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47601A1 -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47601A1
WO2018147601A1 PCT/KR2018/001464 KR2018001464W WO2018147601A1 WO 2018147601 A1 WO2018147601 A1 WO 2018147601A1 KR 2018001464 W KR2018001464 W KR 2018001464W WO 2018147601 A1 WO2018147601 A1 WO 20181476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nger insertion
insertion hole
handle
cup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14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일훈
Original Assignee
박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훈 filed Critical 박일훈
Priority to US16/484,75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214487A1/en
Priority to EP18751706.5A priority patent/EP3581512A4/en
Publication of WO20181476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476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85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of a cup in which a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more particularly, a handle in which a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and a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are respectively dri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s integrally formed.
  • a handle in which a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and a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are respectively dri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s integrally formed.
  • Disposable paper cups or disposable plastic cups without handl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offices, beverage vending machines, coffee shops, etc. because of their ease of use and low cost.
  • a cup holder made of thick paper or the like is used to b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for the user's convenience.
  • the user holding the mug can not do anything else, it was almost impossible to carry or move two or more mugs containing the contents with one hand.
  • the handle of the cup is formed smoothly without most of the bent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to tilt the cup to follow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up to pull the entire arm lower arm including the user's hand toward the upper body of the user I had to take action.
  •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low body is blocked;
  • a cup structure including a handle integrally attached to an outer side of the body to form a finger insertion hole with the body,
  • the handle includes a first gripp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body to be curv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ee end of the first gripping portio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being curved in an elliptical shape so that the free end is fixed 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ody.
  •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re continuously formed in an oval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when the user uses the cup, the finger of the user grips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t the same time gripping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up from slipping down.
  • Patent Document 1 is also a problem of the mug that is generally used, the user's hand holding the cup can not do anything else, and carry or move two or more cups containing the contents with one hand. It did not solve the almost impossible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conveniences, by inserting the finger into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which is dri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andl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While carrying a cup in a safe stat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various kinds of tasks using other fingers and palms that are not inserted into the vertical finger-insertion slot to provide user convenience and, if necessary, two or three fing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 of a cup in which a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carry or move two or three cups having the same structure with each other.
  • the handle of the cup having the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forming a hand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closed (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150, and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160 is dri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outside of the handle part 150.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which is dri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andle portion 150 in the above may be drilled in on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50, or may be drilled in two pl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When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is formed at two positions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handle part 150,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may be symmetrical or asymmetrical.
  • front finger insertion opening 18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unit 150.
  • the two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s 160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50 are illustrated in a symmetrical form, this may be asymmetrical,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s 160 are the same. Or you can vary the design of the cup to make it more appealing to the general consumer.
  •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s 160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wo, and on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may be omitted or may be three or four, if necessary.
  • the user When the user inserts the (thumbs) finger into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of the handle part 150, the user inserts the finger upwards or downwards from the top to the upper direction. Since the cup is held in the user's hand, the finger and palm can be used for other tasks except for the (thumb) finger.
  • the user can grasp the cup containing the contents by inserting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160 which is bo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handle portion 150 by using one finger or two fingers of the user.
  • the user can safely carry, move and use the cup by various methods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the user's fingers ar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50 formed in each cup.
  • it becomes wet it is possible to carry two or three cups at the same time, so that a portable container used when one user carries a plurality of beverage cups is elimina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of a cup having a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up;
  •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a
  •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a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a to 8e is a state of us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of the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arrying a different operation with the other finger or palm of the hand holding the cup while carrying the user in various for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of a cup having a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up;
  •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4A;
  •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A;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A to 8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carries the handle of the cup in which the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various forms with another finger or palm of the hand holding the cup.
  • the handle of the cup formed with the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andl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forming a hand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is closed
  • a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150, and a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160 is dri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outside of the handle part 150.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which is dri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andle portion 150 in the above is drill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5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andle portion 150, both may be drilled.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is shown as being drill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50, but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is drilled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part 150. It may be that there is.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when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is formed at two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andle part 150,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is symmetrically drilled or asymmetrical. It may also be in the form, the hole in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may be formed in a polygon such as circular or oval, triangle and square.
  • the front finger insertion holes 180 are formed on the front of the handle portion 150 in addition to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s 140 and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s 160 formed on the handle parts 150. The example which formed was shown.
  • the number and shape of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s 14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andle part 150 and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s 160 respective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can be used, and the number and shape or size can be different, so that the design of the handle portion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ed, thereby making it more favorable to general users. .
  • the user When the user inserts the (thumbs) finger into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of the handle part 150, the user inserts the finger upwards or downwards from the top to the upper direction.
  • the finger and palm other than the (thumb) finger can be utilized for other tasks.
  • FIG. 8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ut into a hand using a finger and a palm except for a user's thumb insert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 FIG. 8C shows that when the user's thumb is inserted downward from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of the main body 100 having contents, the user can freely use the remaining fingers and palms except the thumb. Except for the thumb, you can use your fingers and palms to hold the handle of a bag or to grab something.
  • FIG. 8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carries the two main bodies 100 by using two fingers and moves the two main bodies 100 containing the contents. In this case, two fingers are moved to each main body 100. When inserted in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formed in the user will not need a container or a box for moving the two bodies.
  • FIG. 8D two main bodies 100 are moved and described, but three cups may be mov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method.
  • Figure 8e illustrates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way as holding a conventional mug,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a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150 using one finger or two finger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 the main body 100 containing the contents can be held by inserting it into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160 that is drilled in, so that the user can securely fix the present invention by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the vertical finger insertion hole 140 and the horizontal finger insertion hole 160 may be symmetrical in the same shape and shape, or may b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nd shape and asymmetric as necessary to vary the design of the finger insertion holes. Will have the effect.
  • main body 140 vertical insertion direction
  • handle portion 160 horizontal direction finger insertion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는 윗면이 개방되고 밑면은 막혀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의 외측면에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100)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50)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를 형성하고 손잡이부(150)의 외측중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본 발명은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외측면에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와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가 각각 뚫려져있는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컵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의 상, 하부에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에 끼워 음료가 들어있는 컵을 안전한 상태로 휴대함과 동시에 수직형 손가락삽입구에 삽입시키지 아니한 다른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두, 세개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일한 형태의 컵 두, 세개를 같이 휴대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가 없는 일회용 종이컵 또는 일회용 합성수지컵은 사용의 편리성과 값이 저렴하여 사무실이나 음료수 자동판매기, 커피숍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컵의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뜨겁거나 차가운 경우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두터운 종이재등으로 제조된 컵 홀더를 컵의 외주연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머그컵이라고 불리워지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컵도 여러종류 있으나. 이들은 컵의 외측부에 고정된 손잡이의 중앙부에 형성된 손가락삽입구에 사용자가 서너개의 손가락을 끼워 컵을 잡아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머그컵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으로는 다른 일을 할 수 없고, 내용물이 담기어있는 두개 이상의 머그컵을 한손으로 휴대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컵의 손잡이는 대부분이 외면에 굴곡된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어 컵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따르기 위하여 컵을 기울이다 보면 사용자의 손을 포함한 팔 꿈치 아래쪽 팔 전체를 사용자의 상체쪽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여야 했다.
이때, 다른 일을 병행하고 있던지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는 컵으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이 미끄러져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도 가끔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윗면이 개방되며 밑면은 차단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바깥 측면에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서 손가락삽입구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컵 구조물로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체의 바깥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타원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1파지부; 및 상기 제1파지부의 자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자유단이 상기 몸체의 바깥측면에 고정되도록 타원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 20-2013-6299, 공개일자 : 2013.10.31)에 기재된 '컵 구조물'(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알려진 바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 구조물은,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타원형으로 연속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컵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들 동시에 파지하여 컵이 미끄러져 낙하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 구조물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머그컵의 문제점인 컵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으로는 다른 일을 할 수 없고, 내용물이 담기어 있는 두개 이상의 컵을 한 손으로 휴대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컵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의 상, 하부에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에 손가락을 삽입시켜 음료가 들어있는 컵을 안전한 상태에서 휴대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에 삽입을 하지 아니한 다른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여러종류의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두, 세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일성의 구조를 가진 컵 두, 세개를 같이 휴대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는 윗면이 개방되고 밑면은 막혀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의 외측면에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10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150)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를 형성하고 손잡이부(150)의 외측중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가 뚫려져 있다.
상기에서 손잡이부(150)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는 손잡이부(150)의 상면 또는 저면의 한군데에 뚫려져 있거나 상면 및 저면의 두군데에 뚫려져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가 손잡이부(150)의 상면 및 저면의 두군데에 형성될 경우 상기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는 대칭형태이거나 비대칭형태로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50)의 정면에도 정면손가락삽입구(18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50)에 형성되는 2개의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는 대칭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비대칭형태로도 할 수 있고,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의 크기 및 모양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상이하게 하여 컵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일반수요자들에게 더욱 호감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는 반드시 2개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1개의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를 생략하거나 3개 또는 4개로도 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손잡이부(150)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에 삽입시킬 때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또는 아래에서 상부방향으로 끼워서 (엄지)손가락 하나만으로 내용물이 들어있는 컵을 사용자의 손에서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을 다른 작업에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의하여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이나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150)의 양측면 중앙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에 끼워서 내용물이 들어있는 컵을 잡을 수 있어 사용자가 주위환경에 따라 컵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안전하게 휴대하거나 이동 및 사용할 수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세개의 컵을 동시에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컵에 형성된 손잡이부(150)에 형성된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각각 상부에서 하부로 끼우게 되면 두, 세개의 컵을 동시에 휴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음료수 컵을 사용자 한사람이 휴대하여 이동할 때 사용하는 이동형 컨테이너가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가 컵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종단면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종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인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휴대하면서 컵을 잡고 있는 손의 다른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다른 작업을 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가 컵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종단면 예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종단면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인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휴대하면서 컵을 잡고 있는 손의 다른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다른 작업을 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는 윗면이 개방되고 밑면은 막혀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의 외측면에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100)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50)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져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를 형성하고 손잡이부(150)의 외측 중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가 뚫려져 있다.
상기에서 손잡이부(150)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50)의 상면에만 뚫려져 있거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50)의 상면 및 저면 두군데 모두 뚫려져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가 손잡이부(150)의 상면에만 뚫려져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를 손잡이부(150)의 저면에만 뚫려져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가 손잡이부(150)의 상면 및 저면의 두군데에 형성할 경우 상기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는 대칭형태로 뚫거나 비대칭형태로도 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의 구멍을 원형이나 타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150)에 형성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의 구멍 및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의 구멍을 삼각형으로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150)에 형성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의 구멍 및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의 구멍을 사각형으로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150)에 형성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 및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들 외에 손잡이부(150)의 정면에 정면 손가락삽입구(180)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손잡이부(150)의 상, 하면에 각각 형성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 및 좌, 우측에 각각 형성하는 수평형 손가락삽입구(160)의 개수 및 형상이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대칭형태로 할 수 있고, 또한 개수 및 형상이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본 발명의 손잡이부(150)에 대한 디자인을 다양하게 하므로서 일반수요자들에게 더욱 친근한 호감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손잡이부(150)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에 삽입시킬 때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또는 아래에서 상부방향으로 끼워서 (엄지)손가락 하나만으로 내용물이 들어있는 일회용 컵의 컵홀더를 사용자의 손에서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을 다른 작업에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내용물이 들어있는 본체(100)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아래에서 윗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과 손바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도 8a는 사용자가 본체(100)를 좀 더 안전한 상태로 휴대하기 위하여 나머지 손가락으로 본체(100)를 잡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의 아래방향에서 삽입시킨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손안에 넣고 활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c는 내용물이 들어있는 본체(100)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가방손잡이등을 들거나 다른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d는 내용물이 들어있는 2개의 본체(100)들을 사용자가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2개의 본체(100)들을 휴대, 이동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때에는 2개의 손가락을 각각의 본체(100)에 형성된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각각 삽입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2개의 본체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나 박스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도 8d에서는 2개의 본체(100)이동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3개의 컵도 상기방법과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e는 본 발명을 통상의 머그컵을 쥐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데,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의하여 하나의 손가락이나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150)의 양측면 중앙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에 끼워서 내용물이 들어있는 본체(100)를 쥘 수 있어 사용자가 주위환경에 따라 본 발명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140) 및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160)는 동일한 형상, 모양으로 대칭되게 하거나 필요에 따라 크기 및 형상, 모양도 다르고 비대칭형으로 하여 손가락삽입구들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이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40 :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
150 : 손잡이부 160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
180 : 정면손가락삽입구

Claims (5)

  1. 윗면이 개방되고 밑면은 막혀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의 외측면에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져 있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를 형성하고 손잡이부의 외측중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는 하나이상 3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는 하나이상 4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와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 외에 손잡이부의 정면에 정면 손가락삽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수직방향 손가락삽입구와 수평방향 손가락삽입구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PCT/KR2018/001464 2017-02-08 2018-02-02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WO20181476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84,750 US20200214487A1 (en) 2017-02-08 2018-02-02 Cup handle having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s
EP18751706.5A EP3581512A4 (en) 2017-02-08 2018-02-02 CUP HANDLE HAVING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 HO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664 2017-02-08
KR1020170017664 2017-02-08
KR1020170083195A KR101812504B1 (ko) 2017-02-08 2017-06-30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KR10-2017-0083195 2017-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601A1 true WO2018147601A1 (ko) 2018-08-16

Family

ID=6093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1464 WO2018147601A1 (ko) 2017-02-08 2018-02-02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14487A1 (ko)
EP (1) EP3581512A4 (ko)
KR (1) KR101812504B1 (ko)
WO (1) WO2018147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7061A1 (de) * 2021-10-06 2023-04-13 Roland Hiltbrand Trinkgefä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150B1 (ko) * 1989-07-31 1993-08-26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절전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KR20130099802A (ko) * 2012-02-29 2013-09-06 동아정밀공업(주) 페트 용기 손잡이 구조
KR20130006299U (ko) 2012-04-23 2013-10-31 김기진 컵 구조물
KR200472530Y1 (ko) * 2012-05-11 2014-05-07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일회용 컵슬리브
JP2014181077A (ja) * 2013-03-18 2014-09-29 Yasuo Kimura 親指の腹載せ部を有した把手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2004B2 (ja) * 1998-06-16 2007-06-20 東罐興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WO2010048864A1 (zh) * 2008-10-27 2010-05-06 Huang Zifan 倒饮式饮料容器
JP2014133076A (ja) * 2013-01-10 2014-07-24 Masachika Yaguchi 新規な取っ手を持つコップ
WO2017209369A1 (ko) * 2016-05-31 2017-12-07 박일훈 일회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150B1 (ko) * 1989-07-31 1993-08-26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절전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KR20130099802A (ko) * 2012-02-29 2013-09-06 동아정밀공업(주) 페트 용기 손잡이 구조
KR20130006299U (ko) 2012-04-23 2013-10-31 김기진 컵 구조물
KR200472530Y1 (ko) * 2012-05-11 2014-05-07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일회용 컵슬리브
JP2014181077A (ja) * 2013-03-18 2014-09-29 Yasuo Kimura 親指の腹載せ部を有した把手付き容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8151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504B1 (ko) 2017-12-28
EP3581512A1 (en) 2019-12-18
EP3581512A4 (en) 2020-11-25
US20200214487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3856A1 (ko) 휴대용 텀블러
KR920000582A (ko)
WO2018147601A1 (ko)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WO2010087561A1 (ko) 손잡이 부착 종이컵
WO2020251317A1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US20220168881A1 (en) Low touch utensil
WO2011002144A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US20220306343A1 (en) Bottle
WO2018155863A1 (ko)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WO2014116030A1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7209369A1 (ko) 일회용 컵홀더
WO2022097865A1 (ko)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WO2023195572A1 (ko) 반찬 뚜껑
CN215271886U (zh) 肌无力防抖杯
KR101635774B1 (ko)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WO2019107670A1 (ko) 핸들링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80092252A (ko) 4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WO2022234915A1 (ko) 도어 개폐 기구
CN213248173U (zh) 一种防烫挂耳纸杯
WO2023101072A1 (ko) 3 in 1 폴드백
KR200340557Y1 (ko) 미술용 팔레트
CN214341976U (zh) 一种多功能食物夹
KR970005292Y1 (ko) 젓가락 겸용 숟가락
WO2016111520A1 (ko) 가위용 받이부 및 가위용 받이부 및 이를 구비한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51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51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