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48B1 -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48B1
KR102197648B1 KR1020200067237A KR20200067237A KR102197648B1 KR 102197648 B1 KR102197648 B1 KR 102197648B1 KR 1020200067237 A KR1020200067237 A KR 1020200067237A KR 20200067237 A KR20200067237 A KR 20200067237A KR 102197648 B1 KR102197648 B1 KR 10219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block
bed mattress
b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식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침대
Priority to KR102020006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3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combinations of spring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groups A47C23/04, A47C23/06 and A47C23/12;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7Attaching, or interconnecting of, springs in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는 폼,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가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이 직접 연결되거나 간접 연결되어 하나의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매트리스블록을 포함한다. 따라서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형 침대매트리스{BLOCK TYPE BED MATTRESS}
본 발명은 침대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이나 침대에 깔아서 사용하며,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편안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보장하기 위한 침대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침대매트리스는 바닥이나 침대프레임 위에 깔아서 사용하는 매트리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외피(Mattress Cover)의 내부에 외부하중을 완충하기 위한 내부완충재로서, 폼(Foam) 또는 스프링(Spring)이 설치되어 있어 휴식 또는 취침시 상기 내부완충재가 신체를 받쳐주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완충재는 신체를 고르게 받쳐줄 수 있도록 침대매트리스의 내부공간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완충재의 유동을 방지하여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외곽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은 침대매트리스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침대매트리스의 형상을 보존함과 동시에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완충재를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침대매트리스는 사용기간이 오래되면 내부로 각종 오염물질이 침투하여 외피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외피를 침대매트리스의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는 위생적인 방법도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한편, 침대매트리스는 예컨대, 측면 걸터앉음 등의 행동과 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이 집중되는 영역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력의 저하가 발생하게 되면, 침대매트리스를 교체하는 행위가 일반적이다.
즉 침대매트리스의 외곽에 배치된 내부완충재는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내부완충재에 비하여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어 가장자리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침대매트리스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침대매트리스 자체가 고가이다 보니 가장자리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취침시 불편한 자세가 될 수 있어 편안함과 안락함의 제공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의 처짐 현상이 발생시 침대매트리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침대매트리스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28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매트리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하나의 침대매트리스를 여러 개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이를 직접 또는 간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가장자리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거나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영역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는 폼(Inside Foam), 본넬스프링(Bonnell Spring) 또는 포켓스프링(Pocket Spring)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가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이 직접 연결되거나 간접 연결되어 하나의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매트리스블록(Mattress Block);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블록은 4개 내지 12개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여 이들을 직접 연결하거나 간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침대매트리스는 복수의 매트리스블록의 연결을 통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블록은 내부완충재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사각모양의 외곽프레임의 외부를 내피로 감싸고, 상기 내피의 외부를 직물재질의 외피로 감싸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블록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지퍼 방식, 단추 방식, 자석 방식 또는 벨크로(Velcro) 방식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단추는 소켓 원반 및 상기 소켓 원반에 삽입 체결되는 볼 원반으로 구성된 스냅단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블록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구획 형성된 쿠션프레임 또는 침대커버를 통해 간접 연결되어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은 수용공간을 쿠션칸막이로 구획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각각의 매트리스블록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침대커버는 두 개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보조벨크로가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에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보조지퍼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침대커버는 수용공간을 직물칸막이로 구획하고, 보조지퍼를 통해 수용공간을 개방하여 각각의 매트리스블록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침대매트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동으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침대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비용절감은 물론이고,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외곽프레임(12) 사이에 본넬스프링으로 구성된 내부완충재(11)가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12)의 외부를 내피(13)로 감싸고, 상기 내피(13)의 외부를 외피(14)로 감싸 구성된 6개의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외곽프레임(12) 사이에 포켓스프링으로 구성된 내부완충재(11)가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12)의 외부를 내피(13)로 감싸고, 상기 내피(13)의 외부를 외피(14)로 감싸 구성된 6개의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이하 '침대매트리스'로 지칭한다.)는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은 폼(Inside Foam), 본넬스프링(Bonnell Spring) 또는 포켓스프링(Pocket Spring)을 포함하는 내부완충재(11)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은 공통적인 사항으로서, 내부완충재(11)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사각모양의 외곽프레임(12)의 외부를 부직포로 실시되는 내피(13)로 감싸고, 상기 내피(13)의 외부를 직물재질의 외피(14)로 감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12)은 예컨대, Ø6 이상의 강선을 통해 꼭짓점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다만, 외곽프레임(12)이 반드시 강선을 통해 직사각형으로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하다면 그 형상이나 사용양태가 일부 다르더라도 균등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외곽프레임(1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외곽프레임(12)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내부공간에 폼(미도시),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폼은 내부완충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메모리폼(Memory foam), 스펀지(Sponge) 또는 라텍스(Latex) 등을 통해 실시 가능하며, 외곽프레임(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충진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침대매트리스(1)를 통상 폼매트리스(Foam Mattress)로 지칭하고 있다.
상기 본넬스프링은 상단과 하단에 비해 중단의 직경을 작게 한 형태로서, 상단과 하단을 각각의 외곽프레임(12)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데, 탄성력은 우수하지만 옆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본넬스프링으로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를 통상 스프링매트리스(Spring Mattress)로 지칭하고 있다.
이러한 본넬스프링과 달리 포켓스프링은 부직포 등을 통해 원통형으로 제조되는 파우치(Pouch)의 내부에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내장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옆의 움직임에 연동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동하는 특성이 있어 독립스프링으로 지칭하기도 하며, 이러한 포켓스프링으로 구성된 침대매트리스(1) 역시 스프링매트리스로 지칭하고 있다.
상기 외피(14)는 신체 접촉시 땀 흡수가 용이하고, 공기가 잘 통하도록 통기성이 우수한 직물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14)는 외부로 노출됨을 감안하여 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무늬 또는 자수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블록(10)은 위에서 바라봤을 때에 예컨대, 가로 50㎝, 세로 50㎝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가로 50㎝, 세로 60㎝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4개 내지 12개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직접 연결하거나 간접 연결함으로써, 침대매트리스(1)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상 직사각형의 침대매트리스(1)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침대매트리스(1)를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으로 블록화함으로써,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로서, 손잡이(21)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22) 및 상기 슬라이드(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로 구성된 지퍼(2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이 직접 연결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대매트리스(1)는 지퍼(Zipper)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퍼(20)는 매트리스블록(10)을 통한 침대매트리스(1)의 구성시 외부로 노출되는 매트리스블록(10)의 바깥 측면을 제외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매트리스블록(10)의 안쪽 측면의 상단 또는 중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퍼(20)는 손잡이(21)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22) 및 상기 슬라이드(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21)를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슬라이드(22)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을 직접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1)는 소비자가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밟지 않도록 상기 침대매트리스(1)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지퍼(2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고,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로서, 소켓 원반(31)과 볼 원반(32)으로 구성된 단추(3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이 직접 연결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대매트리스(1)는 스냅단추(Snap Button)로 실시되는 단추(30)를 통해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단추(30)는 매트리스블록(10)을 통한 침대매트리스(1)의 구성시 외부로 노출되는 매트리스블록(10)의 바깥 측면을 제외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매트리스블록(10)의 안쪽 측면의 중단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단추(30)는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맞닿도록 미는 동작만으로도 체결 가능한 소켓 원반(31)과 이에 삽입 체결되는 볼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볼 원반(32)으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측면에 소켓 원반(31)이 박음질 등을 통해 부착되고, 이와 대응하는 다른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측면에 볼 원반(32)이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단추(3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고,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대매트리스(1)는 단추(30) 대신에 자석을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상기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상단과 하단의 외부에 막대자석으로 실시되는 자석을 재봉 등으로 직접 부착하거나 내측에 내장시킴으로써,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벨벳(41)과 크로셰(42)로 구성된 벨크로(4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이 직접 연결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는 벨크로(Velcro)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벨크로(40)는 매트리스블록(10)을 통한 침대매트리스(1)의 구성시 외부로 노출되는 매트리스블록(10)의 바깥 측면을 제외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매트리스블록(10)의 안쪽 측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벨크로(40)는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측면 상단에 벨벳(41)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상면에 후크(Hook)로 해석 가능한 크로셰(42)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벨크로(4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직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고,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로서, 쿠션프레임(50)의 내측에 배열 형성된 수용공간(51)에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이 삽입되어 간접 연결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는 내측에 수용공간(51)이 구획 형성된 쿠션프레임(50)을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간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쿠션프레임(50)은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외부를 감싸 형태를 보존토록 함과 동시에 푹신한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공기는 유동시키되,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은 차단 가능한 스펀지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로 실시되는 쿠션프레임(50)은 접어서 보관하거나 배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세탁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쿠션프레임(5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51)은 쿠션칸막이(52)를 통해 구획될 수 있는데, 상기 쿠션칸막이(52)를 통해 쿠션프레임(5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블록(10)을 구조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쿠션프레임(50)을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간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고,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보조벨크로(61)가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에 보조지퍼(62)가 구비되며, 내측에 직물칸막이(63)가 구비된 두 개의 침대커버(60)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1)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구획 형성된 침대커버(6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간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침대커버(60)는 하나 또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로 구성될 경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보조벨크로(61)가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에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보조지퍼(6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침대커버(60)는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의 외부를 감싸 형태를 보존토록 함과 동시에 보관하거나 배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세탁도 가능하도록 직물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대커버(60)의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지퍼(62)를 통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은 직물칸막이(63)를 통해 구획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지퍼(62)를 통해 개방된 수용공간에 각각의 매트리스블록(10)을 삽입시 상기 직물칸막이(63)를 통해 각각의 매트리스블록(10)을 구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침대커버(60)를 통해 복수의 매트리스블록(10)을 간접 연결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걸터앉음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위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탄성력이 저하시 처짐 현상이 발생한 영역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고, 강약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매트리스블록(1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침대매트리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침대매트리스 10: 매트리스블록
11: 내부완충재 12: 외곽프레임
13: 내피 14: 외피
20: 지퍼 21: 손잡이
22: 슬라이드 23: 스토퍼
30: 단추 31: 소켓 원반
32: 볼 원반 40: 벨크로
41: 벨벳 42: 크로셰
50: 쿠션프레임 51: 수용공간
52: 쿠션칸막이 60: 침대커버
61: 보조벨크로 62: 보조지퍼
63: 직물칸막이

Claims (9)

  1. 폼, 본넬스프링, 포켓스프링 중 어느 한 가지로 이루어진 내부완충재(11)가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이상의 측면이 연결되어 하나의 침대매트리스(1)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사각형의 단위를 갖는 매트리스블록(1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트리스블록(10)은 내부완충재(11)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Ø6 이상의 강선을 통해 꼭짓점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의 외곽프레임(12)의 외부를 내피(13)로 감싸고, 상기 내피(13)의 외부를 직물재질의 외피(14)로 감싸 구성되고,
    상기 매트리스블록(10)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지퍼(20), 단추(30), 벨크로(40) 중 어느 한 가지 방식 또는 복합적인 방식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매트리스(1)는 상기 매트리스블록(10)가 간접 연결되도록 내측에 수용공간(51)이 구획 형성된 쿠션프레임(50) 또는 침대커버(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쿠션프레임(50)은 수용공간(51)을 쿠션칸막이(52)로 구획하고, 상기 수용공간(51)에 각각의 매트리스블록(10)을 교체 삽입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하거나,
    또는 침대커버(60)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보조벨크로(61)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수용공간(51)을 직물칸막이(63)로 구획하고,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에 수용공간(51)을 개폐하는 보조지퍼(62)를 통해 수용공간(51)을 개방하여 각각의 매트리스블록(10)을 삽입하여 침대매트리스(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67237A 2020-06-03 2020-06-03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KR10219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37A KR102197648B1 (ko) 2020-06-03 2020-06-03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37A KR102197648B1 (ko) 2020-06-03 2020-06-03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648B1 true KR102197648B1 (ko) 2021-01-04

Family

ID=7412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37A KR102197648B1 (ko) 2020-06-03 2020-06-03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6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922U (ja) * 2002-05-13 2002-11-22 順久 林 連結式マットレス
KR200380290Y1 (ko) * 2005-01-17 2005-03-29 박래봉 분리 가능한 접이식 매트리스
KR20070102873A (ko) 2006-04-17 2007-10-22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KR20090000743U (ko) * 2007-07-20 2009-01-23 장성순 매트리스 쿠션본체의 커버
KR100901212B1 (ko) * 2007-06-05 2009-06-08 이태원 침대용 매트리스
KR20180049867A (ko) * 2016-11-04 2018-05-14 최광준 국부쿠션조절이 가능한 침대매트리스
KR102056379B1 (ko) * 2019-06-21 2019-12-16 주식회사 대명테라피아침대 두 개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922U (ja) * 2002-05-13 2002-11-22 順久 林 連結式マットレス
KR200380290Y1 (ko) * 2005-01-17 2005-03-29 박래봉 분리 가능한 접이식 매트리스
KR20070102873A (ko) 2006-04-17 2007-10-22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KR100901212B1 (ko) * 2007-06-05 2009-06-08 이태원 침대용 매트리스
KR20090000743U (ko) * 2007-07-20 2009-01-23 장성순 매트리스 쿠션본체의 커버
KR20180049867A (ko) * 2016-11-04 2018-05-14 최광준 국부쿠션조절이 가능한 침대매트리스
KR102056379B1 (ko) * 2019-06-21 2019-12-16 주식회사 대명테라피아침대 두 개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379B1 (ko) 두 개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매트리스
KR10101562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방석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US20130283533A1 (en) Pillow
US20180344060A1 (en) Easy washable functional pillow
KR200462262Y1 (ko) 마이크로 포켓스프링이 내장된 이중 쿳션 매트리스
KR101901889B1 (ko) 방염 및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1715566B1 (ko)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KR102197648B1 (ko) 블록형 침대매트리스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2204987B1 (ko) 커버구조가 개선된 침대매트리스
JP5025479B2 (ja) 布団マットレス
KR20130084477A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JPH1156536A (ja) スプリング組み替え式マットレス
KR200469838Y1 (ko) 기능성 베개
KR200278881Y1 (ko) 매트리스
CN115721124A (zh) 用于可转换且可选择的床垫硬度的设备
JP3162301U (ja) 複合式スプリングマットレス
KR102312498B1 (ko) 체압 분산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20160139425A (ko) 높낮이가 다른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1912048B1 (ko)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102073357B1 (ko) 내구성이 보강된 스프링매트리스
KR102416271B1 (ko) 매트리스
KR20190001012U (ko) 침대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