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25Y1 -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25Y1
KR200474025Y1 KR2020130000753U KR20130000753U KR200474025Y1 KR 200474025 Y1 KR200474025 Y1 KR 200474025Y1 KR 2020130000753 U KR2020130000753 U KR 2020130000753U KR 20130000753 U KR20130000753 U KR 20130000753U KR 200474025 Y1 KR200474025 Y1 KR 200474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lectromagnetic wave
case
wave shielding
shie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616U (ko
Inventor
이준갑
김성미
이다혜
이창윤
Original Assignee
이준갑
김성미
이다혜
이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갑, 김성미, 이다혜, 이창윤 filed Critical 이준갑
Priority to KR2020130000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2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의 덮개에 전자파 차폐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도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상기 휴대전화의 전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게 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덮개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TRANSPARENT ANTI-RADIATION CASE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의 덮개에 전자파 차폐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도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란 주기적으로 세기가 변하는 전자기장이 공간 속으로 전파하는 물리적 현상을 총칭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전자파는 주로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노이즈(RE:Radiated Emission)를 의미하게 되었고, 그 유해성에 대한 객관적인 규명과 효율적인 대책마련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
특히, 현재 남녀노소 누구나 널리 사용하고 있는 휴대전화는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300~3000MHz의 극초단파를 사용하므로 인체나 조직 등에 공명현상에 의한 핫스폿(hot-spot) 효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인체에 장시간 노출되면 세포막 내외부의 이온흐름을 방해하며 호르몬 분비 및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해 전자파에 대한 규제강화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유엔(UN) 산하의 국제암연구기구(IARC)는 2011년 이미 휴대전화 전자파를 발암인자 2등급의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규정하였고, 전자파 장해를 막기 위한 국제기관인 국제전기표준화협회(IEC)는 전자파 장해에 대한 국제규격을 권고하여 각국의 국내규격을 정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파는 눈에 보이지 않고 별다른 자각증상 없이 장기간에 걸쳐 인체에 해를 입히며 사용자 본인의 피해는 물론 근접한 전자기기와 사람에도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그 유해성이 심각한데, 최첨단의 디지털 기기일수록 피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에서 "IT시대의 아킬레스건"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전자파 차폐재료로 구성하거나 내부 구성요소를 전자파 차폐부품으로 교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해 전자파를 감소하려 하고 있지만 대부분 휴대전화의 후면부로부터의 전자파 전달만 차단하고 있을 뿐 실제 휴대전화의 액정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시인성 확보를 위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바 이를 통한 전자파 차단은 여전히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며,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휴대전화의 후면부로부터의 전자파 전달만 차단할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얼굴 쪽으로 전자파가 반사되어 전자파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의 덮개에 전자파 차폐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도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상기 휴대전화의 전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게 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덮개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전자파 차폐수단은 전자파 차단물질이 포함된 금속패널, 합성수지패널, 섬유지, 스티커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내장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의 덮개에 전자파 차폐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도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30)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1)는 휴대전화(40)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40)의 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상기 휴대전화(40)의 전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게 하는 덮개부재(20)와, 상기 덮개부재(20)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전화(40)의 덮개부재(2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10)는 휴대전화(40)의 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휴대전화(40)의 외면을 충격이나 스크레치 및 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40)의 후면부 상에 별도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40) 후면부의 자체 케이스(배터리 커버) 대신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 가죽, 직물지 등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재질로 선택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모양, 색채 등이 휴대전화(40)의 기종에 따라 또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휴대전화(40)의 일측 모서리에는 덮개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덮개부재(20)는 회동여부에 따라 휴대전화(40)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 확인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덮개부재(20)가 개방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인하지 않거나 휴대전화(4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부재(20)를 개방하지 않는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되는 덮개부재(20)의 내측면은 부드러운 재질의 직물지가 덧대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 본체(10)와는 양측면 모서리 일측이나 또는 상부 모서리나 하부 모서리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부재(20)의 일측에는 덮개부재(2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10) 측에 스냅단추, 벨크로테이프, 자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20)는 상기 휴대전화(40)의 전면부로부터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피커공이 형 성된다.
한편, 전술한 덮개부재(20) 내부에는 전자파 차폐수단(30)이 내장되는데 이 전자파 차폐수단(30)은 휴대전화(4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파 차폐수단(30)은 전자파 차단물질이 포함된 금속패널, 합성수지패널, 섬유지, 스티커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30)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내장되는데, 덮개부재(20)의 모양을 잡아주는 심재 형태로 삽입될 수도 있고 기존의 심재에 덧대어져 부가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파 차폐수단(30)의 기능과 역할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파 차폐수단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휴대전화(40)의 외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의 덮개에 전자파 차폐수단(30)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휴대전화(4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할 시에도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10 : 케이스 본체
20 : 덮개부재
30 : 전자파 차폐수단
40 : 휴대전화

Claims (2)

  1.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상기 휴대전화의 전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게 하며 상기 휴대전화의 전면부로부터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피커공이 형성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에만 내장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덮개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시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수단은 전자파 차단물질이 포함된 금속패널, 합성수지패널, 섬유지, 스티커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20130000753U 2013-01-29 2013-01-29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74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53U KR200474025Y1 (ko) 2013-01-29 2013-01-29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53U KR200474025Y1 (ko) 2013-01-29 2013-01-29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16U KR20140004616U (ko) 2014-08-07
KR200474025Y1 true KR200474025Y1 (ko) 2014-08-18

Family

ID=5198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53U KR200474025Y1 (ko) 2013-01-29 2013-01-29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566B1 (ko) * 2014-08-26 2016-01-08 황원천 전자파 차폐용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8B1 (ko) 2009-03-11 2009-11-27 성민정 전자파 차단용 휴대폰 케이스
KR20120006443U (ko) * 2011-03-10 2012-09-20 김흥열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8B1 (ko) 2009-03-11 2009-11-27 성민정 전자파 차단용 휴대폰 케이스
KR20120006443U (ko) * 2011-03-10 2012-09-20 김흥열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16U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426Y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US8270929B1 (en) RF shielding for mobile devices
US20130106661A1 (en) Case or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WO2015023308A1 (en) Mobile phone microwave radiation protection
CN109167857A (zh) 校准方法、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R10120005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필름
KR200474025Y1 (ko)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CN205681507U (zh) 一种带旋转式遮屏保护罩的手机壳体
KR20047869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567957B1 (ko) 전자파 차폐부재가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KR101583566B1 (ko) 전자파 차폐용 스마트폰 케이스
US20130099956A1 (en) Apparatus to reduce specific absorption rate
KR101469960B1 (ko)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WO2003028424A1 (en) Shielding method and device
KR10117736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패널
JP6443960B2 (ja) 携帯電話カバー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3086324U (ja) 携帯電話の電磁波防止カバー
KR200170103Y1 (ko) 핸드폰용 부착구
CN202014278U (zh) 防辐射手机
KR19990024286A (ko) 전자파차단판이 설치된 폴더형 휴대폰
KR200474953Y1 (ko) 휴대단말기의 전자파 차단용 액세서리
KR20130017804A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케이스
JP3171447U (ja) 癒しの香りをセットした電磁波遮断吸着機能つき携帯無線通信機器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