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430A - 발지압판 - Google Patents

발지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430A
KR20070071430A KR1020050134849A KR20050134849A KR20070071430A KR 20070071430 A KR20070071430 A KR 20070071430A KR 1020050134849 A KR1020050134849 A KR 1020050134849A KR 20050134849 A KR20050134849 A KR 20050134849A KR 20070071430 A KR20070071430 A KR 2007007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acupressure
base
digital compressio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05013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1430A/ko
Publication of KR2007007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과 타일이 받치도록 지압돌기를 배치 부착한 발지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지압판{foot digital compression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지압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조 과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지압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주요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지압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의 발지압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 온열 발지압판 110 : 베이스
111 : 암결합부 120 : 본드
130 : (면상) 발열체 140,240 : 측판
141 : 수결합부 142 : 잠금편(톱니)
143,243 : 다리부 144,244 : 돌출턱
145 : 지지턱 160 : 가장자리마감타일
150 : 접착제(에폭시수지) 170,270,370 : 지압체
171 : 정전기제거물질 180 : 장심지압돌기
190 : 실리콘 230 : 제어부
273,373 : 세라믹타일 275 : 유리타일
인용문헌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35949호
인용문헌2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108호
인용문헌3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672호
본 발명은 타일과 타일이 받치도록 지압돌기를 배치 부착한 발지압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지압판으로서, 예컨대 인용문헌1 내지 인용문헌3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인용문헌1의 온열 발지압판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발바닥을 받칠 수 있는 크기의 받침판(1)에 일정 간격으로 소형 자연석을 고정시킨 발지압판에 있어서, 받침판(1) 상면에 면상 발열체(10)를 안치시키고, 면상 발열체(10) 상면에는 에폭시수지(20)를 사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작은 지압구(30)를 부착시키며, 각 지압구(30) 는 직경을 작게 하도록 폐루프 형태의 공간을 이루는 수직벽을 가지는 수직벽부(31)와, 수직벽부(31) 상면에서 연장하여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추부(32)와,원추부(32)의 상단 정점을 이루며 직경이 커지는 호형부(33)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받침판(1)의 테두리에는 받침판(1) 보강 및 에폭시 수지의 초기 흐름을 차단하는 지지틀(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용문헌1은 다음과 같은 트러블이 있다.
첫째, 받침판(1)의 발을 올려놓을 정도의 사이즈이고, 그 측면도 무게 등을 고려(이동 편리성)하여 높이가 작기 때문에, 로고, 홍보물 등을 새기더라도 문양(글씨나 그림)이 너무 작고 외부적인 요인으로 문양이 닿아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를 위해 사용되는 세라믹타일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그 상면에 문양을 새겨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외부적인 요인으로 쉽게 닿아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세라믹타일은 유리타일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발바닥으로의 열전달효율이 떨어져 전기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발지압판에 올라선 경우 발 지압은 하지만 지압판이 비도체로 인해 접지 기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생활하면서 생기는 마찰 때문에 정전기가 쌓이는데, 인체에 있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없어, 스파크로 인한 놀람, 피부 가려움증 등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 문제는 인용문헌2,3에도 적용된다).
셋째, 에폭시수지(20)는 가격이 저렴하고 특히 경화 속도가 커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면상발열체(10)의 온도가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 면, 에폭시수지(20)와 지압구(30)가 팽창 수축율이 다른 관계로 시간이 지나면 접합부위의 강도가 약해져서, 지압구(30)가 에폭시수지(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팽창 수축율의 다른 것을 해소하기 위한 완충물질로서, 실리콘이 있는데, 실리콘은 가격이 비싸고 경화속도가 매우 느려서, 매트 상면 전체에 바른다면, 제품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넷째, 받침판(1)의 테두리에는 받침판(1) 보강 및 에폭시 수지의 초기 흐름을 차단하는 지지틀(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지틀(3)은 접착제에 붙이는 것으로, 줄이나 열을 맞추는 작업이 어렵고 지지틀(3)이 떨어져 나가는 하자가 발생하는 경향 있다. 또한, 지지틀(3)은 받침판(1)의 거푸집 기능은 하지만, 외장재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려워 디자인 측면에서 많은 제약이 있다.
한편, 인용문헌2의 발바닥 지압용 지압판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0)의 테두리에 돌출부(22)를 구성하므로 상대적으로 요입부(21)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부(21)에 자연석 모래와 에폭시수지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에폭시 혼합물을 얻고, 상기 에폭시 혼합물을 이용하여 본체(30)를 성형하되, 상기 본체(30)의 표면은 대체로 완만한 형태, 즉 발바닥의 곡면과 유사한 곡면이 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요입부(21)와 돌출부(22)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20)은 획일적으로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받침판(20)의 측면에 외장마감을 하는 경우 돌출부(22)의 기능이 중복되는 경향이 있다(이것은 인용문헌3도 유사하다).
다른 한편,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수지는 불규칙한 지압돌기의 하부를 고정시켜 주는 충전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에폭시수지는 기본재와 반응재를 혼합하면 화학반응에 의해 단단하게 굳는 경화작용을 한다. 그런데, 기본재와 반응재를 혼합하여 베이스 위에 약 5mm 정도의 두께로 도포했을 때 에폭시수지의 상태는 액체 또는 끈끈한 겔의 상태입니다. 이 상태의 에폭시 위에 지압돌기를 꽂아 놓으면 처음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옆으로 쓰러져 원하는 모양으로 제조할 수 없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압돌기를 매우 밀한 상태(다닥다닥 붙인 상태)로 제조한 결과 서로 받쳐주는 효과로 인해 처음 상태를 유지하나 지압효과가 반감되고, 작업량이 현저히 늘어나는 트러블이 있다.
인용문헌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16)에 지압돌(20,21,22)을 부착한 후, 에폭시수지와 콩자갈의 혼합물은 고정틀(15)에 도포하여 성형한 몸체부(5)로 지압돌(20,21,22)를 고정하기 때문에, 형상이 불규칙한 지압돌인 경우 몸체부(5)가 경화되는 동안 옆으로 쓰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쓰러지는 현상은 지압돌이 불규칙하고 그 하부가 뾰족한 형태일수록 심하다.
이것은 또한, 지압돌의 간격을 일일히 설정하여 배치하여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착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발지압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지압판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제; 소정 간격으로 상기 접착제에 부착되는 타일; 상기 타일과 타일 사이에 배치 부착되는 지압돌기; 를 포함하되,
상기 지압돌기는 상기 복수의 타일에 의해 옆이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일과 타일이 지압돌기를 받쳐주는 기능을 하여 처음 부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착제 사이에 발열체가 배치되면, 열전도율이 우수한 유리타일로 인해 발바닥으로의 열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압돌기와 상기 접착제 사이 또는 상기 타일과 상기 접착제 사이에 실리콘이 더 형성되면, 열에 의한 수축 팽창률이 매우 작은 실리콘이 지압체(지압돌기 또는 타일)과 접착제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 지압체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지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측판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발지압판(100)은 베이스(110)와, 베이스(1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제(150)와, 접착제(150)에 부착되는 다수의 지압체(170)로 구성하여 있다.
상기 지압체(170)는 지압돌기(170)로서, 그 상면측에 정전기제거물질(171)이 형성(도포, 도금, 코팅, 전사 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기제거물질(171)로는 금, 은, 티타늄, 크롬, 구리 또는 그 합금과 같은 통전이 가능한 금속, 비철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금, 은, 티타늄은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지압돌기(170) 자체가 전술한 정전기제거물질(171)로 제조하여, 접착제(150)에 부착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정전기제거물질에 인체가 닿으면, 바닥면이 접지 역할을 하여 인체의 정전기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정전기제거물질은 자체적으로 고유의 색상을 가지고 있다. 이 고유의 색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데코레이션 측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예컨대, 카드 섹션과 같이 원하는 문구나 그림을 배치에 따라 새길 수 있음). 따라서, 미적 감각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주문 생산 형태로도 제조가 가능하여 상품성이 뛰어나다.
한편, 베이스(110)의 측면에는 측판(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판(140)은 베이스(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돌출턱(1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접착제(150)의 거푸집 기능을 한다.
또한, 측판(140)의 내측면에는 수결합부(141)가 연장 돌출되고, 이 수결합부(141)에 대응되는 베이스(140)의 측면에는 암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결합부(141)와 암결합부(111)의 구성에 의하면, 수결합부(141)를 암결 합부(111)에 끼우기만 하면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고 측판(140)이 떨어지는 하자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결합부(141)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잠금편(142) 예컨대 톱니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톱니모양의 잠금편(142)은 암결합부(111)에 삽입된 후 맞물리는 효과를 주어 측판(140)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암결합부(111)에도 잠금편(142)과 맞물리는 톱니를 두면 더욱더 맞물림 효과가 뛰어나는데, 암톱니잠금편을 형성한 인서트를 암결합부(111)의 홈에 압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측판(140)의 하부에는 다리부(1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다리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다리부(145)의 내측면에는 지지턱(145)을 일체로 두어, 측판(140)을 베이스(110)에 끼워 결합할 때, 지지턱(145)도 베이스(110)의 하면을 지지한 채 결합되기 때문에, 측판(140)의 확실한 이탈방지와 베이스(110)의 지지받침대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한편, 온열 효과를 주기 위하여 전원을 설치하는 경우, 전원(또는 케이블)이 접지 역할을 하여,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베이스(110)와 접착제 (150) 사이에는 발열체(130)를 배치하고, 지압체(170)와 접착제(190) 사이에는 실리콘(190)을 형성할 수 있는 바람직하다.
베이스(110)는 발열체(130)의 열에 대해 강도가 우수하고, 단열효과가 뛰어 나며, 제작(가공)이 용이한 나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나무베이스인 경우에도 절연효과가 있으나, 절연효과를 더욱더 높이기 위해, 베이스(110)와 발열체(130) 사이에 절연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150)는 열경화성수지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화속도가 큰 에폭시수지(150)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130)는 전체적으로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130)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면상발열체(13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본드(120)로 접착하여 부착한 후 작업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발열체(1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220)(도 4 및 도 7 참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타이머 및/또는 온도선택부로 구현하여, 남녀노소와 개인적 건강 정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자신에 맞게 조정하여 지열할 수 있다.
지압체(1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규칙한 형상의 지압돌기(170)(인조석이나 천연석)로 구성하여 있다. 옥과 같은 천연석인 경우 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발바닥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발바닥의 내측에 아치구조인 장심의 지압을 위한 장심지압돌기(1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심지압돌기(180)는 발바닥용 지압돌기(170) 보다 다소 크게 둥근 형태가 바람직하다.
실리콘(190)은 에폭시수지(150) 상면에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 지압돌기(170)를 심을 수 있지만, 경화속도와 비용 측면에서 지압돌기(150)의 밑면에 도포한 후 에폭시수지(150)에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190)은 에폭시수지(150)와 지압돌기(170) 사이의 다른 수축 팽창률을 해소하는 완충물질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지압돌기(170)의 접합부위 강도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가장자리를 마감하는 가장자리마감타일(16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가장자리마감타일(160)의 밑면에도 열에 강한 실리콘(1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장심지압돌기(180)와 가장자리마감타일(160)도 정전기제거물질(171)을 형성하거나 자체적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된 색상을 갖는 유리타일(275)이나 홍보물이 이면에 형성된 투명유리타일이 지압돌기(170) 사이의 접착제(150)에 부착하여도 좋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지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주요 부분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발지압판(200)은 제1실시예와 그 구조 및 기능을 유사하지만, 측판(240)과 지압체(270)가 제1실시예의 측판(140)과 지압체(170)와 차이가 있다.
즉, 제2실시예의 측판(240)은 인서트된 베이스(110)의 측면에 성형한 것이다. 이것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측면을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접합한 것이다.
또한, 플라스틱 대신 우레탄으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성형한 우레탄(발포) 폼 형태의 측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우레탄 폼은 플라스틱 보다 탄성이 좋아 매트 기능도 할 수 있고, 가격 또한 저렴하다.
따라서, 별도의 측판이나 결합구조가 불필요하고, 결합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제품 품질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에도, 돌출턱(244)과 다리부(243)도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효과를 더욱더 높이기 위해, 우레탄 폼으로 측판을 성형할 때 같이 베이스(110)의 상면을 도포하여도 좋다.
또한, 지압체(270)는 세라믹타일(273)과, 지압돌기(271)로 구성되되, 지압돌기(271)를 세라믹타일(273)의 상면에 놓은 채 구워 만든 일체형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 경우에는 세라믹타일(273)과 지압돌기(271)의 상면에 정전기제거물질(1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정전기제거물질 자체로 제조한 세라믹타일과 지압돌기를 구현하여도 좋다.
또한 지압체(270)는 실리콘(290)을 세라믹타일(273)의 밑면에 바른 후 에폭시수지(150)에 심어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 지압체(270)는 베이스(110)에 바둑판 형태로 배열 부착할 수 있어, 에폭시수지(150)의 노출이 실질적으로 없어 떨어져 나가는 등의 손실 우려가 적고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세라믹타일(273)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기 때문에, 건강증진에 좋다.
한편, 투명하거나 색상을 갖는 유리타일이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을 갖는 유리타일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으로 다양한 형태(예컨대, 모자이크)로 부착한 유리타일(275)이 있다.
투명유리타일은 로고나 광고 또는 사진 등과 같은 홍보물을 배치, 바람직하게는 투명유리타일의 이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한된 사이즈에 구속됨이 없이, 제조자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홍보물이나 로고, 광고, 사진 등을 새기거나 부착하는 동시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선물용으로나 상품성이 대단히 좋다.
또한, 컬러유리타일(275)나 투명유리타일은 세라믹타일에 비해 열전도율이 좋아 온열시 발바닥으로의 높은 열전달효율로 에너지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상면가장자리를 마감하는 가장자리마감타일(16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가장자리마감타일(160)의 밑면에도 열에 강한 실리콘(1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의 측판(240)은 제1실시예의 측판(14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3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지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발지압판(300)은 제1및 제2실시예와 그 구조 및 기능은 유사하지만, 지압돌기(371)는 타일(373)과 타일(373) 사이 또는 타일(373)과 타일(160) 사이에 박혀있는 배열인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지압돌기(371)는 타일(373)과 타일(373) 또는 타일(373)과 타일(160)이 옆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여 경화되는 동안에도 처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압돌기(371)는 적어도 양측을 받치는 타일(373) 배치도 좋지만, 도 7과 같이 사방이 타일(373)로 둘러싸인 배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압돌기(371)와 지압돌기(371) 사이의 일정 공간(거리)이 형성되어서, 지압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약 5mm 내지 30mm 의 거리를 일정하고 쉽게 셋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압체(370)인 세라믹타일(373)과 지압돌기(371)의 상면에 정전기제거물질(1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정전기제거물질 자체로 제조한 세라믹타일과 지압돌기를 구현하여도 좋다. 또한, 세라믹타일(373)을 유리타일로 구현하여 실시예2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한 지압돌기(371)의 형상으로 에폭시수지(150)가 밀려 약간 노출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측판은 제1실시예의 측판(140) 또는 제2실시예의 측판(240) 어 느 것으로 구현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발지압판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마감가장자리타일도 홍보나 색상을 갖는 유리타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2실시예의 측판과 달리, 별도로 측판을 만들어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에 끼우면, 제1실시예와 같이 베이스의 측면에 구멍을 뚫지 않기 때문에 가공비가 절감되고 작업이 쉽다. 이때, 별도측판과 베이스 사이에 약간의 본드를 발라 끼우는 것이 잘 빠지지 않아 좋다.
또한, 베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로운 경우 부상당할 우려가 있어, 고무나 플라스틱 사출물을 모서리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도 본드를 약간 발라 끼우면 잘 빠지지 않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발지압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압돌기가 타일과 타일 사이에 배치 부착되어 타일이 옆을 받치고 있기 때문에 지압돌기가 경화되지 않은 접착제에 꽂힌 상태에서도 기울어지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한 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와 지압돌기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지압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거리의 세팅이 쉽고 간단히 정해져 작업이 대단히 편리하다.
둘째, 베이스와 접착제 사이에 발열체가 배치됨으로써, 열전도율이 우수한 유리타일에 의해 발바닥 온열효과를 배가할 뿐 아니라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지압체(지압돌기 또는 타일)와 접착제 사이에 실리콘이 형성됨으로써, 온도의 변화에 대해 수축 팽창률의 차이가 매우 적어, 지압체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제;
    소정 간격으로 상기 접착제에 부착되는 타일;
    상기 타일과 타일 사이에 배치 부착되는 지압돌기; 를 포함하되,
    상기 지압돌기는 상기 복수의 타일에 의해 옆이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지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착제 사이에 발열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지압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와 상기 접착제 사이 또는 상기 타일과 상기 접착제 사이에 실리콘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지압판.
KR1020050134849A 2005-12-30 2005-12-30 발지압판 KR20070071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49A KR20070071430A (ko) 2005-12-30 2005-12-30 발지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49A KR20070071430A (ko) 2005-12-30 2005-12-30 발지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30A true KR20070071430A (ko) 2007-07-04

Family

ID=3850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849A KR20070071430A (ko) 2005-12-30 2005-12-30 발지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14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63Y1 (ko) * 2008-11-10 2011-01-10 송승근 자갈과 폴리에스테르수지를 결합한 지압판
CN107753275A (zh) * 2017-10-11 2018-03-06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玻璃理疗按摩板
KR20230129115A (ko) 2022-02-28 2023-09-06 노민희 지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63Y1 (ko) * 2008-11-10 2011-01-10 송승근 자갈과 폴리에스테르수지를 결합한 지압판
CN107753275A (zh) * 2017-10-11 2018-03-06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玻璃理疗按摩板
KR20230129115A (ko) 2022-02-28 2023-09-06 노민희 지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6466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the sole of a foot splint
AR005770A1 (es) Tabla flotadora con forro superior diferenciado
KR20070071430A (ko) 발지압판
AU2003249707A8 (en) Molded parts with discontinuous fabric surface area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TW200512807A (en) Substrate heater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KR20070074762A (ko) 발지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4155A (ko) 발지압판
ES2329641A1 (es) &#34;plato de ducha&#34;.
KR20070064154A (ko) 정전기 제거용 발지압판
KR101368380B1 (ko) 발바닥 지지체 제조방법과 발바닥 지지체
KR20070060769A (ko) 발지압판
KR100428493B1 (ko) 건강옥돌매트
KR200314383Y1 (ko) 금속커버를 갖는 타일
HUP0103197A3 (en) Slab made of elastomeric material with relief upper surface
KR100703195B1 (ko) 맞춤형 베개
KR100717116B1 (ko) 부착물 부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온열 발지압판
KR100695516B1 (ko) 온돌 패널
KR200294108Y1 (ko) 발바닥 지압용 지압판
KR940004049Y1 (ko) 바이오세라믹스를 이용한 보온석판
KR20160076226A (ko) 침대의 보료
KR101118246B1 (ko) 흙침대용 또는 돌침대용 보료 프레임
KR20090005208U (ko) 휴대용 전기 발열 패널
KR20070074034A (ko) 발지압판
CN101214770A (zh) 具有装饰作用的天然石料艺术品
ES1201711U (es) Plato de duc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