외관을 향상시키고 제1 및 제2 연결봉(141, 14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연결봉(141, 142) 중 어느 하나에서 마개부(144)를 제거하고 이 부분에 바퀴 부재(27)를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141, 142)과 메인 프레임(110, 120)의 고정 구조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명 크로스 도웰(cross dowel) 지그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141, 142)과 메인 프레임(110, 120)을 고정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141, 142)과 메인 프레임(110, 1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141, 142)의 내부에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여 바퀴 부재(27)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의 구조, 형상 등으로는 다양한 구조,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30, 140)은 가구의 강도를 지지하면서 두 개의 메인 프레임(110, 1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30, 140)은 금속, 원목, 자작나무 합판,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130, 140)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 프레임(110, 120)과,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130)와, 제1 및 제2 연결봉(141, 142)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140)가 서로 조립되어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를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10)에는 다양한 결합 부재가 결합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결합 부재를 도 2a 내지 도 2i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i는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함께 도 2a 내지 도 2i를 참조하여 다양한 결합 부재를 각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시트 부재(21)를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시트 부재(21)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전체적으로 안착된다. 시트 부재(21)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서 제3 가장자리부(113, 123)와 제4 가장자리부(114, 124) 사이의 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져, 시트 부재(21)를 고정하면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시트 부재(21)가 높은 경도를 가지는 나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딱딱한 판 부재, 푹신한 느낌을 주는 쿠션 부재, 또는 섬유로 구성된 시트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시트 부재(21)가 딱딱한 판 부재 위에 쿠션 부재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시트 부재(21)가 딱딱한 판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일 예로, 시트 부재(21)가 자작나무 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작나부 합판은 원목에 비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 부재(21)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부재(21)는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가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편평한 제1 가장자리(111a, 121a) 위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시트 부재(21)는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가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장자리(111a, 121a)의 위에 걸쳐서 형성된 다음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를 통과하여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아래에 전체적으로 걸쳐서 형성되어, 제1 가장자리부(111, 12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시트 부재(21)가 안정적으로 본체(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안장 부재(22)와 테이블 판부재(23)를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b에 도시한 안장 부재(22)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부분적으로 안착된다. 안장 부재(22)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서 제3 가장자리부(113, 123)와 제4 가장자리부(114, 124)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안장 부재(22)를 고정하여도 안장 부재(22)와 제3 가장자리부(113, 123) 또는 제4 가장자리부(114, 124) 사이에서 공간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 공간으로 사용자의 다리 등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안장 부재(22)가 높은 경도를 가지는 나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딱딱한 판 부재, 푹신한 느낌을 주는 쿠션 부재, 또는 섬유와 같은 시트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안장 부재(22)가 딱딱한 판 부재 위에 쿠션 부재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안장 부재(22)가 딱딱한 판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일 예로, 안장 부재(22)가 자작나무 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작나부 합판은 원목에 비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장 부재(22)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장 부재(22)는 제2 가장자리(112a, 122a)가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가장자리(111a, 121a) 위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제1 가장자리부(111, 121)과 브릿지부(116, 126)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브릿지부(116, 126) 위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가장자리(111a, 121a)의 위에 걸쳐서 형성된 다음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를 통과하여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아래에 전체적으로 걸쳐서 형성되어, 제1 가장자리부(111, 121)를 둘러싸도록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부(116, 126)의 위에 걸쳐서 형성된 다음 브릿지부(116, 126)를 덮어서 브릿지부(116, 126)의 아래에 걸쳐서 형성되어, 브릿지부(116, 126)를 둘러싸도록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테이블 판부재(23)는 안장 부재(22)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제1 가장자리(111a, 121a) 위에 걸쳐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 판부재(23)는 다양한 물품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딱딱한 판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테이블 판부재(23)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테이블 부재(24)의 사시도이다.
도 2c에 도시한 테이블 부재(24)는 제1 연결부(130) 또는 제2 연결부(140)에 고정되어 테이블의 역할을 한다. 즉, 테이블 부재(24)는 테이블부(241)와, 테이블 판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및 제2 연결봉(131, 132)(141, 142)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42)의 고정 구조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머리 부재(25)의 사시도이다.
도 2d에 도시한 머리 부재(25)는, 제1 연결부(130)에 고정되며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상부 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장난감을 걸거나 장난감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홈(25a)이 형성된다. 이러한 머리 부재(25)은 제1 연결부(130)에 고정되어 장식의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와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쉽게 짚거나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머리 부재(25)의 하부에는 바퀴 부재(27)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꼬리 부재(26)의 사시도이다.
도 2e에 도시한 꼬리 부재(26)는, 제2 연결부(140)에 고정되며 제2 연결부(140)로부터 경사지게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꼬리 부재(26)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6a)가 장착될 수 있다. 손잡이부(26a)는 꼬리 부재(26a)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26a)에서 꼬리 부재(26)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사용자의 한쪽 손으로 잡고, 손잡이부(26a)에서 꼬리 부재(26)의 타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사용자의 다른 쪽 손으로 잡을 수도 있도록 한다. 또는, 본체(10)와 손잡이부(26a)에서 꼬리 부재(26)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 사이에 사용자의 한쪽 다리를 넣고, 손잡이부(26a)에서 꼬리 부재(26)의 타측으로 돌출된 부분 사이에 사용자의 다른 쪽 다리를 넣어 사용자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꼬리 부재(26)는 본체(10)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부(140)에 장착되어 장식 기능,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되거나, 본체(10)와 손잡이부(26a) 사이에 사용자의 다리를 넣어 사용자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본체(10)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연결부(130)에 장착되어 손잡이부(26a)를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바퀴 부재(27)의 사시도이다.
도 2f 도시한 바퀴 부재(27)는, 제1 및 제2 연결부(130, 140)의 제1 또는 제2 연결봉(131, 141)(132, 142)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퀴 부재(27)는 제1 또는 제2 연결봉(131, 141)(132, 142)에 장착되어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수납 부재(29) 및 판 부재(28)의 사시도이다.
도 2g에 도시한 수납 부재(29)는 바닥판과 측면부를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수납 부재(29)는 본체(10) 내부에 삽입되어 유아, 다양한 물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판 부재(28)는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고정되어 편평한 바닥면을 형성하여 수납 부재(29)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 부재(29)가 그 자체가 본체(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판 부재(28)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의자 부재(31)의 사시도이다.
도 2h에 도시한 의자 부재(31)는,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등판부(31a)와, 등판부(31a)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결부(130) 또는 제2 연결부(140)에 걸쳐서 형성되는 시트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등판부(31a)에는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등판부(31a) 및 시트부(31b)로는 다양한 물질을 구비할 수 있고, 고정부(31c)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일 예인 바운서 부재(32)를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i에 도시한 바운서 부재(32)는,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32a)와, 고정부(32a)에 고정되어 유아를 내부에 위치시켜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는 바운서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2a)와 바운서부(32b)의 구조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결합 부재를 본체(10)에 결합하여 다용도 가구(100)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다용도 가구(100)의 다양한 사용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일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도 1의 참조부호 112a, 122a, 이하 동일)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편평한 제1 가장자리(도 1의 참조부호 111a, 121a, 이하 동일) 위(즉, 제1 가장자리부(도 1의 참조부호 111, 121, 이하 동일)의 외측 가장자리) 위에 시트 부재(21)를 위치시킨다. 이에 의하여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에 의하여 사용자가 시트 부재(21) 위에 앉게 되면 본체(10)가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다용도 의자(100)를 흔들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140)에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꼬리 부재(26)를 고정하여, 사용자(특히, 유아)가 꼬리 부재(26)를 잡은 상태로 앉아서 장난감과 같이 흔들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브릿지부(도 1의 참조부호 116, 126, 이하 동일) 위(즉,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내측 가장자리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시트 부재(21)를 고정한다. 그리고 머리 부재(25)의 돌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머리 부재(25)를 제1 연결부(130)에 고정하고, 꼬리 부재(26)를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제2 연결부(140)에 고정한다. 그러면,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머리 부재(25)와, 꼬리 부재(26)가 일종의 침대 프레임과 같이 작용하여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하여 다용도 가구(100)가 유아의 흔들 요람으로 사용된다.
이때, 머리 부재(25)의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홈에 모빌 등과 같은 장난감(250)을 걸거나 고정하여 유아의 호기심을 충족하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브릿지부(116, 126) 위(즉,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내측 가장자리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안장 부재(22)를 고정한다. 그리고 머리 부재(25)의 돌출된 부분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머리 부재(25)를 제1 연결부(130)에 고정하고, 꼬리 부재(26)를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제2 연결부(140)에 고정한다. 그러면, 안장 부재(22)와 제2 연결부(140) 사이에 유아의 다리를 놓은 상태로 안장 부재(22)에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꼬리 부재(26)의 손잡이부(26a)를 잡고 앞뒤로 흔들거리도록 하여 다용도 가구(100)가 유아의 흔들 목마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브릿지부(116, 126) 위(즉,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내측 가장자리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고정부(31c)를 이용하여 의자 부재(31)의 등판부(31a)를 고정하고 시트부(31b)를 제1 연결부(130)의 제1 연결봉(도 1의 참조부호 131)에 걸쳐 놓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특히, 성인)가 등판부(31a)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시트부(31b) 상에 앉는 것에 의하여 흔들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브릿지부(116, 126) 위(즉,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내측 가장자리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고정부(32a)를 위치시켜 바운서 부재(32)를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머리 부재(25)의 돌출된 부분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머리 부재(25)를 제1 연결부(130)에 고정하고, 꼬리 부재(26)를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제2 연결부(140)에 고정한다. 그러면,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머리 부재(25)와, 꼬리 부재(26)가 일종의 침대 프레임과 같이 작용하여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다용도 가구(100)가 유아의 바운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편평한 제1 가장자리(111a, 121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본체(10)의 내부에 수납 부재(29)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편평한 제1 가장자리에 의하여 본체(10)가 바닥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용도 가구(100)가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함으로 사용되거나, 유아를 넣는 요람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수납 부재(29)를 좀더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판 부재(28) 아래(좀더 정확하게는,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수납 부재(29)를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머리 부재(25) 및 꼬리 부재(26)를 제1 및 제2 연결부(130, 140)에 각기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머리 부재(25)의 돌출된 부분을 외측으로 향하도록 연결하고, 꼬리 부재(26)를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물건 수납 등을 좀더 쉽게 할 수 있으며 장식성 기능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편평한 제1 가장자리(111a, 121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본체(10)의 내부에 수납 부재(29)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연결봉(131, 141)에 바퀴 부재(27)를 장착한다. 그러면, 편평한 제1 가장자리에 의하여 수납 부재(29) 내부의 물질이 수납 부재(29)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용도 가구(100)는 바퀴 부재(27)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용도 가구(100)는 이동 수납함, 이동 요람, 장난감 자동차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수납 부재(29)를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머리 부재(25) 및 꼬리 부재(26)를 제1 및 제2 연결부(130, 140)에 각기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머리 부재(25)의 돌출된 부분을 외측으로 향하도록 연결하고, 꼬리 부재(26)를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머리 부재(25)가 이동 수납함, 이동 요람 등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장식성 기능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또는, 판 부재(28) 및 수납 부재(29) 대신에,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내측 가장자리 위(즉, 제1 가장자리부(111, 121)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 또는 브릿지부(116, 126)의 위에 안장 부재(2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유아를 안장 부재(22)에 앉힌 상태에서 안장 부재(22)과 제1 또는 제2 연결부(130, 140) 사이로 다리를 위치시켜 다용도 가구(100)를 보행기 또는 장난감 자동차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제2 연결봉(132, 142)에 바퀴 부재(27)를 장착하고, 제1 가장자리부(111, 121)의 외측 가장자리 위에 시트 부재(21)를 고정한다. 그러면, 다용도 가구(100)를 이동 의자 또는 이동 스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제2 연결봉(132, 142)에 바퀴 부재(27)를 장착하고, 제1 연결부(130)에 테이블 부재(24)를 고정하며, 제1 가장자리(111a, 121a) 위에 시트 부재(21)를 고정한다. 그러면, 사용자(특히, 성인)가 시트 부재(21)에 앉은 상태에서 테이블 부재(24)를 책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가구(100)를 사용자(특히, 성인)가 이동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구(100)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사용예에서는 다용도 가구(100)의 본체(10)의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제2 연결봉(132, 142)에 바퀴 부재(27)를 장착하고, 제1 가장자리(111a, 121a) 위에 테이블 판부재(23)를 고정하고 제1 가장자리(111a, 121a)와 브릿지부(116, 126) 사이에 안장 부재(22)를 고정한다. 그러면, 안장 부재(22)와 테이블 판부재(23) 사이에 다리를 놓은 상태로 사용자(특히, 유아)가 안장 부재(22)에 앉아서 테이블 판부재(23)를 테이블 또는 책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가구(100)를 사용자(특히, 유아)가 이동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의 편평한 제1 가장자리(111a, 121a)와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112a, 122a)에 의하여 제1 가장자리(111a, 121a)를 바닥에 위치시키거나 제2 가장자리(112a, 122a)를 바닥에 위치시켜 원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 부재(21), 안장 부재(22), 테이블 판부재(23), 테이블 부재(24), 머리 부재(25), 꼬리 부재(26), 바퀴 부재(27), 수납 부재(29), 의자 부재(31), 바운서 부재(32)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부재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다용도 가구(100)를 성인과 유아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생애 전반에 걸쳐 다용도 가구(100)의 형태를 변형해 가면서 다용도 가구(100)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이득이 되며 환경을 보호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용도 가구
10: 본체
110, 120: 메인 프레임
130: 제1 연결부
140: 제2 연결부
21: 시트 부재
22: 안장 부재
23: 테이블 판부재
24: 테이블 부재
25: 머리 부재
26: 꼬리 부재
27: 바퀴 부재
28: 판 부재
29: 수납 부재
31: 의자 부재
32: 바운서 부재

Claims (15)

  1. 편평한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반대되며 라운드진 제2 가장자리를 가지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 각각은 관통부를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1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4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3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4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가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 각각은,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1 가장자리 쪽을 연결하는 제1 연결봉과, 상기 두 개의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2 가장자리 쪽을 연결하는 제2 연결봉을 포함하는 다용도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를 전체적으로 덮는 시트 부재;
    상기 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안장 부재;
    상기 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테이블 판부재;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테이블 부재;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며, 상부로 연장되어 상부 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머리 부재;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되며, 경사지게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에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꼬리 부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바퀴 부재;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고정되는 판 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 부재;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등판부와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 부재;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바운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용도 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가장자리 위에 상기 시트 부재를 고정하여, 흔들 의자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브릿지부 위에 상기 시트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머리 부재의 상기 돌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머리 부재를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하고,
    상기 꼬리 부재를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하여,
    흔들 요람으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부재에서 상기 돌출된 부분에 장난감을 걸거나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다용도 가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브릿지부 위에 상기 안장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머리 부재의 상기 돌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머리 부재를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하고,
    상기 꼬리 부재를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하여,
    흔들 목마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부재의 상기 등판부를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등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하여,
    흔들 의자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상기 바운서 부재를 고정하여,
    바운서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한 상태로 수납함 또는 요람으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가 바닥 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봉에 상기 바퀴 부재를 장착하여 이동 수납함, 이동 요람, 보행기, 또는 장난감 자동차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봉에 상기 바퀴 부재를 장착하여, 이동 의자 또는 이동 스툴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바닥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봉에 상기 바퀴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상기 테이블 판부재를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상기 테이블 부재를 장착하여 이동 책상으로 사용되는 다용도 가구.
KR1020140097419A 2014-07-30 2014-07-30 다용도 가구 KR10157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19A KR101574551B1 (ko) 2014-07-30 2014-07-30 다용도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19A KR101574551B1 (ko) 2014-07-30 2014-07-30 다용도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551B1 true KR101574551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419A KR101574551B1 (ko) 2014-07-30 2014-07-30 다용도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5120S1 (en) 2020-05-27 2022-06-21 Dan Popa Convertible children's furni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251A (ja) 2003-04-11 2004-11-11 Wippaazu:Kk 多用途家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251A (ja) 2003-04-11 2004-11-11 Wippaazu:Kk 多用途家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5120S1 (en) 2020-05-27 2022-06-21 Dan Popa Convertible children's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60216A1 (en) Wood gliding bassinet
US8001638B1 (en) Size convertible mattress
US10306996B1 (en) Multi-purpose children's furniture
US20050127738A1 (en) Article of furniture formed from slotted planar members
US2672181A (en) Convertible furniture construction set
US20040031097A1 (en) Rocker device
US20060181123A1 (en) Transferable baby seat
US20080070710A1 (en) Multi-Purpose Rocking Toy
US20140375102A1 (en) Seat core
JP4793833B1 (ja) 乳幼児用組立用具
KR101574551B1 (ko) 다용도 가구
KR101221882B1 (ko) 식탁 겸용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
US5024483A (en) Swing rocker apparatus and furniture using same
USD975465S1 (en) Multi-purpose bed for children
US7146661B1 (en) Knockdown, portable, non-intimidating, and stable pen for comfortably, conformingly, supportingly, and entertainingly accommodating an infant therein
US2020039714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furniture
KR200427977Y1 (ko) 조립식 의자
CA2355306A1 (en) Rocking toy for children
US6022075A (en) Chair cushion
KR101834290B1 (ko) 다용도 목욕 의자
US11684177B2 (en) Convertible children's seat
KR200377394Y1 (ko) 다기능 범용 의자
US3006687A (en) Anchor element for armchair tray
KR200489212Y1 (ko) 다기능 유아용 의자
US2077113A (en) Baby chair ba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