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02U -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 Google Patents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02U
KR20190000102U KR2020190000022U KR20190000022U KR20190000102U KR 20190000102 U KR20190000102 U KR 20190000102U KR 2020190000022 U KR2020190000022 U KR 2020190000022U KR 20190000022 U KR20190000022 U KR 20190000022U KR 20190000102 U KR20190000102 U KR 201900001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filler
pipe
penetrating
outer diameter
inser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2020190000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02U/ko
Publication of KR20190000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 또는 바닥에 배관을 관통시키기 위해 매설되는 벽 또는 바닥 관통부와 그 관통부를 관통되는 배관 사이의 공간으로 일측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화염과 유독가스가 이동하여 관통부로 연하는 공간으로 화재가 전파되고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관통부에 배관이 시공된 이후에 설치할 수 있도록 두개의 편으로 형성하고, 그 편들 각각의 일방향으로 내화충진재를 안치시킬 수 있는 내화충진재 안치부를 형성하고 그 안치부에 내화충전재를 안치시킴으로써 배관 어느 곳에서나 배관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두개의 편을 결합한 후에 관통부로 밀어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Closeing Ring for Penetration Hole a built in Fire Stop}
본 고안은 벽체 또는 바닥에 배관을 관통시키기 위해 매설되는 벽 또는 바닥 관통부와 그 관통부를 관통되는 배관 사이의 공간으로 일측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화염과 유독가스가 이동하여 관통부로 연하는 공간으로 화재가 전파되고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관통부에 배관이 시공된 이후에 설치할 수 있도록 두개의 편으로 형성하고, 그 편들 각각의 일방향으로 내화충진재를 안치시킬 수 있는 내화충진재 안치부를 형성하고 그 안치부에 내화충전재를 안치시킴으로써 배관 어느 곳에서나 배관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두개의 편을 결합한 후에 관통부로 밀어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 슬라브 등과 같은 방화 구획체를 관통하는 배관은 방화 구획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배관을 삽입한 후, 배관과 관통공 사이의 공간을 내화 충전제로 메워서 시공된다. 내화 충전제로는 그라스울, 내화몰탈, 실리콘,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배관을 관통공에 삽입한 후, 별도로 내화 충전제를 이용하여 배관과 관통공 사이의 공간을 메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화 충전제를 이용하여 배관과 관통공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메우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소음 및 열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화재시 매연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특히, 배관이 플라스틱으로 된 경우에는 화재시 열로 인하여 배관이 녹게 되고, 배관이 녹게 되면 배관을 통하여 화염과 매연이 이동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관통부에 내화충전재를 채우더라도 양측으로 관통되는 파이프와 벽관통 슬리브 사이가 그대로 노출되어 육안에 노출된 부분의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에 끼워 벽 또는 바닥 관통부에 체결할 수 있는 링 형태로 형성하고, 그 일의 일측면에 열팽창성 내화충전재를 체결할 수 있는 안치홈을 형성하여 내화충전재를 안치시킴으로써 파이프가 벽 또는 바닥을 관통하도록 시공하면서 파이프를 삽입한 후밀어 넣는 것만으로 내화충전재의 설치와 관통부의 틈을 메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 마감링을 두개의 편으로 형성하여 관통부에 파이프를 설치한 이후에 간편하게 내화충전재의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개의 편의 노출되는 면의 외경을 노출되는 관통부분의 외경보가 크게 형성함으로써 노출되는 양면을 두개의 편으로 막아 관통부의 틈 등으로 인해 별도의 실링 없이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 또는 바닥 관통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벽을 관통하는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환형태로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띠형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디며 관에 밀착되는 관통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이격 형성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와 제1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내화충전재 안치부를 가지며, 상기 내화충전재 안치부에 안치되는 띠 형상의 열팽창성 내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관 관통부 마감링은 상기 덮개부와 제1 및 제2 삽입부를 두개로 절단하되, 일편은 U자형으로 일부분이 개방된 암편과; 상기 암편의 개방된 부분에 체결되어 환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숫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 또는 바닥 관통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벽을 관통하는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환형태로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띠형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디며 관에 밀착되는 관통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이격 형성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와 제1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내화충전재 안치부를 가지며, 상기 내화충전재 안치부에 안치되는 띠 형상의 열팽창성 내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관 관통부 마감링은 상기 덮개부와 제1 및 제2 삽입부를 두개로 절단하되, 일편은 U자형으로 일부분이 개방된 암편과; 상기 암편의 개방된 부분에 체결되어 환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숫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a 및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0015]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10)의 한 실시예를를 나타낸 것으로, 벽 또는 바닥 관통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벽을 관통하는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환형태로 형성된 덮개부(11)와, 상기 덮개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띠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관통부에 설치되는 배관에 밀착되고 관통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12)와, 상기 제1삽입부(12)의 외경보다 큰내경을 갖도록 이격되어 제1삽입부와 같은 방향으로 띠 형태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부(13)와, 상기 제1삽입부(12)와 제2삽입부(13)로 인해 형성되는 내화충전재 안치부(14)와, 상기 내화충전재 안치부(14)에 안치되는 환상의 띠 형태를 갖는 내화 충전재(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화충전재(15)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10)은 벽관통부에 배관을 통과시키기 전에 상기 마감링(10)을 내화충전재(15)가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배관에 먼저 삽입하고, 배관을 관통시켜 시공한 후, 상기 마감링(10)을 밀어 넣어 배관과 관통부의 틈을 덮개부(11)로 막음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화충전재(15)는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는 열팽창성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며, 상기 열팽창성 내화충전재는 일측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열에 의해 마감링이 녹으면서 열이 열팽창성 내화충전재에 전달되어 팽창하므로써 관통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화원이나 유독가스 등이 벽체 넘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2a 및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 상기 도1a 및 도1b에서 설명한 마감링(10)은 배관 시공전에 배관에 먼저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고자, 마감링과 내화충전재를 두개의 편으로 분리하여 제공하고, 배관을 관통부에 시공후 배관을 중앙에 두고 두개의 편을 겹합하여 관통부에 밀어넣어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2a 및 도2c의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20)은 U자형 암편(20A)과, 그 U자형 암편(20A)에 체결되어 환형태의 덮개부(21) 및 관 밀착부(22)를 형성하도록 하는 숫편(20b)으로 구성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도2c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관통부와 배관 사이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21)의 절반을 일직선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U자형 암편(20A)과, 상기 U자형 암편(20A)에 체결되며 중심선을 따라 절단된 부분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25B)와 걸림턱(26B)을 갖는 암편 체결구가 형성된 숫편(20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U자형 암편(20A)의 배면에는 절단된 면들의 안쪽으로 상기 숫편(20B)에 형성된 암편 체결구의 가이드(25B)가 삽입 체결되는 가이드 홈(25A)과, 상기 가이드 홈(25A)의 끝단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상기 숫편(20B)의 걸림턱(26B)이 삽입 체결되는 걸림홈(2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U자형 암편(20A)과 숫편(20B)의 접촉면은 암편(20A)에 삼각 돌출부(27A)를 형성하고, 상기 숫편(20B)에 상기 암편(20A)의 삼각 돌출부(27A)가 삽입되는 삼각홈(27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U자형 암편(20A)과 숫편(20B) 체결시 각각의 삼각 돌출부(27A)와 삼각홈(28B)이 가이드 역할을 담당하여 용이하게 체결될 수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각 편(20A, 20B)의 덮개부(21A, 20B)의 내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결합시 띠 형태가 되도록 암편(20A) 숫편(20B)결합시 관통부에 설치되는 배관에 밀착되고 관통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22A, 22B)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제1삽입부(22A, 22B) 각각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이격되어 제1삽입부(22A, 22B)와 같은 방향으로 띠 형태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부(23A, 23B)와, 상기 제1삽입부(22A, 22B)와 제2삽입부(23A, 23B)로 인해 형성되는 내화충전재 안치부(24A,24B)와, 상기 내화충전재 안치부(24A, 24B) 각각에 안치되는 결합시 환상의 띠 형태를 갖는 내화 충전재(30A, 30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암편과 숫편으로 형성된 관통 슬리브 마감구는 관통 슬리브에 배수관 또는 가스관 등을 통과시켜 배관을 실시한 후, 관통 슬리브 마감구의 암편과 숫편을 분리하여 상기 암편을 관에 삽입한 다음 숫편을 암편에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체결된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관통 슬리브에 밀착시킴으로써 관통 슬리브와 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화재발생시 내화충진제에 의해 화원이나 유독가스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화충전재(30A, 30B)는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는 열팽창성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며, 상기 열팽창성 내화충전재는 일측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열에 의해 마감링이 녹으면서 열이 열팽창성 내화충전재에 전달되어 팽창하므로써 관통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화원이나 유독가스 등이 벽체 넘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마감링 11,21,21A,21B : 덮개부
12,22,22A,22B : 제1삽입부 13,23A,23B : 제2삽입부
14, 24A,24B : 내화충전재 안치부 15,30,30A,30B : 내화충전재
20A : 암편 20B : 숫편
25A : 가이드홈 25B : 가이드
26A: 걸림홈 26B : 걸림턱
27A: 삼각 돌출부 27B : 삼각홈

Claims (3)

  1. 벽 또는 바닥 관통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벽을 관통하는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환형태로 형성된 덮개부(11)와;
    상기 덮개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띠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관통부에 설치되는 배관에 밀착되고 관통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12)와;
    상기 제1삽입부(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이격되어 제1삽입부와 같은 방향으로 띠 형태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부(13)와;
    상기 제1삽입부(12)와 제2삽입부(13)로 인해 형성되는 내화충전재 안치부(14)와;
    상기 내화충전재 안치부(14)에 안치되는 환상의 띠 형태를 갖는 내화 충전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재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팽창성 내화충전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은,
    상기 관통 슬리브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배수관 또는 가스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일부분이 개방된 암편과;
    상기 암편의 개방된 부분에 체결되어 환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숫편과;
    상기 암편과 숫편 각각에 형성된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와;
    상기 각각의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내화충전재 안치부에 안치된 각각의 내화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KR2020190000022U 2019-01-02 2019-01-02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KR201900001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22U KR20190000102U (ko) 2019-01-02 2019-01-02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22U KR20190000102U (ko) 2019-01-02 2019-01-02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26A Division KR20180130793A (ko) 2017-05-30 2017-05-30 내화충전제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55U Division KR20190001978U (ko) 2019-07-29 2019-07-29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02U true KR20190000102U (ko) 2019-01-09

Family

ID=6501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22U KR20190000102U (ko) 2019-01-02 2019-01-02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75A (ko) * 2020-12-03 2022-06-10 사이언스세이프티 주식회사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75A (ko) * 2020-12-03 2022-06-10 사이언스세이프티 주식회사 벽체 배관 관통부의 내화 마감시공용 원터치 방화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528B2 (ja) 熱膨張性耐火具及び耐火構造
JP4933412B2 (ja) 熱膨張性耐火具及び耐火構造
US20110088342A1 (en) Firestopping bushing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20180130793A (ko) 내화충전제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MX2009012312A (es) Sello con proteccion contra incendios.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20190000102U (ko)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JP2006234140A (ja) 貫通部の耐火用スリーブ
TWI752424B (zh) 管組件之隔熱及防潮層
JP4918325B2 (ja) 貫通孔閉塞具、貫通孔閉塞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耐熱性閉塞部材
JP2015209933A (ja)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JP4549045B2 (ja) 防火区画貫通継手
KR101930909B1 (ko) 발포 불연재가 구비된 댐퍼
KR20190001978U (ko)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JP6147690B2 (ja) 排水管継手
KR101053165B1 (ko) 복합지수판 유니버셜 커플링
KR102155907B1 (ko) 내화충전제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JP2018136012A (ja) 耐火用スリーブ及び防火措置構造
JP2018127766A (ja) 管継手および脚部継手
JP5937902B2 (ja) 耐火処理具及び貫通部の耐火構造
WO1982003951A1 (en) Method and tool for inserting an overdimensioned elastic body in a cavity
KR200483439Y1 (ko) 배관용 벽체 마감캡
JP5384082B2 (ja) 耐火二層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