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963A - 유아용 범퍼 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범퍼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963A
KR20120058963A KR1020100120505A KR20100120505A KR20120058963A KR 20120058963 A KR20120058963 A KR 20120058963A KR 1020100120505 A KR1020100120505 A KR 1020100120505A KR 20100120505 A KR20100120505 A KR 20100120505A KR 20120058963 A KR20120058963 A KR 2012005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d
frame
decorative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연
Original Assignee
임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연 filed Critical 임지연
Priority to KR102010012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963A/ko
Publication of KR2012005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는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가진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서있는 난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바닥면 위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및 상기 난간에 결합되는 쿠션재로서, 적어도 상기 프레임 안쪽의 난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범퍼;를 포함하고, 따라서 난간의 모든 면에 푹신푹신한 쿠션재가 충진된 범퍼가 설치되기 때문에 침대 안의 유아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특히 3중 구조의 매트리스는 유아의 움직임을 잘 받쳐줘서 넘어질 위험성을 크게 줄여주는 동시에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식봉을 이용해 모빌이나 취침등, 또는 모기장이나 장식용 커튼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유아용 범퍼 침대{Bumper bed for toddler}
본 발명은 유아를 위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가진 바닥면 및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서있는 난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바닥면 위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및 난간에 결합되는 쿠션재로서 적어도 상기 프레임 안쪽의 난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범퍼를 포함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보호자의 직접적인 보호(예컨대, 수유를 하거나 놀아주는 경우)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주로 이불이나 침대에 누워있게 된다.
그런데 이런 경우 보호자들은 보통 다른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유아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 어떤 상태에 있는지 항상 확인하기가 쉽지는 않다.
이런 보호자의 염려를 고려하여 무선으로 아기의 소리를 들려주거나 기저귀가 젖었는지 알려주는 장치 등 여러 가지 아이디어 상품이 소개되고는 있지만, 이런 장치들은 아기에게 좋지 않은 상황이 발생되는 것 자체를 방지해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아의 안전 확보에는 한계를 가진다.
특히 유아가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는 공간은 대개의 경우 이불이나 침대가 되는데, 근래에는 주변과 독립된 안전한 공간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이불보다는 침대가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유아가 침대에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다 보면 뒤척이거나 구르다가 침대 난간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더 나아가 유아가 막 걸음마를 시작하는 시기에는 침대의 난간에 의지해 일어나 걷거나 기대다 보면 힘에 부쳐 넘어지는 일도 빈번한데, 이때 침대의 난간은 유아에게 상당한 위협을 주는 위험한 부분이 된다.
또한 아이를 키우다 보면 모빌이나 모기장과 같이 때때로 필요해지는 각종 보조용품들이 늘어나게 마련인데, 이런 각종 보조용품을 설치하는 것은 특히나 아기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엄마들에게 쉬운 일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유아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특화된 유아용 침대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아에게 필요한 각종 보조용품의 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고 가구로서의 인테리어적인 미감도 부여할 수 있는 유아용 침대의 제공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는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가진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서있는 난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바닥면 위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및 상기 난간에 결합되는 쿠션재로서, 적어도 상기 프레임 안쪽의 난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범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트리스는 메모리 폼과 PE 폼 및 라텍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범퍼는 상기 난간에 매듭이나 벨크로 또는 스냅 파스너를 포함하는 결속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범퍼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상방으로 설치되는 아치형의 장식봉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식봉에는 모빌 또는 취침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식봉은 두 개가 상기 프레임의 단변에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장식봉에는 모기장이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식봉은 두 개가 상기 프레임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장식봉에는 모기장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모기장에 결합된 다수의 절개 링이 상기 장식봉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기장이 상기 장식봉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식봉은 상기 범퍼에 구비된 포켓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유아용 범퍼 침대는 난간의 모든 면에 푹신푹신한 쿠션재가 충진된 범퍼가 설치되기 때문에 침대 안의 유아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특히 3중 구조의 매트리스는 유아의 움직임을 잘 받쳐줘서 넘어질 위험성을 크게 줄여주는 동시에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범퍼 침대는 장식봉을 구비하고 있어 모빌이나 취침등, 또는 모기장이나 장식용 커튼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에 구비된 장식봉에 각종 보조용품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에 구비된 장식봉에 모기장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하며, 상대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전후(前後)나 상하좌우(上下左右), 내외(內外) 등의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범퍼 침대(1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 대한 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범퍼 침대(10)는 크게 프레임(100)과 매트리스(200) 및 범퍼(3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범퍼 침대(10)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가진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둘레를 따라 서있는 난간(12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통상의 침대틀과 거의 유사하지만,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난간(120)이 바닥면(110) 둘레를 빙 돌아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동이나 성인을 위한 침대와 차이가 있다.
난간(120)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집 주변의 울타리와 같이 가로 세로로 연결된 구조일 수도 있다.
프레임(100)은 보통의 가구와 같이 목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친환경적인 생활공간을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겠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매트리스(200)는 실제로 유아가 접촉하는 바닥에 쿠션을 주기 위한 것인데, 매트리스(200) 자체는 공지의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포함된 매트리스(200)는 메모리 폼(210)과 PE(polyethylene) 폼(220) 및 라텍스(2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 폼(210)과 라텍스(230)는 유아가 직접 접촉하는 매트리스(200) 면의 딱딱한 정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외측에 위치하고, PE 폼(220)은 그 가운데에서 매트리스(200)의 강도를 유지시킨다.
종래의 매트리스(200)는 메모리 폼(210)과 PE 폼(220), 라텍스(230)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제조되었기에 아주 딱딱하거나 아니면 무르거나 한 경향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매트리스(200)를 메모리 폼(210)과 PE 폼(220) 및 라텍스(2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중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었기에, 유아의 행동발달 정도에 따라 적절한 쿠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유아가 아직 걷지 못하는 시기에는 라텍스(230)를 윗면으로 하여 매트리스(200)를 사용함으로써 편안함을 강조할 수 있고, 유아가 뒤집기를 하고 기거나 걷기 시작할 때에는 힘을 잘 전달되도록 메모리 폼(210)을 윗면으로 하여 매트리스(200)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걷기 시작할 때 매트리스(200)가 너무 무르면 중심을 잡기 힘들어 넘어지기 쉬우므로, 걷기 동작을 보조할 수 있게 매트리스(200)의 사용면을 바꿔주는 것은 안전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하다.
그리고 난간(120)에 결합되는 범퍼(300)는 푹신푹신한 쿠션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어도 프레임(100) 안쪽의 난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싼다.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푹신푹신함을 가지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쿠션재라면 무엇이라도 범퍼(300)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소파와 같이 겉감 안에 솜이나 라텍스(230)와 같은 쿠션재가 충진된 구조도 가능하고, 겉감 없이 쿠션재로만 이루어진 구조도 무방하다.
여기서 범퍼(300)가 적어도 프레임(100) 안쪽의 난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된다고 한 것은 난간면의 양쪽을 모두 감싸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프레임(100) 안쪽에 범퍼(300)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도시된 것처럼 난간면의 양쪽을 모두 감싸면 더욱 미려해보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범퍼(300)는 난간(120)에 매듭이나 벨크로 또는 스냅 파스너를 포함하는 결속수단(31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은 예시된 결속수단(310)을 모두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며, 한 범퍼(300)에 예시된 결속수단(310)이 모두 구비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범퍼(300)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세탁이나 일광 살균 등을 통한 위생상태 유지를 쉽게 만들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범퍼(300)에 고정되어 프레임(100) 상방으로 설치되는 아치형의 장식봉(400)을 더 포함한다. 장식봉(400)은 모빌(410)이나 취침등(420), 또는 모기장(500)이나 장식용 커튼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대로, 장식봉(400)에는 유아의 지능발달에 도움을 주는 모빌(410) 또는 취침시 켜놓는 미등인 취침등(4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장식봉(400)은 범퍼(300)에 구비된 포켓(3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프레임(100)이 보통의 침대처럼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면, 두 개의 장식봉(400)이 프레임(100)의 단변에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조는 특히 장식봉(400)에 모기장(500)을 고정시킬 때, 장식봉(400)이 프레임(100) 전체 면적을 포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두 개의 장식봉(400)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 프레임(100)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 모기장(500)이 고정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장식봉(400)을 X-자 형태로 교차하면 모기장(5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모기장(500)에는 탄성을 가진 다수의 절개 링(510)이 결합돼 있을 수 있으며, 이 절개 링(510)이 장식봉(400)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모기장(500)이 장식봉(400)에 고정되도록 하면 모기장(500) 설치가 상당히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기장(500)을 예로 들었지만, 그 밖에 장식용 레이스나 일광을 차단하기 위한 커튼막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두 개의 장식봉(400)이 나란히 또는 X-자 형태로 교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식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아용 범퍼 침대 100: 프레임
110: 바닥면 120: 난간
200: 매트리스 210: 메모리 폼
220: PE 폼 230: 라텍스
300: 범퍼 310: 결속수단
320: 포켓 400: 장식봉
410: 모빌 420: 취침등
500: 모기장 510: 절개 링

Claims (9)

  1.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가진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서있는 난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바닥면 위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및
    상기 난간에 결합되는 쿠션재로서, 적어도 상기 프레임 안쪽의 난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범퍼;
    를 포함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메모리 폼과 PE 폼 및 라텍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난간에 매듭이나 벨크로 또는 스냅 파스너를 포함하는 결속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상방으로 설치되는 아치형의 장식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봉에는 모빌 또는 취침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식봉은 두 개가 상기 프레임의 단변에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장식봉에는 모기장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식봉은 두 개가 상기 프레임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장식봉에는 모기장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장에 결합된 다수의 절개 링이 상기 장식봉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기장이 상기 장식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봉은 상기 범퍼에 구비된 포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범퍼 침대.
KR1020100120505A 2010-11-30 2010-11-30 유아용 범퍼 침대 KR20120058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05A KR20120058963A (ko) 2010-11-30 2010-11-30 유아용 범퍼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05A KR20120058963A (ko) 2010-11-30 2010-11-30 유아용 범퍼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63A true KR20120058963A (ko) 2012-06-08

Family

ID=4661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505A KR20120058963A (ko) 2010-11-30 2010-11-30 유아용 범퍼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89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19Y1 (ko) * 2012-12-05 2014-09-17 신동현 유아용 탁자
KR20150022719A (ko) 2013-08-22 2015-03-04 양일석 자동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유아용 범퍼침대
KR20170003778U (ko) 2016-09-30 2017-11-02 송은경 유아용 범퍼 침대
KR20200068408A (ko) * 2018-12-05 2020-06-15 최유라 안전 가림막
CN113208354A (zh) * 2021-04-27 2021-08-06 熊丽燕 一种摇晃式婴儿休息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19Y1 (ko) * 2012-12-05 2014-09-17 신동현 유아용 탁자
KR20150022719A (ko) 2013-08-22 2015-03-04 양일석 자동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유아용 범퍼침대
KR20170003778U (ko) 2016-09-30 2017-11-02 송은경 유아용 범퍼 침대
KR20200068408A (ko) * 2018-12-05 2020-06-15 최유라 안전 가림막
CN113208354A (zh) * 2021-04-27 2021-08-06 熊丽燕 一种摇晃式婴儿休息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4977B1 (en) Safety sheet
US20180035821A1 (en) Breathable Baby Crib With Layered Detachable Mesh Walls
US7562406B1 (en)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with tandem wells
US8321980B2 (en) Flexible system for surrounding a perimeter and covering a top surface of a mattress
US20090106894A1 (en) Foam bed for toddlers
WO2009108663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safety of a sleeping arrangement for a child on a bed
US7681266B2 (en) Adjustable recliner bed
KR101285974B1 (ko)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KR20120058963A (ko) 유아용 범퍼 침대
US20140059762A1 (en) Baby Safe Enclosure
US20100186169A1 (en) Modular Baby Safety System for On-Furniture Deployment
US20080034499A1 (en) Protective pads for cribs and child safety devices
KR200440481Y1 (ko) 휴대용 아기 침낭
US20140259404A1 (en) Sculpture blanket or bendy blanket
US20180289176A1 (en) Crib and cradle sleep system
JP3186007U (ja) 添い寝用クッション
US6754921B2 (en) Safety pillow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off a bed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EP3369347B1 (en) A baby crib comprising upholstered guard rails and inner surfaces
America Back to sleep and tummy to play
KR20130004584U (ko) 바퀴가 배치된 유아용 범퍼침대
KR20120006078U (ko) 아기 쿠션 침대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US20180249847A1 (en) Baby crib comprising upholstered guard rails and inner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