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26Y1 -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26Y1
KR200467426Y1 KR2020110001972U KR20110001972U KR200467426Y1 KR 200467426 Y1 KR200467426 Y1 KR 200467426Y1 KR 2020110001972 U KR2020110001972 U KR 2020110001972U KR 20110001972 U KR20110001972 U KR 20110001972U KR 200467426 Y1 KR200467426 Y1 KR 200467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lectromagnetic shielding
cover
shielding member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443U (ko
Inventor
김흥열
Original Assignee
김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열 filed Critical 김흥열
Priority to KR2020110001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2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보호와 치장의 기능과 더불어 신호수신, 통화 등 휴대폰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휴대폰의 후면에 밀착되고 신호수신을 위한 최소한의 홀 영역을 제외한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된 리어커버; 상기 휴대폰을 향하는 상기 리어커버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되거나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덮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된 프론트커버; 상기 휴대폰의 일 측면을 덮고 상기 가이드부와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되어 상기 리어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hav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전자파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로서, 휴대폰의 보호와 치장 등 케이스 본연의 역할은 물론 신호수신과 통화 등 휴대폰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란 주기적으로 세기가 변하는 전자기장이 공간 속으로 전파하는 물리적 현상을 총칭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전자파는 주로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노이즈(RE: Radiated Emission)를 의미하게 되었고, 그 유해성에 대한 객관적인 규명과 효율적인 대책마련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 특히, 현재 남녀노소 누구나 널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은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300~3000MHz의 극초단파를 사용하므로 인체나 조직 등에 공명현상에 의한 핫스폿(hot-spot) 효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인체에 장시간 노출되면 세포막 내외부의 이온흐름을 방해하며 호르몬 분비 및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해 전자파에 대한 규제강화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유엔(UN) 산하의 국제암연구기구(IARC)는 1999년 이미 전자파를 발암인자 2등급의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규정하였고, 전자파 장해를 막기 위한 국제기관인 국제전기표준화협회(IEC)는 전자파 장해에 대한 국제규격을 권고하여 각국의 국내규격을 정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파는 눈에 보이지 않고 별다른 자각증상 없이 장기간에 걸쳐 인체에 해를 입히며 사용자 본인의 피해(EMI)는 물론 근접한 전자기기와 사람에도 피해(EMS)를 준다는 점에서 그 유해성이 심각한데, 최첨단의 디지털 기기일수록 피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에서 "IT시대의 아킬레스건"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전자파 차폐재료로 구성하거나 내부 구성요소를 전자파 차폐부품으로 교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해 전자파를 감소하려 하지만 그 효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며,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휴대폰의 보호와 치장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주목하였는바, 통상적인 휴대폰 케이스의 기능은 물론 신호수신과 통화 등 휴대폰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의 후면에 밀착되고 신호수신을 위한 최소한의 홀 영역을 제외한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된 리어커버; 상기 휴대폰을 향하는 상기 리어커버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되거나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덮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된 프론트커버; 상기 휴대폰의 일 측면을 덮고 상기 가이드부와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되어 상기 리어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리어커버, 상기 프론트커버, 상기 사이드커버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중 하나의 재질이고,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는 구리, 철, 니켈, 알루미늄, 주석, 아연, 금, 은을 포함하는 금속이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전도성 유기 고분자나 금속계, 금속복합계, 카본계, 전도성고분자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매쉬 재질이며, 상기 가이드부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중 하나에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매쉬 재질이 내장되거나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 중 상기 휴대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된 렌즈홀; 상기 리어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덮거나 열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된 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인 렌즈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보호와 치장이라는 케이스 본연의 역할은 물론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하면서도 신호수신과 통화 등 휴대폰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평상시 프론트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하면서도 홀 영역을 통해 신호수신이 가능하고, 통화시 프론트커버를 열어 휴대폰의 통화버튼을 누르고 다시 프론트커버를 닫은 다음 홀 영역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므로 결국 휴대폰 사용의 전 과정에 걸쳐 유해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어커버, 프론트커버, 사이드커버에 이종 재질인 전자파 차폐부재가 내장되므로 이들 커버가 쉽게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도 한층 더 뛰어난 장점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부분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를 살펴본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2)(이하, 간략하게 휴대폰 케이스(2)라 한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는 휴대폰(P)의 전 후면과 일 측면의 3면을 덮는 지갑 내지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바, 편의상 휴대폰(P)을 기준으로 휴대폰(P)의 후면을 덮는 리어커버(10), 휴대폰(P)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커버(20), 휴대폰(P)의 일 측면을 덮어 리어커버(10)와 프론트커버(20)를 연결하는 사이드커버(30)로 나누어볼 수 있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어커버(10)는 휴대폰(P)의 후면을 덮는 부분으로서 휴대폰(P)을 향한 리어커버(10)의 전면에는 휴대폰(P)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가이드부(12)가 구비되어 휴대폰(P)을 고정한다.
이를 위한 리어커버(10)는 인조가죽, 천연가죽,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폰(P) 보다 약간 큰 사이즈 및 적절한 두께의 판 형상을 나타내고, 리어커버(10)의 내부에는 신호수신을 위한 최소한의 홀 영역(14)을 제외한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다.
이때, 전자파 차폐부재(S)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 또는 차폐기능을 지닌 박판이나 메쉬 형태의 모든 종류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구리, 철, 니켈, 알루미늄, 주석, 아연, 금, 은 등을 포함하는 금속이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전도성 유기 고분자나 금속계, 금속복합계, 카본계, 전도성고분자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메쉬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박판은 박막, 판금 등을 포함하고, 메쉬는 망상 구조물을 프레스하여 테이프 형상으로 가공한 실드테이프, 메쉬를 라인 상으로 성형한 실드라인, 판 상의 모재에 슬릿을 넣고 잡아당겨 망상 구조로 성형한 익스팬드메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홀 영역(14)은 휴대폰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례로 전자파 차폐부재(S) 중 휴대폰(P)의 후면 중심부분에 대응되는 지름 1~3cm 정도의 범위 내에 관통된 하나 이상의 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홀 영역(14)은 리어커버(10)가 아닌 전자파 차폐부재(S)에 관통되므로 외관상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전자파 차폐부재(S)를 비롯한 리어커버(10) 전체를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12)는 휴대폰(P)을 향하는 리어커버(10)의 전면에 구비되어 휴대폰(P)의 가장자리를 감싸 고정한다.
이를 위한 가이드부(12)는 인조가죽, 천연가죽, 합성수지 등 리어커버(10)와 동종(同種) 또는 이종(異種) 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부의 실질적인 전 면적을 따라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되거나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메쉬 재질의 전자파 차폐부재(S)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면에는 가이드부(12)가 전자파차폐부재(S)로 이루어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12)는 휴대폰(P)의 네 모서리를 감싸는 모서리 가이드부(12a)와 휴대폰(P)의 네 측면을 감싸는 측면 가이드부(12b)로 구분될 수 있는데, 모서리 가이드부(12a)는 휴대폰(P)의 측면을 비롯한 전면 가장자리를 감싸 휴대폰(P)을 리어커버(10)에 견고히 고정하고, 측면 가이드부(12b)는 휴대폰(P)의 버튼 및 안테나 또는 이어폰 잭 등을 최소한의 한도로 노출시키는 인터페이스 홀(H)이 관통되어 휴대폰(P)의 측면을 감싼다. 이때, 필요하다면 인터페이스 홀(H)은 휴대폰(P)의 종류에 따라 모서리 가이드부(12a) 또는 측면 가이드부(12b)에 하나 이상이 적절히 관통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휴대폰(P)의 좌우 측면을 덮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12b) 중 적어도 하나는 휴대폰(P)의 상하 측면을 덮는 또 다른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12b)에 비해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 휴대폰(P)의 분해 또는 착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휴대폰(P)의 배면에 카메라렌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렌즈에 대응되는 리어커버(10)의 일부에 렌즈홀(16)이 관통되어 별도의 렌즈커버(18)로 여닫을 수 있다. 렌즈홀(16) 및 렌즈커버(18)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프론트커버(20)는 휴대폰(P)의 전면을 덮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폰(P)의 사용 등을 위해 수시로 여닫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를 위한 프론트커버(20)는 인조가죽, 천연가죽,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폰(P) 보다 약간 큰 사이즈 및 적절한 두께의 판 형상을 나타내며, 프론트커버(20)의 내부에는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다. 여기서 전자파 차폐부재(S)란 앞서 리어커버(1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일례로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 또는 매쉬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휴대폰(P)의 좌우 측면을 덮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12b)의 높이가 다른 측면 가이드부(1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면, 바람직하게는 휴대폰(P)을 향하는 프론트커버(20)의 후면에는 프론트커버(2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사이드커버(30) 측의 측면 가이드(12b)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바깥쪽에 일부 중첩되는 보조 가이드부(22)가 구비되어 전자파 차폐에 신뢰성을 기한다.
이때, 보조 가이드부(22)는 가이드부(12)와 마찬가지로 인조가죽, 천연가죽, 합성수지 등 프론트커버(20)와 동종(同種) 또는 이종(異種) 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부의 실질적인 전 면적을 따라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되거나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메쉬 재질의 전자파 차폐부재(S)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프론트커버(20)에는 프론트커버(20)의 닫힌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리어커버(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밴드부(B)가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이드커버(30)는 휴대폰(P)의 일 측면을 덮어 리어커버(10)와 프론트커버(2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리어커버(10)와 프론트커버(20)의 서로 마주보는 일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이를 위한 사이드커버(30) 역시 인조가죽, 천연가죽,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폰(P)의 측면 두께에 대응되는 폭의 띠 내지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고, 사이드커버(30)의 내부에는 사이드커버(30)를 향하는 측면 가이드부(12b)와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다. 여기서 전자파 차폐부재(S)란 앞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일례로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 또는 매쉬 재질이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의 사용방법을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는 휴대폰 케이스(2)의 프론트커버(20)를 열고 휴대폰(P)의 화면이 프론트커버(20)를 향하도록 휴대폰(P)을 리어커버(10)의 가이드부(12)에 고정한다. 이때, 가이드부(12)는 모서리 가이드부(12a)와 측면 가이드부(12b)의 형상 및 높이가 서로 상이하고 휴대폰(P)의 좌우측면을 덮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12b)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으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폰(P)을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평상시 프론트커버(20)를 닫아 보관하는데, 프론트커버(20)를 닫은 경우에 신호수신을 위한 홀 영역(14)을 제외한 휴대폰(P)의 외부전체는 리어커버(10), 가이드부(12), 프론트커버(20), 사이드커버(30)에 내장된 전자파차폐부재(S)로 은폐되므로 휴대폰(P)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이 차폐되는 반면 홀 영역(14)을 통해 신호수신이 가능하므로 휴대폰의 사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통화 등을 위해서는 프론트커버(20)를 열어 휴대폰(P)의 통화버튼을 누른 후 다시 프론트커버(20)를 닫고 사용하며, 이 경우 역시 휴대폰(P)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이 차폐되는 반면 홀 영역(14)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므로 휴대폰의 사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결과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는 휴대폰(P)의 보호와 치장 등 케이스 본연의 기능은 물론 신호수신과 통화 등 휴대폰(P)의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휴대폰(P)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앞서 설명을 유보했던 렌즈홀(16) 및 렌즈커버(18)의 부분 사시도로서 리어커버(10)의 후면 일부에 해당된다.
보이는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의 리어커버(10) 중 휴대폰의 카메라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렌즈홀(16)이 관통되고, 리어커버(10)의 후면에는 렌즈홀(16)을 덮거나 여는 렌즈커버(18)가 구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렌즈홀(16)의 크기는 가급적 휴대폰(P)의 카메라렌즈와 일치하는 것이 적절하고, 렌즈커버(18)는 렌즈홀(16) 보다 약간 큰 사이즈로서 내부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 상태로 렌즈홀(16) 주변의 핀축(A)에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렌즈홀(16)의 가장자리는 리어커버(10)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렌즈커버(18)를 덮은 경우에 렌즈커버(18)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더 나아가 서로 마주보는 렌즈홀(16)과 렌즈커버(18)의 가장자리를 따라 벨크로테이프 등의 임시고정수단을 마련하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열고 닫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도면 및 설명은 본 고안의 한 가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야 할 것인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의 것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2 : 휴대폰 케이스 10 : 리어커버
12 : 가이드부 12a,12b : 모서리 및 측면 가이드부
14 : 홀 영역 16 : 렌즈홀
18 : 렌즈커버 20 : 프론트커버
22 : 보조 가이드부 30 : 사이드커버
A : 핀축 B : 연결부
S : 전자파 차폐부재 H : 인터페이스 홀

Claims (3)

  1. 휴대폰(P)의 후면에 밀착되고 신호수신을 위한 최소한의 홀 영역(14)을 제외한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 리어커버(10);
    상기 휴대폰(P)을 향하는 상기 리어커버(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P)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되거나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S)로 이루어진 가이드부(12);
    상기 휴대폰(P)의 전면을 덮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 프론트커버(20); 및
    상기 휴대폰(P)의 일 측면을 덮고 상기 가이드부(12)와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되어 상기 리어커버(10)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서로 마주보는 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사이드커버(30)를 포함하되,
    상기 리어커버(10) 중 상기 휴대폰(P)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된 렌즈홀(16); 및
    상기 리어커버(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16)을 덮거나 열고 실질적인 전 면적에 걸쳐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S)가 내장된 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인 렌즈커버(18)를 더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지닌 휴대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10), 상기 프론트커버(20), 상기 사이드커버(30)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중 하나의 재질이고,
    상기 전자파 차폐부재(S)는 구리, 철, 니켈, 알루미늄, 주석, 아연, 금, 은 을 포함하는 금속이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전도성 유기 고분자나 금속계, 금속복합계, 카본계, 전도성고분자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매쉬 재질이며,
    상기 가이드부(12)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중 하나에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 이상의 박판 또는 매쉬 재질이 내장되거나 금속, 전도성 유기 고분자, 전도성 필러 중 하나의 재질인 전자파 차폐기능을 지닌 휴대폰 케이스.
  3. 삭제
KR2020110001972U 2011-03-10 2011-03-10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67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972U KR200467426Y1 (ko) 2011-03-10 2011-03-10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972U KR200467426Y1 (ko) 2011-03-10 2011-03-10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43U KR20120006443U (ko) 2012-09-20
KR200467426Y1 true KR200467426Y1 (ko) 2013-06-12

Family

ID=5138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972U KR200467426Y1 (ko) 2011-03-10 2011-03-10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84Y1 (ko) * 2013-06-27 2013-10-08 박성길 전자파차단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323375B1 (ko) * 2013-09-25 2013-10-29 주식회사 씨앤비텍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200476009Y1 (ko) * 2013-07-16 2015-01-20 성재복 휴대폰 케이스
KR20170119986A (ko)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유성텔레콤 전자파 차폐성과 방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시트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25Y1 (ko) * 2013-01-29 2014-08-18 이준갑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KR101428461B1 (ko) * 2013-01-30 2014-08-13 이창수 전자파 차단 및 항균 성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551360B1 (ko) * 2013-02-08 2015-09-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휴대 단말기용 보호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981178B (zh) * 2013-02-08 2018-11-27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用于便携终端机的保护罩及其制造方法
KR101469960B1 (ko) * 2013-03-15 2014-12-09 백철민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KR101435509B1 (ko) * 2013-04-25 2014-09-03 주식회사 오비시스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N103300573A (zh) * 2013-05-13 2013-09-18 俞金龙 一种吸收手机辐射能量保护套
KR200469139Y1 (ko) * 2013-05-30 2013-09-24 김유식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160117494A (ko) * 2014-01-25 2016-10-10 제프리 레빈선 금속 지갑
KR102245828B1 (ko) 2019-05-15 2021-04-28 주식회사 스카이텍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선로 검사용 드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8B1 (ko) * 2009-03-11 2009-11-27 성민정 전자파 차단용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8B1 (ko) * 2009-03-11 2009-11-27 성민정 전자파 차단용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84Y1 (ko) * 2013-06-27 2013-10-08 박성길 전자파차단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200476009Y1 (ko) * 2013-07-16 2015-01-20 성재복 휴대폰 케이스
KR101323375B1 (ko) * 2013-09-25 2013-10-29 주식회사 씨앤비텍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20170119986A (ko)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유성텔레콤 전자파 차폐성과 방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시트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894472B1 (ko) * 2016-04-20 2018-09-03 주식회사 유성텔레콤 전자파 차폐성과 방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시트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43U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426Y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0782512B1 (ko) 전자파 흡수율을 개선한 휴대 단말기
CN107395788B (zh) 终端壳体及终端
US11075662B2 (en) Radiation protector for mobile devices
CA2818970C (fr) Textile surface and textile material f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protective device comprising a textile surface or textile material
US20140246609A1 (en) Body shield for thermal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120005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필름
US20150357065A1 (en) Body shield for thermal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WO2012058878A1 (zh) 一种移动终端及降低其电磁波能量吸收比的方法
EP1393408A1 (en) Safety shield
US20130099956A1 (en) Apparatus to reduce specific absorption rate
JP2016066906A (ja) 携帯無線機用ケース
KR200474025Y1 (ko)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WO2003028424A1 (en) Shielding method and device
US9263796B1 (en) Shielding cell phone radiation
KR101469960B1 (ko)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JP3086324U (ja) 携帯電話の電磁波防止カバー
KR10117736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패널
KR100401125B1 (ko) 안테나를 케이스의 내부에 높은 안테나이득을 얻는 구조로장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킨 휴대폰
CN206370848U (zh) 一种用于防护手机微波辐射的手机套
KR200365341Y1 (ko) 전자파 차폐를 위한 휴대폰 단말기 커버
CN206922851U (zh) 一种手机防护组件
KR200194340Y1 (ko) 전자파 흡수 코아 안테나
KR20140138453A (ko) 모바일단말기 케이스
CN207150684U (zh) 一种防辐射的手机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