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39Y1 - 배관용 벽체 마감캡 - Google Patents

배관용 벽체 마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39Y1
KR200483439Y1 KR2020150000561U KR20150000561U KR200483439Y1 KR 200483439 Y1 KR200483439 Y1 KR 200483439Y1 KR 2020150000561 U KR2020150000561 U KR 2020150000561U KR 20150000561 U KR20150000561 U KR 20150000561U KR 200483439 Y1 KR200483439 Y1 KR 200483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ipe
inner diameter
pip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695U (ko
Inventor
이태하
Original Assignee
이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하 filed Critical 이태하
Priority to KR2020150000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3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7Sealing by means of a joint of the quick-acting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벽체 마감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을 마감하기 위해 코킹한 후, 한 손으로 측면 캡을 배관에 끼워 결합하고 다른 방향에서 한 손으로 측면 캡을 배관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마감캡의 결합이 편리하며, 배관을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관용 벽체 마감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결합하며 분할면과 내경면을 형성하고, 한쪽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코킹부와 함께 마감되도록 측면캡이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결합돌기가 마주하는 돌기홈에 결합하는 마감캡에 있어서,
상기 내경면의 양쪽 선단에 형성한 분할면에서 한쪽 선단으로 내경면과 같은 호상을 갖도록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분할면에서 내경면 방향으로 돌기홈을 형성하여 결합돌기가 위치하도록 위치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내경면의 연장선에서 돌출되는 내경으로 선단돌기를 더 돌출시켜 배관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벽체 마감캡{Walls closing cap for pipe}
본 고안은 배관용 벽체 마감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을 마감하기 위해 코킹한 후, 한 손으로 측면 캡을 배관에 끼워 결합하고 다른 방향에서 한 손으로 측면 캡을 배관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마감캡의 결합이 편리하며, 배관을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관용 벽체 마감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에는 가스, 상,하수도의 공급, 실내에 설치하는 가전제품의 사용을 위해 다양한 위치에 배관을 설치하게 되며, 상기 배관은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하게 되지만 마감상태가 깨끗하게 마감되지 않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을 마감하기 위해서는 외벽과 배관의 주위에 코킹처리를 한 후 외측으로 마감캡을 설치하여 마감상태가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배관이 설치되는 부분의 높이가 다양하게 있으며, 마감을 위한 캡의 설치를 위해서는 양손에 각각 분할된 캡을 잡고 배관의 양쪽에서 결합한 후 캡의 양쪽으로 설치한 후크가 상대편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마감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고,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배관을 설치한 후에는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분리 후 수리를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종래의 마감캡은 후크 형태로 결합한 것이어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결점이 발생하며, 작업을 위해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감캡을 공구로 파손시켜 제거해야 하는 결점이 발생하여 새로운 마감캡을 필요로 하는 등 많은 결점과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248774호(1999. 12. 20.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95251호(2005. 09. 01.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399421호(2014. 05. 20.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67375호(2013. 06. 03.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양쪽이 대칭되도록 하는 마감캡을 한 손으로 한쪽면을 결합한 후 다른 방향에서 캡을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배관의 벽체 측면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해결과제는, 배관을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마감캡을 한 손으로 잡아당기면 그대로 분리되어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결합하며 분할면과 내경면을 형성하고, 한쪽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코킹부와 함께 마감되도록 측면캡이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결합돌기가 마주하는 돌기홈에 결합하는 마감캡에 있어서,
상기 내경면의 양쪽 선단에 형성한 분할면에서 한쪽 선단으로 내경면과 같은 호상을 갖도록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분할면에서 내경면 방향으로 돌기홈을 형성하여 결합돌기가 위치하도록 위치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내경면의 연장선에서 돌출되는 내경으로 선단돌기를 더 돌출시켜 배관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본 고안은 양쪽이 대칭되도록 하는 마감캡을 한 손으로 배관에서 한쪽면을 감싸며 결합되도록 한 후, 결합된 마감캡을 잡지 않고서 다른 방향에서 캡을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배관의 벽체 측면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여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마감캡을 한 손으로 잡아당기면 결합되어 있는 마감캡이 그대로 분리되어 수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리가 종료된 후에는 마감캡을 다시 간편하고 편리하게 결합하여 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마감캡을 배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마감캡을 배관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배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분리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결합돌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마감캡을 배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감캡을 배관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에 관한 것이다.
벽체(20)를 천공하여 배관(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을 천공하여 배관(30)을 설치하거나, 벽체(20)의 시공시에 파이프를 내장하여 후에 배관(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벽체(20)에 배관(30)이 관통된 후에는 벽체(20)의 외부에서 코킹부(40)와 같이 코킹처리를 통하여 마감하고, 마감캡(10)을 통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마감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10)은 대칭이 되는 두 개의 측면캡(11, 11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캡(11, 11a)의 내경면(12, 12a) 한쪽 선단에서 형성한 결합돌기(14, 14a)를 통하여 한 손으로 배관(30)에 결합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배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분리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마감캡에 대한 결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감캡(10)은 대칭되는 측면캡(11, 11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캡(11, 11a)은 배관(30)을 감싸도록 호상으로 이루어지는 내경면(12, 12a)이 형성되고, 상기 내경면(12, 12a)의 양쪽 선단이 정면에서 볼 때 수직방향으로 분할면(13, 13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캡(11, 11a)은 전방이 호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공간(16, 16a)이 형성되어 빈 상태의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경면(12, 12a)은 원주둘레의 1/2씩으로 이루어진 후, 양쪽 선단 중 한쪽 선단의 분할면(13, 13a)에서 호상으로 결합돌기(14, 14a)가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분할면(13, 13a)의 결합돌기(14, 14a)가 돌출되지 않은 곳에는 내경면(12, 12a)의 방향으로 돌기홈(15, 15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14, 14a)가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10)은 배관(30)의 한쪽에서 측면캡(11)을 한 손으로 끼워 결합하며, 상기 측면캡(11)의 반대편에서는 측면캡(11)을 잡지 않고 한 손으로 끼워 결합하면 결합돌기(14, 14a)가 돌기홈(15, 15a)에 위치하며 배관(30)을 감싸며 마감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결합돌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에 관한 것으로, 분할면(13, 13a)의 일측으로 내경면(12, 12a)의 연장선상에서 돌출되는 결합돌기(14, 14a)의 내경으로 선단돌기(17)를 더 돌출시켜 배관(30)에 안전하게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벽체(20)를 관통하는 배관(30)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벽체(20)의 외측면으로 코킹부(40)를 코킹처리로 마감하게 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감캡(1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10)은 측면캡(11)을 한 손으로 잡고 배관(30)에 결합하게 되면 내경면(12)이 배관(30)을 감싸며 결합하고, 내경면(12)의 선단에서 돌출된 결합돌기(14)가 배관(30)을 감싸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내경면(12)의 배관(30)의 1/2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였으나, 결합돌기(14)가 배관(30)의 1/2 보다 더 크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배관(30)에서 분리되지 않고 감싸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30)에 측면캡(11)을 한 손으로 결합한 후에는 반대방향에서 측면캡(11)을 잡지 않고 결합할 측면캡(11a)을 한 손으로 잡아 결합하여 마감캡(10)이 외관을 감싸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10)을 이루는 측면캡(11, 11a)은 각각 한 손으로 잡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불편한 위치 또는 높은 위치에서는 한 손으로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한 손은 신체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서는 양손으로 더욱 쉽게 결합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캡(11, 11a)의 내경면(12, 12a) 선단에 돌출된 결합돌기(14, 14a)는 배관(30)을 감싸 독립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14, 14a)가 서로 대각선 방향에서 돌출되어 돌기홈(15, 15a)에 각각 위치하여 조립상태의 제한을 받지 않고 안정된 조립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외측면을 미려하게 제공하는 마감캡(10)을 배관(30)에 설치한 후에는 배관(30)에서 막힘 현상이나 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배관(30)을 분리한 후 수리를 진행하게 되지만, 종래에선 마감캡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파손시킨 후 작업할 수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측면캡(11, 11a)을 한 손으로 삽입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결합돌기(14, 14a)가 배관(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므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여 마감캡(10)을 분리한 후 배관의 수리작업을 진행하고 다시 마감캡(10)을 이루는 측면캡(11, 11a)을 각각 결합하여 작업을 깨끗하게 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결합돌기(14, 14a)는 분할면(13, 13a)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내경에 선단돌기(17)를 더 형성하여 배관(30)에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돌기(14, 14a)가 대칭되는 형태이므로 하나만 생산하여도 방향을 달리하여 한 쌍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캡을 사용하여 한 손으로 벽체의 마감부분에서 배관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대편에서 상기 측면캡을 고정하지 않고 새로운 측면캡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배관의 수리작업을 위해서 측면캡을 신속하게 분리한 수 다시 결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마감캡 11, 11a : 측면캡
12, 12a : 내경면 13, 13a : 분할면
14, 14a : 결합돌기 15, 15a : 돌기홈
16, 16a : 공간 17 : 선단돌기
20 : 벽체 30 : 배관
40 : 코킹부

Claims (4)

  1. 벽체(20)를 관통하는 배관(30)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결합하며 분할면(13, 13a)과 내경면(12, 12a)을 형성하고, 한쪽으로 공간(16, 16a)을 형성하여 코킹부(40)와 함께 마감되도록 측면캡(11, 11a)이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결합돌기(14, 14a)가 마주하는 돌기홈(15, 15a)에 결합하는 마감캡에 있어서,
    상기 내경면(12, 12a )의 양쪽 선단에 형성한 분할면(13, 13a)에서 한쪽 선단으로 내경면(12, 12a)과 같은 호상을 갖도록 결합돌기(14, 14a)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14, 14a)가 형성되지 않은 분할면(13, 13a)에서 내경면(12, 12a) 방향으로 돌기홈(15, 15a)을 형성하여 결합돌기(14, 14a)가 위치하도록 위치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14, 14a)는 내경면(12, 12a)의 연장선에서 돌출되는 내경으로 선단돌기(17)를 더 돌출시켜 배관(30)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관용 벽체 마감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0561U 2015-01-23 2015-01-23 배관용 벽체 마감캡 KR200483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61U KR200483439Y1 (ko) 2015-01-23 2015-01-23 배관용 벽체 마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61U KR200483439Y1 (ko) 2015-01-23 2015-01-23 배관용 벽체 마감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95U KR20160002695U (ko) 2016-08-03
KR200483439Y1 true KR200483439Y1 (ko) 2017-05-17

Family

ID=5671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561U KR200483439Y1 (ko) 2015-01-23 2015-01-23 배관용 벽체 마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364A (ko) 2021-01-18 2022-07-26 (주)우성에스케이에스 급수관 벽체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93Y1 (ko) 1999-12-04 2000-08-16 최종력 가스파이프의 지지구
KR200228264Y1 (ko) * 2000-12-29 2001-06-15 김준환 배관용 슬리브 커버
KR200467375Y1 (ko) * 2012-12-14 2013-06-17 이종문 배관덕트용 마감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138A (en) 1995-08-30 1998-11-10 Sony Corporatio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248774B1 (ko) 1997-10-24 2000-04-01 윤종용 배관 벽 고정장치
KR100395251B1 (ko) 2002-12-10 2003-08-25 오상철 높이조절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마루바닥재
KR20090007604U (ko) * 2008-01-23 2009-07-28 전추길 건축 배관용 이중 배관닥트 덮개
KR101399421B1 (ko) 2013-11-11 2014-05-28 (주)동인엔지니어링 압착결합구조의 마감커버를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93Y1 (ko) 1999-12-04 2000-08-16 최종력 가스파이프의 지지구
KR200228264Y1 (ko) * 2000-12-29 2001-06-15 김준환 배관용 슬리브 커버
KR200467375Y1 (ko) * 2012-12-14 2013-06-17 이종문 배관덕트용 마감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364A (ko) 2021-01-18 2022-07-26 (주)우성에스케이에스 급수관 벽체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95U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2104C (en) Tubular lead-in fixture
JP2007292281A (ja) 管継手
KR101846481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384534B1 (ko) 기어노브의 장착구조
KR200483439Y1 (ko) 배관용 벽체 마감캡
JP2013007264A (ja) 手摺の連結構造
JP2008095735A (ja) 貫通孔閉塞具、貫通孔閉塞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耐熱性閉塞部材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KR101630765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철근고정구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JP2009092100A (ja) 管継手
KR101317440B1 (ko) 관통슬리브 고정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JP2007138980A (ja) 管継手
JP2018115739A (ja) 管継手
JP5461920B2 (ja) コンクリート壁体表面用穴埋め部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792556B1 (ko) 철근 이음기
KR101160091B1 (ko) 수전 연결구
US20060192382A1 (en) Plumbing adapter
KR200228264Y1 (ko) 배관용 슬리브 커버
KR20190000102U (ko)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관통부 마감링
KR101096118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0786792B1 (ko) 파이프 연결소켓
JP6758641B2 (ja) 水道栓の取付補助具
KR100312159B1 (ko) 관이음구
KR20050028223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