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215B1 -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 Google Patents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215B1
KR101735215B1 KR1020150190025A KR20150190025A KR101735215B1 KR 101735215 B1 KR101735215 B1 KR 101735215B1 KR 1020150190025 A KR1020150190025 A KR 1020150190025A KR 20150190025 A KR20150190025 A KR 20150190025A KR 101735215 B1 KR101735215 B1 KR 10173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rged
connecting member
who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083A (ko
Inventor
성태현
성모세
황성주
안정환
조대흥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0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6Arrangement of lighting dynamos or drives therefor
    • B62J6/08Tyr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2J2099/004
    • B62J2300/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1 대전체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2 대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가 이웃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마찰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기 위해, 상기 제1 대전체와 상기 제2 대전체는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접촉될 수 있고, 서로 상대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대전체와 제2 대전체는 마찰되어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은 프레임, 바퀴,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1 대전체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2 대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는 허브, 타이어, 림 및 스포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대전체와 제2 대전체는 외력에 의해 상대 운동하여 서로 마찰되고, 마찰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어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발전이 가능한 발전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TRIBOELECTRIC EFFEC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운송수단인 자전거의 바퀴에 설치되는 양극으로 대전되는 대전체 및 음극으로 대전되는 대전체가 마찰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이 개시된다.
자전거 이용자들은 야간 주행 시 안전과 시야확보를 위하여 LED와 같은 조명장치를 이용하고 또한, 자전거를 이용한 여행이 빈번해 지면서 다양한 도구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출력도구를 비롯하여, GPS, 네비게이션, 속도계, 열선과 같은 장치 등이 이용된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기기는 전력소모가 크기 때문에, 이용자가 자전거를 주행하며 지속적으로 상기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물건이나 방법들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운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사람의 힘으로 운전되는 기계이다. 바퀴 두 개를 연결한 구조 위에 안장을 두어 사람이 올라탈 수 있다. 자전거의 기본 구동 원리는 사람이 발로 밟는 힘을 페달, 크랭크, 체인을 거쳐 뒷바퀴에 전달하는 것이다. 자전거는 사용자가 페달을 밟으면 체인 휠 중 한 개의 스프라켓이 회전하게 되고, 체인 휠 주위를 감싸고 있는 체인은 뒷바퀴의 작은 스프라켓에 연결되어 뒷바퀴가 구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바퀴는 지속적으로 회전되며,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는 2000년 8월 2일에 출원된 한국특허공고번호 제0206911호 '자전거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충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운송수단을 이용하며 GPS,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충전기 등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작은 힘으로도 발전이 가능하여 여성과 어린아이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운송수단인 자전거에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바퀴 내부에 설치하여 운송수단이 진행할 때, 발전장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저항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운송수단이 멈춘 상태에서도 전력이 생산될 수 있는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1 대전체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2 대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가 이웃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마찰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기 위해, 상기 제1 대전체와 상기 제2 대전체는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접촉될 수 있고, 서로 상대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대전체와 제2 대전체는 마찰되어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2 대전체는 제1 대전체에 대하여 왕복하는 직선 운동으로 마찰 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제1 대전체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요소, 및 제2 대전체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요소 및 제2 연결요소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지속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서로 접촉 및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2 대전체는 제1 대전체에 대하여 동 축으로 회전되어서 마찰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는 판형일 수 있고, 상기 제1 대전체의 평탄한 면과 상기 제2 대전체의 평탄한 면이 서로 접촉하여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장치는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부재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은 프레임, 바퀴,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1 대전체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2 대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는 허브, 타이어, 림 및 스포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대전체와 제2 대전체는 외력에 의해 상대 운동하여 서로 마찰되고, 마찰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어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는 상기 림 및 스포크로 둘러 쌓인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허브 또는 림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2 대전체는 제1 대전체에 대하여 왕복직선 운동으로 마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는 상기 타이어, 림 또는 스포크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대전체는 제1 대전체와 접촉되도록 프레임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자전거, 스쿠터, 오토바이 등의 운송수단을 운행하면서 GPS,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충전기 등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작은 힘으로도 발전이 가능하며, 자전거에 적용 가능해서 여성과 어린아이들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바퀴 내부에 설치 가능하여서 저항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바람의 영향으로 발전될 수 있기 때문에, 운송수단이 멈춰있는 상태에서도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직선운동을 통해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한 운송수단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한 운송수단의 바퀴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도시한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직선운동을 통해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100)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를 이웃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대전체(110)는 상기 제2 대전체(120)와의 접촉으로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될 수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대전체(120)는 상기 제1 대전체(110)와의 접촉으로 제1 대전체(110)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2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는 접촉되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130)를 기준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서로 마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직선운동을 통해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100)에서 연결부재(130)에는 제1 대전체(110)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연결요소(132), 및 제2 대전체(120)와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요소(134)를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1 연결요소(132) 및 제2 연결요소(134)는 연결부재(13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요소(132) 및 제2 연결요소(134)는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의 단부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를 상기 제1 연결요소(132) 및 제2 연결요소(134)를 기준으로 선회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서로 접촉되어 왕복직선 운동 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왕복직선 운동을 통하여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는 마찰되고,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기 연결부재(130)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제1 대전체(110)와 연결부재(130)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연결요소(132), 상기 제2 대전체(120)와 연결부재(130)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제2 연결요소(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요소(132) 및 제2 연결요소(134)는 이격 배치되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서로 병진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발전장치(100)는 상기 연결부재(130)를 기준으로 접촉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오른편으로 기울어지는 상태이다. 이때, 도 1a에 도시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 화살표는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오른편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움직임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1b에 도시된 발전장치(100)는 상기 연결부재(130)를 기준으로 접촉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왼편으로 기울어지는 상태이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 화살표는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왼편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렇듯,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외력에 의해 왼편 또는 오른편으로 번갈아 기울어지면, 제1 대전체(110)는 제2 대전체(12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마찰되게 되고 마찰전기를 발전시키게 된다.
상기 발전장치(100)는 발생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부재 또는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부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의 일부분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대전체는 동 축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대전체에 대하여 동 축으로 회전 될 수 있고, 회전 시에 상기 제1 대전체및 제2 대전체의 접촉면에서는 마찰이 일어나므로, 마찰전기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판형으로 구성된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는 원심에 해당하는 위치를 관통하는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제1 대전체및 제2 대전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한 운송수단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상기 설명되고, 도 1에서 도시된 왕복직선 운동을 통해 마찰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100)를 구비한 운송수단(1000)인 자전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송수단(1000)이 자전거로 표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운송수단(1000)은 이륜차, 자동차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운송수단(1000)인 자전거는 크게 프레임(1100), 바퀴(1200), 페달, 크랭크, 체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로 밟는 힘을 페달, 크랭크, 체인을 거쳐 뒷바퀴에 전달하는 단계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될 수 있다.
상기 바퀴(1200)는 허브(1210), 림(1220), 스포크(1230) 및 타이어(1240)을 포함하며, 허브(121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허브(1210)는 바퀴 축을 의미하며, 상기 바퀴(1200)의 원심에서 바퀴(1200)가 회전될 수 있게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1230)는 바퀴 살을 의미하며, 상기 바퀴(1200)의 허브(1210)와 타이어(1240)를 연결하고, 상기 허브(1210)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림(1220)은, 상기 타이어(1240) 및 스포크(1230)의 사이에 배치되며, 타이어(124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수단(1000)인 자전거에는 발전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 대전체(110)는 상기 제2 대전체(120)와의 접촉으로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대전체(120)는 상기 제1 대전체(110)와의 접촉으로 제1 대전체(110)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퀴(1200)사이에서, 상기 허브(12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형으로 배치된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는 외력의 작용으로 상대운동과 마찰 및 대전으로 마찰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은 바람일 수 있고, 상기 운송수단(1000)인 자전거가 주행 중일 때 생기는 공기의 저항 또는 관성력 등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한 운송수단의 바퀴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바퀴(1200)는 상기 림(1220)과 스포크(1230)로 둘러 쌓인 내부공간(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A)에는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를 허브(1210) 또는 림(1220)에 배치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30)도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30)는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를 서로 접촉하여 도 3a와 도3b와 같이 좌우로 운동 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는 좌우로의 운동을 통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제1 대전체(110) 및 제2 대전체(120)의 마찰은 마찰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도시한다.
제1 대전체(210) 및 제2 대전체(220)는 바퀴(1200)의 일부 또는 프레임(1100)의 일부에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접촉되어 마찰 가능하도록 배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대전체(210)는 양극을 구비하여 바퀴(1200)의 림(122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대전체(220)는 음극을 구비하여 림(1220)에 대응되는 위치이며 접촉되어 마찰 가능한 위치인 브레이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1 대전체(310)는 양극을 구비하여 바퀴(1200)의 스포크(1230)에 배치되거나 구비될 수 있고, 제2 대전체(320)는 음극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대전체와 대응되는 위치이며 접촉되어 마찰 가능한 위치인 프레임(1100)의 체인 스테이, 시트 스테이 또는 서스펜션 포크 등에 배치되거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4, 도 5 및 두 실시예에서는 제1 대전체(210, 310)가 양극을 구비하고 제2 대전체(220, 310)가 음극을 구비하는 것으로 표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발전이 가능한 발전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공기저항 및 마찰저항의 큰 변화 없이 발전을 할 수 있고, 작은 힘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자전거가 멈춰있는 상태에서도 발전이 가능하고, 자전거를 이용하면서 GPS,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충전기 등의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발전장치
110 : 제1 대전체
120 : 제2 대전체
130 : 연결부재
132 : 제1 연결요소
134 : 제2 연결요소
210 : 제1 대전체
220 : 제2 대전체
310 : 제1 대전체
320 : 제2 대전체
1000 : 운송수단
1100 : 프레임
1200 : 바퀴
1210 : 허브
1220 : 림
1230 : 스포크
1240 : 타이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허브, 림, 스포크 및 타이어를 포함하는 바퀴;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1 대전체와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2 대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체와 상기 제2 대전체는 외력에 의해 상대 운동하여 서로 마찰되고, 마찰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어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바퀴는 상기 림과 스포크로 둘러 쌓인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가 접촉되어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허브 또는 림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2 대전체는 제1 대전체에 대하여 왕복직선 운동으로 마찰되도록 형성되는, 운송수단.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운송수단.

  10. 삭제
KR1020150190025A 2015-07-09 2015-12-30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KR101735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7718 2015-07-09
KR1020150097718 2015-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83A KR20170007083A (ko) 2017-01-18
KR101735215B1 true KR101735215B1 (ko) 2017-05-12

Family

ID=5799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025A KR101735215B1 (ko) 2015-07-09 2015-12-30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191A (zh) * 2019-05-22 2020-06-23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海洋能开发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2138A1 (en) 2013-03-01 2014-10-0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Rotating Cylindrical and Spherical Triboelectric Generators
US20150035408A1 (en) 2012-03-05 2015-02-0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 Alt Electrostatic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mechanical energy by triboelectric effe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5408A1 (en) 2012-03-05 2015-02-0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 Alt Electrostatic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mechanical energy by triboelectric effect
US20140292138A1 (en) 2013-03-01 2014-10-0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Rotating Cylindrical and Spherical Triboelectric Generato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 Yang et al. "Harvesting Energy from the Natural Vibration of Human Walking". ACS NANO. 2013.
X.S. Meng et al. "Fully enclosed bearing-structured self-power rotation sensor based on electrification at rolling interfaces for multi-tasking motion measurement". Nano Energy. January, 20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191A (zh) * 2019-05-22 2020-06-23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海洋能开发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83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168B2 (en) Tire actuated generator for use on cars
CN105539672A (zh) 一种电动平衡两轮车
US9139253B2 (en) Electric bicycle
US6786796B2 (en) Radio-controlled two-wheeled vehicle toy
US20140085914A1 (en) Contactless Generator, Component Therein and Application Thereof
CN104527909A (zh) 用重心控制的空心无辐独轮自平衡电动车及其控制方法
US20100270871A1 (en) Electric generating system of a vehicle
CN203888957U (zh) 一种两轮自平衡电动车的车架总成
CN204659944U (zh) 具有导航和发电功能的自行车
KR101735215B1 (ko)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CN102139730B (zh) 智能自平衡运输工具
KR101431979B1 (ko)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US9755481B2 (en) Energy-generating scooter-mounted apparatus
KR101365157B1 (ko) 자전거용 비접촉식 발전장치
CN112955372B (zh) 立式独轮车传动装置
CN204998712U (zh) 节能自发电电动自行车
CN208343817U (zh) 一种车轮及自行车
KR200484402Y1 (ko) 자전거용 발광등
KR101104323B1 (ko)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용 발전장치
KR200471185Y1 (ko) 자전거용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130119724A (ko) 자전거의 자가 발전장치
CN203652018U (zh) 两轮电动车
KR200478310Y1 (ko) 휠 라이트
JP2001115945A (ja) 乗物搭載型風力発電装置
KR20150010286A (ko) 자전거에 장착되는 무저항 자가발전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