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83Y1 -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 Google Patents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383Y1
KR200471383Y1 KR2020120007522U KR20120007522U KR200471383Y1 KR 200471383 Y1 KR200471383 Y1 KR 200471383Y1 KR 2020120007522 U KR2020120007522 U KR 2020120007522U KR 20120007522 U KR20120007522 U KR 20120007522U KR 200471383 Y1 KR200471383 Y1 KR 200471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coupled
shaft
frame
sea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전흥규
황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20007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joining shafts, e.g. rigid couplings, quill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샤프트가 결합되는 축공을 갖는 임펠러를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매달린 샤프트가 축공에 결합될때 축공의 내경 또는 샤프트의 외경에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받침구조체는 상단부에 상기 임펠러(20)가 안착되는 프레임(30)과, 프레임(30)이 안착되며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조절볼트(201)가 결합되고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벨(202)이 결합된 베이스(2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support structure for maintenance of vaporization seawater pump}
본 고안은 기화 해수펌프용 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축공을 갖는 임펠러를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매달린 샤프트가 축공에 결합될때 축공의 내경 또는 샤프트의 외경에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기화용 해수펌프의 정비 또는 점검을 위해 샤프트와 임펠러를 분해한 후, 다시 샤프트를 임펠러의 축공에 결합시킬때 약 20/100mm 내지 30/100mm의 공차 이내로 정밀한 끼워 맞춤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받침대에 놓여진 임펠러의 레벨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조립을 하게 되면, 크레인에 매달려 있는 샤프트의 외경 또는 임펠러의 내경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하게 되며, 샤프트 또는 임펠러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샤프트의 외경 또는 임펠러의 내경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면 조립 및 분해시 샤프트가 임펠러의 축공 내측으로 더 파고들어가게 되어 샤프트와 임펠러의 조립 또는 분해작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현장 바닥의 평탄도 등이 임펠러와 샤프트의 조립 정밀도를 좌우하게 되며, 받침대의 레벨을 맞추기 위하여 침목 등의 별도 도구가 요구되고 레벨링 작업시간에 따른 조립시간이 과다 소요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임펠러와 같은 회전체가 안착되는 받침대의 레벨링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조립 및 분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의 분해/조립시 낙하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크레인에 수직으로 매달린 샤프트를 임펠러의 축공에 조립 및 분해시킬때, 임펠러를 지지하는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에 있어서,
그 상단부에 상기 임펠러가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며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조절볼트가 결합되고,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벨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볼트로 결합되어 임펠러의 단부를 커버하는 링락과,
상기 링락이 안착되는 받침링이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유압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구조체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유압잭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안내레일에 유압잭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 구조체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복수의 이동용 캐스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받침구조체는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벨 및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조절볼트를 베이스에 구비하고, 수평 제작된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임펠러와 샤프트의 조립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복수의 캐스터(40)를 구비함으로써 중량의 받침구조체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받침링(52)이 구비된 유압잭(50)을 구비함으로써, 링락(22)의 분해시 중량의 링락(22)의 낙하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받침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링락의 분해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의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는 기화용 해수펌프의 정비 또는 점검을 위해 샤프트와 임펠러를 분해한 후, 다시 샤프트를 임펠러의 축공에 결합시킬때 임펠러의 수평상태를 조절하여 샤프트와의 조립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속품인 링락의 해체시 낙하에 따른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링락이 안착되는 받침링을 구비하는 유압잭이 마련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크레인(100)에 수직으로 매달린 샤프트(10)를 임펠러(20)의 축공(21)에 조립시킬때, 임펠러(2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임펠러 구조체에는 상기 샤프트(10)의 단부에 볼트(23)로 결합되어 임펠러(20)의 단부를 커버하는 링락(22)을 구비한다.
실시예의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는 그 상단부에 상기 임펠러(20)가 안착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이 안착되며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조절볼트(201)가 결합되고,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벨(202)이 결합된 베이스(20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복수의 조절볼트(201)에 의해서 바닥에 대하여 수평상태 조절이 되며, 또한 상기 프레임(30)은 수평조절이 된 상태에서 제작되어진다.
상기 프레임(30)의 하단에는 상기 링락(22)이 안착되는 받침링(52)이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압잭(5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상기 유압잭(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레일(31)이 결합되고, 상기 안내레일(31)에 유압잭(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체(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측면에는 복수의 이동용 캐스터(40)가 결합되어서, 작업완료 후 프레임(30)을 측면으로 뉘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참조번호 203은 중량의 베이스(200)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훅크이다.
이와 같은 받침구조체를 이용하여 해수용 펌프의 임펠러(20)와 샤프트(10)를 조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볼트(201)로 높이 조절하면서 레벨(202)을 관측하여 베이스(200)를 작업장 바닥에 수평 조절하고, 수평조절된 베이스(200)에 프레임(30)을 안착시킨다.
이어서 크레인 후크(100)에 샤프트(10)를 수직으로 매달리게 하고, 그 직하방 위치에 받침대(30)를 위치시킨 후 임펠러(20)를 프레임(30) 상단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크레인을 서서히 하강시키면서 샤프트(10)를 임펠러(20)의 축공(21)에 결합시킨다.
이때 샤프트(10)가 임펠러(20)의 축공(21)에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시키면서 정밀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분해시에는 프레임(30)의 상단에 샤프트(10)가 결합된 임펠러(20)를 안착시키고, 유압잭(50)을 작동하여 승강체(51)를 상승시켜서 받침링(52)에 링락(2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23)를 풀어 샤프트(10)로부터 링락(22)을 분리시킨다.
이때 링락(22)이 받침링(52)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중량의 링락(22)의 낙하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받침링(52)이 링락(22)의 중심에 맞지 않게 되는 경우, 유압잭(50)을 안내레일(31)을 따라 이동시켜서 위치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샤프트 20...임펠러
22...링락 30...프레임
40...캐스터 50...유압잭
200...베이스

Claims (3)

  1. 크레인에 수직으로 매달린 샤프트를 임펠러의 축공에 조립시킬때, 임펠러를 지지하는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에 있어서,
    그 상단부에 상기 임펠러(20)가 안착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이 안착되며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조절볼트(201)가 결합되고,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벨(202)이 결합된 베이스(200)와,
    상기 샤프트(10)의 단부에 볼트(23)로 결합되어 임펠러(20)의 단부를 커버하는 링락(22)과,
    상기 링락(22)이 안착되는 받침링(52)이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30)에 결합되는 유압잭(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상기 유압잭(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레일(31)이 결합되고,
    상기 안내레일(31)에 유압잭(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체(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KR2020120007522U 2012-08-24 2012-08-24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KR200471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522U KR200471383Y1 (ko) 2012-08-24 2012-08-24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522U KR200471383Y1 (ko) 2012-08-24 2012-08-24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383Y1 true KR200471383Y1 (ko) 2014-02-19

Family

ID=5141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522U KR200471383Y1 (ko) 2012-08-24 2012-08-24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310A (zh) * 2018-03-12 2018-07-3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拆解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232U (ja) * 1983-02-28 1984-09-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圧入治具
JP2007229895A (ja) 2006-03-03 2007-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入装置および圧入装置の圧入方法
KR20090066845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체 레벨 조정용 다이구조체
KR200445903Y1 (ko) * 2009-03-26 2009-09-10 임채영 콘크리트 슬럼프 측정용 수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232U (ja) * 1983-02-28 1984-09-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圧入治具
JP2007229895A (ja) 2006-03-03 2007-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入装置および圧入装置の圧入方法
KR20090066845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체 레벨 조정용 다이구조체
KR200445903Y1 (ko) * 2009-03-26 2009-09-10 임채영 콘크리트 슬럼프 측정용 수평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310A (zh) * 2018-03-12 2018-07-3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拆解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KR102430720B1 (ko) 수직펌프의 컬럼파이프 및 샤프트 거치대용 분해 조립 장치
KR20140002915U (ko) 선박 블록 작업용 높이조절사다리
KR200471383Y1 (ko) 기화 해수펌프 정비용 받침구조체
US20190263643A1 (en) Engine cradle
KR20150128129A (ko) 면진장치 교체를 위한 높이 조절 장치
KR20170104680A (ko) 테이블 리프트
JP2002120094A (ja) 開先合せ用架台
KR101262317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US9764932B2 (en) Jacking tower installation system
KR200494178Y1 (ko) 해수펌프 샤프트 운반용 클램핑지그
TWM581580U (zh) Pulley receiving mechanism
KR101833706B1 (ko) 크레인을 활용한 구조물 점검장치
CN107598871B (zh) 移动式断路器检修调试平台
CN220637852U (zh) 零部件拆卸工具
KR20170004126U (ko)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KR20160064606A (ko) 코어 드릴 작업대
KR20130031944A (ko) 자동차 정비용 잭
KR101955262B1 (ko) 테이블용 다리 조절장치
KR20090066845A (ko) 회전체 레벨 조정용 다이구조체
CN103817676A (zh) 躯体支撑装置
CN218261787U (zh) 移动式举升机
CN203938836U (zh) 一种电脑丝袜机机架
CN217686517U (zh) 晶圆装载机及立式炉
JP2013117137A (ja) 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の組立に用いられる吊上装置、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