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71Y1 - 판재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자동 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71Y1
KR200473071Y1 KR2020120010859U KR20120010859U KR200473071Y1 KR 200473071 Y1 KR200473071 Y1 KR 200473071Y1 KR 2020120010859 U KR2020120010859 U KR 2020120010859U KR 20120010859 U KR20120010859 U KR 20120010859U KR 200473071 Y1 KR200473071 Y1 KR 200473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slider
actuator
plate
endless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309U (ko
Inventor
최나도
Original Assignee
에스디상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상사 (주) filed Critical 에스디상사 (주)
Priority to KR2020120010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7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7/00Guide fences or stop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Measuring equipment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03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with rol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으로 제재된 판재를 2차 가공하기 위해 상기 판재를 가공장치의 투입부로 공급하기 위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로서, 상기 투입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로딩되는 상기 판재들을 상기 투입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무한궤도체; 상기 무한궤도체중 일부 무한궤도체의 선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액츄에이터; 상기 투입부를 향해 돌출되게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단부에 복수개의 롤러들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들어올려지는 상기 판재가 상기 투입부로 미끄러져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재 자동 공급장치{WOOD PLATE AUTO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판 형상으로 제재된 판재를 2차 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로 판재를 신속하게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목재는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실내 내부 인테리어를 위한 자재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나무를 1차적으로 제재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판재로 성형한 후 2차 가공으로 판재를 매끈하게 하거나 표면에 요철 형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2차 가공에서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결합구조가 형성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렇게 2차 가공된 판재를 흔히 "루바"라고 부르며, 건축 내장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1차적으로 제재된 목재를 2차 가공하기 위한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제10-0652509호(2006.11.24 등록)의 "브러쉬 어셈블리를 이용한 목재가공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언급되는 다축몰다의 정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축몰다의 투입부(k)를 통해 1차 제재된 판재를 투입시키면 표면 요철가공 및 성형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축몰다는 대략 5000rpm 이상의 고속회전으로 운전될 수 있기 때문에 투입부를 통한 판재의 공급은 매우 빨라야 한다. 수작업으로 판재를 공급하는 경우 작업자는 금방 지치게 되어 다축몰다의 생산성은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다축몰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판재를 자동적으로 투입부로 공급해줄 수 있는 공급장치가 요구되며, 동시에 작업라인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동공급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이 제시하고자 하는 자동공급장치와 관련되는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43764호의 "목재이송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2는 목재이송장치에 적용되는 배출수단의 측면도이다. 종래기술의 경우 원형단면의 목재를 절단한 후 적재컨베이어로 배출시키는 용도로 배출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도시와 같이 종래기술의 배출수단은 배출레버(61)와 액튜에이터(62)로 구성되며, 배출레버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동작됨으로써 목재를 밀어 목재가 굴러서 적재컨베이어로 옮겨질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은 원목과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목재를 배출하기에 적합하나, 본 고안이 제시하고자 하는 사각단면의 판재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에는 부적합하다. 사각단면의 판재는 각이 진 형상이고 접촉면적이 넓기 때문에 배출레버를 회동시키더라도 원활하게 판재가 이동되지 않는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652509호(2006.11.24 등록)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43764호(2008.06.27 등록)
따라서 본 고안은 사각단면을 갖는 판재를 투입부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판재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판재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대응할 수 있고, 기존 라인의 길이내에서 설치될 수 있는 판재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판재 자동공급장치는, 판상으로 제재된 판재를 2차 가공하기 위해 상기 판재를 가공장치의 투입부로 공급하기 위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로서, 상기 투입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로딩되는 상기 판재들을 상기 투입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무한궤도체; 상기 무한궤도체 중 일부 무한궤도체의 선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유공압 실린더인 액츄에이터; 상기 투입부를 향해 돌출되게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단부에 복수개의 롤러들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들어올려지는 상기 판재가 상기 투입부로 미끄러져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더; 상기 무한궤도체의 선단에 더 이상 상기 판재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롤러의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 체결구를 끼워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판재의 폭을 고려하여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투입부에 상기 판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투입부로 공급된 판재가 상기 가공장치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승되면서 새로운 판재를 상기 투입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는 길이가 길고 사각단면인 판재를 신속하게 가공장치의 투입부로 자동 공급할 수 있어 가공장치의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지속적이면서 빠르게 이루어져야 하는 판재 공급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노고를 덜어주고 인건비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존 가공장치의 라인 길이내에서 설치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언급되는 다축몰다의 정면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 목재이송장치에 적용되는 배출수단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는 1차 가공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제재된 판재(10)를 가공장치(미도시)의 투입부(20)로 자동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가공장치의 일부가 되는 투입부(20)는 다수의 이송롤러(21)로 이루어지며, 이송롤러(21)들은 체인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름 운동하여 공급되는 판재(10)를 가공부로 밀어 넣게 된다.
투입부(20)의 정면에 본 고안에 의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가 배치되며, 판재 자동 공급장치는 복수개의 무한궤도체(100), 액츄에이터(200) 및 슬라이더(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한궤도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시공되는 프레임(F)에 마련되며, 등간격으로 소정 개수의 무한궤도체(100)들이 마련된다. 무한궤도체(100)로 본 실시예는 체인을 사용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 무한궤도체(100)들은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무한궤도체(100) 위에 판재(10)들이 올려지면 판재(10)들은 무한궤도체(100)와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무한궤도체(100)의 회전시에 함께 이동되어 투입부(20)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무한궤도체(100)의 선단, 즉 투입부(20)와 인접한 끝단에 이동되어온 판재(10)가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가 마련된다. 스토퍼(S)는 무한궤도체(100)보다 높게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술될 슬라이더(300)에 의해 스토퍼(S)와 맞닿은 가장 앞선 판재(10)가 들어올려져 투입부(20)로 공급되면 연이은 다음번 판재(10)가 이동되어와 스토퍼(S)와 맞닿게 된다.
무한궤도체(100)의 개수나 이웃하는 무한궤도체(100)간의 간격은 적재되는 판재(10)의 길이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무한궤도체(100)중 일부 무한궤도체(100)의 선단, 즉, 투입부(20) 및 스토퍼(S)와 인접한 곳에 액츄에이터(200)가 마련된다.
액츄에이터(200)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200)는 유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0)로 유공압실린더가 사용되는 경우 출몰되는 피스톤부(210)가 상부로 향하도록 실린더부(220)를 프레임(F)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피스톤부(210)는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에 따라 상승되었다가 다시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피스톤부(210)의 상단부에 슬라이더(3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뭉치(211)를 두도록 하며, 연결뭉치(211)의 일면에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한다.
액츄에이터(200)와 연결되어 승하강 동작되면서 최종적으로 판재(10)를 투입부(20)로 공급되게 하는 슬라이더(30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액츄에이터(200)인 유공압실린더의 피스톤부(210) 상단부에 슬라이더(300)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연결뭉치(211)와 체결구(301)에 의해 결합된다. 체결구(301)는 암나사에 결합될 수 있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유공압실린더의 피스톤부(210) 단부에 결합된 연결뭉치(211)와 체결된 슬라이더(300)는 투입부(20)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되며, 슬라이더(300)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개의 롤러(310)들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롤러(310)는 소형의 베어링을 사용함이 적합하며, 롤러(310)들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슬라이더(300)가 액츄에이터(200)와 연동하여 상승되면 스토퍼(S)에 맞닿은 하나의 판재(10)를 들어올려지게 하며, 동시에 판재(10)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310)로 인해 미끄러지면서 투입부(20)로 떨어지게 된다. 판재(10)가 투입부(20)로 떨어지면 액츄에이터(200)가 작동되어 슬라이더(300)는 다시 하강된다.
슬라이더(300)는 도시와 같이 길다란 판상 형태를 이루되, 상단부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상단부에 다수의 롤러(310)들이 결합된다. 롤러(310)들은 슬라이더(300)의 상단부 일측면을 따라 결합되며, 롤러(310)의 상단은 슬라이더(300) 상단부보다 다소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300)가 상승되어 판재(10)를 들어올리게 되면 판재(10)가 롤러(310)들과 접촉되며 롤러(310)가 회전되면서 판재(10)는 미끄러져 투입부(20)로 떨어지게 된다.
롤러(310)의 하부측인 슬라이더(300)의 하단 근처에 개구된 길다란 슬롯(320)이 형성되며, 슬롯(320)은 수평한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슬롯(320)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구(301)가 끼워지며, 체결구(301)는 피스톤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뭉치(211)의 암나사에 체결됨으로써 슬라이더(300)를 고정되게 한다.
특히, 슬라이더(300)는 연결뭉치(211)에 대해 슬롯(320)의 범위 내에서 그 고정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투입부(20)로 공급하고자 하는 판재(10)의 사이즈는 항상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판재(10)의 폭이 변경되는 경우 슬라이더(300)의 고정위치는 판재(10)의 폭을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로 옮겨져야만 안정적으로 판재(10)를 들어올려 투입부(20)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슬라이더(300)에 슬롯(310)을 형성시켜서 필요시 슬라이더(300)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재(10)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문제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판재 자동 공급장치는 무한궤도체(100)를 따라 연속적으로 판재(10)들이 이동되며, 슬라이더(300)에 의해 판재(10)가 투입부(20)로 공급되면 슬라이더(300)는 다시 하강되어 다음번 판재(10)를 들어올리기 위한 준비상태로 들어간다. 투입부(20)로 공급된 판재(10)가 완전히 가공부로 진입되면 슬라이더(300)는 다시 상승되어 새로운 판재(10)를 다시 투입부(20)로 공급하게 된다.
슬라이더(300)의 자동적인 승하강 동작을 위해 바람직하게 투입부(20)에 공급된 판재(1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400)를 마련하도록 한다. 투입부(20)로 떨어진 판재(10)가 투입부(20)를 완전히 벗어나 가공부로 들어가면 센서(400)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공하면 액츄에이터(200)가 작동되어 슬라이더(300)가 상승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판재 자동 공급장치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작업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길다란 판재를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공급되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작업부담을 줄여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각단면을 갖는 판재를 자동 공급할 필요가 있는 생산라인의 어느 부위에도 사용될 수 있어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판재 자동 공급을 위한 생산 라인에 사용될 수 있다.
10 : 판재 20 : 투입부
21 : 이송롤러 100 : 무한궤도체
200 : 액츄에이터 210 : 피스톤부
211 : 연결뭉치 220 : 실린더부
300 : 슬라이더 301 : 체결구
310 : 롤러 320 : 슬롯
400 : 센서 F : 프레임
S : 스토퍼

Claims (4)

  1. 판상으로 제재된 판재를 2차 가공하기 위해 상기 판재를 가공장치의 투입부로 공급하기 위한 판재 자동 공급장치로서 :
    상기 투입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로딩되는 상기 판재들을 상기 투입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무한궤도체;
    상기 무한궤도체 중 일부 무한궤도체의 선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유공압 실린더인 액츄에이터;
    상기 투입부를 향해 돌출되게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단부에 복수개의 롤러들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들어올려지는 상기 판재가 상기 투입부로 미끄러져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더;
    상기 무한궤도체의 선단에 더 이상 상기 판재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자동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롤러의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 체결구를 끼워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판재의 폭을 고려하여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자동 공급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 상기 판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투입부로 공급된 판재가 상기 가공장치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승되면서 새로운 판재를 상기 투입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자동 공급장치.

KR2020120010859U 2012-11-26 2012-11-26 판재 자동 공급장치 KR200473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59U KR200473071Y1 (ko) 2012-11-26 2012-11-26 판재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59U KR200473071Y1 (ko) 2012-11-26 2012-11-26 판재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09U KR20140003309U (ko) 2014-06-05
KR200473071Y1 true KR200473071Y1 (ko) 2014-06-12

Family

ID=5148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859U KR200473071Y1 (ko) 2012-11-26 2012-11-26 판재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09B1 (ko) 2014-07-21 2015-01-14 주식회사 케이에스코리아 목재 자동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643A (ja) * 1996-11-22 1998-08-04 Amada Co Ltd ワーク集積装置
KR19990001041A (ko) * 1997-06-12 1999-01-15 윤종용 컨베어장치의 운반물 스토퍼장치
JP2000255734A (ja) 1999-03-04 2000-09-19 Toyo Kanetsu Kk 切出装置
JP2005263359A (ja) 2004-03-16 2005-09-29 Daifuku Co Ltd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643A (ja) * 1996-11-22 1998-08-04 Amada Co Ltd ワーク集積装置
KR19990001041A (ko) * 1997-06-12 1999-01-15 윤종용 컨베어장치의 운반물 스토퍼장치
JP2000255734A (ja) 1999-03-04 2000-09-19 Toyo Kanetsu Kk 切出装置
JP2005263359A (ja) 2004-03-16 2005-09-29 Daifuku Co Ltd 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09B1 (ko) 2014-07-21 2015-01-14 주식회사 케이에스코리아 목재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09U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97379U (zh) 自动上板机
CN204297635U (zh) 带有自动翻转功能的床垫围边输送台
CN201034629Y (zh) 多支棒料的出料装置
CN210907574U (zh) 一种自动压型装置
CN105035759A (zh) 一种物料盘提升机构
KR200473071Y1 (ko) 판재 자동 공급장치
CN105035687A (zh) 一种物料盘自动提升机构
CN104944123A (zh) 一种自动送料装置
KR101994859B1 (ko) 소재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절단 면취기
JP6691362B2 (ja) コイル材搬送装置、プレス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材搬送方法
CN104266623B (zh) 一种货物尺寸检测装置
CN105773273A (zh) 电梯导轨全自动金加工输送线
KR102121412B1 (ko)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CN204896673U (zh) 一种物料盘自动提升机构
CN104528369B (zh) 滚字机自动上下料装置
CN211594116U (zh) 轴承座及立棍翻转架装置
CN204079029U (zh) 软板料整平叠料机
CN104590884B (zh) 一种三角形物件运输机器人
CN204019321U (zh) 新型抛光机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CN206013743U (zh) 防火纤维板输送除灰装置
CN206869134U (zh) 用于轴承套圈车削流水线的提升机
JP5807472B2 (ja) 厚鋼板剪断により生じたスクラップ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2006306564A5 (ko)
CN204096691U (zh) 压辊浮动式片状木材自动分层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