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60B1 -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60B1
KR101469960B1 KR1020130027819A KR20130027819A KR101469960B1 KR 101469960 B1 KR101469960 B1 KR 101469960B1 KR 1020130027819 A KR1020130027819 A KR 1020130027819A KR 20130027819 A KR20130027819 A KR 20130027819A KR 101469960 B1 KR101469960 B1 KR 10146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hielding plate
electromagnetic wave
electromagne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821A (ko
Inventor
백철민
Original Assignee
백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철민 filed Critical 백철민
Priority to KR102013002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6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47Casings being rigid plastic containers having conductive particles, fibres or mesh embedded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과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판재가 휴대폰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형성하여
평상시 전면보호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하면서도 홀 영역을 통해 신호 수신이 가능하고, 통화시 전면보호커버를 열어 휴대폰의 통화버튼을 누르고 다시 전면보호커버를 닫은 다음 홀 영역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므로 휴대폰 사용의 전 과정에 걸쳐 유해 전자파의 실질적인 차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protecting pront cover}
본 발명은 알루미늄과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전자파의 직진성을 차단하는 격벽역활을 하여 뇌쪽으로 직접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란 주기적으로 세기가 변하는 전자기장이 공간 속으로 전파하는 물리적 현상을 총칭한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전자파는 주로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노이즈(RE: Radiated Emission)를 의미하게 되었고, 그 유해성에 대한 객관적인 규명과 효율적인 대책마련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
현재 남녀노소 누구나 널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은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300~3000MHz의 극초단파를 사용하므로 인체나 조직 등에 공명현상에 의한 핫스폿(hot-spot) 효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인체에 장시간 노출되면 세포막 내외부의 이온 흐름을 방해하며 호르몬 분비 및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해 전자파에 대한 규제강화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유엔(UN) 산하의 국제암연구기구(IARC)는 1999년 이미 전자파를 발암인자 2등급의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규정하였고, 전자파 장해를 막기 위한 국제기관인 국제전기표준화협회(IEC)는 전자파 장해에 대한 국제규격을 권고하여 각국의 국내규격을 정비하도록 하고 있다.
전자파는 눈에 보이지 않고 별다른 자각증상 없이 장기간에 걸쳐 인체에 해를 입히며 사용자 본인의 피해(EMI)는 물론 근접한 전자기기와 사람에도 피해(EMS)를 준다는 점에서 그 유해성이 심각한데, 최첨단의 디지털 기기일수록 피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에서 "IT시대의 아킬레스건"이라 불리기도 한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전자파 차폐재료로 구성하거나 내부 구성요소를 전자파 차폐부품으로 교체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유해 전자파를 감소하려 하지만 그 효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며,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뇌족으로 가는 것을 차폐하면서도 신호 수신과 통화 등 휴대폰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후면커버의 안쪽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패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패드에 결합된 전자파 차폐판재 이루어져 있고 전자파 차폐판재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는 휴대폰의 보호와 치장이라는 휴대폰 케이스 본연의 역할은 물론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하면서도 신호 수신과 통화 등 휴대폰 사용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는 평상시 전면보호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하면서도 홀 영역을 통해 신호 수신이 가능하고, 통화시 전면보호커버를 열어 휴대폰의 통화버튼을 누르고 다시 전면보호커버를 닫은 다음 홀 영역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므로 휴대폰 사용의 전 과정에 걸쳐 유해 전자파의 실질적인 전량을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커버가 쉽게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휴대폰 보호덮개의 슬림화로 통화시에 보호덮개를 덮고 통화하는 습관을 홍보계몽할 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의 일부를 벌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후면커버(110)의 안쪽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패드(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패드(20)에 결합된 전자파 차폐판재(1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10)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및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연결패드와 결합된 결합형 형태 및 연결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면에 부직포, 합성수지,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패드층(4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면과 반대쪽 면에 부직포, 합성수지,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패드층(40, 4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면에 축광도료 및 야광도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료층(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 후면커버(110)의 안쪽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패드(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패드(20)에 결합된 전자파 차폐판재(1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10)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전화번호를 확인 후 휴대폰(100)의 전면에 전자파 차폐판재(10)를 다시 덮고 전화통화를 하면 전자파 차폐판재(10)가 전자파를 차단하는 격벽 역할을 하여 전파파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연결패드와 결합된 결합형 형태 및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연결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면에 부직포, 합성수지,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패드층(4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면과 반대쪽 면에 부직포, 합성수지,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패드층(40, 4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과 같이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면에 축광도료 및 야광도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료층(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휴대폰 후면커버(110)의 안쪽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패드(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패드(20)에 결합된 전자파 차폐판재(10)로 이루어져 휴대폰 전면에 형성하여 전자파의 직진성을 차단하는 격벽역할을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10)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차폐판재의 상판에 자개 페이퍼를 부착하여 전통모양의 칠공예를 평판프린터 또는 실크 인쇄한 후에 에폭시로 코팅하여 전통모양을 고급스러운 칠공예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10: 전자파 차폐판재 20: 연결패드
30: 도료층 40, 40': 접촉패드층

Claims (4)

  1. 휴대폰 후면커버(110)의 안쪽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패드(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패드(20)에 결합된 전자파 차폐판재(10)로 이루어져 휴대폰 전면에 형성하여 전자파의 직진성을 차단하는 격벽역할을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10)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및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는 연결패드와 결합된 결합형 형태 및 연결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이고,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는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부직포, 합성수지,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패드층(40, 4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파 차폐판재는 상기 차폐판재의 상판에 자개 페이퍼를 부착하여 전통모양의 칠공예를 평판프린터 또는 실크 인쇄한 후에 에폭시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27819A 2013-03-15 2013-03-15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KR10146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19A KR101469960B1 (ko) 2013-03-15 2013-03-15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19A KR101469960B1 (ko) 2013-03-15 2013-03-15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21A KR20140113821A (ko) 2014-09-25
KR101469960B1 true KR101469960B1 (ko) 2014-12-09

Family

ID=5175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19A KR101469960B1 (ko) 2013-03-15 2013-03-15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32Y1 (ko) * 2004-12-09 2005-03-10 김연환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휴대폰 커버
KR20120006443U (ko) * 2011-03-10 2012-09-20 김흥열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32Y1 (ko) * 2004-12-09 2005-03-10 김연환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휴대폰 커버
KR20120006443U (ko) * 2011-03-10 2012-09-20 김흥열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21A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426Y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US20020009976A1 (en) Radiation protection device for cellular telephones
AU2012203939A1 (en) Case or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11075662B2 (en) Radiation protector for mobile devices
US20020137473A1 (en) Radiation shield for cellular telephones
KR101469960B1 (ko)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전면보호커버
US20160006473A1 (en)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WO2002095867A1 (en) Safety shield
KR200474025Y1 (ko) 전자파 차폐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010089846A (ko) 도전성 차폐판과 도전성 액정화면쿠션, 접지용 도전성장신구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차폐 및 정전기 방지 방법
JP3086324U (ja) 携帯電話の電磁波防止カバー
JP3842687B2 (ja) 携帯無線機器
WO2003028424A1 (en) Shielding method and device
CN210694052U (zh) 一种可防电磁辐射的手机壳
KR101186834B1 (ko)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WO2008067570A2 (en) Screened wireless telephone device and method
KR10117736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패널
CN205793948U (zh) 一种低频电磁屏蔽手机盒
CN204541110U (zh) 真丝手机套
KR200426043Y1 (ko) 휴대폰용 전자파 안전 보호케이스
KR101542133B1 (ko) 전자파를 흡수하고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210490974U (zh) 一种防辐射手机套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01589Y1 (ko) 전자파 차단장치
KR200170103Y1 (ko) 핸드폰용 부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