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606A - 코어 드릴 작업대 - Google Patents

코어 드릴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606A
KR20160064606A KR1020140168418A KR20140168418A KR20160064606A KR 20160064606 A KR20160064606 A KR 20160064606A KR 1020140168418 A KR1020140168418 A KR 1020140168418A KR 20140168418 A KR20140168418 A KR 20140168418A KR 20160064606 A KR20160064606 A KR 2016006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column
core dri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봉
Original Assignee
(주)매일코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일코아산업 filed Critical (주)매일코아산업
Priority to KR102014016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606A/ko
Publication of KR2016006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천공용 코어 비트가 장착되는 드라이브 유닛, 드라이브 유닛에 결합되는 캐리지, 캐리지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컬럼, 컬럼의 전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컬럼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코어 드릴을 이용해 수평 방향의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여러 장소에서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 드릴 작업대{CORE DRILL WORKTABLE}
본 발명은 코아 드릴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 드릴을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아 드릴은 도로면 또는 건축물의 배관작업 등의 벽체나 천장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용 분야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코아 드릴은 그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일직선 방향으로의 작동을 유도하기 위해, 드라이브 유닛(10)이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구비된 컬럼(30)을 구비하고 상기 컬럼(30)과 드라이브 유닛(10)을 캐리지(20)로 연결하여 드릴링 작업을 할 때 드라이브 유닛(10)이 컬럼(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코아 드릴은 드릴링 작업을 할 때, 코어 비트가 암반 또는 콘크리트 벽면을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드릴링 작업을 하기 위한 암반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컬럼의 선단을 밀착 지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유닛을 이동시키면서 드릴링 작업을 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드라이브 유닛을 손으로 밀거나 핸들을 회전시켜 이송하게 되어 있다.
종래 수평 드릴링 작업 시 체인 등을 이용해 드릴 스탠드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드릴 스탠드를 고정하는 작업은 힘들고 시간을 많이 소모하며 작업 후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12465호 ‘코아드릴용 지지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0612465호는 코아드릴에 지지장치를 체결함으로 해서 작업시간과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장소 또한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아드릴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코어 드릴을 이용해 수평 방향의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코어 드릴을 이용해 여러 장소에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천공용 코어 비트가 장착되는 드라이브 유닛, 드라이브 유닛에 결합되는 캐리지, 캐리지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컬럼, 컬럼의 전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컬럼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은, 복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세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승강 프레임은 제1 가로 프레임과 제2 가로 프레임 사이에서 세로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이동용 바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의 하부와 컬럼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는 승강 프레임과 컬럼 사이의 간격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컬럼의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아래로 경사지도록 승강 프레임의 하부와 컬럼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은, 작업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퀴를 고정하거나 바퀴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작업위치고정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수평 방향의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어 드릴을 이용해 수평 방향의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여러 장소에서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코어 드릴이 설치된 스탠드를 나타낸 특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천공용 코어 비트(12)가 장착되는 드라이브 유닛(10), 상기 드라이브 유닛(10)에 결합되는 캐리지(20), 상기 캐리지(2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컬럼(30), 상기 컬럼(30)의 전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는, 베이스 프레임(20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컬럼(30)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승강 프레임(300)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몸체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복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세로 프레임(220); 상기 세로 프레임(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가로 프레임(240); 및 상기 세로 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가로 프레임(2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4개의 세로 프레임(220)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세로 프레임(220)의 하부는 제1 가로 프레임(240)에 의해 지지되고, 세로 프레임(220)의 상부는 제2 가로 프레임(2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승강 프레임(300)은 제1 가로 프레임(240)과 제2 가로 프레임(260) 사이에서 세로 프레임(220)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242)가 결합되어 작업대(1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242)는 세로 프레임(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서는 제1 가로 프레임(240)에 결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242)가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200)에는 드릴링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작업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작업위치고정부(246)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작업위치고정부(246)는 세로 프레임(220)의 하부나 제1 가로 프레임(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위치고정부(246)는 바퀴(24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서는 바퀴(242)를 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1 가로 프레임(2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300)에는 드라이브 유닛(10)을 작업이 필요한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3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서는 세로 프레임(220)이 막대 형상의 기둥이고, 승강 프레임(300)은 세로 프레임(220)이 삽입되는 승강홀이 형성되며, 세로 프레임(220)에 승강 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승강 프레임(30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세로 프레임(220)을 가압할 수 있는 볼트, 클램프 등의 다양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브 유닛(10)에 결합된 캐리지(20)가 이동하는 컬럼(30)은 승강 프레임(300)의 하부에 지지부(34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340)는 승강 프레임(300)의 하부와 컬럼(30)의 상부를 연결하며 고정하는 부분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에서 지지부(340)는 컬럼(30)의 전방 상부를 승강 프레임(300)의 하부에 연결하는 전방 지지대(342)와 컬럼(30)의 후방 상부를 승강 프레임(300)의 하부에 연결하는 후방 지지대(344)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대(342)는 후방 지지대(344)보다 짧게 형성되어 컬럼(30)의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드릴링 작업 시에 발생되는 콘크리트 등의 찌꺼기나 코어 비트(12)에 공급되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340)는 승강 프레임(300)과 컬럼(30) 사이의 간격과 드릴링 작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전방 지지대(342)와 후방 지지대(344)의 길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 프레임(300)과 컬럼(30) 사이의 간격과 드릴링 작업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 전방에 결합되어 벽면에 접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0)는 컬럼(30)의 전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0)와 결합되어 드릴링 작업 시에 벽면에 접하면서 고정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0)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홀(42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420)을 통과하는 볼트 등을 이용해 벽면에 고정함으로써 드릴링 작업 시에 작업대(10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정확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를 이용해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 작업이 필요한 벽면 앞으로 작업대(100)를 이동시킨다.
2단계 : 벽면에 지지 플레이트(400)를 고정시킨다.
3단계 : 승강 플레이트를 고정장치(320)를 통해 세로 프레임(220)에 고정시킨다.
4단계 : 베이스 프레임(200)을 작업위치고정부(246)를 통해 지면에 고정시킨다.
5단계 : 원하는 지지부(340)를 이용해 드릴링 각도를 세팅한다.
6단계 : 드릴링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2단계부터 5단계는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순서의 변경이 가능하고, 작업 상황에 따라서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는 코어 드릴을 이용해 수평 방향의 드릴링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여러 장소에서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코어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릴 작업대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드라이브 유닛
12 : 코어 비트
20 : 캐리지
30 : 컬럼
40 : 베이스 플레이트
100 : 작업대
200 : 베이스 프레임
220 : 세로 프레임
240 : 제1 가로 프레임
242 : 바퀴
246 : 작업위치고정부
260 : 제2 가로 프레임
300 : 승강 프레임
320 : 고정장치
340 : 지지부
342 : 전방 지지대
344 : 후방 지지대
400 : 지지 플레이트
420 : 지지홀

Claims (8)

  1. 천공용 코어 비트가 장착되는 드라이브 유닛,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 결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컬럼, 상기 컬럼의 전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컬럼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복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제2 가로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이동용 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부와 컬럼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 프레임과 컬럼 사이의 간격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의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아래로 경사지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부와 컬럼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작업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를 고정하거나 상기 바퀴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작업위치고정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드릴 작업대.


KR1020140168418A 2014-11-28 2014-11-28 코어 드릴 작업대 KR20160064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18A KR20160064606A (ko) 2014-11-28 2014-11-28 코어 드릴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18A KR20160064606A (ko) 2014-11-28 2014-11-28 코어 드릴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06A true KR20160064606A (ko) 2016-06-08

Family

ID=5619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418A KR20160064606A (ko) 2014-11-28 2014-11-28 코어 드릴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4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33B1 (ko) * 2018-03-06 2019-07-31 주식회사 국도특장 이동식 드릴링 지그
KR102021609B1 (ko) 2018-10-01 2019-09-16 인영건설 주식회사 코어드릴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코어드릴 천공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33B1 (ko) * 2018-03-06 2019-07-31 주식회사 국도특장 이동식 드릴링 지그
KR102021609B1 (ko) 2018-10-01 2019-09-16 인영건설 주식회사 코어드릴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코어드릴 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368B1 (ko) 베어링 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대형 플랜지 가공기의 턴테이블
US20080296065A1 (en) Drill Floor Device
KR101741470B1 (ko) 곡선관 드릴링 장치
KR20140012807A (ko) 천정 앙카 드릴작업 장치
CN104551081B (zh) 一种新型多钻头钻孔机
CN104476613A (zh) 一种多钻头可调钻孔机
KR20160064606A (ko) 코어 드릴 작업대
JP3076529B2 (ja) 穿孔装置および穿孔方法
ES2381960T3 (es) Sistema para montar un martinete
WO20171152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holes for mounting of equipment elements on tunnel walls
CN212086922U (zh) 一种用于园林绿化种植的多功能自动打孔机
CN110293515B (zh) 一种拔销装置及其工作方法
JP2012101325A (ja) 工作機械用組立装置
CN211647976U (zh) 一种爆破用钻机
CN206840331U (zh) 一种木材精密钻孔设备
CN214815087U (zh) 一种可调节钻孔工具
JP2002120094A (ja) 開先合せ用架台
TW201641208A (zh) 組裝臺
CN204935101U (zh) 机床
CN218365713U (zh) 一种可移动顶板植筋钻孔托架
US2168522A (en) Mounting for rock drills
CN116639590B (zh) 半封闭车站内盾构机组件的拆解移动装置
KR101558892B1 (ko) 지주 설치용 굴착장치
CN216299724U (zh) 台球桌石板钻孔机
CN220499566U (zh) 一种消防工程用钻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