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85Y1 -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85Y1
KR200471185Y1 KR2020130007866U KR20130007866U KR200471185Y1 KR 200471185 Y1 KR200471185 Y1 KR 200471185Y1 KR 2020130007866 U KR2020130007866 U KR 2020130007866U KR 20130007866 U KR20130007866 U KR 20130007866U KR 200471185 Y1 KR200471185 Y1 KR 200471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bicycle
coupled
rear wheel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2020130007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6Arrangement of lighting dynamos or drives therefor
    • B62J6/12Dynamos arranged in the wheel hu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0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on vehicles not being driven by a motor, e.g. bicy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36)의 외부에 끼워짐으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구동기어(60)가 위치이탈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걸림부재(62)가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려 회전됨으로, 휠과 구동기어(6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발전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고정축(36)의 외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terminal for bicycle}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기사용량이 많아서, 자주 충전을 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 들어, 자전거를 레저나 출퇴근용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일반적인 차량과 달리, 자전거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개특허 10-2002-0096481호나, 공개실용신안 20-2011-00903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전거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자전거를 타는 동안에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공개특허 10-2002-0096481에 나타난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는 발전기에 구비된 구동휠이 자전거 휠의 림의 측면에 밀착되어, 자전거의 휠이 회전될 때 상기 구동휠이 회전되면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구동휠이 단순히 림의 측면에 밀착됨으로, 구동휠과 림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20-2011-009035호에 나타난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발전기에 구비된 구동스프로켓이 체인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전기의 구동스프로켓과 체인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서 발전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체인이 맞물리도록 하는 부분의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상기 발전기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워서 자전거를 타는 도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발전기나 구동스프로켓의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이 체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자전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핸들(21)이 구비된 포크(20)와, 상기 포크(20)와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륜(31) 및 후륜(32)과,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페달(41)과, 상기 페달(41)과 후륜(32)을 연결하는 체인(42)으로 구성된다.
이때, 자전거의 전륜(31)과 후륜(32)은 중앙부에 좌우방향의 결합공(33a)이 형성된 허브(33)와, 상기 허브(33)에 비해 지름이 큰 링형태로 구성되며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34)과, 양단이 상기 허브(33)와 림(34)에 결합되어 허브(33)와 림(34)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포크(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륜(31)과 후륜(32)은 상기 허브(33)의 결합공(33a)에 결합되는 고정축(36)에 의해 자전거의 포크(20) 또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핸들(21)이 구비된 포크(20)와, 상기 포크(20)와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륜(31) 및 후륜(32)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31) 및 후륜(32)은 중앙부에 좌우방향의 결합공(33a)이 형성된 허브(33)와, 상기 허브(33)에 비해 지름이 큰 링형태로 구성되며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34)과, 양단이 상기 허브(33)와 림(34)에 결합되어 허브(33)와 림(34)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포크(35)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33)의 결합공(33a)에 결합되는 고정축(36)에 의해 자전거의 포크(20) 또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자전거에 있어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동기어(60)와, 상기 구동기어(60)에 연결된 발전기(70)와, 상기 발전기(70)에 연결된 충전회로(8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구동기어(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1)의 일측면과 상기 구동기어(6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축(36)이 관통하는 제1 및 제2 관통공(52,6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1)의 타측면에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축(36)이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52,61)을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스(50)를 자전거의 전륜(31) 또는 후륜(32)과 포크(20) 또는 프레임(10)의 사이에 고정하면,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전륜(31) 또는 후륜(32)에 고정되어, 전륜(31) 또는 후륜(32)의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60)가 함께 회전되면서 발전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는 상기 개구부(5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륜(31) 또는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리는 걸림부재(6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5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52)의 둘레부에서 연장된 지지관체(54)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지지관체(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는 배터리(9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1)에는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된 USB플러그(56)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90)에는 상기 USB플러그(56)에 대응되는 USB단자(91)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상기 결합부(51)에 결합하면 상기 USB플러그(56)와 USB단자(91)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는 탄성이 있는 마찰부재(64)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64)가 전륜(31) 또는 후륜(32)에 구비된 허브(33) 또는 스포크(35)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되며 단부에는 USB단자(101)가 구비된 연결케이블(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36)의 외부에 끼워짐으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구동기어(60)가 위치이탈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걸림부재(62)가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려 회전됨으로, 휠과 구동기어(6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발전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고정축(36)의 외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설치된 자전거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우측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자전거는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핸들(21)이 구비된 포크(20)와, 상기 포크(20)와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륜(31) 및 후륜(32)을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전륜(31) 및 후륜(32)은 중앙부에 좌우방향의 결합공(33a)이 형성된 허브(33)와, 상기 허브(33)에 비해 지름이 큰 링형태로 구성되며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34)과, 양단이 상기 허브(33)와 림(34)에 결합되어 허브(33)와 림(34)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포크(35)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33)의 결합공(33a)에 결합되는 고정축(36)에 의해 자전거의 포크(20) 또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프레임(10)과 후륜(32)의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동기어(60)와, 상기 구동기어(60)에 연결된 발전기(70)와, 상기 케이스(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90)와, 상기 발전기(70)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하는 충전회로(8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는 사각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구동기어(60)가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1)는 원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의 중앙부에는 고정축(36)이 관통하는 제1 결합공(33a)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이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결합공(33a)은 상기 결합부(51)의 좌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3)는 상기 결합부(51)의 우측면에 상기 후륜(32)의 허브(33)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53)를 통해 후륜(32)의 허브(33)가 결합부(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5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52)의 둘레부에서 상기 개구부(53)쪽으로 연장된 지지관체(5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관체(5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이 상기 자전거의 허브(33)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50)를 프레임(10)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지지관체(54)와 허브(33)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는 고정밴드(55)가 구비되어, 케이스(50)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고정축(36)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61)이 좌우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2 관통공(61)이 베어링(63)을 통해 상기 지지관체(54)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0)에서 상기 개구부(53)를 향하는 쪽 측면에는 상기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리는 걸림부재(62)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62)는 상기 구동기어(60)에서 구동기어(60)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62a)와, 상기 연장부(62a)의 외측단에서 상기 스포크(35)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62b)로 구성되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50)를 프레임(10)과 후륜(32)의 사이에 결합하면 상기 걸림부(62b)가 스포크(35)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70)는 증속기어(71)를 통해 상기 구동기어(6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60)가 회전되면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90)는 반복해서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51)에는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된 USB플러그(56)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90)에는 상기 USB플러그(56)에 대응되는 USB단자(91)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상기 결합부(51)에 결합하면 상기 USB플러그(56)와 USB단자(91)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전회로(80)는 상기 발전기(70)에서 출력되는 전기의 전압을 일반적인 USB전원과 동일한 5V로 변압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90)의 충전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배터리(90)가 완전히 충전되면 상기 배터리(9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90)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축(36)을 분리하여 후륜(32)을 자전거의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53)가 상기 후륜(32)의 허브(33)를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50)를 프레임(10)과 후륜(32)의 사이에 끼운 후, 상기 고정축(36)을 상기 후륜(32)의 결합공(33a)에 다시 재결합하여, 자전거의 후륜(32)을 다시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축(36)은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52,61)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50) 및 구동기어(60)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밴드(55)를 이용하여 케이스(50)를 프레임(10)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62)가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리도록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전거의 페달을 밟아 상기 후륜(32)이 회전되면서 자전거가 전진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62)와 함께 구동기어(60)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발전기(70)가 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36)의 외부에 끼워짐으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구동기어(60)가 위치이탈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걸림부재(62)가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려 회전됨으로, 휠과 구동기어(6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발전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고정축(36)의 외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52)의 둘레부에서 연장된 지지관체(54)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지지관체(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 구동기어(6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는 배터리(9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1)에는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된 USB플러그(56)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90)에는 상기 USB플러그(56)에 대응되는 USB단자(9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90)를 상기 결합부(51)에 결합하면 상기 USB플러그(56)와 USB단자(91)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충전된 배터리(90)를 분리한 후, 배터리(90)의 USB단자(91)에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USB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자전거의 프레임(10)과 후륜(32)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자전거의 포크(20)와 전륜(31)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70)는 증속기어(71)를 통해 상기 구동기어(60)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증속기어(71)의 구조를 배제하고, 상기 발전기(70)의 회전자를 상기 구동기어(60)와 동축선상에 배치하여 상기 발전기(70)의 회전자가 상기 구동기어(60)에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0)는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재(62)에 의해 상기 후륜(32)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 마찰부재(64)를 구비하여, 상기 마찰부재(64)가 상기 후륜(32)에 구비된 허브(33) 또는 스포크(35)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전륜(31) 또는 후륜(32)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64)는 탄성이 있으면서 질긴 고무재질의 링형태 또는 디스크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걸림부재(62)를 이용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상기 구동기어(60)에 균일한 힘이 가해져 구동기어(6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일측으로 연장된 걸림부재(62)가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려 구동기어(6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 상기 구동기어(60)에 편하중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시간이 경과되면 구동기어(60) 또는 구동기어(60)를 지지하는 베어링(63)이 손상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기어(60)에 구비된 마찰부재(64)를 이용하여 구동기어(60)가 후륜(32)의 허브(33) 또는 스포크(35)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구동기어(60) 전체에 균일한 외력이 가해짐으로 구동기어(60)나 베어링(63)이 빠르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마찰부재(64)는 탄성이 있음으로, 마찰부재(64)가 허브(33) 또는 스포크(35)에 밀착될 때, 마찰부재(64)가 허브(33) 또는 스포크(35)에 대응되어 변형됨으로, 상기 허브(33) 또는 스포크(35)의 형태와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에 USB단자(101)가 구비된 연결케이블(100)을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연결케이블(100)의 USB단자(101)에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USB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50. 케이스 60. 구동기어
70. 발전기 80. 충전회로
90. 배터리 100. 충전케이블

Claims (6)

  1.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핸들(21)이 구비된 포크(20)와,
    상기 포크(20)와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륜(31) 및 후륜(32)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31) 및 후륜(32)은
    중앙부에 좌우방향의 결합공(33a)이 형성된 허브(33)와,
    상기 허브(33)에 비해 지름이 큰 링형태로 구성되며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34)과,
    양단이 상기 허브(33)와 림(34)에 결합되어 허브(33)와 림(34)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포크(35)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33)의 결합공(33a)에 결합되는 고정축(36)에 의해 자전거의 포크(20) 또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자전거에 결합되는 것으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동기어(60)와,
    상기 구동기어(60)에 연결된 발전기(70)와,
    상기 발전기(70)에 연결된 충전회로(8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구동기어(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1)의 일측면과 상기 구동기어(6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축(36)이 관통하는 제1 및 제2 관통공(52,6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1)의 타측면에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축(36)이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52,61)을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스(50)를 자전거의 전륜(31) 또는 후륜(32)과 포크(20) 또는 프레임(10)의 사이에 고정하면,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전륜(31) 또는 후륜(32)에 고정되어,
    전륜(31) 또는 후륜(32)의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60)가 함께 회전되면서 발전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는 상기 개구부(5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륜(31) 또는 후륜(32)의 스포크(35)에 걸리는 걸림부재(6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52)의 둘레부에서 연장된 지지관체(54)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지지관체(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1)에는 배터리(9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된 USB플러그(56)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90)에는 상기 USB플러그(56)에 대응되는 USB단자(91)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상기 결합부(51)에 결합하면 상기 USB플러그(56)와 USB단자(91)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60)의 측면에는 탄성이 있는 마찰부재(64)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64)가 전륜(31) 또는 후륜(32)에 구비된 허브(33) 또는 스포크(35)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80)에 연결되며 단부에는 USB단자(101)가 구비된 연결케이블(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20130007866U 2013-09-24 2013-09-24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0471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866U KR200471185Y1 (ko) 2013-09-24 2013-09-24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866U KR200471185Y1 (ko) 2013-09-24 2013-09-24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85Y1 true KR200471185Y1 (ko) 2014-02-11

Family

ID=5141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866U KR200471185Y1 (ko) 2013-09-24 2013-09-24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9915A (zh) * 2016-12-29 2017-08-18 天津佰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健身充电电动自行车的电池
KR20190009858A (ko) * 2017-07-19 2019-01-30 주식회사 에이치나인헬스케어 헬스효과·에너지하베스팅효과로 이루어진 투이펙트형 실내스크린자전거 시뮬레이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44Y1 (ko) * 2000-06-03 2000-12-01 남기식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KR20020096481A (ko) * 2001-06-20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20060040908A (ko) * 2004-11-08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전거 발전기를 이용한 단말기 충전 장치
KR100940743B1 (ko) 2009-08-04 2010-02-04 안광현 자전거 충전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44Y1 (ko) * 2000-06-03 2000-12-01 남기식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KR20020096481A (ko) * 2001-06-20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20060040908A (ko) * 2004-11-08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전거 발전기를 이용한 단말기 충전 장치
KR100940743B1 (ko) 2009-08-04 2010-02-04 안광현 자전거 충전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9915A (zh) * 2016-12-29 2017-08-18 天津佰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健身充电电动自行车的电池
KR20190009858A (ko) * 2017-07-19 2019-01-30 주식회사 에이치나인헬스케어 헬스효과·에너지하베스팅효과로 이루어진 투이펙트형 실내스크린자전거 시뮬레이터장치
KR101993162B1 (ko) 2017-07-19 2019-06-27 주식회사 에이치나인헬스케어 헬스효과·에너지하베스팅효과로 이루어진 투이펙트형 실내스크린자전거 시뮬레이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6758B2 (ja) ハブ装置および関連システム
US8702549B2 (en) Vehicle drive unit
US20220281552A1 (en) Electric balance bike
US20120306327A1 (en) Electricity generating bicycle wheel assemblies
KR200471185Y1 (ko)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N103502089B (zh) 可拆卸地连接于现有轮子侧面的圆盘装置
JP2019038423A (ja) 自転車用コネクタ
CN108539922B (zh) 一种多功能自行车发电装置
KR101384952B1 (ko) 모터사이클에 모터사이클엔진과 모터가 구비되어 구동되는 혼성동력전달시스템
KR20100120967A (ko) 자전거 안장 자가발전기
CN107021179B (zh) 单向集成式力矩感应电机及助力骑行装置
CN203294252U (zh) 一种发电自行车
US11128238B2 (en) Wheel and cycle
KR101365157B1 (ko) 자전거용 비접촉식 발전장치
KR20160107135A (ko) 자전거용 스마트 발전기
CN202439793U (zh) 一种可自动充电自行车
CN214985782U (zh) 一种分体式自行车灯支架
CN105416498A (zh) 一种多功能自行车
KR101735215B1 (ko)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KR20110009035U (ko) 자전거용 자가 발전 및 충전 장치
CN205792024U (zh) 一种自行车超低速无刷感应发电装置
CN210211885U (zh) 滑板车轮毂组件
KR101097775B1 (ko) 발전기가 구비된 전동 자전거
CN202872550U (zh) 健身车轮毂发电机
CN203832692U (zh) 电池防盗型电动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