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28Y1 - 건축용 벽돌 - Google Patents

건축용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28Y1
KR200473128Y1 KR2020140000904U KR20140000904U KR200473128Y1 KR 200473128 Y1 KR200473128 Y1 KR 200473128Y1 KR 2020140000904 U KR2020140000904 U KR 2020140000904U KR 20140000904 U KR20140000904 U KR 20140000904U KR 200473128 Y1 KR200473128 Y1 KR 200473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pin
filler
til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재훈
Original Assignee
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재훈 filed Critical 지재훈
Priority to KR2020140000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은, 내외측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된 벽돌본체(10)와, 상기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와,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기와조각(40) 및 상기 기와조각(40)을 잘라낸 파단면에 접착되고,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 어 상기 기와조각(40)을 상기 벽돌본체(10)의 전후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접착되는 지지부(421)와,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중앙에 돌출되되, 물결무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22)와,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본드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서 고정되는 결합핀(423) 및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는 원뿔형상의 돌출핀(42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벽돌{block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기와를 쌓은 듯한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이나 담 등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건축용 벽돌은 시멘트모르타르를 가압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작된 벽돌은 외관이 단순하고, 인공적인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20-0246502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벽돌의 표면에 자연석(30)을 매입하여 자연적인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벽돌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벽돌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측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된 벽돌본체(10)와, 상기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와, 상기 충진재(20)에 매입고정된 복수개의 자연석(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진재(20)는 일반적인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상기 오목부(11)에 충진재(20)를 충진하고 충진재(20)에 자연석(30)을 매입한 후 경화시키면 자연석(3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2는 상기 오목부(11)의 내부 바닥면에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충진재(20)는 상기 오목부(11)의 관통구멍(12)의 내부까지 완전히 충진되어, 충진재(20)가 건조되었을 때 벽돌본체(10) 양측의 충진재(20)가 상기 관통구멍(12)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벽돌은 자연석(30)을 이용하는데 반해, 적절한 크기의 자연석을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과도하게 많은 양의 자연석을 소비하여 자연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진재(20)에 자연석(30)을 매입한 후 경화시킨 뒤에, 운반이나 떨어뜨렸을 때 외력이 가해지면 충진재(20)에 경화되어 고정된 자연선(30)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연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벽돌에 고급스럽고 자연스런 느낌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1958호(2011.06.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0021호(2004.12.0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323716호(1996.12.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118호(2005.10.19.)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연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건축용 벽돌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와조각이 충진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건축용 벽돌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은, 내외측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된 벽돌본체(10)와, 상기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와,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기와조각(40) 및 상기 기와조각(40)을 잘라낸 파단면에 접착되고,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 어 상기 기와조각(40)을 상기 벽돌본체(10)의 전후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접착되는 지지부(421)와,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중앙에 돌출되되, 물결무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22)와,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본드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서 고정되는 결합핀(423) 및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는 원뿔형상의 돌출핀(4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422)는, 양측면을 사선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25)이 돌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서로 반대되는 사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5)의 내주면에는, 돌기(426)가 돌출되되, 나선형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충진재(20)는, 상기 관통공(425) 및 돌기(426)와 돌기(426)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422)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핀(423)과 돌출핀(424)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이 상기 지지부(421)를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도록 훅형상으로 돌출된 걸림훅(4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외력이 가해지면 축소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팽창되는 연질재질의 실리콘패드(429)가 부착되고,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결합핀(423)을 삽입시키면, 삽입시킬 때 가해진 후 사라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429)가 축소된 후 팽창하며 상기 결합핀(423)에 형성된 걸림훅(427)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충진재(20)에 상기 고정부(422)와 돌출핀(424)을 삽입시키면, 삽입시킬 때 가해진 후 사라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429)가 축소된 후 팽창하며 상기 돌출핀(424)에 형성된 걸림축(427)의 끝단과 돌출핀(424)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공간(428)에 충진재(2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은 벽돌본체(10)의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에 커다란 자연석을 조각낸 기와조각(40)이 고정되어, 벽돌을 조적하여 벽면 또는 담장 등을 축조하면, 축조된 벽면 또는 담장이 기와를 쌓아 축조된 것처럼 보이게 되어, 작은 자연석이 고정된 종래의 건축용 벽돌에 비해 더욱 고급스러우면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와조각이 충진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기와조각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에 의해 축조된 벽면 또는 담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2 실시예에 의해 축조된 벽면 또는 담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와조각을 결합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것으로, 내외측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된 벽돌본체(10)와, 상기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와,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에 고정된 기와조각(4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벽돌본체(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식 시멘트 모르타르를 가압성형하여 제작된다.
상기 오목부(11)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 바닥면에는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20)는 상기 벽돌본체(10)와 동일한 시멘트 모르타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진재(20)인 시멘트 모르타르는 습식, 즉 일정량의 물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오목부(11)에 충진되어 시간이 경과되면 건조 및 경화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와조각(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넓게 제작된 기와를 잘라낸 것으로 파단면(41), 즉, 크기가 큰 기와를 잘라 기와조각(40)을 만들 때 발생되는 거친 잘린면에는 고정부재(42)가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42)가 상기 충진재(20)에 완전히 매입되도록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기와는 황토 또는 점토를 판형상 또는 정해진 형태로 성형한 후, 가마 등에서 가열 및 소성변화시킨 제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와조각(40)은 지붕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일반적인 기와중에서 파손되어 지붕재료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의 일측을 잘라낸 것이나, 기와조각(40)을 만들어내기 위해 생산된 전용의 기와를 잘라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는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금속판재로 구성된 것으로, 외측단은 기억자로 절곡되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2)의 외측단은 상기 파단면(41)에 접착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금속재를 기와에 접착하는 접착제는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2)의 중간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벽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형틀에 건식 시멘트 모르타르를 투입한 후 가압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벽돌본체(10)를 성형한다.
그리고, 벽돌본체(10)를 건조시킨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돌본체(10)의 오목부(11)에 충진재(20)를 충진한다.
이때, 상기 충진재(20)는 상기 오목부(11)의 관통구멍(12)의 내부까지 완전히 충진되어, 충진재(20)가 건조되었을 때 벽돌본체(10) 양측의 충진재(20)가 상기 관통구멍(12)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20)에 복수개의 기와조각(40)을 매입고정한다.
이때, 상기 기와조각(40)은 파단면(41)에 구비된 고정부재(42)가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도록 삽입되어 파단면(41)이 상기 충진재(20)에 파묻히도록 고정되며, 각각의 기와조각(40)은 상호 적층되는 형태를 갖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와조각(40) 중에서 일부의 기와조각(40)은 일측단이 상기 벽돌본체(10)의 둘레면 외측, 즉, 상기 벽돌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매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와조각(40)은 상하측에 위치된 기와조각(40)이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기와조각(40)의 일단부가 상기 벽돌본체(10)의 좌우측으로 교대로 돌출되도록 매입된다.
이와 같이 기와조각(40)을 매입하는 과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20)를 건조 및 경화시켜 벽돌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벽돌은 벽돌본체(10)의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에 커다란 자연석을 조각낸 기와조각(40)이 고정되어, 벽돌을 조적하여 벽면 또는 담장 등을 축조하면, 축조된 벽면 또는 담장이 기와를 쌓아 축조된 것처럼 보이게 되어, 작은 자연석이 고정된 종래의 건축용 벽돌에 비해 더욱 고급스러우면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연석을 이용함에 따라 자연파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와조각(40)은 적어도 일측이 상기 벽돌본체(10)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됨으로, 건축용 벽돌을 조작하여 건축물의 벽면이나 담을 축조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와조각(40)이 서로 다른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벽면이나 담이 벽돌을 조적하지 않고 기와를 쌓은 것과 같이 보이도록 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2)는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단은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접착고정되며 중간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2a)이 형성됨으로, 고정부재(42)를 상기 충진재(20)에 매입할 때 충진재(20)가 상기 관통공(42a)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부재(42)가 충진재(20)의 내부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와조각(40)은 평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기와조각(40)의 형태는 평판이외에, 둥글게 라운드진 형태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와조각(40)의 크기와 배치간격 등은 작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충진재(20)는 전원선(53)에 연결되어 발광되는 발광수단(50)이 고정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광수단(5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재질로 구성된 지지블록(51)과, 상기 지지블록(51)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원선(53)에 의해 전원에 연결되는 LED램프(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51)은 일면이 평면을 이루는 반구형으로 구성된 헤드부(51a)와, 상기 헤드부(51a)의 평면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1b)를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51b)가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블록(51)은 투명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LED램프(52)는 상기 헤드부(51a)의 내부에 구비되어 헤드부(51a)의 둘레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LED램프(52)는 상기 지지블록(51)을 성형할 때, 금형의 내부에 인서트사출하여 상기 지지블록(5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전원선(53)은 상기 연장부(51b)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된 상태로 상기 벽돌본체(1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50)은 벽돌본체(10)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만 구비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로 다수개의 벽돌을 조적하여 벽면이나 담을 축조할 때, 상기 발광수단(50)이 구비된 벽돌을 적절히 끼워넣고, 상기 전원선(53)을 전원에 연결하여 벽면이나 담을 축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53)을 통해 상기 LED램프(52)에 전원을 인가하면 LED램프(52)가 발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벽돌은 벽돌에 구비된 발광수단(5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발광수단(50)에 구비된 LED램프(52)가 발광됨으로, 별도의 조명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벽돌 자체에 구비된 발광수단(50)을 이용하여 주변을 조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벽돌에 의해 축조된 벽이나 담 자체가 발광됨으로, 별도의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것과 다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발광수단(50)에는, 전원선(53)과 연결되며, 지지블록(51)의 외측에 결합되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광수단(50)은,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조도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으면 상기 LED램프(52)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으면 상기 LED램프(52)가 소등되거나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예를 들어 저녁 10시에 점멸되도록 LED램프(52)를 제어하여 보다 더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관리자의 제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발광수단(50)의 작동에 의해 주변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벽돌본체(10)의 상하면과 양측면에는 좌우 및 상하방항으로 연장된 오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3)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벽면이나 담을 축조하면 각각의 건축용 벽돌에 형성된 오목홈(13)이 상호 겹쳐져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건축용 벽돌을 축조할 때, 상기 오목홈(13)에 의해 형성된 통로의 내부에 원형파이프와 같은 보강재를 끼워넣으면 각각의 건축용 벽돌이 상호 견고하게 맞물려 건축용 벽돌에 의해 축조된 벽면이나 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고정부재(42)를 이용하여 기와조각이 충진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와조각을 결합한 측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벽돌본체(10), 충진재(20), 기와조각(40)은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재(42)는, 기와조각(40)을 잘라낸 파단면에 접착되고,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 어 상기 기와조각(40)을 상기 벽돌본체(10)의 전후면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4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421), 고정부(422), 결합핀(423), 돌출핀(424)을 포함한다.
지지부(421)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접착된다.
고정부(422)는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중앙에 돌출되되, 물결무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결합핀(423)은, 지지부(421)의 일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본드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서 고정된다.
돌출핀(424)은, 지지부(421)의 타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422)는, 양측면을 사선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25)이 돌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서로 반대되는 사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즉, 관통공(425)가 서로 반대되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진재(20)가 굳었을 때,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분해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425)의 내주면에는, 돌기(426)가 돌출되되, 나선형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는, 충진재(20)가 관통공(425)에 채워지더라도 관통공(425)에서 굳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충진재(20)는, 상기 관통공(425) 및 돌기(426)와 돌기(426)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422)와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결합핀(423)과 돌출핀(424)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이 상기 지지부(421)를 향하여 만곡되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훅형상으로 돌출된 걸림훅(427)이 형성된다.
지지부(4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외력이 가해지면 축소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팽창되는 연질재질의 실리콘패드(429)가 부착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와조각(40)의 파단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결합핀(423)을 삽입시키면, 삽입시킬 때 가해진 후 사라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429)가 축소된 후 팽창하며 상기 결합핀(423)에 형성된 걸림훅(427)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패드(429)의 외측면과 결합핀(423)과 걸림훅(427)에 본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재(20)에 상기 고정부(422)와 돌출핀(424)을 삽입시키면, 삽입시킬 때 가해진 후 사라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429)가 축소된 후 팽창하며 상기 돌출핀(424)에 형성된 걸림축(427)의 끝단과 돌출핀(424)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공간(428)에 충진재(20)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와조각이 충진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벽돌본체 11: 오목부
12: 관통구멍 13: 오목홈
20: 충진재 40: 기와조각
41: 파단면 42: 고정부재
50: 발광수단 51: 지지블록
51a: 헤드부 51b: 연장부
52: LED램프 53: 전원선
421: 지지부 422: 고정부
423: 결합핀 424: 돌출핀
425: 관통공 426: 돌기
427: 걸림훅 428: 걸림공간
429: 실리콘패드

Claims (3)

  1. 내외측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된 벽돌본체(10)와,
    상기 오목부(11)에 충진된 충진재(20)와,
    상기 벽돌본체(10)의 내외측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기와조각(40) 및
    상기 기와조각(40)을 잘라낸 파단면에 접착되고,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 어 상기 기와조각(40)을 상기 벽돌본체(10)의 전후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접착되는 지지부(421)와,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중앙에 돌출되되, 물결무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22)와,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41)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본드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서 고정되는 결합핀(423) 및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 양쪽에 돌출되어 상기 충진재(20)에 매입되는 원뿔형상의 돌출핀(424)을 포함하는 건축용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22)는, 양측면을 사선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25)이 돌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서로 반대되는 사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5)의 내주면에는, 돌기(426)가 돌출되되, 나선형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충진재(20)는, 상기 관통공(425) 및 돌기(426)와 돌기(426)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422)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423)과 돌출핀(424)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이 상기 지지부(421)를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도록 훅형상으로 돌출된 걸림훅(4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외력이 가해지면 축소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팽창되는 연질재질의 실리콘패드(429)가 부착되고,
    상기 기와조각(40)의 파단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결합핀(423)을 삽입시키면, 삽입시킬 때 가해진 후 사라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21)의 일측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429)가 축소된 후 팽창하며 상기 결합핀(423)에 형성된 걸림훅(427)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충진재(20)에 상기 고정부(422)와 돌출핀(424)을 삽입시키면, 삽입시킬 때 가해진 후 사라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21)의 타측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429)가 축소된 후 팽창하며 상기 돌출핀(424)에 형성된 걸림축(427)의 끝단과 돌출핀(424)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공간(428)에 충진재(2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
KR2020140000904U 2014-02-07 2014-02-07 건축용 벽돌 KR200473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904U KR200473128Y1 (ko) 2014-02-07 2014-02-07 건축용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904U KR200473128Y1 (ko) 2014-02-07 2014-02-07 건축용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28Y1 true KR200473128Y1 (ko) 2014-06-12

Family

ID=5148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904U KR200473128Y1 (ko) 2014-02-07 2014-02-07 건축용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70A (ko) 2019-12-27 2021-07-07 대륙종합건설 주식회사 실내 벽면 마감용 황토벽돌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716A (ja) * 1995-05-31 1996-12-10 Noboru Iwasaki 表面化粧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及び表面化粧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40100021A (ko) * 2003-05-21 2004-12-02 김동기 황토 가옥의 황토 벽 건축용 기와 및 기와를 이용한 황토 벽
KR101071082B1 (ko) 2011-03-15 2011-10-10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165690B1 (ko) 2009-12-02 2012-07-16 이장현 건축용 벽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716A (ja) * 1995-05-31 1996-12-10 Noboru Iwasaki 表面化粧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及び表面化粧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40100021A (ko) * 2003-05-21 2004-12-02 김동기 황토 가옥의 황토 벽 건축용 기와 및 기와를 이용한 황토 벽
KR101165690B1 (ko) 2009-12-02 2012-07-16 이장현 건축용 벽돌
KR101071082B1 (ko) 2011-03-15 2011-10-10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70A (ko) 2019-12-27 2021-07-07 대륙종합건설 주식회사 실내 벽면 마감용 황토벽돌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32432A (ja) 自給式の発光部材及び人造石又は天然石の形状の発光敷石
KR200473462Y1 (ko) 건축용 벽돌
KR200473128Y1 (ko) 건축용 벽돌
CN108136631A (zh) 制造模制产品的方法
EP2800848A1 (en) Light-emitting construction element
KR100846833B1 (ko) 계단용 논슬립 및 그에 결합되는 마구리 캡
ES2298512T3 (es) Losa de hormigon armad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dicha losa.
RU122150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е декоративные и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е изделия
KR101620192B1 (ko) 조립형 황토벽돌
KR200406064Y1 (ko) 발광수단을 갖는 고무칩블록
KR101165690B1 (ko) 건축용 벽돌
KR20100123011A (ko)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US9606282B2 (en) System for forming illuminated poured surfaces
CN206495392U (zh) 一种龙骨线灯
JPH01235769A (ja) 発光体埋設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71430A (ko) 발지압판
KR200297349Y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KR101671198B1 (ko) 수지 성형체의 제조방법, 수지 성형체
KR200469738Y1 (ko) 황토판 및 황토판이 결합된 벽체
KR200344661Y1 (ko)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능성 마감 패널
CN205889485U (zh) 人造砂岩砖组合模具
KR101150852B1 (ko)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CN101680197A (zh) 一种具有花岗岩、大理石、陶、瓷、赤陶或其类似物的顶部装饰面的能互锁的砖/块状材料
JP4615584B2 (ja) 覆工用床材
KR101040492B1 (ko)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