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96Y1 -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96Y1
KR200471296Y1 KR2020130007226U KR20130007226U KR200471296Y1 KR 200471296 Y1 KR200471296 Y1 KR 200471296Y1 KR 2020130007226 U KR2020130007226 U KR 2020130007226U KR 20130007226 U KR20130007226 U KR 20130007226U KR 200471296 Y1 KR200471296 Y1 KR 200471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pe fitting
liner
shie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신신플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신플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신신플라테크
Priority to KR2020130007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타 파이프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피팅의 라이너를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도관부의 내면 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관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형틀, 상기 라이너의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의 일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 일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의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제1성형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에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제1차폐형틀 및 상기 라이너의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의 타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 타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의 타측을 차폐하고, 상기 제2성형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제2차폐형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Liner Injection Mold for Pipe Fitting}
본 고안은 파이프 피팅의 라이너를 성형하는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 및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측 방향으로 형성된 차폐형틀을 포함하는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 파이프 등 다양한 파이프의 내부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가지는 라이너(Liner)를 성형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라이너는 파이프의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 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더 나아가서는 파이프 간의 결합 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겸하고 있다.
한편 파이프에 구비되는 라이너는 미리 성형되어 파이프 내부에 삽입 후 인장하는 방법이 사용되나, 파이프 간을 연결하는 파이프 피팅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라이너를 성형하기 위해 파이프 피팅에 금형을 결합하고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여 사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라이너 사출금형은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홀 및 공기 배출을 위한 벤트홀이 파이프 피팅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사출 이후 주입홀 및 벤트홀에 잔류하여 응고된 수지가 파이프 피팅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는 후가공을 하더라도 흔적이 남게 되며, 외관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파이프 간의 결합 시 누수의 원인이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누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사용 수요자 및 검수자들에게 불량품으로 지적되어 재가공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후가공을 위한 커터 사용 시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90356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파이프 피팅 내에 라이너를 사출 시 잔류 응고수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타 파이프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피팅의 라이너를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도관부의 내면 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관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형틀, 상기 라이너의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의 일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 일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의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제1성형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에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제1차폐형틀 및 상기 라이너의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의 타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 타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의 타측을 차폐하고, 상기 제2성형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제2차폐형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형틀은 상기 파이프의 도관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제1성형홈 및 상기 제2성형홈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의 상기 제1성형홈과 연결되는 구간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차폐형틀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의 상기 제2성형홈과 연결되는 구간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차폐형틀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형틀과 상기 제2차폐형틀은 서로 혼용 가능하도록 동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 방향으로 형성된 주입구 및 배기구에 의해 사출용 수지의 잔류 응고물이 파이프 피팅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파이프 간의 결합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후가공을 필수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후가공 절차 생략으로 인해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후가공시 결함발생으로 인한 재시공이 발생하지 않아 더욱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이프 피팅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이 파이프 피팅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이 파이프 피팅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있어서, 주입구로 사출용 수지를 주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된 라이너 일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된 라이너가 구비된 파이프 피팅과 파이프 간을 연결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다른 형태의 파이프 피팅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이 리듀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파이프간을 연결하는 일자 또는 레듀셔 형태 또는 곡관이나 T형 관등의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피팅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반드시 파이프 피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파이프에 라이너를 형성할 때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이프 피팅(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피팅(100)은 도관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관부(110)는 내부에 중공(H)이 형성되며, 연결부(120)는 상기 도관부(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타 파이프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파이프 피팅(100)는 강관으로 형성되며, 연결부(120)는 도관부(1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파이프 피팅으로는 강관 외 다양한 파이프 피팅이 사용될 수도 있고, 그 형상 역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이 파이프 피팅(100)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이 파이프 피팅 (10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은 내부형틀(210)과, 제1차폐형틀(220)과, 제2차폐형틀(230)을 포함한다.
내부형틀(210)은 상기 도관부(11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도관부(110)의 내면 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관부(110)의 중공(H)에 삽입되어 성형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성형공간은 도관부(110)와 내부형틀(21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차폐형틀(220)은 이후 성형될 라이너의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성형홈(224)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210)의 일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100) 일측의 연결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100)의 일측을 차폐한다. 즉 파이프 피팅(100) 일측 중공(H) 입구를 차폐하여 이후 수지 주입 시 수지의 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형틀(220)에는 상기 제1성형홈(22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에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222)는 외부와 상기 성형홈(224)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성형홈(22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주입구(222)가 제1성형홈(22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주입구(222)가 제1성형홈(224)에 연결되는 방향이 측 방향인 것을 뜻하며, 주입구(222)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주입구(222)는 전체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222) 전체 길이 중 상기 제1성형홈(224)과 연결되는 구간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차폐형틀(22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차폐형틀(220)의 후방이라 함은 제1차폐형틀(220)의 제1성형홈(224)이 형성된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입구(222)의 연결 부분이 상기 제1차폐형틀(220)의 후방에 형성됨으로 인해, 이후 제1차폐형틀(220)의 탈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222)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제1차페형틀(220)의 측면 둘레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차폐형틀(230)은 이후 성형될 라이너의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성형홈(234)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210)의 타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100) 타측의 연결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100)의 타측을 차폐한다. 즉 파이프 피팅(100) 타측 중공(H) 입구를 차폐하고, 이후 수지 주입 시 수지의 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폐형틀(230)에는 상기 제2성형홈(23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232) 역시 주입구(222)와 마찬가지로 외부와 상기 제2성형홈(234)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성형홈(22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배기구(232)가 제2성형홈(23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배기구(232)가 제2성형홈(234)에 연결되는 방향이 측 방향인 것을 뜻하며, 배기구(232)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기구(232)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제2차폐형틀(230)의 측면 둘레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232)는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차폐형틀(230)의 후방에 형성된다. 이때 제2차폐형틀(230)의 후방이라 함은 제2차폐형틀(230)의 제2성형홈(234)이 형성된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배기구(232)가 상기 제2차폐형틀(230)의 후방에 형성됨으로 인해, 이후 제2차폐형틀(230)의 탈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232) 역시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제2차페형틀(230)의 측면 둘레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내부형틀(210)은 상기 파이프(100)의 도관부(110)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제1차폐형틀(220)의 제1성형홈(224) 및 제2차폐형틀(230)의 제2성형홈(234)에 연결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내부형틀(210)은 도관부(110)보다 짧거나 동일한 길이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제1차폐형틀(220) 및 제2차폐형틀(230)로부터 연장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차폐형틀(220)의 주입구(222)와 제2차폐형틀(230)의 배기구(232)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1차폐형틀(220)의 주입구(222)와 제2차폐형틀(230)의 배기구(232)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차폐형틀(220)과 상기 제2차폐형틀(230)은 서로 혼용 가능하도록 동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차폐형틀(220)과 상기 제2차폐형틀(230)은 서로의 구분 없이 수지의 주입 용도 또는 배기 용도로 사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있어서, 주입구(222)로 사출용 수지를 주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222)를 통해 사출용 수지를 주입할 경우 제1차폐형틀(220)의 제1성형홈(224), 제2차폐형틀(230)의 제2성형홈(234) 및 성형공간에 수지가 채워진다. 이후 사출용 수지가 경화되어 라이너(130)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너(130)는 도관부(110)의 내면에 밀착된 형태를 가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된 라이너(130) 일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용 수지가 경화된 후 사출금형을 탈형하게 되고, 파이프(100)의 양측에는 제1차폐형틀(220)의 제1성형홈(224) 및 제2차폐형틀(230)의 제2성형홈(234)에 의해 형성된 라이너(130)의 양단부가 노출된다.
이때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주입구 및 상기 배기구가 측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사출용 수지의 잔류 응고물(b)이 파이프의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된 라이너(130)가 구비된 파이프 피팅(100)과 파이프(10) 간을 연결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 용 라이너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된 라이너(130)는 잔류 응고물(b)이 파이프 피팅(10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파이프 피팅(100)과 파이프(10) 연결부(120, 12) 간의 결합 시 라이너(130, 13)의 결합면이 서로 빈틈 없이 밀착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의 경우 잔류 응고물(b)의 상당 부분을 제거한 것으로 하였으나, 잔류 응고물(b)의 제거 과정의 생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 후가공을 필수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다른 형태의 파이프 피팅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타 파이프 피팅 또는 일반적인 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이프 피팅은 파이프 간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도 7의 왼편에 도시된 파이프 피팅은 리듀서(300)이며, 내부에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리듀서(300) 역시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관부(310) 및 상기 도관부(3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타 파이프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라이너(330)가 구비된다.
또한 도 7의 오른편에 도시된 파이프 피팅은 엘보(500)이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바꾸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엘보(500) 역시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관부(510) 및 상기 도관부(5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타 파이프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라이너(530)가 구비된다.
즉 이와 같이 어떤 종류의 파이프 피팅의 경우에도 본 고안을 이용하여 내부에 라이너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이 리듀서(30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역시 전술한 일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구비된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은 내부형틀(410)과, 제1차폐형틀(420)과, 제2차폐형틀(430)을 포함한다.
이때 제1성형홈(424) 및 주입구(422)가 형성된 제1차폐형틀(420)과, 제2성형홈(434) 및 배기구(432)가 형성된 제2차폐형틀(430)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내부형틀(410)은 리듀서(300)의 도관부(3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차폐형틀(420) 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은 경우 역시 전술한 라이너의 각 성형단계를 거쳐 리듀서(300)에 라이너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파이프 피팅 110: 도관부
120: 연결부 130: 라이너
210: 내부형틀 220: 제1차폐형틀
222: 주입구 230: 제2차폐형틀
232: 배기구 b: 잔류 응고물

Claims (5)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타 파이프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피팅의 라이너를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도관부의 내면 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관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형틀;
    상기 도관부의 일측단의 연결부의 타 파이프와 연결되는 면에 라이너를 성형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의 일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 일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의 일측을 차폐하고, 수지 잔류응고물이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라이너의 외측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성형홈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에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제1차폐형틀; 및
    상기 도관부의 타측단의 연결부의 타 파이프와 연결되는 면에 라이너를 성형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형틀의 타측과 상기 파이프 피팅 타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피팅의 타측을 차폐하고, 수지 잔류응고물이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라이너의 외측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성형홈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제2차폐형틀;
    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의 상기 제1성형홈과 연결되는 구간은 상기 제1차폐형틀의 후방의 상기 제1차폐형틀의 상기 연결부와 연접되는 면 상에 홈이 파여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상기 제2성형홈과 연결되는 구간은 상기 제2차폐형틀의 후방의 상기 제2차폐형틀의 상기 연결부와 연접되는 면 상에 홈이 파여 형성되는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형틀은 상기 파이프의 도관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제1성형홈 및 상기 제2성형홈에 연결되는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형틀과 상기 제2차폐형틀은 서로 혼용 가능하도록 동일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KR2020130007226U 2013-08-28 2013-08-28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KR200471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26U KR200471296Y1 (ko) 2013-08-28 2013-08-28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26U KR200471296Y1 (ko) 2013-08-28 2013-08-28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96Y1 true KR200471296Y1 (ko) 2014-02-13

Family

ID=5141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26U KR200471296Y1 (ko) 2013-08-28 2013-08-28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68B1 (ko) 2023-02-08 2023-09-25 유영근 파이프의 라이너 사출 및 플랜지 성형용 금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192A (ja) * 1993-12-09 1995-06-20 Sekisui Chem Co Ltd 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JPH07290496A (ja) * 1994-04-26 1995-11-07 Sekisui Chem Co Ltd ルーズフランジ付き内面樹脂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JPH11348081A (ja) * 1998-06-09 1999-12-21 Central Motor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20100108982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폴리우레탄 코팅층이 성형된 쓰레기 이송용 파이프 및 그 코팅층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192A (ja) * 1993-12-09 1995-06-20 Sekisui Chem Co Ltd 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JPH07290496A (ja) * 1994-04-26 1995-11-07 Sekisui Chem Co Ltd ルーズフランジ付き内面樹脂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JPH11348081A (ja) * 1998-06-09 1999-12-21 Central Motor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20100108982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폴리우레탄 코팅층이 성형된 쓰레기 이송용 파이프 및 그 코팅층 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68B1 (ko) 2023-02-08 2023-09-25 유영근 파이프의 라이너 사출 및 플랜지 성형용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923B1 (en) Process of molding a coupling for interconnecting tubes
US10871253B2 (en) Coupling fitting for pipes
CN104272001B (zh) 聚合物管接头组件
TWI770035B (zh) 樹脂製管接頭的製造方法
CN101755161A (zh) 接头和接合方法
KR20180039637A (ko) 공기 조절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파이프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CN106687732A (zh) 树脂制管接头结构
US20150202810A1 (en) Connector member
JP2019025710A (ja) 樹脂製エルボ継手、樹脂製エルボ継手の製造方法、及びインサート
RU2003115453A (ru) Инжекционное сопло для машин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материала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и соединение сопла и литниковой втулки
KR200471296Y1 (ko) 파이프 피팅용 라이너 사출금형
CN101520090B (zh) 密封环
JP2005163938A (ja) 管継手
US9242549B2 (en) Method of blow molding reservoir, and reservoir made thereby
DE102010014714B4 (de) Verfahren für den Zusammenbau von zwei mittels Blasextrusion hergestellten Kanalabschnitten aus Kunststoff und Steckverbindungssystem
KR101778240B1 (ko) 차량용 공기 도관 및 공기 도관 제조 방법
TWI709708B (zh) 附接頭管
CN104214460A (zh) 缠绕管承插接头
CN205350567U (zh) 一种箍紧塑料管接口处的铸件
CN110805780B (zh) 一种不锈钢管道抢修施工方法
JP5697586B2 (ja) 合成樹脂製中空曲管の製造方法
US202200972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pipe
CN104180116B (zh) 缠绕管连接的方法
JP2019018417A (ja) パイプ構造
US2015036040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ble with resin molde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