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374Y1 -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 Google Patents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374Y1
KR200437374Y1 KR2020070005895U KR20070005895U KR200437374Y1 KR 200437374 Y1 KR200437374 Y1 KR 200437374Y1 KR 2020070005895 U KR2020070005895 U KR 2020070005895U KR 20070005895 U KR20070005895 U KR 20070005895U KR 200437374 Y1 KR200437374 Y1 KR 200437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horizontal vertical
center
vertical portion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득
Original Assignee
이관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득 filed Critical 이관득
Priority to KR2020070005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 함몰부의 신축력을 유지하면서 경추와 머리를 전체적으로 받혀주어 좀더 편안한 자세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베갯속이 채워지는 외피천을 포함하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을 구성하는 상,하부천의 내측 중앙에는, 상,하부천의 중앙에 중앙 함몰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횡형 수직부가 제봉되어 구비되고; 상기 횡형 수직부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천에 재봉되는 횡형 수직포켓과 횡형 수직포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신축 수직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개, 중앙 함몰부, 횡형 수직부

Description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A sound sleeping pillo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굴곡배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중앙이 함몰된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갯속
11 : 개방부
111 : 지퍼
2 : 외피천
21 : 상부천
22 : 하부천
23 : 횡형 수직부
231 : 횡형 수직천, 232 : 횡형 수직포켓,
233 : 신축 수직대
24 : 중앙 함몰부
본 고안은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함몰부의 신축력을 유지하면서 경추와 머리를 전체적으로 받혀주어 좀더 편안한 자세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라 함은,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데 쓰는 침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베개는, 헝겊(이하, "천"이라 한다)으로 만든 둥근베개와 긴 네모형 베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베갯속은 솜, 스펀지, 왕겨, 메밀껍질, 깃털, 좁쌀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둥근베개 또는 네모형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머리는 베개에 밀착되나 경추가 경사지게 되어 수면시 경추에 무리는 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를 해소하고자 머리와 경추가 동시에 밀착되는 굴곡베개가 알려져 있다.
즉 도 7은 종래의 굴곡배게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굴곡배게는 신축성 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경추 받침굴곡부(100)와 머리 받침부(1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추 받침굴곡부(100)는 원호형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머리 받침부(101)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추 받침굴곡부(100)와 머리 받침부(101)는 곡선부(103)를 통해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굴곡베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추를 받혀주게 됨으로써, 숙면 또는 휴식시 경추에 무리를 주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굴곡베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베개가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됨으로써 통풍이 되지 않아 땀이 차게 된다. 그러므로 장기간 사용시 땀으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 8은 종래의 중앙이 함몰된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중앙이 함몰된 베개는, 내부에 베갯속이 채워지는 외피천(200)과, 외피천(200)의 중앙 양측에 구비되어 외피천(200)의 상,하부천을 상호 밀착되게 연결하여 중앙에 함몰부(201)를 형성하는 양측 단추(202)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중앙이 함몰된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단추가 머리에 직접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머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중앙이 함몰된 베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양측 단추의 사이에 채워진 베갯속이 이동되어 상,하 외피천이 상호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바른 자세로 누웠을 경우에 머리가 바닥에 밀착됨으로서 머리에 통증을 유 발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중앙 함몰부의 신축력을 유지하면서 경추와 머리를 전체적으로 받혀줄 수 있는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중앙 함몰부의 내부에 채워진 배갯속이 이동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통풍이 되게 하여 장기간 사용중에도 베개의 상부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옆으로 누웠을 경우에 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다.
또 지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베갯속이 채워지는 외피천을 포함하는 배게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을 구성하는 상,하부천의 내측 중앙에는, 상,하부천의 중앙에 중앙 함몰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횡형 수직부가 제봉되어 구비되고; 상기 횡형 수직부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천에 재봉되는 횡형 수직포켓과 횡형 수직포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신축 수직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 상기 횡형 수직부는 외피천의 내부 중앙과 중앙의 전,후방에 3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의 높이가 전,후방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베개는, 내부에 베갯속(1)이 채워지는 외피천(2)을 포함하는 배게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2)을 구성하는 상,하부천(21,22)의 내측 중앙에는, 상,하부천(21,22)의 중앙에 중앙 함몰부(24)를 형성하는 다수의 횡형 수직부(23)가 제봉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어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횡형 수직부(23)의 사이에는 베갯속(1)이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천(2)의 일측에는 베갯속(1)을 채울 수 있도록 지퍼 또는 제봉을 통해 밀폐되는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 지퍼(111)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천(21,22)에 재봉되는 횡형 수직천(231)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횡형 수직천(231)의 사이에는 배갯속(1)이 채워짐으로써 외피천(2)을 구성하는 상,하부에 중앙 함몰부(24)를 형 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외피천(2)의 내부 중앙과 중앙의 전,후방에 3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23)의 높이가 전,후방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2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횡형 수직부(23)의 전,후방에 경사부를 형성함에 따라서, 상기 경사부에 경추와 머리가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숙면베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천(2)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다수의 횡형 수직천(231)을 통해 각각의 횡형 수직천(231)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배갯속(1)이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베게의 중앙 함몰부(24)에 충분한 신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각각의 횡형 수직천(231)의 사이에 채워진 배갯속(1)이 각 횡형 수직천(231)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베개의 상,하부에 형성된 중앙 함몰부(24)에서는 충분한 신축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게를 사용할 경우에는, 신축력을 가지는 중앙 함몰부를 통해 머리를 받혀줌으로써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옆으로 누웠을 경우에는, 귀의 주위가 중앙 함몰부(24)의 주위에 밀착되게 하고, 중앙 함몰부(24)의 가장 낮은 위치인 중앙에 귀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귀가 눌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옆으로 누워 수면 및 휴식을 취할 경우에 귀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수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중앙 함몰부(24)의 주위의 틈을 통해 중앙 함몰부(24)의 중앙으로 공기가 순환되어 통풍됨으로써, 땀이 차는 현상을 예방함에 따라 배게에서 냄새가 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외피천(2)의 내부의 채워진 베갯속(1)을 통해 통풍이 됨에 따라 베개의 표면에 땀이 차는 현상을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베개는, 외피천(2)의 내부에 다수로 구비되어 있는 횡형 수직부(23)의 구성을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베개를 구성하는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천(21,22)에 재봉되는 횡형 수직포켓(232)과 횡형 수직포켓(232)에 내부에 삽입되는 신축 수직대(2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횡형 수직포켓(232)의 사이에는 배갯속(1)이 채워짐으로써 외피천(2)을 구성하는 상,하부에 중앙 함몰부(24)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켓(232)은 내부에 신축 수직대(233)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지퍼 또는 제봉을 통해 밀폐되는 개방부(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 수직대(233)는 신축성을 가지는 발포수지(우레탄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외피천(2)의 내부 중앙과 중앙의 전,후방에 3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23)의 높이가 전,후방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2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횡형 수직부(23)를 통해 중앙 함몰부(24)의 신축성을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머리를 좀 더 편안하게 받혀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일정한 전,후폭을 가지는 신축 수직대(233)로 구성되는 것으로, 신축 수직대(233)는 일정한 수직 강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서 머리를 지압하면 머리를 받혀주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압효과도 얻을 수 있는 숙면베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추와 머리를 전체적으로 받혀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이 함몰된부의 내부에 채워진 배갯속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중앙이 함몰된부에서 신축력이 저하되어 머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중앙 함몰부에서 통풍이 되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중에도 베개의 상부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배게에서 냄새가 나는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 옆으로 누웠을 경우에 귀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옆으로 누운자세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신축 수직대를 통해 지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통등의 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는 숙면베개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내부에 베갯속(1)이 채워지는 외피천(2)을 포함하는 배게에 있어서;
    상기 외피천(2)을 구성하는 상,하부천(21,22)의 내측 중앙에는, 상,하부천(21,22)의 중앙에 중앙 함몰부(24)를 형성하는 다수의 횡형 수직부(23)가 제봉되어 구비되고;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천(21,22)에 재봉되는 횡형 수직포켓(232)과 횡형 수직포켓(232)의 내부에 삽입되는 신축 수직대(2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 수직부(23)는 외피천(2)의 내부 중앙과 중앙의 전,후방에 3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23)의 높이가 전,후방에 위치된 횡형 수직부(2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05895U 2007-04-10 2007-04-10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KR200437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95U KR200437374Y1 (ko) 2007-04-10 2007-04-10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95U KR200437374Y1 (ko) 2007-04-10 2007-04-10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374Y1 true KR200437374Y1 (ko) 2007-11-29

Family

ID=4163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895U KR200437374Y1 (ko) 2007-04-10 2007-04-10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3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47Y1 (ko) * 2017-04-29 2017-12-01 김선희 경추 베개
KR20200059071A (ko) * 2018-11-20 2020-05-28 최수호 베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47Y1 (ko) * 2017-04-29 2017-12-01 김선희 경추 베개
KR20200059071A (ko) * 2018-11-20 2020-05-28 최수호 베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베개
KR102254502B1 (ko) * 2018-11-20 2021-05-21 최수호 베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894B1 (ko) 베개
KR200448833Y1 (ko) 베개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20130000325U (ko) 에어메쉬베개
US7210178B2 (en) Contour pillow with interior baffle walls
JP2007082590A (ja) 機能性枕
KR200437374Y1 (ko)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KR101742734B1 (ko) 베개
KR101480045B1 (ko)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변형 가능한 쿠션
KR101800556B1 (ko) 코골이 방지 기능성베개
JP3111334U (ja) 快眠枕
JP2020110293A (ja)
KR101942361B1 (ko) 통풍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2206259B1 (ko) 베개
KR200410868Y1 (ko) 침구류의 지압구조
CN201153790Y (zh) 枕头
KR102366370B1 (ko) 통기성을 구비하고 귀 눌림과 눈가 세로주름이 방지되는 기능성 베개
KR102606372B1 (ko) 목쿠션 겸용 베개
KR200480282Y1 (ko) 다기능 라텍스 베개
JP3216120U (ja) 重ね用枕
CN214317654U (zh) 组合式枕芯的枕头结构
CN213189004U (zh) 一种枕头
CN213720967U (zh) 多功能抱枕
JP3417923B2 (ja) 猫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