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87561A1 - 손잡이 부착 종이컵 - Google Patents

손잡이 부착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87561A1
WO2010087561A1 PCT/KR2009/005817 KR2009005817W WO2010087561A1 WO 2010087561 A1 WO2010087561 A1 WO 2010087561A1 KR 2009005817 W KR2009005817 W KR 2009005817W WO 2010087561 A1 WO2010087561 A1 WO 20100875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ndle
pair
paper cup
cup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58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미수
Original Assignee
Seo Mi S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eo Mi Soo filed Critical Seo Mi Soo
Priority to EP09839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92236B1/en
Publication of WO20100875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7561A1/ko
Priority to US12/900,327 priority patent/US79927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44Vertical, e.g. U-shap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cup with a handle, and in particular, to hold the handle so as not to spill over spilled beverages, and relates to a paper cup with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conveniently even when hot or cold drinks are accommodated will be.
  • Such a paper cup is generally composed of a cylindrical cup body for receiving a drink and a curling por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cup body in order to protect the user's lips and improve the shape maintainability of the cup body.
  • the paper cup is a method of holding the cylindrical cup body by hand, it is also inconvenient to hold the paper cup by hand,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paper cup is separated from the hand in many cases.
  •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aper cup 1 with a handle.
  • the paper cup 1 has a cylindrical cup body 2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and a curling part 3 formed on the top of the cup body to protect the user's lips and improve the shape retainability of the cup body.
  • the through hole 5 is symmetrically provided along a bent lin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tact part and the contact part 4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main body 2.
  • a handle 7 having a pair of ring portions 6 formed thereon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securely grip the handle so that the drink is not spilled over,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conveniently, the paper cup with handle improved structure To provide.
  • the paper cup with a handle accommodates a beverage, and in a paper cup used by a user for holding,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tubular can accommodate the beverage from the open upper portion.
  • a handle including a cup body; and a contact portion attached to an outer wall of the cup body, and a pair of ring portions formed symmetrically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tact portion and having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user's fingers can pass.
  • the pair of ring portions may be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attached to an outer wall of the cup body and a second position bent at a boundary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air of ring portions to face each other.
  •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pair of ring portions to each other when the ring portion is in the second position is provided. That is characterized.
  • the paper cup with a hand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roov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ring portion; the protrusion is the ring
  • the parts it is preferable that they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y can be fix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 the attachment means one surface is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ring portion, the other surface is preferably a double-sided tape that can be bonded to the other ring portion.
  • a plurality of corrugation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 the handle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shape by attaching and fixing a pair of hooks to each other, the handle can be stably gripped so that the drink is not shaken and spilled, and the pair of hooks do not open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It is effective to grip the handle convenient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aper cup with a handl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cup with a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ing portions of the paper cup with a handle shown in FIG. 2 are attached to and fixed to each other.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the paper cup with a handle shown in FIG.
  • the top is open, the cylindrical cup body that can accommodate the beverage from the open top; and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And a handle including a pair of ring portions formed symmetrically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tact portion and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user's finger can be formed, wherein the pair of ring portions are provided in the cup body.
  • the position can be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attached to an outer wall of the second position and bent at a boundary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air of ring portions to face each other, wherein the pair of ring portions are in the second position
  • Attaching means is provided for fixing by attaching a pair of ring portions to each other, a groov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And a protrus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ring portions, wherein the protrusion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main body when the ring portions are in the first position.
  • a paper cup with a handle which can be fitt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cup with a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of the paper cup with a handle shown in Figure 2 attached to each other and fixed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the paper cup with a handle shown in FIG.
  • the paper cup 100 with a handle is a beverage container used by the user gripping, the cup body 10, the handle 20, the attachment mean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cup body 10 is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can receive a beverage from the open top.
  •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10, the curling portion 12 is provided to protect the user's lips and to improve the shape retention of the cup body 10.
  • the curling portion 12 is formed by winding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10 to the outside.
  •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10 is provided with a groove 11 formed by the curling portion 12 and the outer wall of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10.
  • the handle 20 is provided for the user to grip the paper cup 100 with the handle, and includes a contact portion 21 and a ring portion 22.
  • the contact portion 21 is a part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by a known adhesive or the like.
  • the ring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 pair as an elliptical member, it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tact portion (21).
  • the ring portion 2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4 through which a user's finger can pass.
  • a pair of bend lines 23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air of rings 22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position shown in FIG. 2)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and at a boundary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1 and the pair of rings 22.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between the second position (position shown in Figure 3) that is bent along the formed bending line 23 to face each other.
  • a protrusion 2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ing portion 22 at the upper end of the ring portion 22 at the upper end of the ring portion 22 .
  • the protruding portion 25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11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25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main body 10 when the ring portions 22 are in the first position.
  • the upper end of the elliptical ring portion 22 functions as the protrusion 25.
  • a pleated portion 26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24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24 is formed. Many are arranged.
  • the attachment means is a means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pair of ring portions 22 to each other when the pair of ring portions 22 are in the second position. I use it.
  • One surface of the double-sided tape 30 may be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ring portions 22,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sided tape 30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ring portion 22.
  • a detachable protective layer 31 is attached to protect the adhesive force of the other side.
  • the protective film 31 has a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ing portion 2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el off from the double-sided tape 30.
  • the second ring parts 22 separated from the grooves 11 are bent along the bend line 23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tact part 21 and the pair of ring parts 22 to face each other. Move to position
  • the pair of ring portions 22 are fixed to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protective film 31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sided tape 30 and adh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sided tape 30 to the remaining ring portions 22. 3, the preparation for use of the handle-attached paper cup 100 is completed.
  • the handle 20 maintains a structurally stable shape.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paper cup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handle 20 so that the received beverage is not shaken and spilled.
  • the pleats 26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24,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ring portion 22 is reinforced.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grips the annular portion 22 by penetrating the finger through the through hole 24, the annular portion 22 is not easily deformed and maintains a structurally stable shape.
  • the pair of rings may be used when drinking the beverage and putting the paper cup 100 with the handle on the table for a while. Since the parts 22 do not open to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conveniently.
  • the paper cup 100 with the handle can be fitted at any time into the groove portion 11 is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2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so that the ring portions 22 before the use of the paper cup 100
  • the cup body 10 may be fixed to a state attached to the outer wall, and even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paper cups 100 with the handle after use of the paper cup 100, the ring portions 22 are the cup body Since it can be fixed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10), unlike the conventional paper cup (1) has the advantage that the ring portion 22 is not caught by the curling portion (12).
  • the protrusions 25 are fitted in the grooves 11. Since the ring portions 22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the ring portion 22 of the paper cup located immediately above the paper cup to be discharged is the cup body 10 of the paper cup to be discharged. It does not adhere to the inner wall of). Therefore, as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laminated paper cups 100 is low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andled paper cups 100 can be dropped and discharged one by one like a conventional paper cup without a handle.
  • the bent line 23 is formed in advance, but of course, the bent line 23 may not be formed as another embodiment. However, if the bend line 23 is formed in advance, the ring portion 22 may be easily bent based on the bend line 23.
  • the upper end of the elliptical ring portion 22 functions as the protrusion 25, but the elliptical ring so that the ring portion 22 can be better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 the protruding portion 25 may be a portion formed by extending separate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ortion 22.
  • the protrusions 25 are fitted into the grooves 11 so that the hooks 22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but a small amount of adhesive is used. By doing so, the ring portions 22 can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up body 10.
  • the double-sided tape 30 is used as the attachment means, but other means known in addition to the double-sided tape 30 may be used for attachment between the ring portions 22.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부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수를 수용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종이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통형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는,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간의 경계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한쌍의 고리부를 서로 부착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고리부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손잡이가 안정적인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한쌍의 고리부가 서로 벌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잡이 부착 종이컵
본 발명은 손잡이 부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수가 수용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부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커피나 쥬스 등의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하여, 음료수 자동판매기나 커피전문점 등에서 종이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컵은,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컵본체와,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하고 상기 컵본체의 형상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컬링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이컵은 뜨거운 커피나 차가운 쥬스가 수용된 경우에는 그 열기나 냉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종이컵을 파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뜨거운 커피를 많이 판매하는 커피전문점에서는 별도의 단열띠를 종이컵에 끼워서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이컵은 원통형의 컵본체를 손으로 파지하는 방식이므로, 손으로 종이컵을 잡기가 불편하여 종이컵이 손에서 이탈하여 떨어지기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된 종이컵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도 1에는 종래의 손잡이 부착 종이컵(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종이컵(1)은,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컵본체(2)와,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하고 상기 컵본체의 형상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컬링부(3)와, 상기 컵본체(2)의 외벽에 부착되는 접촉부(4)와 상기 접촉부의 좌우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절곡선을 따라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리부(6)를 구비하는 손잡이(7)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이컵(1)의 경우, 상기 한쌍의 고리부(6)가 서로 부착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7)가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리부(6)들의 관통공(5)으로 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손잡이(7)를 파지하는 경우에 상기 고리부(6)들이 서로 상대적인 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 넘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수를 마시다가 잠시 상기 종이컵(1)을 테이블 위에 올려 놓았다가 다시 파지하는 경우에는, 매번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고리부(6)들을 다시 가지런하게 모아서 상기 관통공(5)으로 손가락을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으며, 컵의 사용후에 컵을 다수개 적층시키는 경우, 손잡이를 다시 컵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없으므로, 손잡이가 컵의 상단부에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손잡이 부착 종이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부착 종이컵은, 음료수를 수용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종이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통형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는,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간의 경계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한쌍의 고리부를 서로 부착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부착 종이컵은, 상기 컵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홈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리부들이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수단은, 일면은 상기 한쌍의 고리부 중 하나에 부착되어 있으며, 타면은 나머지 고리부에 접착될 수 있는 양면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고리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가 상기 관통공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고리부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손잡이가 안정적인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한쌍의 고리부가 서로 벌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고리부들이 서로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IV-IV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손잡이 부착 종이컵 10 : 컵본체
11 : 홈부 12 : 컬링부
20 : 손잡이 21 : 접촉부
22 : 고리부 23 : 절곡선
24 : 관통공 25 : 돌출부
26 : 주름부 30 : 양면테이프
31 : 보호막
본 발명에서는, 음료수를 수용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종이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통형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는,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간의 경계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한쌍의 고리부를 서로 부착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컵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홈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리부들이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종이컵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고리부들이 서로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부착 종이컵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음료수 수용 용기로서, 컵본체(10)와, 손잡이(20)와,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컵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용기로서, 상기 개방된 상부로부터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컵본체(1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하고 상기 컵본체(10)의 형상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컬링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컬링부(12)는 상기 컵본체(10)의 상단을 외부로 말아 감아서 형성된다.
상기 컵본체(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컬링부(12)와 상기 컵본체(10)의 상단부 외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파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접촉부(21)와, 고리부(22)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21)는,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공지의 접착제 등에 의하여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다.
상기 고리부(22)는, 타원형 부재로서 한쌍이 마련되는데, 상기 접촉부(21)의 좌우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22)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21)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22)간의 경계에는, 상하방향으로 한쌍의 절곡선(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고리부(22)는,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되는 제1위치(도 2에 도시된 위치)와 상기 접촉부(21)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22)간의 경계에 형성된 절곡선(23)을 따라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위치(도 3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다.
상기 고리부(22)의 상단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5)는, 상기 고리부(22)들이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11)에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원형 고리부(22)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25)로 기능한다.
상기 고리부(22)에는, 상기 고리부(2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24)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26)가 상기 관통공(24)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한쌍의 고리부(22)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한쌍의 고리부(22)를 서로 부착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테이프(30)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30)의 일면은 상기 한쌍의 고리부(22) 중 하나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양면테이프(30)의 타면은 나머지 고리부(22)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30)의 타면에는 그 타면의 접착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분리가능한 보호막(3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호막(31)은, 사용자가 상기 양면테이프(30)으로부터 벗겨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고리부(22)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의 사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상기 한쌍의 고리부(22)의 돌출부(25)를 상기 홈부(11)로부터 당겨 빼낸다.
이렇게 상기 홈부(11)로부터 이탈된 상기 고리부(22)들을, 상기 접촉부(21)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22)간의 경계에 형성된 절곡선(23)을 따라 절곡시켜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양면테이프(30)의 타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막(31)을 분리시키고, 상기 양면테이프(30)의 타면을 나머지 고리부(22)에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한쌍의 고리부(22)를 서로 고정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의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면테이프(30)에 의하여 상기 고리부(22)들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관통공(24)에 손가락을 관통시켜서 상기 고리부(22)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리부(22)들이 서로 상대적인 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20)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종이컵(1)과 달리,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2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26)가 상기 관통공(24)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리부(22)의 구조적 강도가 보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관통공(24)에 손가락을 관통시켜서 상기 고리부(22)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리부(22)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양면테이프(30)에 의하여 상기 고리부(22)들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면, 음료수를 마시다가 잠시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테이블 위에 올려 놓았다가 다시 파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한쌍의 고리부(22)가 서로 벌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은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컵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홈부(11)에 언제든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종이컵(100)의 사용전에 상기 고리부(22)들이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종이컵(100)의 사용후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다수개 적층시키는 경우에도, 고리부(22)들이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종이컵(1)과 달리 상기 고리부(22)가 상기 컬링부(12)에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다수개 적층시킨 상태에서 자동판매기 내부에 수납한 후 최하층에 위치한 종이컵을 하나씩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홈부(11)에 끼워져 있어 상기 고리부(22)들이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출되는 종이컵의 바로 위에 위치한 종이컵의 고리부(22)가 상기 배출되는 종이컵의 컵본체(10)의 내벽에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적층된 종이컵(100)들간의 마찰력이 저하됨으로써, 손잡이가 부착되지 않은 종래의 종이컵과 마찬가지로 원활하게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하나씩 낙하시켜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이 종료된 상기 손잡이 부착 종이컵(100)을 기존의 종이컵 수거기에 적층시켜 버리는 경우에는, 상기 양면테이프(30)로 서로 부착되어 고정된 상기 고리부(22)들을 분리시키고 상기 고리부(22)의 돌출부(25)를 상기 홈부(11)에 다시 끼워넣게 되면 상기 손잡이(20)가 종이컵 수거기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곡선(23)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절곡선(23)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미리 상기 절곡선(23)을 형성해두면 상기 고리부(22)가 용이하게 상기 절곡선(23)을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원형 고리부(22)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25)로 기능하지만, 상기 고리부(22)가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더욱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타원형 고리부(22)의 상단부에서 별도로 연장시켜 형성된 부분을 상기 돌출부(25)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홈부(1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고리부(22)들이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었으나, 소량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고리부(22)들을 상기 컵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수단으로서, 상기 양면테이프(30)가 사용되었으나, 상기 양면테이프(30) 이외에 공지된 다른 수단이 상기 고리부(22)들 간의 부착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Claims (3)

  1. 음료수를 수용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종이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통형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는,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간의 경계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쌍의 고리부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한쌍의 고리부를 서로 부착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컵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홈부;와 상기 한쌍의 고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리부들이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컵본체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종이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일면은 상기 한쌍의 고리부 중 하나에 부착되어 있으며, 타면은 나머지 고리부에 접착될 수 있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종이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고리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가 상기 관통공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종이컵.
PCT/KR2009/005817 2009-01-30 2009-10-12 손잡이 부착 종이컵 WO20100875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839321.8A EP2392236B1 (en) 2009-01-30 2009-10-12 Paper cup with attached handle
US12/900,327 US7992766B2 (en) 2009-01-30 2010-10-07 Paper cup with hand g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21U KR200445972Y1 (ko) 2009-01-30 2009-01-30 손잡이 부착 종이컵
KR20-2009-0001021 2009-0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2/900,327 Continuation US7992766B2 (en) 2009-01-30 2010-10-07 Paper cup with hand gr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7561A1 true WO2010087561A1 (ko) 2010-08-05

Family

ID=4164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5817 WO2010087561A1 (ko) 2009-01-30 2009-10-12 손잡이 부착 종이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92766B2 (ko)
EP (1) EP2392236B1 (ko)
KR (1) KR200445972Y1 (ko)
WO (1) WO2010087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7920A1 (en) 2013-07-25 2015-01-29 Dennis Christopher Riordan Medicine cup with infection control tab
US20150108150A1 (en) * 2013-10-23 2015-04-23 Diana Garcia Bracket for a cup
DE102014212648A1 (de) * 2014-06-30 2015-12-31 Oyj Huhtamäki Becher mit außenliegendem zusätzlichem Materialstreifen
JP7104990B2 (ja) * 2017-02-21 2022-07-22 ウク カン,キョン 熱伝導防止板が備えられた紙コップ
CN106976618A (zh) * 2017-04-18 2017-07-25 湖州博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纸杯
CN108209430A (zh) * 2018-03-06 2018-06-29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水杯的自锁式折叠手柄
USD913750S1 (en) 2019-01-17 2021-03-23 Misaine Trade, Inc. Combined pop handle and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74U (ja) * 1992-12-15 1994-07-05 東京紙管株式会社 紙製耐熱カップ容器
JP2004091012A (ja) * 2002-09-02 2004-03-25 Katsuya Abe 把手付き紙コップおよびその把手並びに飲料容器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2005A (en) * 1933-07-17 1937-06-01 Celanese Corp Vessel
US1986927A (en) * 1934-08-11 1935-01-08 Hanson Gustaf Sigfrid Cup handle
US2641403A (en) * 1947-04-16 1953-06-09 Sutherland Paper Co Handled cup
GB645745A (en) * 1948-10-16 1950-11-08 John Alfred Ge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inking cups, cartons, and like containers, of treated paper
US2659527A (en) * 1949-06-16 1953-11-17 Liebenow Julius Gus Paper cup handle
US2868434A (en) * 1957-08-23 1959-01-13 Forest E Jones Paper cup handle
US3151798A (en) * 1963-07-23 1964-10-06 American Can Co Handle for nestable cups
US3387762A (en) * 1965-10-21 1968-06-11 Francis J. Zupon Dispensing container
US3926361A (en) * 1974-08-09 1975-12-16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Disposable container with napkin holder
US4102454A (en) * 1977-04-27 1978-07-25 Huhtamaki Oy Conical disposable mug
US4685583A (en) * 1984-10-04 1987-08-11 Noon Kelly D Disposable beverage cup handle
US4712728A (en) * 1987-04-02 1987-12-15 Manville Corporation Carton with improved handle
DE8914201U1 (ko) * 1989-12-01 1991-03-28 Maschinenfabrik Rissen Gmbh, 2000 Hamburg, De
US5161595A (en) * 1990-06-07 1992-11-10 Aluminium Pechiney Process for the lost foam casting, under low pressure, of aluminium alloy articles
GB9509860D0 (en) * 1994-08-02 1995-07-12 Kennett William B Food or drink container
US6116503A (en) * 1998-07-24 2000-09-12 Varano; Richard F. Disposable all-purpose container assembly
US6592024B2 (en) * 2000-06-19 2003-07-15 Easycarton Limited Cable top container with pull tab
US6527169B2 (en) * 2001-04-11 2003-03-04 Yeong Leul Kim Paper cup having integral handle
US6557751B2 (en) * 2001-06-12 2003-05-06 Russell Anthony Puerini Recyclable beverage container handle
DE20200843U1 (de) * 2002-01-21 2002-05-16 Paperbank Internat Ltd Einwegtasse mit Handgriff
KR200284472Y1 (ko) * 2002-05-08 2002-08-03 황기복 종이컵
US8210392B2 (en) * 2009-07-30 2012-07-03 Ryan Kang Beverage cup sleeve with integrated fold-out hand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74U (ja) * 1992-12-15 1994-07-05 東京紙管株式会社 紙製耐熱カップ容器
JP2004091012A (ja) * 2002-09-02 2004-03-25 Katsuya Abe 把手付き紙コップおよびその把手並びに飲料容器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92766B2 (en) 2011-08-09
US20110017815A1 (en) 2011-01-27
KR200445972Y1 (ko) 2009-09-14
EP2392236B1 (en) 2014-04-09
EP2392236A1 (en) 2011-12-07
EP2392236A4 (en)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7561A1 (ko) 손잡이 부착 종이컵
WO2024063504A1 (ko) 빠짐 방지용 빨대
US10624477B1 (en) Beverage system
WO2009051381A2 (en) Education teaching tools
WO2020251317A1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WO2018155863A1 (ko)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WO2011002144A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WO2011021785A2 (ko) 휴대용 비닐롤백 캐리어
KR20180040520A (ko) 용기 파지 보조기구
WO2022255685A1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WO2014061840A1 (ko) 직립형 파우치
WO2018147601A1 (ko)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WO2014098318A1 (ko) 수납형 상자 손잡이
WO2013106706A2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universal accessory station for a single serve beverage machine
WO2013187566A1 (ko) 메모지 홀더
WO2014208995A1 (ko) 필기구 수납홈이 마련되는 책
WO2014112813A1 (ko) 다목적 포장 케이스
KR200459429Y1 (ko) 학습지 가방
KR200488104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종이컵
WO2018030808A1 (ko) 안전캡이 구비된 캔
KR101003803B1 (ko) 일회용 컵 홀더
US6877620B2 (en) Stacked coozie holder
CN213248173U (zh) 一种防烫挂耳纸杯
WO2018194317A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홀더
CN218705004U (zh) 一种杯具抽取贮置纸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9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39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