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30Y1 - 일회용 컵슬리브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30Y1
KR200472530Y1 KR2020120003931U KR20120003931U KR200472530Y1 KR 200472530 Y1 KR200472530 Y1 KR 200472530Y1 KR 2020120003931 U KR2020120003931 U KR 2020120003931U KR 20120003931 U KR20120003931 U KR 20120003931U KR 200472530 Y1 KR200472530 Y1 KR 200472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main body
finger
cup
sleev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673U (ko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Priority to KR2020120003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3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컵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가락수납부가 형성된 일회용 컵슬리브에 있어서, 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로 이루어지며 연장방향의 양측부가 결합되면 고리형상이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상기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손가락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수납부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힘선을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본체의 외측면에 절첩되며, 상기 컵 삽입방향으로부터 상기 절첩된 상기 슬리브본체의 상단 및 연장부의 상단과 상기 슬르브본체의 하단 및 연장부의 하단이 각각 접착되어 손가락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로 노출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수납부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뜨거운 커피나 음료를 마실 때 안정적으로 컵을 잡을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컵슬리브{DISPOSABLE CUP SLEEVE}
본 고안은 일회용 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로 노출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수납부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뜨거운 커피나 음료를 마실 때 안정적으로 컵을 잡을 수 있는 일회용 컵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컵홀더는 컵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사용자는 컵에 끼워진 컵홀더를 감싸서 컵을 들어올리는데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은 컵홀더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추운 겨울에는 컵홀더의 외주면에 위치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되어 추위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점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컵홀더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며 적용되고 있다.
공개번호 10-2006-0082156호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 성형된 접힘선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접힘선을 주면에 형성하고 양단부를 접착하는 매우 간단한 제조 공정을 채택하여 적재가 용이한 종이컵홀더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컵홀더를 추운 겨울에 사용할 때에는 외부로 노출된 사용자의 손가락을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로 노출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수납부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일회용 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본체와 손가락수납부로 형성됨에 따라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제1측면에 따른 일회용 컵슬리브는 손가락수납부가 형성된 일회용 컵슬리브에 있어서, 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로 이루어지며 연장방향의 양측부가 결합되어 고리형상을 형성하는 슬리브본체; 상기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손가락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수납부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힘선을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본체의 외측면에 절첩되며, 상기 컵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첩된 상기 슬리브본체와 연장부의 양단이 각각 접착되어 손가락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로 노출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수납부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뜨거운 커피나 음료를 마실 때 안정적으로 컵을 잡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본체와 손가락수납부로 형성되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단가가 저렴함은 물론, 대량 생산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손가락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에 손가락수납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에 연장부,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전접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손가락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슬리브(100)는 뜨거운 커피와 같은 음료수를 마실 때 컵에 전달되는 열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보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컵슬리브(100)는 감기거나 접을 수 있는 종이, 부직포, 직물, 합성수지, 천연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100)는 슬리브본체(110), 손가락수납부(120)를 포함한다.
슬리브본체(110)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로 이루어지며 연장방향의 양측부가 결합되면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접합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접합부(110')가 슬리브본체(110)의 일단에 접착되면,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본체(110)는 컵 수납공간(100')을 형성하고, 수납공간(100')에 컵을 삽입하면 슬리브본체(110)는 컵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한편 슬리브본체(110)는 부채꼴로 전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방향의 양측부가 결합되면 하부의 직경보다 상부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컵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본체(110)의 형상은 컵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수납부(120)는 슬리브본체(110)의 외측 둘레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수납부(120)는 추운 겨울에 사용자가 커피나 음료를 음용시에 밖으로 노출된 사용자의 손을 추위로부터 보호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수납부(120)는 연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1)는 슬리브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힘선(111)을 중심으로 슬리브본체(110)의 외측면에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에는 절첩된 슬리브본체(110)와 연장부(121)의 양단을 접착시키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는 손가락 수납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본체(110)의 상단과 연장부(121)의 상단 그리고 슬리브본체(110)의 하단과 연장부(121)의 하단을 접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슬리브본체(110)의 상단과 연장부(121)의 상단을 소폭으로 포개어 열압착으로 접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슬리브본체(110)의 하단과 연장부(121)의 하단도 마찬가지로 접착할 수 있으며 접착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1)는 제1결합부(130), 제2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는 연장부(121)에 의해 슬리브본체(110)에 손가락수납부(120)가 형성될 때 연장부(121)가 슬리브본체(110)에 접착되기 위한 결합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본체(110)와 연장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장부(121)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에 의해 슬리브본체(110)와 연장부(121)가 접착되는 방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제1결합부(130)는 연장부(121)의 하단에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130)는 연장부(12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두께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140)는 연장부(121)의 상단에 컵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130)와 마찬가지로 연장부(12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두께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1)와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140) 사이에는 구분선(1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분선(121')은 연장부(121)와 제1결합부(130) 및 연장부(121)와 제2결합부(140)의 경계를 이루는 선으로 구분선(121')을 중심으로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가 연장부(121)로부터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121)에 형성된 제1결합부(130)의 내측면과 제2결합부(140)의 내측면은 슬리브본체(110)의 일단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즉 슬리브본체(110) 의 양측부가 결합되면 컵이 수납될 수 있는 고리모양이 형성되는데 이때 슬리브본체(110)의 내측 둘레에 제1결합부(130)의 내측면과 제2결합부(140)의 내측면이 각각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30)에는 제2측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30)에는 슬리브본체(110)의 연장방향으로 제3접힘선(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접힘선(130')은 제1결합부(13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1)측에 형성되는 제2측부(131)의 손가락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130)는 제3접힘선(130')을 중심으로 연장부(121)측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제2측부(131)가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제2접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부(131)는 손가락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새끼손가락이 맞닿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삽입부(120)에 손가락을 끼워 삽입했을 때 사용자의 새끼손가락 하면이 손가락삽입부(120) 내에서 편안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접합부(132)의 내측면은 슬리브본체(110)의 일단에 접착될 수 있다.
제2결합부(140)에는 제3측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140)에는 슬리브본체(110)의 연장방향으로 제4접힘선(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접힘선(140')은 제2결합부(14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1)측에 형성되는 제3측부(141)의 손가락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결합부(140)는 제4접힘선(140')을 중심으로 연장부(121)측에는 제 일정한 폭을 갖는 제3측부(141)가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제3접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측부(141)는 손가락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이 맞닿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삽입부(120)에 손가락을 끼워 삽입했을 때 사용자의 집게손가락 상면이 손가락삽입부(120) 내에서 편안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접합부(142)의 내측면은 슬리브본체(110)의 일단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본체(110)는 제1측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와 연장부 사이에는 슬리브본체(110)와 연장부(121)를 구분하기 위한 제1접힘선이 형성되고, 제1접힘선(111)을 기준으로 슬리브본체(110) 방향으로 제2접힘선(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리브본체(110)에는 슬리브본체(110)와 연장부(121) 사이에 형성된 제1접힘선(111)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2접힘선(1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본체(110)에는 제1접힘선(111)과 제2접힘선(112) 사이에 일정한 폭을 갖는 제1측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부(113)는 손가락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맞닿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삽입부(120)에 손가락을 끼워 삽입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손가락삽입부(120) 내에서 편안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30] 이에 따라 제1측부(113), 제2측부(131), 제3측부(141)는 손가락수납부(12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높이에 대응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100)는 연장부(121)와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140)의 형상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부(113)에는,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중앙에 제1접철선(114)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측부(131)에는 슬리브본체(110)의 연장방향으로 중앙에 제2접철선(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측부(141)에는 슬리브본체(110)의 연장방향으로 중앙에 제3접철선(14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에 손가락수납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선(114), 제2접철선(133), 제3접철선(143)을 각각 내측으로 접으면, 제1측부(113), 제2측부(131), 제3측부(141)는 중앙에 형성된 제1접철선(114), 제2접철선(133), 제3접철선(143)에 의해 양측단이 각각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본체(110) 외주면과 슬리브본체(110)의 외주면에 절첩되는 연장부(121)의내측면은 맞닿게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수납부(12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손가락수납부(120)의 의해 형성된 손가락 수납공간의 부피를 축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날씨나 기호에 따라 손가락삽입부(1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측부(113), 제2측부(131), 제3측부(141)는 중앙에 형성된 제1접철선(114), 제2접철선(133), 제3접철선(143)을 접어 손가락 수납공간을 없애고 슬리브본체(110)만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외주면에는 일회용 컵슬리브(100)가 끼워질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수납부(120)에 형성된 손가락 수납공간(120')에 손가락을 끼워 삽입하면, 손가락수납부(120)의 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뜨거운 커피나 음료를 마실 때 안정적으로 컵을 잡을 수 있으며, 슬리브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수납부(120)의 내부로 위치함에 따라 추위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슬리브(100)는 슬리브본체(110)와 손가락수납부(120)로 형성되고 손가락수납부(120)의 손가락을 삽입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단가가 저렴함은 물론, 대량 생산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슬리브의 연장부,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컵슬리브(100)는 일단으로부터 연장방향으로 연장부(121)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연장부(121)는 슬리브본체(110)의 일단을 기준으로하여 연장방향으로 연장될수록 그 높이가 점점 높아져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의 양단부에는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본체(110)의 양측부가 결합된 슬리브본체(110)의 내측 둘레에 제1결합부(130)의 내측면과 제2결합부(140)의 내측면이 각각 접착되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다리꼴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21)에 의해 손가락수납부(120)가 형성되고, 형성된 손가락수납부(120)의 수납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일회용 컵슬리브 110: 슬리브본체
111: 제1접힘선 112: 제2접힘선
113: 제1측부 114: 제1접철선
120: 손가락수납부 121: 연장부
130: 제1결합부 131: 제2측부
132: 제2접합부 133: 제2접철선
140: 제2결합부 141: 제3측부
142: 제3접합부 143: 제3접철선

Claims (6)

  1. 손가락수납부가 형성된 일회용 컵슬리브에 있어서,
    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로 이루어지며 연장방향의 양측부가 결합되어 고리형상을 형성하는 슬리브본체;
    상기 슬리브본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손가락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수납부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힘선을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본체의 외측면에 절첩되며, 상기 컵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첩된 상기 슬리브본체와 연장부의 양단이 각각 접착되어 손가락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이 상기 슬리브본체의 상단과 접착되고, 하단이 상기 슬리브본체의 하단과 접착됨으로써, 상기 슬리브본체와 협력하여 상기 슬리브본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이 차폐되고 상기 슬리브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힘선이 형성된 전방이 차폐되며, 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일회용 컵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하단에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부;
    상기 연장부의 상기 상단에 컵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의 내측면과 제2결합부의 내측면은 상기 슬리브본체에 각각 접착되는, 일회용 컵슬리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본체에는,
    상기 제1접힘선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제2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접힘선과 상기 제2접힘선 사이에 일정한 폭을 갖는 제1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제3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3접힘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장부측에는 제2측부가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제2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제4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4접힘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장부측에는 제3측부가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제3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부, 제2측부, 제3측부는 상기 손가락수납부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높이에 대응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두께가 동일한, 일회용 컵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슬리브는,
    감기거나 접을 수 있는 종이, 부직포, 직물, 합성수지, 천연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컵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본체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컵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접합부가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단에 접착되는, 일회용 컵슬리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부에는,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중앙에 제1접철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및 제3측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연장방향으로 중앙에 제2접철선 및 제3접철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접철선, 제2접철선, 제3접철선을 각각 내측으로 접으면, 절첩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슬리브본체가 맞닿게 되는, 일회용 컵슬리브.
KR2020120003931U 2012-05-11 2012-05-11 일회용 컵슬리브 KR200472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931U KR200472530Y1 (ko) 2012-05-11 2012-05-11 일회용 컵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931U KR200472530Y1 (ko) 2012-05-11 2012-05-11 일회용 컵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73U KR20130006673U (ko) 2013-11-20
KR200472530Y1 true KR200472530Y1 (ko) 2014-05-07

Family

ID=5243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931U KR200472530Y1 (ko) 2012-05-11 2012-05-11 일회용 컵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67B1 (ko) * 2016-09-26 2017-02-16 박일훈 일회용 컵홀더
KR101812504B1 (ko) 2017-02-08 2017-12-28 박일훈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KR20190047349A (ko) 2017-10-27 2019-05-08 박종한 열 반사 작용으로 복사열을 차단하는 단열컵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66B1 (ko) * 2016-05-31 2017-02-16 박일훈 일회용 컵홀더
WO2017209369A1 (ko) * 2016-05-31 2017-12-07 박일훈 일회용 컵홀더
KR102238587B1 (ko) 2020-02-07 2021-04-08 박완재 절첩식 다용도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343Y2 (ja) 1990-10-04 1998-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ー
JP2002068328A (ja) 2000-06-13 2002-03-08 Maruka Shoji Kk カップ用スリーブ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3299562A (ja) 2002-04-11 2003-10-21 Fuji Package Kk カップホル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343Y2 (ja) 1990-10-04 1998-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ー
JP2002068328A (ja) 2000-06-13 2002-03-08 Maruka Shoji Kk カップ用スリーブ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3299562A (ja) 2002-04-11 2003-10-21 Fuji Package Kk カップホル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67B1 (ko) * 2016-09-26 2017-02-16 박일훈 일회용 컵홀더
KR101812504B1 (ko) 2017-02-08 2017-12-28 박일훈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WO2018147601A1 (ko) * 2017-02-08 2018-08-16 박일훈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KR20190047349A (ko) 2017-10-27 2019-05-08 박종한 열 반사 작용으로 복사열을 차단하는 단열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73U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530Y1 (ko) 일회용 컵슬리브
US20120261408A1 (en) Insulated beverage holder
CN102101301B (zh) 用于固定刀具的刀片的保护套
KR101702314B1 (ko)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20223A1 (en) Insulated beverage holder
US10045678B2 (en) Cleaning device
US11377257B2 (en) Container set having a locking structure
KR200470201Y1 (ko) 휴대용 접이식컵
KR102007204B1 (ko) 하이브리드 빨대
US20140110444A1 (en) Device carrying pouch
KR20110041375A (ko) 컵 홀더
KR101824382B1 (ko) 옷 정리가 용이한 드레스북
KR101344745B1 (ko) 손잡이가 내장된 일회용 컵홀더
KR20130006864U (ko) 컵홀더
KR20120071752A (ko) 손잡이가 형성된 이중 구조의 종이컵
US20120145731A1 (en) Thermal protective sleeve for a drinking cup
KR200471910Y1 (ko) 케이크 고정 띠
TWM600735U (zh) 吸管套及具有吸管套的杯袋
TWI731730B (zh) 吸管套及具有吸管套的杯袋
TWM563401U (zh) 杯套
KR20100011199U (ko) 컵 홀더
CN213474166U (zh) 具有支架功能的杯套及形成杯套的平板
KR101577353B1 (ko) 컵 홀더를 갖는 액세서리
TWI765449B (zh) 單雙杯皆可提的環保杯套裝置
KR200487804Y1 (ko) 접시 겸용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