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375A -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 Google Patents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375A
KR20220078375A KR1020200167858A KR20200167858A KR20220078375A KR 20220078375 A KR20220078375 A KR 20220078375A KR 1020200167858 A KR1020200167858 A KR 1020200167858A KR 20200167858 A KR20200167858 A KR 20200167858A KR 20220078375 A KR20220078375 A KR 2022007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rotection
protection cap
pipe
cap membe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484B1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사이언스세이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언스세이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이언스세이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Abstract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이 개시된다. 개시된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은 벽체에 배관을 관통설치할 때, 배관 관통부를 마감시공하기 위한 방화캡에 관한 것으로서, 난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반원파이프 형태의 제1배관안착홈과 제2배관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안착홈과 상기 제2배관안착홈이 배관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싸 상기 배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 열발포성을 갖는 난연패드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제1배관안착홈과 상기 제2배관안착홈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관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방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One-touch fire protection cap for fireproof finishing of pipe penetration portion of wall}
본 발명은 원터치 방화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배관을 관통되게 설치할 때, 내화성능기준을 만족시키도록 벽체의 배관 관통부에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는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빌딩 등의 건물 건축시에는 서로의 거주공간을 구획 구분하는 벽체에 통공을 천공하고, 이 통공에 배관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이 배관을 각종 전선을 매설하는 전선보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벽체의 배관 관통부의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배관 관통부를 내화성능기준에 맞게 마감해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마감시공이라고 한다. 이러한 내화충전마감구조를 국가가 시험 및 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벽체의 배관 관통부에 대한 건축 내화 성능 기준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화성능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내화 충전 마감시공은 벽체(w)를 천공하여 천공구멍(h)을 형성하고, 천공구멍(h)에 금속 배관(p)을 관통시킨 후, 금속배관(p)과 천공구멍(h) 사이 불연성 내화충전패드(2)를 채우고, 벽체(w) 양면에서 내화충전패드(2)의 양측단과 벽면, 배관등에 방화실란트를 코킹작업하여 코팅층(3)을 형성한 후, 그 외측으로 배관(p)에 불연패드(4)를 감싸고 금속밴드(5)으로 밴딩하여 고정함으로써 마감시공이 완료되었다.
이처럼, 기존의 벽체의 배관 관통부에 대한 내화 마감시공은 그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시간이 많이 들어 시공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시공 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지저분하여 민원발생이 높은 편이고, 금속밴드(5) 등이 노후화에 의해 배관(p)에서 쉽게 분리되고, 분리되는 경우 전체적인 내화성능에 문제가 생겼다.
또한, 복잡하고 어려운 마감시공작업으로 인해 주로 숙력된 업자들만이 시공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숙련공 등에 의한 인건비 상승 등 전체적인 시공비용 상승을 야기 시켰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40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48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94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56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배관을 감싸면서 원터치식으로 배관에 용이한 조립체결이 가능하며, 배관에 조립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밀기만 하여도 벽체 통공과 배관의 틈새의 메움작업이 수행되어 벽체의 배관 관통부에 대한 내화마감시공이 간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숙련자가 아닌 미숙련자들도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은 벽체에 배관을 관통설치할 때, 배관 관통부를 마감시공하기 위한 방화캡에 관한 것으로서, 난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반원파이프 형태의 제1배관안착홈과 제2배관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안착홈과 상기 제2배관안착홈이 배관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싸 상기 배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 열발포성을 갖는 난연패드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제1배관안착홈과 상기 제2배관안착홈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관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방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방화캡부재와 상기 제2방화캡부재을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결합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 측으로 푸쉬하여 상기 방화패드가 상기 틈새로 삽입되어 내화마감시공이 완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부는 서로 분리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밀착면과 제2밀착면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상단부는 외력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외력 제거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서로 밀착되도록 형태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밀착면과 상기 제2밀착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면과 상기 제2밀착면이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결합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반원파이프로 형태로 이루어져,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결합시 원형 파이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화캡부재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화캡부재와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방화캡부재 및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레일홈과, 상기 결합레일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레일은 상기 제1방화캡부재의 상단과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방화캡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터치 방화캡은 벽체의 배관 관통부에 내화마감시공용으로서, 벽체를 관통하고 있는 배관을 감싸도록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한 후, 벽체 측으로 밀어주기면 하면 방화패드가 벽체 통공과 배관 사이의 틈새사이로 압입되면서 내화 마감시공이 그대로 완료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존에 작업성을 매우 단순화시키고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도 매우 손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설치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전체적인 시공시간을 단축하며 시공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내화마감시공후 외관이 매우 깔끔하여 외관에 대한 만족도가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유지보수도 매우 편하여 노후화에 따른 교체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배관 관통부에 대한 내화 마감시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파이프 고정 구조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방화캡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방화캡부재와 제2방화캡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터치 방화캡(10)은 제1방화캡부재(110), 제2방화캡부재(120), 방화패드(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10)는 제2방화캡부재(120)는 난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는 하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부는 절단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제1방화캡부재(110)의 내측면에는 반원형의 제1배관안착홈(112)이 형성되고, 제2방화캡부재(120)의 내측면에는 반원형의 제2배관안착홈(122)이 형성되며, 제1배관안착홈(112)의 상부로 제1밀착면(114)이 형성되고, 제2배관안착홈(122)의 상부로 제1밀착면(114)과 밀착이 이루어지는 제2밀착면(12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 각각의 상부를 양측으로 당기면 벌어짐이 이루어지고,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탄성력에 의해 오므려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 각각의 상부 벌림시, 제1배관안착홈(112)과 제2배관안착홈(122)도 벌어지는 형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배관(p)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는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합성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성형시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 내부에 메쉬망이 매립되어져 있도록 구성되어, 화재시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가 연화될 때 메쉬망이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골격기능을 할 수 있다.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성형시, 금형에 메쉬망을 내부에 배치시키고, 성형재료(합성수지재)를 금형에 넣어 프레스하여 성형가공함으로써,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내부에 메쉬망이 매립되어진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이 메쉬망은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에 매립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배관안착홈(112)과 제2배관안착홈(122)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관체형태로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에 매립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원형관체 형태의 메쉬망 일측단은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제1밀착면(114)과 제2밀착면(124)이 벌어질 때 메쉬망도 함께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메쉬망은 원형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의 형태유지를 위한 골격(지지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는 제1밀착면(114)과 제2밀착면(124)이 스냅결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115,125)이 구성된다. 제1밀착면(114)에는 스냅결합홈(1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2밀착면(124)에는 스냅결합홈(115)에 스냅결합되는 스냅결합돌기(125)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의 (a)와 같이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상부를 벌린 상태에서, 벌어진 제1배관안착홈(112)과 제2배관안착홈(112)에 배관(p)이 끼워지도록 한 후, 제1밀착면(114)과 제2밀착면(124)이 밀착되도록 가압하면 스냅결합홈(115)에 스냅결합돌기(125)가 스냅결합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배관(p)에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밀착면(114)과 제2밀착면(124)이 밀착되어 배관(p)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1배관안착홈(112)과 제2배관안착홈(122)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배관(p)의 외주면을 감싸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배관안착홈(112)와 제2배관안착홈(122)의 선단부에는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원형의 방화패드(200)의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패드안착홈(116,1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방화패드(200)은 난연성을 가지며,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열발포하여 탄화층(char)을 형성하는 열발포성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화패드(200)는 열발포성 우레탄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열발포성 우레탄 합성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난연성과 열발포성을 갖는 다양한 열발포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방화패드(200)는 주 원료로서의 열 가소성 수지에 팽창흑연과 인산안모늄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화패드(200)는 벽체(w)의 통공(h)과 배관(p) 사이 틈새에 삽입되도록 내화시공이 이루어진 경우, 화재발생시 약 140℃도 이상의 온도에서 열발포가 이루어져 팽창하면서 통공(h) 내주면과 배관(p) 외주면 사이 틈새를 가득 메우도록 탄화층(char)을 형성함으로써 탄화층의 단열효과로 화염의 투과나 전이를 차단할 수 있어 내열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방화패드(200)는 원형관체가 되도록 패드안착홈(116,126)에 삽입되며, 양측 말단은 서로 접하며,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상부를 벌리는 경우, 방화패드(200)의 양측 말단(202)도 서로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화패드(200)는 패드 안착홈(116,126)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점착제에 의해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화패드(200)는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가 배관(p)을 감싸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벽체(w) 측으로 푸쉬하면, 방화패드(200)가 벽체(w)의 통공(h)과 배관(p)의 사이 틈새로 압입됨으로써 내화마감시공이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는 난연성을 갖으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이에 추가적으로 방화패드(200) 처럼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열발포하여 탄화층을 형서하는 열발포성능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방화캡부재(110)과 제2방화캡부재(120)는 합성수지재 이면서 난연성, 탄성, 열발포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화캡부재(110)과 제2방화캡부재(120)는 주원료인 주원료 합성수지재에 팽창흑연, 인산암모늄을 포함되어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는 열발포성 우레탄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열발포성 우레탄 합성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고무탄성, 난연성과 열발포성을 갖는 다양한 여타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의 선단 테두리에는 일체로 외측으로 확장되어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와 벽체(w) 사이로 누설되는 화염, 열기 등의 차염, 차열을 위하여 벽체(w)와 밀착되는 차화 플랜지부(118,128)가 구성될 수 있다. 이 차화플랜지부(118,128)는 난연접착제에 의해 벽체(w)에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방화캡부재(110)와 제2방화캡부재(120)를 배관(p)을 감싸도록 조립시킨 상태에서, 차화플랜지부(118,128)의 전면에 난연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를 벽체(w) 측으로 푸쉬하여 방화패드(116,126)가 벽체(w)이 통공(h)과 배관(p) 사이 틈새로 삽입되고,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의 전면이 벽체(w)이 밀착됨과 동시에 차화플랜지(118,128)가 벽체(w)이 접착결합되어 내화마감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는 사각 블록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면에 제1배관안착홈, 제2배관안착홈(112,122) 및 상부가 분리되어 서로 벌어질 수 있는 형태이면 외관은 사각 블록이 아닌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의 전후 길이는 7cm~8cm의 길이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7cm 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열성능이 미약해져 내열성능기준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고, 8cm를 초과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내열성능조건은 만족시킬 수 있으나, 재료비 상승으로 인해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7cm~8cm의 길이범위일 때, 내화성능조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적정한 재료 책정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제품 경제성이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1방화캡부재(130) 및 제2방화캡부재(140)의 외관이 원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사각블록 형태의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를 갖는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제1방화캡부재(130)와 제2방화캡부재(140)가 완전히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 2 실시 예에서 제1방화캡부재(130)와 제2방화캡부재(140)는 완전 분리되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각각은 반원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면주면은 배관(p)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3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 결합레일홈(132)과 하단 결합돌기(133)가 형성되고, 제2방화캡부재(14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 결합레일홈(132)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상단 결합돌기(142)가 형성되고, 하단 결합돌기(133)가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하단 결합레일홈(14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1방화캡부재(130) 및 제2방화캡부재(140)의 선단 내주면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패드안착홈(136,146)이 형성되어 패드안착홈(136,146)에 방화패드(200)가 안착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화패드(200)의 양측 단말부(202)는 서로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배관(200)을 감싸도록 설치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방화패드(200)는 일측의 패드안착홈(136)에는 접착제나 점착제를 통해 부착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화캡부재(130)의 내면을 배관(p)의 외주면 일측부에 밀착시키면서, 방화패드(200)의 양측말단부(202)를 벌려 방화패드(200)가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되도록 한 후, 제1방화캡부재(130)의 후방 위치에서 제2방화캡부재(130)의 내면을 외주면 타측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전진시켜서 상단 결합레일홈(132)과 상단 결합돌기(14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하되고, 하단 결합돌기(133)가 하단 결합레일홈(14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관(p)을 감싸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와 같은 슬라이딩 방식의 끼움결합시 타측 패드안착홈(146)에 방화패드(200)의 타측부가 안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방화캡부재(130)와 제2방화캡부재(140)가 배관(p)을 감싸도록 밀착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벽체(w)측으로 푸쉬하면, 방화패드(200)가 통공(h)과 배관(p) 사이의 틈새로 압입되어 내화마감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방화패드(200)는 패드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일측의 패드안착홈(136)에 부착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화패드(200)는 반원형으로 각가 2개로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2개의 반원형 방화패드(200)가 일측의 패드안착홈(136)과 타측의 패드안착홈(146)에 각각 부착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제2방화캡부재(130)와 제2방화캡부재(14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되어 원형관체가 되면, 2개의 반원형 방화패드(200)도 원형관체를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은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의 외면에 접착되어 내화성을 향상시키는 난연밴드(119)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난연밴드(119)는 제1방화캡부재(110) 및 제2방화캡부재(120)에 접착되며 난연기능을 제공하는 카본섬유(119a)와, 이 카본섬유(119a)의 외면을 이루며 니들펠트 방식으로 카본섬유(119a)와 결합되는 난연성 펠트(119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밴드(119)에 있어서, 카본 섬유(119a)는 난연성을 제공하는 메타아라미드(m-Aramid) 소재의 실로 직조된 원단의 표면에 카본블랙(Carbon black) 박막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증착하거나, 또는 분말 형태의 카본블랙이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카본 섬유(119a)는 그 외면으로 부직포 형태의 흡착시트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니들 펠트 방식으로 난연성 펠트(119b)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증착, 또는 도포되어 있는 카본블랙이 카본 섬유(119a)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카본 섬유(119a)와 난연성 펠트(119b)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난연밴드(119)에 대한 안정적인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난연성 펠트(119b)는 난연성 레이온 단섬유와 아크릴 섬유를 탄화시켜 제조되는 섬유로, 탄화가 이루어진 섬유에 난연성 코팅액이 일정 두께로 코팅된다.
이때, 난연성 코팅액은 고순도 실리카, 알루미나, 탄소 및 지르코니아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에 있어서, 실리카 50중량%~70중량%, 알루미나 20중량%~30중량%, 지르코니아 5중량%~10중량%, 탄소 5중량%~1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제1방화캡부재
112...제1배관안착홈
114...제1밀착면
115...스냅결합홈
116...패드안착홈
118...차화 플랜지부
120...제2방화캡부재
122...제2배관안착홈
124...제2밀착면
125...스냅결합돌기
126...패드안착홈
128...차화 플랜지부
200...방화패드

Claims (8)

  1. 벽체에 배관을 관통설치할 때, 배관 관통부를 마감시공하기 위한 방화캡에 관한 것으로서,
    난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반원파이프 형태의 제1배관안착홈과 제2배관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안착홈과 상기 제2배관안착홈이 배관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싸 상기 배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
    열발포성을 갖는 난연패드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제1배관안착홈과 상기 제2배관안착홈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관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방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화캡부재와 상기 제2방화캡부재을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결합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 측으로 푸쉬하여 상기 방화패드가 상기 틈새로 삽입되어 내화마감시공이 완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부는 서로 분리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밀착면과 제2밀착면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상단부는 외력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외력 제거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서로 밀착되도록 형태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면과 상기 제2밀착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면과 상기 제2밀착면이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결합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화캡부재 및 제2방화캡부재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반원파이프로 형태로 이루어져,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결합시 원형 파이프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화캡부재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화캡부재와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방화캡부재 및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레일홈과, 상기 결합레일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일은 상기 제1방화캡부재의 상단과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방화캡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2방화캡부재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화캡.
KR1020200167858A 2020-12-03 2020-12-03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KR10248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58A KR102487484B1 (ko) 2020-12-03 2020-12-03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58A KR102487484B1 (ko) 2020-12-03 2020-12-03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75A true KR20220078375A (ko) 2022-06-10
KR102487484B1 KR102487484B1 (ko) 2023-01-11

Family

ID=8198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858A KR102487484B1 (ko) 2020-12-03 2020-12-03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503B1 (ko) * 2023-10-25 2024-02-19 강병안 층간 슬라브의 관통구 방화구조 및 시공방법
KR102638502B1 (ko) * 2023-10-25 2024-02-19 강병안 벽체의 관통구 방화구조 및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42B1 (ko) 2006-12-04 2008-04-23 박철성 충진과 팽창을 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방화 구획체관통공에서 배관을 설치하는 공법
JP3160790U (ja) * 2010-04-23 2010-07-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KR20130039469A (ko) 2011-10-12 2013-04-22 (주)세이프코리아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
KR101354069B1 (ko) 2011-12-27 2014-01-23 이호재 내화 충전구조 블럭
KR20170040020A (ko) * 2015-10-02 2017-04-12 박미순 내화 충전재 결합구조
KR101845632B1 (ko) 2016-11-02 2018-04-04 지근배 방화용 실런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102U (ko) * 2019-01-02 2019-01-09 주식회사 청완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790B2 (ja) * 1993-07-15 2001-04-25 コニカ株式会社 感光性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及び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42B1 (ko) 2006-12-04 2008-04-23 박철성 충진과 팽창을 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방화 구획체관통공에서 배관을 설치하는 공법
JP3160790U (ja) * 2010-04-23 2010-07-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KR20130039469A (ko) 2011-10-12 2013-04-22 (주)세이프코리아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
KR101354069B1 (ko) 2011-12-27 2014-01-23 이호재 내화 충전구조 블럭
KR20170040020A (ko) * 2015-10-02 2017-04-12 박미순 내화 충전재 결합구조
KR101845632B1 (ko) 2016-11-02 2018-04-04 지근배 방화용 실런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102U (ko) * 2019-01-02 2019-01-09 주식회사 청완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503B1 (ko) * 2023-10-25 2024-02-19 강병안 층간 슬라브의 관통구 방화구조 및 시공방법
KR102638502B1 (ko) * 2023-10-25 2024-02-19 강병안 벽체의 관통구 방화구조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84B1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3418A1 (en) Drywall and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connection joint of a drywall
KR20220078375A (ko)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CA3058865C (en) Wall joint fire or sound block component and related wall assemblies
US11066832B2 (en) Internal composition of a bracket member for insulation
JP4933412B2 (ja) 熱膨張性耐火具及び耐火構造
US9121527B2 (en) Fire prevention sleeve
EP2659560B1 (en) Seals to barrier penetrations
JP2020193712A (ja) 貫通孔措置ユニット
US9574702B2 (en) Mounting system for insulated installations
US20070068104A1 (en) Panel mounting system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RU2738299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манжета
US20120304979A1 (en) Line Element Lead-Through with Support Structure
KR101732118B1 (ko) 발포성 개구부 채움재 및 시공방법
CN108026723B (zh) 线性镶板
JP4860535B2 (ja) 防火処理方法
JP7469352B2 (ja) 集合管継手
JP7320577B2 (ja) 耐火具および閉塞部材
JP6898190B2 (ja) 防火区画壁の貫通構造
RU2738297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манжета
JPH07238657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217791A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の耐火・保温用被覆材
JPH09235854A (ja) 壁パネルと壁パネルの継合構造
JP6916349B1 (ja) 耐火部材、耐火構造
US11111665B2 (en) Composite insulation batt
JP7305299B2 (ja) カバー付き集合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