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048B1 -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048B1
KR101912048B1 KR1020170114566A KR20170114566A KR101912048B1 KR 101912048 B1 KR101912048 B1 KR 101912048B1 KR 1020170114566 A KR1020170114566 A KR 1020170114566A KR 20170114566 A KR20170114566 A KR 20170114566A KR 101912048 B1 KR101912048 B1 KR 10191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gion
mattress
springs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수
Original Assignee
전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수 filed Critical 전경수
Priority to KR102017011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2Spring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복수의 제1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고, 복수의 제3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3 영역; 상기 제3 영역과 이웃하고, 복수의 제2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4 영역; 상기 제4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5 영역; 상기 제5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6 영역; 상기 제6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7 영역; 상기 제7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8 영역; 및 상기 제8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9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의 탄성력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장 높으며, 제3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CUSTOMIZED MATTRESS WITH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하중에 따라 탄성력이 상이한 스프링이 비 대칭으로 배치된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사용되는 매트리스는 그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구조물에 종횡 다수열로 배열 착설된 스프링들의 탄성에 의해 쿠션감이 좌우되는데, 종래의 매트리스는 상기 스프링들이 모두 동일한 탄성으로 구성되는 바 매트리스 전체가 동일한 쿠션감을 갖는 것이었다.
이러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06-008216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머리, 허리, 다리 등 신체의 각 부위는 무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같이 전체가 동일한 탄성으로 된 매트리스에 눕게 되면, 허리나 목 등 매트리스로부터 이격되는 부위가 발생하여 누워있어도 근육이 긴장되어 쉽게 피로가 풀리지 않고 심한 경우 오히려 누적되므로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251427에서는 체형 맞춤형 침대 매트리스를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서는 체형 맞춤형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체 체형에 대응되는 굴곡면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이러한 굴곡면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탄성 계수가 서로 다른 스프링을 사용하는 매트리스가 일부 공개되어 있으나,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스프링들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 매트리스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이함에도 동일한 스프링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체의 하중에 따라 다른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가지는 비대칭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랫동안 사용해도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9존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 모서리 부분에 보강재를 추가하여 안락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복수의 제1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고, 복수의 제3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3 영역; 상기 제3 영역과 이웃하고, 복수의 제2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4 영역; 상기 제4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5 영역; 상기 제5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6 영역; 상기 제6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7 영역; 상기 제7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8 영역; 및 상기 제8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스프링이 배치되는 제9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의 탄성력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장 높으며, 제3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프링의 굵기는 2.0mm이고, 상기 제2 스프링의 굵기는 1.9mm이고, 상기 제3 스프링의 굵기는 1.8mm 일 수 있다.
실시에에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3 스프링이 2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5 영역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이 5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6 영역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7 영역에는 상기 제3 스프링이 3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8 영역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9 영역에는 상기 제3 스프링이 3열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영역의 제1 스프링에 갈음하여 제4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4 스프링은 직선 형태로 수직으로 형성된 탄성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은 철(Fe) 98wt%, 탄소(C) 0.85wt%, 규소(Si) 0.27wt%, 망간(Mn) 0.74wt%, 인(P) 0.008wt%, 황(S) 0.008w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모서리부에 부착되어 모서리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ㄴ'자 형태의 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PE폼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하중에 따라 서로 다른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이 많은 작용 부분에 탄성력이 강한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부위가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중앙 부분의 스프링에 탄성강화부를 추가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리스 모서리 부분에 통풍이 가능한 보강재를 추가함으로써 매트리스의 오염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사람이 누워 있는 있을 때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보강재가 부가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1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100)는 하부패드(10), 상기 하부패드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30), 상기 다수의 스프링(30) 상에 배치되는 상부패드(50)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매트리스(100)는 인체의 하중이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에는 서로 다른 탄성강도를 가지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코일 형태의 스프링(35)이 부직포(36)에 싸여 있는 형태이다. 스프링이 부직포에 사여 있어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스프링은 포켓 스프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옆사람의 움직임에도 흔들림이 적은 장점이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하부패드(10) 상에 촘촘하게 열을 지여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침대의 크기나 코일 스프링의 내경에 따라 배치되는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대 매트리스의 길이는 2m 정도인데, 이러한 경우 스프링(30)은 33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100)는 인체의 하중에 따라 9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는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33열로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30)은 철(Fe)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프링(30)은 철(Fe) 98wt%, 탄소(C) 0.85wt%, 규소(Si) 0.27%, 망간(Mn) 0.74wt%, 인(P) 0.008wtT, 황(S) 0.008w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의 턴(turn) 수는 6회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좀 더 강한 탄성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턴수를 조절하여 5회전 또는 4회전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0)의 지름의 대략 60mm 내지 67mm 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1 스프링(31), 제2 스프링(32), 및 제3 스프링(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재질의 금속 재질을 사용하므로 굵기를 조절하여 스프링의 탄성 강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1 스프링은(31)은 탄성 강도가 제일 강한 스프링으로, 스프링의 굵기가 2.0mm 정도이고, 제2 스프링(32)은 탄성 강도가 중간 정도의 스프링으로 스프링의 굵기가 1.9mm 정도이고, 제3 스프링(33)은 탄성 강도가 제일 약한 스프링으로, 스프링의 굵기가 1.8mm 정도이다.
상기 제1 스프링(31), 제2 스프링(32), 및 제3 스프링(33)은 침대 매트리스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달리 배치된다. 즉, 사람이 누었을 때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부분에는 제1 스프링(31)이 배치되고, 하중이 조금 작게 중간 정도로 작용하는 부분에는 제2 스프링(32)이 배치되고, 하중이 가장 작게 작용하는 부분에는 제3 스프링(33)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누었을 때 머리, 어깨,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 스프링이 배치되고, 허리, 허벅지,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2 스프링이 배치되고, 목, 종아리, 및 끝부분(머리 반대편)에는 제3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매트리스(100)는 9개 영역(제1 영역 내지 제9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에는 상기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이 배치된다.
도 2는 매트리스(100)의 9개 영역에 배치된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영역(110)에는 제1 스프링(31)이 복수개 배치되며,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은 침대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사람이 누울 경우 머리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영역(110)은 다른 영역에 비해 가해지는 하중이 강하므로 탄성 강도가 강한 스프링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탄성 강도가 강한 제 1 스프링(31)이 배치된다. 제1 스프링(31)의 굵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mm 정도이다.
제2 영역(120)에는 제3 스프링(33)이 복수개 배치되며,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20)은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목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매트리스(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약하므로 탄성 강도가 가장 약한 제3 스프링이 배치된다. 상기 제3 스프링(33)의 굵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1.8mm 정도이다.
제3 영역(130)에는 제1 스프링(31)이 복수개 배치되며,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130)은 상기 제2 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어깨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어깨 부위도 머리 부위와 마찬가지로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이 강하므로 제1 스프링(31)이 배치된다.
제4 영역(140)에는 제2 스프링(32)이 복수개 배치되며,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140)은 상기 제3 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허리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허리 부분은 머리나 엉덩이 부분 보다는 하중이 많이 작용하지만 목 부분보다는 하중이 약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제4 영역(140)에는 탄성 강도가 중간 정도인 제2 스프링(32)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스프링(121)의 굵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mm 정도이다.
제5 영역(150)에는 제1 스프링(31)이 복수개 배치되며, 5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영역(150)은 상기 제4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엉덩이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엉덩이 부분 역시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이 강하므로 탄성 강도가 가장 강한 제1 스프링(31)이 배치된다. 또한 엉덩이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차지하는 면적이 넓으므로 스프링을 5열로 배치한다.
제6 영역(160)에는 제2 스프링(32)이 복수개 배치되며,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 영역(160)은 상기 제5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허벅지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허벅지 부분은 머리나 엉덩이 부분에 비해서는 하중이 적게 작용하지만 목 부위 보다는 강한 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6 영역(160)에는 중간 정도의 탄성 강도를 가진 제2 스프링(32)이 배치된다.
제7 영역(170)에는 제3 스프링(33)이 복수개 배치되며, 3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 영역(170)은 상기 제6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종아리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종아리 부위는 목 부위와 마찬가지로 하중이 약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제7 영역(170)에는 탄성 강도가 가장 약한 제3 스프링(33)이 배치된다.
제8 영역(180)에는 제2 스프링(32)이 복수개 배치되며,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8 영역(180)은 상기 제7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발 부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발 부분은 머리나 엉덩이 부분에 비해서는 하중이 적게 작용하지만 목 부위 보다는 강한 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8 영역(180)에는 중간 정도의 탄성 강도를 가진 제2 스프링(32)이 배치된다.
제9 영역(190)에는 제3 스프링(33)이 복수개 배치되며,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 영역(160)은 상기 제8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 사람이 누울 때 아무런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의 길이는 2m 정도이므로 사람이 누울 경우 가장자리까지는 키가 닿지 않으므로 가장자리에는 아무런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9 영역(160)에는 탄성 강도가 가장 약한 제3 스프링(33)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프링(31), 제2 스프링(32), 제3 스프링(33)은 서로 다른 색깔의 부직포나 천으로 싸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31)은 빨간색, 제2 스프링(32)은 하얀색, 제3 스프링(33)은 파란색 부직포를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110), 제3 영역(130), 제5 영역(150)은 빨간색 부직포로 포장된 제1 스프링(31)이 배치되고, 제2 영역(120), 제7 영역, 및 제9 영역(190)은 하얀색 부직포로 포장된 제3 스프링(33)이 배치되고, 제4 영역(140), 제6 영역(160), 및 제8 영역(180)은 파란색 부직포로 포장된 제2 스프링(32)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부직포의 색깔은 다양한 색깔로 변경 가능하다.
이렇게 서로 다른 색깔로 스프링을 포장하는 경우 외부에서 매트리스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매트리스는 스프링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매트리스의 머리 부분과 발 부분을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었다. 종래에도 체형에 따라 스프링 탄성 강도를 달리하는 매트리스가 일부 공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매트리스들은 주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스프링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 굳이 매트리스의 방향을 구분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람이 누었을 때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과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가지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매트리스의 방향을 구분해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매트리스의 방향을 잘못 인식하여 매트리스를 거꾸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매트리스의 장점을 전혀 체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탄성 강도를 가지는 스프링을 동일한 색상의 부직포로 포장을 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사람이 누운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머리, 어깨,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은 제1 스프링(31)이 배치되고, 허리, 허벅지, 발 부분은 제2 스프링(32)이 배치되고, 목, 종아리, 매트리스 끝 부분은 제3 스프링(33)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는 부분에 탄성 강도가 강한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래 사용하더라도 매트리스의 특정 부분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구성 향상 효과도 도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에서는 머리, 어깨, 엉덩이 부분에는 탄성력이 강한 제1 스프링(31)이 배치된 예를 살펴보았다.
머리, 어깨, 엉덩이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하중이 많이 작용하므로 상기와 같이 배치하였으나, 엉덩이 부분은 머리나 어깨에 비해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진다. 그렇다고 엉덩이 부분의 스프링을 2.1mm 정도의 굵은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면 매트리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해당 부위의 탄성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 누웠을 때 안락함을 느끼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2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110) 내지 제9 영역(190) 중 제5 영역(150)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 영역(150)에는 제4 스프링(34)이 배치되며, 상기 제4 스프링(34)의 굵기는 제1 스프링(31)과 동일하다. 즉, 제5 영역(150)에는 2.0mm 굵기의 제4 스프링(34)이 4열로 배치된다.
상기 제4 스프링(34)은 탄성강화부(34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강화부(341)는 코일 형태의 제4 스프링(34)의 일부 구간에서 직선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선 형태의 탄성강화부(3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한 스프링의 굵기 및 턴수는 제1 스프링(31)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 강화부(341)가 형성되면 동일한 굵기와 턴수를 가진 스프링이 사용되더라도 더 강한 탄성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매트리스의 가장자리의 보강재를 부가한 것이다.
도 5의 (a)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c)는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트리스에는 코너 부분에 제1 보강재(210), 제2 보강재(220), 제3 보강재(230), 및 제4 보강재(2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보강재(210) 내지 제4 보강재(240)는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보강재(200)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매트리스의 코너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재(200)를 부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보강재(200)의 소재로는 PE폼이 사용될 수 있다. PE폼을 사용하는 경우 매트리스 외곽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통풍이 가능하므로 매트리스 내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강재(200)는 매트리스의 하부에 부착된 받침부(201)와 상기 받침부에 연장형성된 지지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201)는 도 5의 (c)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200)는 받침부(201)가 매트리스의 하부에 부착되고 지지부(202)가 매트리스의 측면에 부착되어 매트리스의 코너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보강재(200)를 금속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강도를 유지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통풍이 되지 않아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통풍이 가능한 PE폼 보강재로 사용함으로써 통풍과 강도의 두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보강재는 매트리스를 모두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통풍에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이 배치함으로써 통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ㄴ'자 형태로 형성하여 매트리스의 상부에는 아무것도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도 여전히 평평하게 유지함으로써 사람이 누었을 때 전혀 불편함을 느낄수 없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부패드 30 : 스프링
50 : 상부 패드 31 : 제1 스프링
32 : 제2 스프링 33 : 제3 스프링
34 : 제4 스프링 341 : 탄성강화부
110~190 : 제1 영역~제9영역 210~240 : 보강재

Claims (6)

  1. 매트리스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제1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고, 제3 스프링이 2열로 배치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는 제3 영역;
    상기 제3 영역과 이웃하고, 제2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는 제4 영역;
    상기 제4 영역과 이웃하고, 제4 스프링이 5열로 배치되는 제5 영역;
    상기 제5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는 제6 영역;
    상기 제6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제3 스프링이 3열로 배치되는 제7 영역;
    상기 제7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이 4열로 배치되는 제8 영역; 및
    상기 제8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제3 스프링이 3열로 배치되는 제9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프링의 지름은 60mm 내지 67mm이고,
    상기 제4 스프링은 직선 형태로 수직으로 형성된 탄성강화부를 포함하여 제1 스프링보다 탄성력이 강하며,
    상기 제1 스프링 및 제4 스프링의 굵기는 2.0mm이고,
    상기 제2 스프링의 굵기는 1.9mm이고,
    상기 제3 스프링의 굵기는 1.8mm 이고,
    상기 매트리스의 모서리부에 PE폼 재질의 보강재가 부착되고,
    상기 보강재는 매트리스의 하부에 부착된 받침부(201)와 상기 받침부에 연장형성된 매트리스의 측면의 상단까지만 부착되어 매트리스의 코너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2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은 철(Fe) 98wt%, 탄소(C) 0.85wt%, 규소(Si) 0.27wt%, 망간(Mn) 0.74wt%, 인(P) 0.008wt%, 황(S) 0.008wt%를 포함하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6. 삭제
KR1020170114566A 2017-09-07 2017-09-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10191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66A KR101912048B1 (ko) 2017-09-07 2017-09-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66A KR101912048B1 (ko) 2017-09-07 2017-09-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048B1 true KR101912048B1 (ko) 2018-10-25

Family

ID=6413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66A KR101912048B1 (ko) 2017-09-07 2017-09-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8857B1 (nl) * 2020-12-07 2022-07-07 Revor Group Nv Ergonomische matraskern en matr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1911B2 (ja) * 1987-04-07 1997-10-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ばね用鋼線
KR101454221B1 (ko) * 2013-12-31 2014-10-23 리엔산업(주) 침대용 매트리스 측면 보강 장치
KR101707713B1 (ko) * 2014-07-21 2017-02-27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1911B2 (ja) * 1987-04-07 1997-10-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ばね用鋼線
KR101454221B1 (ko) * 2013-12-31 2014-10-23 리엔산업(주) 침대용 매트리스 측면 보강 장치
KR101707713B1 (ko) * 2014-07-21 2017-02-27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픈마켓(인터넷쇼핑몰)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1630088637&utm_term=&utm_campaign=DB%BF%AC%B5%BF%26gt%3B%B1%E2%BA%BB%C4%DA%B5%E5&utm_sour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8857B1 (nl) * 2020-12-07 2022-07-07 Revor Group Nv Ergonomische matraskern en matr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341B2 (en) Symmetrical pressure relief foam mattress
US5974609A (en) Quilt top mattress with convoluted foam cushion
US20160120319A1 (en) Pressure-relief pillows
KR10101562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방석
CN205513617U (zh) 一种软硬可调节床垫
US20050000021A1 (en) Novelty cushion
KR101912048B1 (ko)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JP3211873U (ja) クッション
EP1946679A1 (en) Mattress and upholstery covers
JP6585331B2 (ja) 敷寝具
KR200469838Y1 (ko) 기능성 베개
KR20040101584A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JP7000285B2 (ja) クッション体
KR200313925Y1 (ko) 쿠션
KR101942470B1 (ko) 개선된 신체 적합도를 갖는 기능성 베개
KR20150007398A (ko) 기능성 베개
KR100401331B1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KR20200000587U (ko) 괄약근 운동 방석
KR200337232Y1 (ko) 매트리스
KR200329572Y1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KR102221517B1 (ko) 허리보강 구조를 갖는 개선된 침대 매트리스
JP2002159375A (ja) 寝 具
KR0127738Y1 (ko) 스프링이 보강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180041613A (ko) 신체 및 체형에 최적화된 매트리스
WO2012175811A1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