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04Y1 -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04Y1
KR200474104Y1 KR2020140001443U KR20140001443U KR200474104Y1 KR 200474104 Y1 KR200474104 Y1 KR 200474104Y1 KR 2020140001443 U KR2020140001443 U KR 2020140001443U KR 20140001443 U KR20140001443 U KR 20140001443U KR 200474104 Y1 KR200474104 Y1 KR 200474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sket
fire
burnable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경
Original Assignee
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경 filed Critical 임재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06B5/14Gas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연 재질로 구성되어 고온에서도 녹지 않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에 관한 것으로, 탄성이 있는 통형의 불연 소재층(100) 및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양면에 도포된 실리콘 코팅층(201, 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불연 소재층 자체로 충분한 탄성을 유지하여 통형의 형상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문틀에 형성된 개스킷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로 계속 유지시킬 수 있고, 불연 소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실리콘 코팅층에 의하여 제품에 더 큰 탄성력을 부여하여 방화문과 문틀 사이를 완벽히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Noninflammable Gasket for Fire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용 개스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연 재질로 구성되어 고온에서도 녹지 않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외부의 화염에 의한 열과 유독가스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출입문틀에 방화문용 패킹(Packing) 또는 개스킷(Gasket)이 설치된다. 종래의 방화문용 개스킷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압출 및 사출하여 제조된 제품으로서, 화재시 400℃ 이하에서 녹거나 연소하여, 유독가스 및 미연소 가스를 차폐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개스킷의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 발생으로 질식사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서, 불연 섬유 직조 방식의 불연 패킹 개스킷 또는 불연 재질의 원단으로 슬리팅하여 속에 철판과 튜브 스프링을 속심으로 하여 접착 도포한 불연 패킹 개스킷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원단 자체의 투과성 때문에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는, 공개특허 제10-2004-0024980호에 개시된 기술로서, 화염에 연소되지 않는 글라스 파이버 원단으로 이루어진 글라스 파이버 커버 및 보강대를 포함하여,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와 문틀 사이를 완전 차폐할 수 있으며, 화재시 유독가스 및 미연소 가스를 차폐할 수 있으며 화재시 녹거나 연소하지 않는 방화문용 개스킷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불연 재질의 원단 가공의 패킹 개스킷은 원소재의 특성상 실제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제품의 구성의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 실제로 제품화하는데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한 유독 가스의 출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단열 효과가 좋은 원통형이자 밀폐형의 불연 개스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스킷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문틀에 잘 고정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은 탄성이 있는 통형의 불연 소재층(100); 및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양면에 도포된 실리콘 코팅층(201, 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불연 소재층(100)은 평직으로 직조하여 제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두께는 0.13 내지 0.5mm 범위로 하고,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원통의 지름은 50 내지 75m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불연 소재층(100)은 직사각형의 파이버 글라스 원단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직사각형의 파이버 글라스 원단의 양쪽 긴 변을 따라 접착부(301, 303)가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 사이를 부착하여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원통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부(301, 303)의 폭은 5mm 내지 9m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팅층(201, 203)은 상온 경화 타입 또는 열 경화 타입의 내열 실리콘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불연 소재층(100)의 원통의 내부에 흑연 팽창 발포제(400)를 삽입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일면이 상기 실리콘 코팅층(203)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통형의 불연 소재층(10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불연 소재층의 돌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통형의 불연 소재층의 내부에 삽입된 통형의 망사 스프링(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에 의하면, 불연 소재층 자체로 충분한 탄성을 유지하여 원통형의 형상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문틀에 형성된 개스킷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로 계속 유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불연 소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실리콘 코팅층에 의하여 제품에 더 큰 탄성력을 부여하여 방화문과 문틀 사이를 완벽히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코팅층에 의하여 원통형의 내부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와의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하여 제품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어 현실적으로 제품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의 개략적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의 개략적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의하면, 본 고안의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은 불연 소재층(100) 및 실리콘 코팅층(201, 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불연 소재층(100)은 탄성을 갖는 재질의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섬유의 형태로 제조된 불연 소재를 직조하여 제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을 사용한다. 직조 방식은 평직 직조 방식으로 제조되어 얇은 층을 형성한다. 또한, 불연 소재층(100)은 가운데 중공이 있는 통의 형태로 구성되고 파이버 글라스 원단의 특성상 일정한 탄성을 유지한다. 통의 단면 모양은 일반적인 제작 공정의 결과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모양을 갖게 될 것이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오각형 기타 원형을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원단의 탄성 특성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의, 문틀(10)에 장착시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문틀(10)에 형성된 홈(12)에 소정의 압력으로 삽입되면 잘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불연 소재층(100)이 가벼운 파이버 글라스 원단을 평직 직조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볍게 되어 이러한 효과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실리콘 코팅층(201, 203)은 불연 소재층(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다.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불연 특성에 의하여 고온에서도 녹거나 연소되지 않아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방화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나, 파이버 글라스 원단 자체가 직조에 의하여 제조됨으로써 섬유 사이에 일정한 틈이 존재하고 이 틈을 통하여 화염에 의한 유독 가스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불연 소재층(100) 이외에 공기의 출입을 방지하여 일정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밀폐층, 즉 실리콘 코팅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유독 가스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 사이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의 형성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방화문(20) 또는 문틀(10)에 대한 접착력이 파이버 글라스보다 실리콘이 좋기 때문에, 개스킷이 문틀(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잘 유지되도록 하려면 실리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리콘 코팅층은 제조의 편의 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불연 소재층의 일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면에만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우 접착력이 약하게 될 수 있고 탄성력이 부족하여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양면에 동일한 두께로 실리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두께는 0.13 내지 0.15mm의 범위로 구성할 수 있고, 불연 소재층(100)의 원통의 지름(d)은 50 내지 60m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불연 소재층의 두께와 원통의 지름은 문틀과의 접착력, 단열 능력, 유독 가스의 밀폐 능력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절히 선택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방화문 및 문틀 규격에서 불연 소재층(100)의 두께를 0.14mm 안팎으로 구성하고, 그 원통의 지름을 60mm 안팎으로 구성하면 문틀과의 접착력이 좋아 오랫동안 유지되고, 방화시 유독 가스의 출입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고, 단열 효과를 최대로 유지하고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이에 의한 결로의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불연 개스킷(1')은 전술한 실시 예의 불연 개스킷(1)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불연 소재로 구성된 돌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는 이러한 형태의 불연 개스킷(1')이 문(20)과 문틀(10) 사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통형의 불연 소재 이외에 돌기부(110)를 더 포함함으로써, 문(20)과 문틀(10) 사이의 밀폐가 더욱 강화되어 방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b) 및 도 4(b)에서는 돌기부(110)가 개스킷(1')의 외면에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돌기부를 개스킷의 내면에 형성해도 외면에 형성된 것과 유사한 방화 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형의 불연 소재층(100)의 내부에 삽입된 통형의 망사 스프링(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망사 스프링(120)의 탄성 기능에 의하여 불연 소재층(100) 만에 의한 탄성을 보강함으로써 개스킷의 방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후술하는 도 3(c)의 단면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일정한 폭(w)을 갖는 파이버 글라스 원단(100)의 양면에 실리콘 코팅층(201, 203)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접착부(301, 303)가 형성된다. 불연 소재층(100)은 직사각형의 파이버 글라스 원단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의 파이버 글라스 원단의 양쪽 긴 변을 따라 접착부(301, 303)가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301, 303)의 부착에 의하여 원통형의 개스킷(1)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스킷(1)의 제조 과정에서 접착부(301, 303)가 서로 대응하여 부착됨으로써 원통형의 개스킷(1)이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접착부(301, 303)가 실리콘 코팅층(201, 203) 상에 형성되어 있으나, 불연 소재층(100)에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는 도 3에서와 같이, 양면 테이프를 붙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에 나머지 원단 부분에 실리콘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부의 폭은 5mm 내지 9mm의 범위로 하여 오랜 사용에도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실리콘 코팅층(201, 203)은 상온 경화 타입의 내열 실리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패킹 재료로서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본 고안에서와 같이 방화용으로써 내열성이 좋고 고온에서 녹아 흘러내리지 않는 경화 타입의 실리콘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원통형 불연 소재층(100)의 원통의 내부에 흑연 팽창 발포제(400)를 삽입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일면이 상기 실리콘 코팅층(203)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흑연 팽창 발포제(400)는 직사각형의 긴 얇은 평판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그 폭은 개스킷(1)의 폭(d)보다 같거나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고온에 의하여 팽창하여 개스킷(1)의 중공을 채우게 됨으로써 더욱 완벽한 밀폐 상태를 유지하여 방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의 순서도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개스킷(1)을 제조하기 위하여, (a) 일정한 폭을 갖도록 평직 직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b) 준비된 원단의 양쪽 변을 따라 양면 테이프(301, 302)를 부착하는 단계, (c) 양면 테이프(301, 302)가 부착된 영역을 제외한 원단 상에 실리콘(201)을 코팅하는 단계, (d) 양면 테이프의 제거하여 접착부를 서로 부착하여 원통형의 개스킷(1)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개스킷(1)의 내부에 흑연 팽창 발포제(40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 의하여 원통형의 개스킷(1)을 형성한 후에 접착부의 연결부를 덮기 위한 실리콘 코팅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또한, 도 1(b)의 불연 개스킷(1')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도 3과 동일하지만, 단계 (b)에서 한쪽 변에서는 일정한 거리만큼 내측으로 들어와서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점에서만 차이점을 가질 것이다(도 2(b) 참조).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본 고안의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
100: 불연 소재층 201, 203: 실리콘 코팅층
301, 303: 접착부 400: 흑연 팽창 발포제

Claims (10)

  1. 탄성이 있는 통형의 불연 소재층(100); 및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실리콘 코팅층(201, 20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불연 소재층(100)은 평직으로 직조하여 제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두께는 0.13 내지 0.5mm이고,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통의 지름은 50 내지 75mm이고,
    상기 불연 소재층(100)은 직사각형의 파이버 글라스 원단을 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의 파이버 글라스 원단의 양쪽 긴 변을 따라 접착부(301, 303)가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301, 303)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불연 소재층(100)의 통형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코팅층(201, 203)은 상온 경화 타입의 내열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01, 303)의 폭은 5mm 내지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의 중공에 흑연 팽창 발포제(400)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 팽창 발포제(400)의 일면이 상기 실리콘 코팅층(203)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의 불연 소재층(10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불연 소재층의 돌기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의 불연 소재층의 내부에 삽입된 통형의 망사 스프링(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1).
KR2020140001443U 2013-09-02 2014-02-25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 KR2004741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26 2013-09-02
KR20130007326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104Y1 true KR200474104Y1 (ko) 2014-08-21

Family

ID=5198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443U KR200474104Y1 (ko) 2013-09-02 2014-02-25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0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96A (ko) * 2015-07-02 2017-01-11 성상규 단열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단열도어 장치
WO2018117289A1 (ko) * 2016-12-21 2018-06-28 지원그린테크 주식회사 단열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단열도어 장치
KR101965543B1 (ko) 2018-11-12 2019-04-03 임재경 발포 부재가 삽입된 관형의 방화문용 불연 직물 가스켓
KR20210004530A (ko) 2019-07-05 2021-01-13 김병화 기밀 방화 자동문의 불연 개스킷 설치구조
KR20210052826A (ko) 2019-11-01 2021-05-11 김병화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262A (ja) * 1999-05-27 2000-12-05 Showa Highpolymer Co Ltd 発泡用樹脂組成物、発泡体及び難燃性構造体
KR100532617B1 (ko) * 2002-09-18 2005-12-02 이영호 방화문용 가스켓
JP2006272651A (ja) * 2005-03-28 2006-10-12 Hiraoka & Co Ltd 可撓性防汚不燃膜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262A (ja) * 1999-05-27 2000-12-05 Showa Highpolymer Co Ltd 発泡用樹脂組成物、発泡体及び難燃性構造体
KR100532617B1 (ko) * 2002-09-18 2005-12-02 이영호 방화문용 가스켓
JP2006272651A (ja) * 2005-03-28 2006-10-12 Hiraoka & Co Ltd 可撓性防汚不燃膜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96A (ko) * 2015-07-02 2017-01-11 성상규 단열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단열도어 장치
KR101702226B1 (ko) * 2015-07-02 2017-02-02 성상규 단열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단열도어 장치
WO2018117289A1 (ko) * 2016-12-21 2018-06-28 지원그린테크 주식회사 단열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단열도어 장치
CN110114547A (zh) * 2016-12-21 2019-08-09 格一绿色科技株式会社 隔热垫及具有其的隔热门装置
CN110114547B (zh) * 2016-12-21 2020-11-24 格一绿色科技株式会社 隔热垫及具有其的隔热门装置
KR101965543B1 (ko) 2018-11-12 2019-04-03 임재경 발포 부재가 삽입된 관형의 방화문용 불연 직물 가스켓
WO2020116737A1 (ko) * 2018-11-12 2020-06-11 주경텍스(주) 발포 부재가 삽입된 관형의 방화문용 불연 직물 가스켓
US11473365B2 (en) 2018-11-12 2022-10-18 Jukyung Tex Company Tube-shaped incombustible fabric fire door gasket having foamed member inserted therein
KR20210004530A (ko) 2019-07-05 2021-01-13 김병화 기밀 방화 자동문의 불연 개스킷 설치구조
KR102277154B1 (ko) * 2019-07-05 2021-07-14 김병화 기밀 방화 자동문의 불연 개스킷 설치구조
KR20210052826A (ko) 2019-11-01 2021-05-11 김병화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104Y1 (ko) 방화문용 불연 개스킷
KR101965543B1 (ko) 발포 부재가 삽입된 관형의 방화문용 불연 직물 가스켓
JP2007526954A (ja) 耐火性を有する可撓性の壁
JP2019060235A (ja) 意匠性を付与した熱膨張材
KR100778359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방화용 단열패드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KR101273817B1 (ko)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US11103734B2 (en) Fire protection element having a carrier fabric
KR20220078375A (ko)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JP2017109428A (ja) 耐火断熱シート
KR102277154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불연 개스킷 설치구조
KR102116913B1 (ko)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KR20200024172A (ko)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KR20190131955A (ko) 단열 및 방열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20170139749A (ko) 방화문용 패킹 및 그 제조방법
KR101505114B1 (ko) 방화문
KR100532617B1 (ko) 방화문용 가스켓
JP3654782B2 (ja) 防火複層ガラス
CN205370365U (zh) 钢制防火窗
KR101254118B1 (ko) 유공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CN218661667U (zh) 一种复合型汽车吸音棉
KR20170123564A (ko) 방화문
KR102573473B1 (ko) 단열 방화 미서기 이중창호
CN217151783U (zh) 一种断桥铝合金耐火窗型材
KR200326604Y1 (ko)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