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987B1 -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987B1
KR102204987B1 KR1020200067238A KR20200067238A KR102204987B1 KR 102204987 B1 KR102204987 B1 KR 102204987B1 KR 1020200067238 A KR1020200067238 A KR 1020200067238A KR 20200067238 A KR20200067238 A KR 20200067238A KR 102204987 B1 KR102204987 B1 KR 10220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ed mattress
side cover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식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침대
Priority to KR102020006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는 내부완충재를 통해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편안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보장하기 위한 침대매트리스로서,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하는 커버를 일체형인 단일구성에서 분리형인 측면커버와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구성으로 구조개선함으로써, 본체로부터 커버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커버의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커버에 서로 다른 디자인을 적용하거나 일부 커버만 별도 구매가 가능하다. 따라서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데 따른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THE BED MATTRESS WITH IMPROVED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침대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이나 침대에 깔아서 사용하며,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편안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보장하기 위한 침대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침대매트리스는 바닥이나 침대프레임 위에 깔아서 사용하는 매트리스를 지칭하고 있으며, 커버(Mattress Cover)의 내부에 외부하중을 완충하기 위한 내부완충재로서, 폼(Foam) 또는 스프링(Spring)이 설치되어 있어 휴식 또는 취침시 상기 내부완충재가 신체를 받쳐주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내부완충재는 신체를 고르게 받쳐줄 수 있도록 침대매트리스의 내부공간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완충재의 유동을 방지하여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외곽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은 침대매트리스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침대매트리스의 형상을 보존함과 동시에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완충재를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침대매트리스는 사용기간이 오래되면 내부로 각종 오염물질이 침투하여 커버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커버를 침대매트리스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는 위생적인 커버구조도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매트리스의 커버구조는 측면에 지퍼를 구성하여 상기 지퍼를 통한 침대매트리스의 내부공간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내부완충재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의 분리시에는 지퍼를 통해 침대매트리스의 본체에서 상기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세탁이나 교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매트리스의 커버구조는 내부완충재를 감싸는 커버가 일체형인 단일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예컨대, 커버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커버 전체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대매트리스의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커버의 일부만을 교체하고 싶어도 커버 전체를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부담 등으로 주저하는 경향이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커버의 오염이 발생시 상기 커버 전체를 벗겨내어 세탁해야 하므로, 생활의 편리함 측면에서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하는 내부완충재나 외곽프레임 등의 개선만큼이나 커버의 구조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대두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28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하는 커버를 일체형인 단일구성에서 분리형인 복수구성으로 구조개선하여 침대매트리스의 본체와 분리가 용이하고,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고, 일부구성만 별도 구매가 가능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는 폼(Inside Foam), 본넬스프링(Bonnell Spring) 또는 포켓스프링(Pocket Spring)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Inside Cushion)를 중심으로 상기 내부완충재의 상부에 상부쿠션재(Upper Cushion)가 배치되고, 상기 내부완충재의 하부에 하부쿠션재(Bottom Cushion)가 배치되어 본체(Mattress Body)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를 직물재질의 커버(Mattress Cover)로 감싸서 구성된 침대매트리스로서,
상기 커버는 본체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 측면커버(Side Cover);
상기 측면커버와 분리 구성되고, 본체의 상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측면커버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탈부착수단을 통해 단부가 상기 측면커버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커버(Upper Cover); 및
상기 측면커버 및 상부커버와 분리 구성되고, 본체의 하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면커버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탈부착수단을 통해 단부가 상기 측면커버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커버(Bottom Cover);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내부완충재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사각모양의 외곽프레임의 외부에 상부내피와 하부내피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피의 상부에 상부쿠션재가 배치되고, 하부내피의 하부에 하부쿠션재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내부완충재를 포함하여 상부쿠션재와 하부쿠션재를 속커버(Inside Cover)로 감싸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속커버의 측면에 측면커버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Velcro) 방식, 지퍼(Zipper) 방식, 버클(Buckle) 방식, 단추(Button) 방식, 후크(Hook)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수납용 포켓(Pocket)이 침대매트리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에 복수의 수납용 포켓이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수납용 포켓은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하는 커버를 일체형인 단일구성에서 분리형인 측면커버와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구성으로 구조개선함으로써, 본체로부터 커버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커버의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커버에 서로 다른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 침대매트리스의 분위기 전환이 용이하며, 일부 커버만 별도 구매가 가능하다. 따라서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데 따른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절감이 가능하여 궁극적으로는 브랜드의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를 구성하는 측면커버의 표면에 침대매트리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납용 포켓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용 포켓이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됨으로써, 리모컨이나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데 따른 생활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외곽프레임(11) 사이에 포켓스프링으로 구성된 내부완충재(10)가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11)의 상부를 상부내피(12)로 감싸고, 상기 외곽프레임(11)의 하부를 하부내피(13)로 감싸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내부완충재(10)를 중심으로 상기 내부완충재(10)의 상부에 상부쿠션재(20)가 배치되고, 상기 내부완충재(10)의 하부에 하부쿠션재(21)가 배치되어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상부쿠션재(20)와 하부쿠션재(21) 사이에 내부완충재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측면커버(30)가 배치되어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표면에 포켓(33)이 구비된 측면커버(30)의 상부에 탈부착수단(4)인 벨크로를 통해 상부커버(31)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측면커버(30)의 하부에 탈부착수단(4)인 벨크로를 통해 하부커버(32)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이하 '침대매트리스'라 한다.)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충하기 위한 내부완충재(10)를 감싸기 위한 커버(Mattress Cover)를 3개의 파트(Part)로 분리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3)는 서로 분리 구성된 측면커버(30)와 상부커버(31) 및 하부커버(32)를 포함한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커버(3)는 외피, 겉피, 직물원단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침대매트리스(1)는 폼(Inside Foam), 본넬스프링(Bonnell Spring) 또는 포켓스프링(Pocket Spring)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10)가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이를 커버(2)로 감싸 휴식이나 취침시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게 되는데, 도면상 상기 내부완충재(10)가 포켓스프링으로 실시되는 것을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도 1 참조).
여기서 상기 침대매트리스(1)는 내부완충재(10)가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내부완충재(1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한 쌍의 사각모양의 외곽프레임(11)을 구성하고, 이를 상하로 이격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외곽프레임(11)의 상하를 부직포로 실시되는 상부내피(12)와 하부내피(13)로 감싸 본체(2)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완충재(10)를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쿠션재(20)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쿠션재(21) 및 내부완충재(10)는 부직포 등으로 실시되는 속커버(22)로 감싸 본체(2)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속커버(22)의 측면에 측면커버(30)가 배치되고, 상하에 상부커버(31)와 하부커버(32)가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다만, 상기 내부완충재(10)가 폼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외곽프레임(11) 및 상부내피(12)와 하부내피(13)를 배제하고, 내부완충재(10)의 상하에 예컨대, 스펀지로 실시되는 상부쿠션재(20)와 하부쿠션재(21)를 배치하고, 이들을 속커버(22)로 감싸는 방법으로 본체(2)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외곽프레임(11)은 예컨대, Ø6 이상의 강선을 통해 꼭짓점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다만, 외곽프레임(11)이 반드시 강선을 통해 직사각형으로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하다면 그 형상이나 사용양태가 일부 다르더라도 균등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외곽프레임(11)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외곽프레임(11)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내부공간에 폼,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폼은 메모리폼(Memory foam), 스펀지(Sponge) 또는 라텍스(Latex) 등을 통해 실시 가능하며, 외곽프레임(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어느 하나를 충진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침대매트리스(1)를 통상 폼매트리스(Foam Mattress)로 지칭하고 있다.
상기 본넬스프링은 상단과 하단에 비해 중단의 직경을 작게 한 형태로서, 상단과 하단을 각각의 외곽프레임(11)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데, 탄성력은 우수하지만 옆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본넬스프링으로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를 통상 스프링매트리스(Spring Mattress)로 지칭하고 있다.
이러한 본넬스프링과 달리 포켓스프링은 부직포 등을 통해 원통형으로 제조되는 파우치(Pouch)의 내부에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내장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옆의 움직임에 연동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동하는 특성이 있어 독립스프링으로 지칭하기도 하며, 이러한 포켓스프링으로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 역시 스프링매트리스로 지칭하고 있는데,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3)는 신체 접촉시 땀 흡수가 용이하고, 공기가 잘 통하도록 통기성이 우수한 직물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는 침대매트리스(1)의 외부로 노출됨을 감안하여 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무늬 또는 자수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3)는 본체(2)와의 분리를 통한 세탁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2)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2)의 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측면커버(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커버(30)와 분리 구성되어 본체(2)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덮는 상부커버(31)와 하부커버(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3)는 각기 분리된 측면커버(30)와 상부커버(31) 및 하부커버(32)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커버(30)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커버(31)와 하부커버(32)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측면커버(30)는 일종의 띠(Band)로서, 표면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되거나 장식무늬 또는 자수문양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30)는 내부완충재(10)를 가릴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본체(2)의 측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측면커버(30)를 통해서는 상부쿠션재(20)와 하부쿠션재(21)의 측면일부 또는 측면전체를 가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30)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포켓(33)이 예컨대, 재봉 등의 방법을 통해 구비되어 침대매트리스(1)의 외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수납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로 구성되는 포켓(33)은 크기가 서로 다른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면커버(30)는 본체(2)의 길이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구역에 끈손잡이(34)를 재봉 등의 방법을 통해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끈손잡이(34)를 통해 상기 본체(2)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31)는 본체(2)의 상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하부방향으로 잡아당긴 외곽의 단부가 측면커버(30)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탈부착수단(4)을 통해 상기 측면커버(30)에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크기로 재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커버(31)는 표면에 패턴, 장식무늬 또는 자수문양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앞서 설명한 측면커버(30)의 패턴, 장식무늬, 자수문양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하부커버(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침대매트리스(1)의 식상함을 억제함은 물론이고, 분위기 전환이 용이하다.
상기 하부커버(32)는 본체(2)의 하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부방향으로 잡아당긴 외곽의 단부가 측면커버(30)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탈부착수단(4)을 통해 상기 측면커버(30)에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크기로 재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31)와 하부커버(32)의 단부를 측면커버(30)의 표면에 결합고정하는 탈부착수단(4)은 도면상 벨크로(Velcro)일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탈부착수단(4)을 반드시 벨크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상부커버(31)와 측면커버(30) 및 하부커버(32)와 측면커버(30) 사이에 각기 구성 가능한 지퍼(Zipper) 방식, 버클(Buckle) 방식, 단추(Button) 방식, 후크(Hook)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탈부착수단(4)은 구성요소가 쌍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며,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측면커버(30)의 표면에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를 상부커버(31) 또는 하부커버(32)의 이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측면커버(30)에 상부커버(31)와 하부커버(32)를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하는 커버(3)를 분리형인 측면커버(30)와 상부커버(31) 및 하부커버(32)의 구성으로 구조개선함으로써, 본체(2)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각에 서로 다른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데 따른 생활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면커버(30)와 상부커버(31) 및 하부커버(32) 중 어느 하나만 별도 구매가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침대매트리스 2: 본체
3: 커버 4: 탈부착수단
10: 내부완충재 11: 외곽프레임
12: 상부내피 13: 하부내피
20: 상부쿠션재 21: 하부쿠션재
22: 속커버 30: 측면커버
31: 상부커버 32: 하부커버
33: 포켓 34: 끈손잡이

Claims (7)

  1. 폼,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10)를 중심으로 상기 내부완충재(10)의 상부에 상부쿠션재(20)가 배치되고, 상기 내부완충재(10)의 하부에 하부쿠션재(21)가 배치되어 본체(2)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2)를 직물재질의 커버(3)로 감싸서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에 있어서,
    상기 커버(3)는,
    본체(2)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2)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 측면커버(30)와;
    상기 측면커버(30)와 분리 구성되고, 본체(2)의 상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2)의 상부에 배치되며, 측면커버(30)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탈부착수단(4)을 통해 단부가 상기 측면커버(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커버(31)와;
    상기 측면커버(30) 및 상부커버(31)와 분리 구성되고, 본체(2)의 하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2)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면커버(30)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탈부착수단(4)을 통해 단부가 상기 측면커버(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커버(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2)는,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10)와;
    상기 내부완충재(1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사각모양의 외곽프레임(11)의 외부에 한 쌍으로 상하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내피(12) 및 하부내피(13)와;
    상기 상부내피(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쿠션재(20)와;
    상기 하부내피(13)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쿠션재(21)와;
    상기 내부완충재(10)를 포함하여 상부쿠션재(20) 및 하부쿠션재(21)을 감싸는 속커버(22)와;
    상기 속커버(22)의 측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측면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커버(30)의 표면에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개의 수납용 포켓(33)이 침대매트리스(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본체(2)의 길이방향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면커버(30)에는 상기 본체(2)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끈손잡이(34)가 재봉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67238A 2020-06-03 2020-06-03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KR10220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38A KR102204987B1 (ko) 2020-06-03 2020-06-03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38A KR102204987B1 (ko) 2020-06-03 2020-06-03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987B1 true KR102204987B1 (ko) 2021-01-19

Family

ID=7423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38A KR102204987B1 (ko) 2020-06-03 2020-06-03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286A (ko) * 2022-02-04 2023-08-11 비렉스테크 주식회사 에어 매트리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73A (ko) 2006-04-17 2007-10-22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KR20090000743U (ko) * 2007-07-20 2009-01-23 장성순 매트리스 쿠션본체의 커버
KR100901212B1 (ko) * 2007-06-05 2009-06-08 이태원 침대용 매트리스
CN204908716U (zh) * 2015-07-09 2015-12-30 史磊 一种带置物兜的床垫套
KR20180070805A (ko) * 2016-12-17 2018-06-27 편준범 상하 착탈식 커버를 구비하는 2단 포켓 매트리스
KR20200007174A (ko) * 2018-07-12 2020-01-22 편준범 입체직조에어매트와 상하에 폼 쿠션을 결합한 매트리스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73A (ko) 2006-04-17 2007-10-22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KR100901212B1 (ko) * 2007-06-05 2009-06-08 이태원 침대용 매트리스
KR20090000743U (ko) * 2007-07-20 2009-01-23 장성순 매트리스 쿠션본체의 커버
CN204908716U (zh) * 2015-07-09 2015-12-30 史磊 一种带置物兜的床垫套
KR20180070805A (ko) * 2016-12-17 2018-06-27 편준범 상하 착탈식 커버를 구비하는 2단 포켓 매트리스
KR20200007174A (ko) * 2018-07-12 2020-01-22 편준범 입체직조에어매트와 상하에 폼 쿠션을 결합한 매트리스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286A (ko) * 2022-02-04 2023-08-11 비렉스테크 주식회사 에어 매트리스
KR102657283B1 (ko) * 2022-02-04 2024-04-15 비렉스테크 주식회사 에어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458A (en) Tubular pillow with casing and method of covering
US20130283533A1 (en) Pillow
KR102056379B1 (ko) 두 개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매트리스
KR200485709Y1 (ko) 베개
US9138086B1 (en) Light blocking eye cover attachable to a pillow
KR102204987B1 (ko)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1560675B1 (ko) 목쿠션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KR102197648B1 (ko)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KR102225862B1 (ko) 측면 주름 방지용 매트리스 커버
KR102021740B1 (ko) 가방형 목베개
KR20100080650A (ko) 수면안대를 포함한 목 베개
JP3162301U (ja) 複合式スプリングマットレス
JP5973628B2 (ja) 携帯用枕
KR101621845B1 (ko) 매트리스의 5면형 매트리스 시트커버
JP2015150158A (ja) 携帯用枕
KR102416271B1 (ko) 매트리스
KR102078108B1 (ko)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073357B1 (ko) 내구성이 보강된 스프링매트리스
KR102283572B1 (ko) 조합형 매트리스 시스템
JP2018089125A (ja) 腕用枕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KR101626219B1 (ko) 여러 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225861B1 (ko) 패드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