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93Y1 - 다기능 식판세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식판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393Y1
KR200471393Y1 KR2020130007154U KR20130007154U KR200471393Y1 KR 200471393 Y1 KR200471393 Y1 KR 200471393Y1 KR 2020130007154 U KR2020130007154 U KR 2020130007154U KR 20130007154 U KR20130007154 U KR 20130007154U KR 200471393 Y1 KR200471393 Y1 KR 200471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plate
food
unit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30007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93Y1/ko
Priority to DE112014002492.9T priority patent/DE112014002492T5/de
Priority to PCT/KR2014/001465 priority patent/WO20150303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식판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이 수용되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 식판과, 상기 하부 식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식판을 구비하는 식판 유닛; 제1 보울(bowl)과, 상기 제1 보울보다 부피가 크고 상기 제1 보울에 결합되는 제2 보울과, 상기 제2 보울에 결합되는 컵(cup)과, 상기 제1 보울의 개구에 결합되는 보울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식판 유닛에 안착되는 보울 유닛; 및 스푼(spoon)과 포크(fork)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판 유닛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스푼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식판세트{MULTI FUNCTION FOOD TRAY SET}
본 고안은, 다기능 식판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식판세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학교, 학원, 회사 등에서는 급식 제도가 보편화되어 있다. 급식 제도에 의한 배식 문화가 급속도록 발전함에 따라 이에 수반되는 식판(food tray), 스푼(spoon), 포크(fork), 보울(bowl), 컵(cup) 등의 다양한 도구들(이하, 이들을 통틀어 '식판세트'라 함)도 나날이 발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편리한 휴대를 위해 접철될 수 있도록 개발된 식판, 보관이 용이하도록 개발된 식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많은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개발된 식판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거나 현재 시판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식판세트의 경우, 어느 한 기능에 그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것일 뿐 다양한 기능들, 예컨대 국이나 액체음식을 잘 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스푼이나 포크를 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위생을 위하여 식판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비된 제품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식판세트에 대한 구조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0002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1949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252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7-000360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식판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이 수용되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 식판과, 상기 하부 식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식판을 구비하는 식판 유닛; 제1 보울(bowl)과, 상기 제1 보울보다 부피가 크고 상기 제1 보울에 결합되는 제2 보울과, 상기 제2 보울에 결합되는 컵(cup)과, 상기 제1 보울 및 제2 보울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울 덮개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식판 유닛에 안착되는 보울 유닛; 및 스푼(spoon)과 포크(fork)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판 유닛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스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판세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부 식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는, 상기 제1 보울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1 보울 수용부; 상기 제2 보울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2 보울 수용부; 상기 컵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컵 수용부; 및 반찬이 수용되는 반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찬 수용부에는 상기 스푼과 상기 포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울 수용부와 상기 제2 보울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닥면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식판은 쟁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식판의 양측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식판의 배면에는 다수의 미끌림 방지용 푸트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울의 하단부에는 돌기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울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계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울의 바닥면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경사진 면을 형성하며, 상기 보울 덮개는 덮개 플레이트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보울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푼과 상기 포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식판의 내면에는 미끌림 방지 패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국이나 액체음식을 잘 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스푼이나 포크를 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위생을 위하여 식판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세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식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 식판이 하부 식판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부 식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제2 보울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스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부 식판의 변형예이다.
도 15는 하부 식판의 변형예이다.
도 16은 하부 식판에 형성되는 제2 보울 수용부에 대한 변형 단면 구조도이다.
도 17은 스푼 유닛의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세트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판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식판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부 식판이 하부 식판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상부 식판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울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도, 도 10은 도 7의 단면 구조도, 도 11은 제2 보울에 대한 확대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스푼 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세트는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식판 유닛(110), 보울 유닛(140) 및 스푼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들은 한 끼 식사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 세트이므로 한 벌의 구성이라 간주될 수 있다.
우선,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식판 유닛(110)에 대해 살펴본다. 식판 유닛(110)은 음식이 수용되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121~124)가 형성되는 하부 식판(120)과, 하부 식판(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식판(130)을 포함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식판 유닛(110)은 상부 식판(130)과 하부 식판(120) 2개가 1개의 세트를 형성한다.
상부 식판(130)과 하부 식판(120)은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재질에 더하여 옥수수, 사탕수수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상부 식판(130)과 하부 식판(120)을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울 유닛(140) 및 스푼 유닛(150)도 상기 식판 유닛(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식판(130)과 하부 식판(120)이 동일한 재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일 수도 있다.
특히, 상부 식판(130)의 경우,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 역할을 담당하는 상부 식판(130)과 달리 하부 식판(120)은 실질적으로 음식을 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부 식판(120)에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121~124)가 형성된다.
하부 식판(120)에 형성되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121~124)는 제1 보울(141)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1 보울 수용부(121)와, 제2 보울(142)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2 보울 수용부(122)와, 컵(143)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컵 수용부(123)와, 반찬이 수용되는 반찬 수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음식 수용부(121~124)를 개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음식 수용부(121~124)의 개수는 3개 이하, 혹은 5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예이기는 하지만 제1 보울(141)에는 밥이, 제2 보울(142)에는 국이나 찌개가 담길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은 밥과 국 혹은 찌개를 담은 상태에서 제1 보울 수용부(121)와 제2 보울 수용부(122)에 놓일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즉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을 사용하지 않고, 제1 보울 수용부(121)와 제2 보울 수용부(122)에 밥과 국 혹은 찌개를 직접 담을 수 있다.
이 경우, 국이나 찌개는 액체음식이기 때문에 먹다보면 그 양이 줄면서 제2 보울 수용부(122)의 바닥면(122a)에 깔리게 되는데, 이때 하부 식판(120)을 기울이지 않으면 남은 잔량의 국이나 찌개를 먹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6처럼 제2 보울 수용부(122)의 바닥면(122a)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제2 보울 수용부(122)의 바닥면(122a)이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높이가 낮은 쪽으로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어 먹기가 편리하다.
특히, 제2 보울 수용부(122)의 바닥면(122a)을 경사진 면으로 형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건너편은 높이가 높게, 사용자의 바로 앞쪽은 높이가 낮게 디자인함으로써 좀 더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제2 보울 수용부(122)의 바닥면(122a)을 그 예로 하였으나 나머지 음식 수용부(121,123,124)에도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많은 양의 반찬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넓게 형성될 수 있는 반찬 수용부(124)의 격벽(125)에는 스푼(151)과 포크(152)가 끼워지는 끼움홈(12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반찬 수용부(124)의 격벽(125)에 2개의 끼움홈(126)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스푼(151)과 포크(152)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스푼(151)과 포크(152) 중 어느 하나가 없어 곤란한 상황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하부 식판(120)은 실질적으로 음식을 담는 역할을 하는데 비해 상부 식판(130)은 덮개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식판이 1개로 이루어진 것을 탈피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뚜껑의 용도로 사용되는 상부 식판(130)과 음식을 먹는 용도로 사용되는 하부 식판(120)의 2개를 1세트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부 식판(130)은 도 2처럼 하부 식판(120)의 상부를 덮어 남은 음식물의 보관이 용이하게 하거나 하부 식판(120)의 상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뿐만 아니라 상부 식판(130)은 도 4처럼 하부 식판(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식판(120)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테이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식판(130)은 도 5처럼 쟁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을 갖는다. 핸들링이 편리하도록 상부 식판(130)의 양측에는 손잡이 홈(131)이 형성된다.
손잡이 홈(131)은 안쪽으로 향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디자인됨으로써 파지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부 식판(130)의 배면에는 다수의 미끌림 방지용 푸트부재(132)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 4처럼 상부 식판(130)을 하부 식판(120)의 하부에 결합시켜 사용할 때, 미끌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식판(130)과 하부 식판(120)에는 일측에 삼각형이나 화살표 등의 형태로 표시부가 형성되어 상부 식판(130)과 하부 식판(120)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울 유닛(140)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울(bowl, 141)과, 제1 보울(141)보다 부피가 크고 제1 보울(141)에 결합되는 제2 보울(142)과, 제2 보울(142)에 결합되는 컵(cup, 143)과, 제1 보울(141)의 개구에 결합되는 보울 덮개(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식판 유닛(11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보울(141)은 식판 유닛(110)의 제1 보울 수용부(121)에, 제2 보울(142)은 식판 유닛(110)의 제2 보울 수용부(122)에, 그리고 컵(143)은 식판 유닛(110)의 컵 수용부(123)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선택적인 사항일 뿐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은 부피에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인 외형 구조는 동일하다.
즉,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의 하단부에는 돌기리브(141a,142a)가 형성되며,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계단턱(141b,142b)이 형성된다. 특히, 제2 보울(142)의 계단턱(142b)은 컵(143)이 끼워져 배치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의 바닥면(141c,142c)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이는 도 6을 통해 설명된 제2 보울 수용부(122)의 바닥면(122a)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한다.
보울 덮개(144)는 제1 보울(141)의 개구에 결합된다. 이러한 보울 덮개(144)는 덮개 플레이트(144a)와, 덮개 플레이트(144a)에 형성되되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부(144b)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부(144b)에 제2 보울(142)의 단부가 끼워지고 그 내측으로 제1 보울(141)의 단부가 끼워짐에 따라 보울 덮개(144)는 제1 보울(141)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울 덮개(144)는 독립적으로 제1 보울(141) 및 제2 보울(142)의 개구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1 보울(141)이 제2 보울(14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보울 덮개(14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보울(141), 제2 보울(142) 및 컵(143)의 하면에는 링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링 형상의 미끄럼방지용 푸트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의 푸트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보울 덮개(144)는 제1 보울(141)과 제2 보울(142), 그리고 컵(143)과 달리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푼 유닛(150)은 도 12 및 도 13처럼 스푼(spoon, 151)과 포크(fork, 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스푼(151)과 포크(152)는 반찬 수용부(124)의 격벽(125)에 형성되는 끼움홈(126)에 끼워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망실의 우려가 없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푼(151)에는 결합 돌기(151a)가 형성되고, 포크(152)에는 결합 돌기(151a)가 결합되는 결합 돌기홈(1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은 도 13처럼 개별적으로 보관될 수도 있고, 도 12처럼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로 보관될 수도 있다.
도면과 달리, 스푼(151)에 결합 돌기홈(152a)이, 그리고 포크(152)에 결합 돌기(151a)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 식판세트는 한 끼 식사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 세트로서 식판 유닛(110), 보울 유닛(140) 및 스푼 유닛(150)을 포함함으로써,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국이나 액체음식을 잘 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스푼(151)이나 포크(152)를 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위생을 위하여 하부 식판(120)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상부 식판의 변형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쟁반으로 사용이 가능한 상부 식판(230)의 내면에 미끌림 방지 패턴(231)이 더 형성된다.
상부 식판(230)은 도 14처럼 뒤집은 상태로 제1 보울(141), 제2 보울(142), 컵(143) 등을 실어 나를 수 있는데, 이때 상부 식판(230) 상에서 제1 보울(141), 제2 보울(142), 컵(143) 등이 미끄러져 이동되면 액체음식이 쏟아질 수 있기 때문에 곤란하다.
하지만, 도 14처럼 상부 식판(230)의 내면에 미끌림 방지 패턴(231)을 형성할 경우, 상부 식판(230) 상에서 제1 보울(141), 제2 보울(142), 컵(143) 등이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이 담긴 제1 보울(141), 제2 보울(142), 컵(143) 등을 실어 나르는데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하부 식판의 변형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식판(320)에 형성되는 반찬 수용부(324)의 격벽(325)에는 단일의 끼움홈(326)이 형성된다. 이는 도 12처럼 스푼(151)과 포크(152)를 결합시킨 상태로 끼움홈(326)에 끼울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326)에는 탄성체(326a)가 더 개재될 수 있는데, 탄성체(326a)로 인해 하나의 몸체가 된 스푼(151)과 포크(152)가 이탈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하부 식판에 형성되는 제2 보울 수용부에 대한 변형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도 6과 달리 제2 보울 수용부(422)의 바닥면(422a)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경사진 면을 형성하되 중앙 영역이 가장 낮은 영역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럴 경우, 남은 액체음식은 제2 보울 수용부(422)의 바닥면(422a) 중앙으로 모일 수 있어 남은 잔량을 먹기가 수월해진다.
도 17은 스푼 유닛의 변형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스푼(551)에는 자석(551a)이 마련되고, 포크(552)에는 자석(551a)의 일부가 자리 배치되면서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석 부착용 자리홈(55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인 경우라도 스푼(551)과 포크(552)는 상호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스푼(551)에 자석 부착용 자리홈(552a)이, 그리고 포크(552)에 자석(551a)이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7과 같은 변형예들이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성인에서부터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불편함 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식판 유닛 120 : 하부 식판
121~124 : 음식 수용부 130 : 상부 식판
131 : 손잡이 홈 132 : 미끌림 방지용 푸트부재
140 : 보울 유닛 141 : 제1 보울
142 : 제2 보울 143 : 컵
144 : 보울 덮개 144a : 덮개 플레이트
144b : 끼움홈부 150 : 스푼 유닛
151 : 스푼 152 : 포크

Claims (7)

  1. 음식이 수용되는 다수의 음식 수용부(121~124)가 형성되는 하부 식판(120)과, 상기 하부 식판(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식판(130)을 구비하는 식판 유닛(110);
    제1 보울(bowl)(141)과, 상기 제1 보울(141)보다 부피가 크고 상기 제1 보울(141)에 결합되는 제2 보울(142)과, 상기 제2 보울(142)에 결합되는 컵(cup)(143)과, 상기 제1 및 제2 보울(141, 142)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울 덮개(144)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식판 유닛(110)에 안착되는 보울 유닛(140); 및
    스푼(spoon)(151)과 포크(fork)(152)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판 유닛(110)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스푼 유닛(150); 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음식 수용부(121~124)는 상기 제1 보울(141)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1 보울 수용부(121)와, 상기 제2 보울(142)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2 보울 수용부(122)와, 상기 컵(143)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컵 수용부(123)와, 반찬이 수용되는 반찬 수용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반찬 수용부(124)는 격벽(125)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격벽(125)에는 상기 스푼(151)과 상기 포크(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끼움홈(1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울 수용부(121)와 상기 제2 보울 수용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닥면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식판(130)은 쟁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식판(130)의 양측에는 안쪽으로 향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손잡이 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식판(13)의 내면에는 미끌림 방지 패턴(23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식판(130)의 배면에는 미끌림 방지용 푸트부재(13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울(141, 142)의 하단부에는 돌기리브(141a, 14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울(142)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컵(143)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계단턱(142b)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울(141, 142)의 바닥면은 자중에 의해 액체음식이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울 덮개(144)는 덮개 플레이트(144a)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4a)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보울(141, 142)의 상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끼움홈부(144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식판(130)과 상기 하부 식판(120)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상부 식판(130)과 상기 하부 식판(120)의 결합방향을 가이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판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151)과 상기 포크(152)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151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151a)가 결합되는 결합 돌기홈(15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판세트.
  7. 삭제
KR2020130007154U 2013-08-27 2013-08-27 다기능 식판세트 KR200471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154U KR200471393Y1 (ko) 2013-08-27 2013-08-27 다기능 식판세트
DE112014002492.9T DE112014002492T5 (de) 2013-08-27 2014-02-24 Multifunktionales Lebensmitteltablettset
PCT/KR2014/001465 WO2015030327A1 (ko) 2013-08-27 2014-02-24 다기능 식판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154U KR200471393Y1 (ko) 2013-08-27 2013-08-27 다기능 식판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393Y1 true KR200471393Y1 (ko) 2014-02-20

Family

ID=5141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154U KR200471393Y1 (ko) 2013-08-27 2013-08-27 다기능 식판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71393Y1 (ko)
DE (1) DE112014002492T5 (ko)
WO (1) WO201503032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568A (ja) * 1997-08-12 1999-03-02 Combi Corp 食器セット
JP3152055U (ja) * 2009-04-22 2009-07-16 顕 疋田 組み合わせ食事用具
KR20100005113U (ko) * 2008-11-09 2010-05-19 홍정민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503U (ko) * 2010-07-12 2012-01-18 안희곤 다기능 복합 식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568A (ja) * 1997-08-12 1999-03-02 Combi Corp 食器セット
KR20100005113U (ko) * 2008-11-09 2010-05-19 홍정민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JP3152055U (ja) * 2009-04-22 2009-07-16 顕 疋田 組み合わせ食事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327A1 (ko) 2015-03-05
DE112014002492T5 (de)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90726A1 (en) Assisted eating aid
CN104320996A (zh) 具有置物指示的儿童托盘
US20140263365A1 (en) Stable and Stackable Tray with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and Thumbholds for Secure Grip
KR101545236B1 (ko)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US20150150393A1 (en) Article Holder
KR20120038858A (ko) 유아용 식기
KR200471393Y1 (ko) 다기능 식판세트
KR20090012973U (ko) 식판
KR200496299Y1 (ko) 유아용 식기
KR101648691B1 (ko) 유아용 식판
KR200485732Y1 (ko) 치간칫솔 내장 수저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1344844B1 (ko) 유아용 식기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EP1362535A1 (en) Food support device
KR101537546B1 (ko)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US20050082287A1 (en) Serving platter
KR101668223B1 (ko) 일회용 식판
US20220396389A1 (en) Infant food tray
KR200480444Y1 (ko) 다용도 보관함이 구비된 테이블
KR200488450Y1 (ko) 위생 및 보관 식별이 용이한 수저세트
KR20130006657U (ko) 접시
KR101926653B1 (ko) 숟젓가락
JP3012306U (ja) 食 器
KR200402815Y1 (ko) 뚜껑이 있는 배식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