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78U - 아기 쿠션 침대 - Google Patents

아기 쿠션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78U
KR20120006078U KR2020110001445U KR20110001445U KR20120006078U KR 20120006078 U KR20120006078 U KR 20120006078U KR 2020110001445 U KR2020110001445 U KR 2020110001445U KR 20110001445 U KR20110001445 U KR 20110001445U KR 20120006078 U KR20120006078 U KR 201200060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s
cushion
baby
bedding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2020110001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078U/ko
Publication of KR20120006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6Infant exercisers, e.g. for attachment to a cri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쿠션과 측벽쿠션으로 이루어진 침구 상에 차양막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 햇살이나 조명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빛을 차단시킴에 따라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모빌이나 모기장을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발달을 도모하고 해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아기 쿠션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닥쿠션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변측 및 장변측 측벽쿠션을 가지며, 이들 각 쿠션의 시트천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지퍼 및 보조끈에 의해 결속되는 침구와, 이 침구를 구성하는 양 단변측 측벽쿠션의 바깥쪽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탄력있게 설치되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아기 쿠션 침대{BABY CUSHION BED}
본 고안은 아기 쿠션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쿠션과 측벽쿠션으로 이루어진 침구 상에 차양막(遮陽幕)을 설치하여 외부 햇살이나 조명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빛을 차단시킴에 따라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모빌이나 모기장을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발달을 도모하고 해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아기 쿠션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갖난 아기는 뼈나 근육이 매우 연약하여 대부분 누워서 보내거나 잠을 자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편안하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주변환경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예로부터 아기 침대, 베개, 요람, 포대기류 등에 대한 개발이 행해져 오고 있다.
대부분의 아기 침대는 사각형태의 목재틀로 골조를 형성한 후 그 내부의 바닥판 상에 매트리스를 깔아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방안의 습도와 온도가 불규칙한 조건하에서 아기를 매트리스에 눕혀 놓았을 경우, 호흡기 질환이나 땀띠, 습진 등에 자주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아기 침대는 걷지 못하는 아기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할 지 몰라도 어느 순간 기어 다니거나 일어설 정도로 자라게 되면 침대에서 쉽게 떨어져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또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침대류는 가격이 매우 비싸고 상당한 점유공간을 차지하게 됨은 물론 부상의 우려 때문에 소비자가 선뜻 구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00814호 공보에는 아기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잠자리를 제공하면서 벌레 등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영아용 침대」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또 공개특허 제2006-0025251호 공보에는 아기의 수면이나 휴식시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살균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별도 모빌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아기의 시각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용도 유아용 매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침대의 바닥부와 측면부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매트나 쿠션 등을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고, 또 여러 부품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므로 제작이 난해하고 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바닥을 통한 공기 유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건강에 해를 주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앞서 특허등록 제0930289호에서와 같이, 통기성이 우수한 쿠션들을 이용하여 아기 건강을 지키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잠자리가 보다 편안하고 보관이 간편하며, 통상의 모빌이나 방충망을 간단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각적인 발달을 꾀하고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아 침구」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 침구의 경우에는 창문을 통해 방안으로 비치는 외부 햇살이나 천정 조명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빛에 아기가 그대로 노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잠에서 깨어날 경우 심하게 보채거나 울어버리는 등의 안정성 면에서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쿠션 및 이 바닥쿠션에 결속되는 측벽쿠션 들을 이용하여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 빛을 차단하여 잠자리를 보다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아기 쿠션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상의 모빌이나 모기장을 간단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가하여 시각적인 발달을 꾀하며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아기 쿠션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쿠션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변측 및 장변측 측벽쿠션을 가지며, 이들 각 쿠션의 시트천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지퍼 및 보조끈에 의해 결속되는 침구와, 이 침구를 구성하는 양 단변측 측벽쿠션의 바깥쪽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탄력있게 설치되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양막은 가장자리의 골격을 이루는 폴대를 포함하여 이 폴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천정부 및 그 양측으로 재봉되는 망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양막의 천정부 내측에는 모빌을 걸어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양막의 양 끝단 가장자리에는 출입용 지퍼를 갖는 모기장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아기 쿠션 침대에 의하면, 통기성이 우수한 바닥쿠션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측벽쿠션에 의해 침구를 구성함과 동시에 차양막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살이나 방안 조명에 의한 직접적인 빛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아기의 잠자리를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양막의 천정부 중앙에 통상의 모빌을 설치하거나 혹은 차양막의 노출부분에 모기장을 간단히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시각적 발달을 꾀하며 모기나 벌레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쿠션 침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a, 도 2b는 도 1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
도 3a, 도 3b는 침구의 조립 및 전개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차양막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차양막에 모기장이 설치된 상태의 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6은 천정부에 모빌이 설치된 상태의 예를 나타낸 일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바닥쿠션 10B: 측벽쿠션
11: 지퍼 12: 보조끈
13: 보호천 20: 침구
21: 결속편 30: 차양막
31: 결속편 32: 폴대
33: 천정부 34: 망사부
35a: 심봉 35b: 면직물
36: 지지대 40: 모빌
41: 출입용 지퍼 42: 모기장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쿠션 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닥쿠션(10A)을 포함하여 이 바닥쿠션(10A)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변측 및 장변측 측벽쿠션(10B)들에 의해 침구(20)를 구성하게 된다.
이들 각각의 바닥쿠션(10A) 및 측벽쿠션(10B)들은 모두 직물(織物)로 짜여진 통상의 시트천에 의해 덮어 씌워져 있다.
상기 시트천의 경우 통기성이 우수한 직물을 사용하여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아기들에게 흔히 생길 수 있는 땀띠나 습진, 열꽃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측벽쿠션(10B)들은 바닥쿠션(10A)의 단변측 및 장변측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또는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아기를 돌보는 보호자가 어느 하나의 쿠션을 임의로 눕힌 상태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쿠션(10B)의 시트천 모서리 부분에는 잠금 및 해정동작이 가능한 지퍼(11)와 보조끈(12)들이 각각 봉제되어 바닥쿠션(10A)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사이에는 보호천(13)이 덧대어 봉제되어 있다.
상기 보호천(13)은 1매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지퍼(11)를 사이에 두고 2매를 봉제하는 경우 지퍼(11)가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아기 피부를 긁어 상처를 입히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쿠션(10A)을 포함한 각각의 측벽쿠션(10B)들은 하나씩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쿠션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각 시트천으로부터 쿠션들을 손쉽게 탈거하여 수시로 세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바닥쿠션(10A) 및 측벽쿠션(10B)으로 이루어진 침구(20) 상에는 반구형으로 차양막(30)이 장착되어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햇살이나 천정 조명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빛을 차단하여 아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단변측 측벽쿠션(10B)의 바깥쪽 하단부에는 결속편(21)이 마련되어 있고, 이 결속편(21)에 차양막(30)의 양 끝단 저면에 형성된 결속편(31)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침구(20) 상에 차양막(30)을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들 결속편(21,31)의 경우 잠금 및 해정동작이 가능한 착탈수단, 예컨대 지퍼나 벨크로, 단추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30)은 가장자리의 골격을 이루는 폴대(32) 및 이 폴대(3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천정부(33)를 포함하여 이 천정부(33)의 양측으로 재봉되는 망사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폴대(32)의 경우, 탄력이 우수한 재질의 심봉(35a)을 면직물(35b)로 씌운 상태에서 천정부(33)와 망사부(34)를 재봉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막(30)의 천정부 중앙에는 통상의 모빌(40)을 걸어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3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차양막(30)과 장변측 측벽쿠션(10B)의 노출부분에는 출입용 지퍼(41)가 부착된 모기장(42)을 지퍼나 벨크로(도시생략) 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차양막(30)은 일반 침대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통상의 매트리스(mattress)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져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 시트천 내에 바닥쿠션(10A) 및 측벽쿠션(10B)들을 집어넣고 도시하지 않은 지퍼를 채워 수용한 후 바닥쿠션(10A)의 모서리부분에 측벽쿠션(10B)을 배치한다.
이어서, 각 쿠션들의 시트천 가장자리에 봉제되어 있는 지퍼(11)를 채워 바닥쿠션(10A)의 가장자리로부터 4개의 측벽쿠션(10B) 들이 모두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침구(2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측벽쿠션(10B)의 시트천 양측에 봉제된 보호천(13)을 이용하여 지퍼 (11)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퍼(11)를 채운 상태에서 보조끈 (12) 들을 묶어줌에 따라 바닥쿠션(10A)의 가장자리에 측벽쿠션(10B)들이 견고하게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측벽쿠션(10B)을 눕히고자 할 경우 해당 측벽쿠션(10B)의 시트천 양쪽에 장착된 지퍼(11) 및 보조끈(12)을 풀어 해제함으로써 손쉽게 측벽쿠션(10B)을 눕히고 유아를 돌보거나 수유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단변측 혹은 장변측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쿠션(10B)을 눕힌 상태에서는 보호자가 아기와 함께 눕거나 통상의 매트리스 형태로 넓게 펼쳐 놀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쿠션들을 편평하게 펼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침구(20)를 구성하는 단변측 측벽쿠션(10B)에 형성된 결속편(21)에는 반구형으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차양막(30)이 결속편(31)에 의해 상호 체결됨에 따라 침구(20) 내에 뉘어져 있는 아기를 외부 햇살이나 천정 조명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빛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양막(30)의 경우, 천정부(33)와 망사부(34)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빛은 천정부(33)를 통해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망사부(34)에 의해 일부의 빛이 간접적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차양막(30)의 천정부(33)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대(36)에는 통상의 모빌(40)을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침구(20) 내에 누워 지내는 아기로 하여금 움직이는 모빌을 보면서 흥미를 유발시키고 눈을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각발달의 효과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변측 측벽쿠션(10B)의 노출부분에는 출입용 지퍼(41)가 마련된 모기장(42)을 도시하지 않은 지퍼, 벨크로 등의 부착수단을 통해 차양막(30)의 가장자리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여름철 모기나 벌레 등의 해충으로부터 아기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4)

  1. 바닥쿠션(10A)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변측 및 장변측 측벽쿠션(10B)을 가지며, 이들 각 쿠션의 시트천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지퍼(11) 및 보조끈(12)에 의해 결속되는 침구(20)와, 이 침구를 구성하는 양 단변측 측벽쿠션(10B)의 바깥쪽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탄력있게 설치되는 차양막(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쿠션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30)은 가장자리의 골격을 이루는 폴대(32)를 포함하여 이 폴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천정부(33) 및 그 양측으로 재봉되는 망사부(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쿠션 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30)의 천정부 내측에는 모빌(40)을 걸어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36)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쿠션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30)의 양 끝단 가장자리에는 출입용 지퍼(41)를 갖는 모기장(42)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쿠션 침대.
KR2020110001445U 2011-02-22 2011-02-22 아기 쿠션 침대 KR201200060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45U KR20120006078U (ko) 2011-02-22 2011-02-22 아기 쿠션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45U KR20120006078U (ko) 2011-02-22 2011-02-22 아기 쿠션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78U true KR20120006078U (ko) 2012-08-30

Family

ID=5368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445U KR20120006078U (ko) 2011-02-22 2011-02-22 아기 쿠션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07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534B1 (ko) * 2011-09-15 2013-11-20 김현희 다기능 아기 침구
KR20190001825U (ko) * 2018-01-09 2019-07-17 변재선 휴대용 유아 기저귀 교환패드
KR20220058131A (ko) 2020-10-30 2022-05-09 정민숙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534B1 (ko) * 2011-09-15 2013-11-20 김현희 다기능 아기 침구
KR20190001825U (ko) * 2018-01-09 2019-07-17 변재선 휴대용 유아 기저귀 교환패드
KR20220058131A (ko) 2020-10-30 2022-05-09 정민숙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955B2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6421857B2 (en) Liner for an infant bed
US5881408A (en) Mesh crib liner
US9021631B2 (en) Detachable waterproof pad system
US8556343B2 (en) Versatile seat liner
US20090007337A1 (en) Portable cushion and bumper device
ES2908426T3 (es) Cuna
US20050138730A1 (en) Fitted sheet with bolsters mounted thereon
US8955174B1 (en) Child container cover
US20140013509A1 (en) Infant blanket, nursing privacy cover, and stroller cover
EP2244609A1 (en) Cover for a bed
US20150342370A1 (en) Crib liner with skirt
US20140259404A1 (en) Sculpture blanket or bendy blanket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20120006078U (ko) 아기 쿠션 침대
WO2012063029A1 (en) An infant bed
CN102448349A (zh) 关于覆盖物的改进
KR20120058963A (ko) 유아용 범퍼 침대
KR101331534B1 (ko) 다기능 아기 침구
KR20140119403A (ko) 압사 방지 기능을 갖는 영아용 요람
US20120117726A1 (en) Convertible crib cover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101561452B1 (ko)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KR20150003196U (ko) 다기능 침대
WO2013156986A1 (en) A bed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