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12Y1 - 숙면용 베개 - Google Patents

숙면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12Y1
KR200473212Y1 KR2020130001018U KR20130001018U KR200473212Y1 KR 200473212 Y1 KR200473212 Y1 KR 200473212Y1 KR 2020130001018 U KR2020130001018 U KR 2020130001018U KR 20130001018 U KR20130001018 U KR 20130001018U KR 200473212 Y1 KR200473212 Y1 KR 200473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user
headrest
pillow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호
이진미
Original Assignee
박선호
이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호, 이진미 filed Critical 박선호
Priority to KR2020130001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숙면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치는 머리받침부(12)와;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접어져 서로 중첩되면서 사용자의 측두부와 안면부를 덮는 안면덮개부(14a, 14b)와;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가 서로 중첩되어 접하는 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부착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베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귀를 덮을 수 있어 주위의 빛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숙면용 베개{A PILLOW FOR SOUND SLEEP}
본 고안은 숙면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주변의 빛이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숙면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용자가 누워 있거나 수면을 취할 시에 머리 또는 목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대부분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가정 및 숙소 등에서는, 혼자 잠을 청하고자 할 때에 실내 소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눈이 부시거나 주위의 소음으로 인하여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80650에서는 목 베개 내측에 주머니를 달아서 수면 안대를 수납할 수 있게 하여 목 베개와 수면안대를 분리하여 수납할 필요 없이 일체형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는 수면 안대가 별도로 수납되는 것이므로, 수면 안대의 분실 가능성이 있으며, 수면 안대를 분실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베개의 기능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수면 안대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면 안대를 베개의 일측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면 안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의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는 데 제한이 있어 사용상의 불편이 야기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별다른 구성이 없어, 주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 귀 및 안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숙면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쌀 수 있어, 사용자의 머리 둘레 전체를 받쳐줄 수 있는 숙면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귀를 막아 소음을 차단하는 귀마개가 일체로 구비되며, 베개의 일측에 귀마개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숙면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숙면용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접어져 서로 중첩되면서 사용자의 측두부와 안면부를 덮는 안면덮개부와,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가 서로 중첩되어 접하는 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받침부와 양단의 안면덮개부는,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면덮개부가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시에 코와 입을 제외하여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귀를 막을 수 있는 귀마개가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머리받침부 일측의 상기 연결줄 연결부에는 상기 귀마개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숙면용 베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의 양단으로 연장되는 안면덮개부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면서, 사용자의 측두부와 안면부를 덮는다. 즉, 사용자가 머리받침부에 후두부를 댄 상태에서 양단의 안면덮개부를 안면부 측으로 접으면, 안면덮개부가 사용자의 측두부를 감싸면서 귀와 눈을 덮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안대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는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베개의 양단을 잡고 눈 위로 포개어 고정함으로써, 베개로 양 눈을 가려 간편하게 외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머리받침부와 양단의 안면덮개부는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시에 코와 입을 제외하여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베개를 이용하여 안면을 덮었을 경우에 코와 입을 압박하지 않아 호흡에 지장을 받지 않고,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머리받침부의 일측에는 귀마개가 수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귀마개를 이용하여 주위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안면덮개부가 사용자의 귀를 덮어줌으로써 귀마개 없이 또는 귀마개와 함께 이중으로 주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개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싼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머리를 어느 방향으로 향해 눕든지 베개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해주어, 사용자가 머리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꾸며 편안한 자세로 취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눈을 가릴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안면덮개부를 펼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숙면용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숙면용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치는 머리받침부(12)와, 머리받침부의 양단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수 있는 안면덮개부(14a, 14b) 등으로 구성된다.
머리받침부(1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받침부(12)는 저면이 바닥면에 접하고 상면에 사용자 머리의 후두부가 올려짐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머리받침부(12)는 사용자의 후두부 및 목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2)는 사용자의 머리를 포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천(fabric)을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 내부에 솜을 채워 넣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라텍스나 스펀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12)는 사용자의 목 및 후두부의 곡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받침부(12)의 양단으로는 안면덮개부(14a, 14b)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는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양단으로 서로 대칭되게 연장된다.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는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접어져,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는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힌 안면덮개부(14a, 14b)는 사용자의 측두부를 감싸면서 안면부를 덮는다. 여기서,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는 서로 중첩된다. 즉, 좌측(도1 참조)의 안면덮개부(14a)가 먼저 사용자의 안면부 반 이상을 덮고, 우측의 안면덮개부(14b)가 사용자의 나머지 안면부를 덮으면서 상기 좌측 안면덮개부(14a) 상부에 겹쳐진다.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의 일면에는 부착부(16)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부(16)는 상기 양측의 안면덮개부(14a, 14b)가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으면서 서로 중첩되었을 때, 서로 중첩되어 접하는 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를 바닥에 펼친 상태에서, 상기 서로 대응되는 부착부(16)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안면덮개부(14b)의 상면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안면덮개부(14a)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부착부(16)로는 서로 부착이 가능한 벨크로(Velcro), 서로 결합이 가능한 스냅 또는 후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6)는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가 서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는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양단으로 안면덮개부(14a, 14b)가 삼각형 형상으로 연장됨으로써, 2개의 빗변을 가지는 역 사다리꼴 형상의 베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가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시에 코와 입을 제외한, 귀와 볼 및 눈 주변부만을 덮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일측에는 귀마개(22)가 구비된다. 상기 귀마개(22)는 라텍스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이 변형 가능한 재질로써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귀마개(22)는 분실되지 않도록 연결줄(24)로써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일측에는 상기 귀마개(22)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보관홈(26)은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보관홈(26)에는 상기 연결줄(24)과 함께 상기 귀마개(22)가 수납되어 보관된다.
상기 보관홈(26)의 폭 또는 높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귀마개(22)의 길이 또는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귀마개가 상기 보관홈(26)의 공간에 끼인 상태로 보관되어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머리받침부(12) 및 안면덮개부(14a, 14b)가 라텍스 또는 스폰지를 재질로써 이루어질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안면덮개부(14a, 14b)의 저면에는 다수의 골(18) 또는 요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18)은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안면덮개부(14a, 14b) 저면에 세로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로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때에 상기 골(18)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즉,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로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때에 상기 골(18)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머리받침부(12) 및 안면덮개부(14a, 14b)가 보다 용이하게 구부려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숙면용 베개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안면덮개부가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안면덮개부로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은 상태로 사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숙면용 베개는, 머리받침부(12)의 저면과, 머리받침부(12)의 양단으로 연장된 안면덮개부(14a, 14b)의 저면이 모두 바닥에 접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부(12)는 사용자의 목 및 후두부를 편안하게 지지해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머리받침부(12) 일측에 구비되는 귀마개(22)로 귀를 막을 수 있다. 상기 귀마개(22)는 상기 머리받침부(12) 일측에 형성된 보관홈(26)에 수납되어 있으며, 연결줄(24)을 통해 배게와 베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우려가 적다.
여기서, 사용자가 주변의 빛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를 안면부 측으로 접어 눈을 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머리받침부(12)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양측의 안면덮개부(14a, 14b)를 안면부 측으로 차례로 접고, 서로 중첩된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는 부착부(16)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안면덮개부(14a, 14b)의 저면에는, 세로로 다수의 골이 형성되어,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로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때에 상기 골(18)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머리받침부(12) 및 안면덮개부(14a, 14b)가 보다 용이하게 구부려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는 사용자의 측두부 및 안면부를 덮는다.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는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가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시에 코와 입을 제외하여 덮게 된다.
또한,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에 의해 사용자의 귀와 눈이 가려져, 주위의 빛과 소음이 차단된다. 사용자는 상기 귀마개(22)를 이용하여 귀를 막는 것이 불편한 경우, 귀마개(22)를 하지 않고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를 통해 귀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안면덮개부(14a, 14b)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고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머리를 어느 방향으로 돌리든지 베개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숙면용 베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덮개부(24a, 24b)는 머리받침부(22)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2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하고, 안면덮개부(24a, 24b)가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접히도록 상기 머리받침부(22)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덮개부(34a, 34b)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3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하고, 안면덮개부(34a, 34b)는 벨트 형태로써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면덮개부(34a, 34b)가 유연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맞추어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안면부에 가해지는 압박이 줄어들게 된다.
12, 22, 32 : 머리받침부
14a, 14b, 24a, 24b, 34a, 34b : 안면덮개부
16 : 부착부
22 : 귀마개
24 : 연결줄
26 : 보관홈

Claims (3)

  1.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치는 머리받침부(12)와;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접어져 서로 중첩되면서 사용자의 측두부와 안면부를 덮는 안면덮개부(14a, 14b)와;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가 서로 중첩되어 접하는 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부착부(16)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받침부(12)와 양단의 안면덮개부(14a, 14b)는,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면덮개부(14a, 14b)가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을 시에 코와 입을 제외하여 덮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용 베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12)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귀를 막을 수 있는 귀마개(22)가 연결줄(24)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2) 일측의 상기 연결줄(24) 연결부에는, 상기 귀마개(22)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용 베개.
KR2020130001018U 2013-02-07 2013-02-07 숙면용 베개 KR200473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18U KR200473212Y1 (ko) 2013-02-07 2013-02-07 숙면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18U KR200473212Y1 (ko) 2013-02-07 2013-02-07 숙면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12Y1 true KR200473212Y1 (ko) 2014-06-20

Family

ID=514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18U KR200473212Y1 (ko) 2013-02-07 2013-02-07 숙면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1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32Y1 (ko) 2002-03-04 2002-05-25 연서덕 베게용 수면안대
KR100603534B1 (ko) 2005-07-06 2006-07-24 이희재 수면안대
US20080216244A1 (en) * 2007-03-06 2008-09-11 Kenley B Minton Sound-insulating sleep pillow
KR200448833Y1 (ko) 2009-08-25 2010-05-27 이문희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32Y1 (ko) 2002-03-04 2002-05-25 연서덕 베게용 수면안대
KR100603534B1 (ko) 2005-07-06 2006-07-24 이희재 수면안대
US20080216244A1 (en) * 2007-03-06 2008-09-11 Kenley B Minton Sound-insulating sleep pillow
KR200448833Y1 (ko) 2009-08-25 2010-05-27 이문희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5318B2 (en) Light blocking eye cover attachable to a pillow
US9032570B1 (en) Pillow with internal pivotable frame
US9414698B2 (en) Supportive head cradle pillow to aid in back sleeping and protect facial skin
US20140317849A1 (en) Sound deafening pillow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200448833Y1 (ko) 베개
KR200482240Y1 (ko)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KR200485709Y1 (ko) 베개
KR20160006927A (ko) 기능성 베개
KR200473212Y1 (ko) 숙면용 베개
KR20170001663U (ko) 다기능 목 베개
EP3614983A1 (en) A device wearable on the head of a user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KR102313494B1 (ko)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KR102204987B1 (ko)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KR20140003967U (ko) 수면안대
KR20170116714A (ko) 머리 착용식 베개
JP2015150158A (ja) 携帯用枕
KR200437374Y1 (ko)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JP2008295485A (ja) 安眠枕カバーおよび安眠枕
JP5973628B2 (ja) 携帯用枕
KR101987680B1 (ko) 광고재생 기능이 포함된, 누운 자세 머리 감김시 안면 물 튀김을 방지하는 시스템
KR200470679Y1 (ko) 기능성 안면쿠션
KR200248903Y1 (ko) 차양모자
CN214964265U (zh) 护脑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