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77Y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877Y1 KR200470877Y1 KR2020090016991U KR20090016991U KR200470877Y1 KR 200470877 Y1 KR200470877 Y1 KR 200470877Y1 KR 2020090016991 U KR2020090016991 U KR 2020090016991U KR 20090016991 U KR20090016991 U KR 20090016991U KR 200470877 Y1 KR200470877 Y1 KR 2004708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switch
- block
- housing
- switch
- part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2—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preassembl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블록 스위치가 안착되는 블록 스위치 안착부와, 상기 블록 스위치가 관통 배치되는 블록 스위치 관통부를 구비하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및 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블록 스위치 안착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상기 블록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플랫을 구비하는 하우징 격벽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위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조의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축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리 스위치들이외에도 단순한 동작, 즉 푸시 동작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 타입의 버튼 스위치도 있는 등, 스위치류에 대한 활발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의 경우, 푸시 상태의 선택, 즉 가동 상태 및 원위치 상태로의 절환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하트 캠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하트 캠 스위치 절환 구조의 경우 일체화되지 않은 구성으로 인하여 조립시 상당한 집중력을 요하므로 작업 속도 저감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복수 개의 블록을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대쉬 보 드에 장착되고 각각의 블록 스위치는 개별 동작이 가능하다. 즉, 블록 스위치는 푸시 동작 등을 이루어 차량 실내 환기 등의 작동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푸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의 동작시 인접한 다른 블록 스위치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오조작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의 사이에는 격벽이 구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격벽은 스위치 장치의 하우징에 개별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이러한 구조는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증대시키고, 각각의 격벽의 장착 구조의 사출 생산 내지 작업이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격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격벽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블록 스위치가 안착되는 블록 스위치 안착부와, 상기 블록 스위치가 관통 배치되는 블록 스위치 관통부를 구비하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및 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블록 스위치 안착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상기 블록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플랫을 구비하는 하우징 격벽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격벽부는: 상기 블록 스위치 하 우징의 상기 블록 스위치 안착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는 격벽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 플랫은 상기 격벽 프레임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격벽 플랫을 수용하는 격벽 플랫 관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격벽 프레임을 맞물림시키는 프레임 홀더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홀더부는 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격벽 플랫을 구비하는 하우징 격벽부가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배면 측에서 장착됨으로써 작업 공정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격벽 프레임과 격벽 플랫이 일체화된 구조를 통하여 작업 속도를 증진시켜 생산 원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프레임 홀더부를 통하여 가조립 상태 형성을 이룸으로써 조립 공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격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격벽부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는,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1)와,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과 하우징 격벽부(20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의 대쉬 보드 내지 센터페시아 등에 배치되어 운전자 내지 보조 탑승자가 푸시 동작을 통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이다.
블록 스위치(1)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각각의 블록 스위치(1)는 블록 타입으로 구현되어 개별 동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블록 단위의 블록 스위치(1)는 개별 블록 단위로 구현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블록 스위치(1)는 스크롤 블록 스위치(1a)와 푸시 블록 스위치(1b)와 더미 블록 스위치(1c)를 포함한다.
스크롤 블록 스위치(1a)는 스크롤 휠(2)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을 통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 생성을 이룰 수 있고, 푸시 블록 스위치(1b)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압력에 따라 푸시 동작을 이루는 푸시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된다.
푸시 블록 타입의 푸시 블록 스위치(1b)는 각각 운전자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직 가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소정의 푸시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양한 차량에의 적용 범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블록 스위치(1)는 더미 블록 스위치(1c)를 포함할 수 있는데, 더미 블록 스위치(1c)는 필요한 개수보다 작은 개수의 블록 스위치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장착 영역을 밀폐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 타입의 블록 스위치(10)는 통상적인 블록 단위 블록 스위치와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1)를 수용하고,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은 차량에 장착된다.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은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와 블록 스위치 관통부(103)가 배치되는데,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에는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1)가 안착되고 블록 스위치 관통부(103)는 블록 스위치 안 착부(102)에 배치되어 블록 스위치(1)의 관통 배치를 허용한다.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일면에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 개구부(101)가 형성되는데, 블록 스위치 하우징 개구부(101)의 내측에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가 배치된다.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일면과 단차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단차 형성되는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에 블록 스위치(1)의 일단이 안착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에는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 관통부(103)가 형성되는데, 블록 스위치 관통부(103)에 블록 스위치(1)의 단부가 관통 배치된다. 블록 스위치 관통부(103)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블록 스위치(1)의 단부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커넥터(미도시)와 접속되어 블록 스위치(1)를 통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하우징 격벽부(200)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1) 사이를 분리 이격시킨다. 하우징 격벽부(200)를 통하여 개별 블록 스위치(1)를 조작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블록 스위치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오조작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격벽부(200)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블록 스위치 안착부(102)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1)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플랫(220)을 구비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격벽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블록 스위치 하우징 개구부(101)가 형성된 일면 의 반대면 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격벽부(200)는 격벽 프레임(210)과 격벽 플랫(220)을 구비하는데, 격벽 플랫(22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격벽 프레임(210)에 일체로 연결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된다.
격벽 프레임(210)은 사각형 프레임 타입으로 구현되고, 격벽 프레임(210)에는 복수 개의 격벽 플랫(220)이 배치되는데, 격벽 플랫(220)과 격벽 프레임(210)은 격벽 프레임 관통구(211)를 구획한다.
격벽 프레임 관통구(211)는 블록 스위치(1)의 개수만큼 배치되고, 격벽 프레임 관통구(211)를 통하여 블록 스위치(1)의 타단이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미도시)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 플랫(220)은 격벽 프레임(210)과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어 신속한 작업 공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정원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격벽 플랫(220)의 대응되는 위치로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격벽 플랫(220)의 관통을 허용하는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즉,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블록 스위치 하우징 개구부(101)의 내측에 배치되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 안착부(10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 스위치 하우징 관통부(103)가 배치되는데, 블록 스위치 하우징 관통구(103)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 안착부(10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 리브(104)에 의하여 구획된다.
블록 스위치 하우징 리브(10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구로서 격벽 플랫 관통구(110)가 형성되는데, 격벽 플랫(220)은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격벽 플랫 관통구(110)를 관통하여 블록 스위치 하우징 개구부(101) 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써 블록 스위치 하우징 안착부(102)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1) 사이에 배치되어 개별 블록 스위치(1)의 동작시 인접한 블록 스위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 격벽부(200)를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과 안정적으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유니트(10)는 프레임 홀더부(120)를 구비하는데, 프레임 홀더부(120)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과 하우징 격벽부(200)의 격벽 프레임(210)을 맞물림시켜 상대 위치 변동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홀더부(120)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 측에 배치되는데, 프레임 홀더부(120)에 의하여 하우징 격벽부(200)가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고, 도 5에는 프레임 홀더부(120)의 위치 상태가 도시된다. 프레임 홀더부(120)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하단 측부에 배치되는데, 프레임 홀더부(120)는 쐐기 형상으로 구비된다.
하우징 격벽부(200)의 격벽 프레임(210)이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의 타면 측에 배치되는 경우, 격벽 프레임(210)이 프레임 홀더부(120)에 삽입 배치되고, 격벽 플랫(220)이 격벽 플랫 관통구(110)를 관통하여 삽입 배치되는 경우 쐐기 타입의 프레임 홀더부(120)에 의하여 격벽 프레임(210)이 체결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블록 스위치 하우징(100)과 하우징 격벽부(200)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완제품 조립을 위한 가공정시 블록 스위치 하우징과 하우징 격벽부의 체결 구조를 통하여 원활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홀더부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 측에 배치되었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격벽 프레임의 외측에 프레임 홀더부가 돌출 형성되고 블록 스위치 하우징 측으로 프레임 홀더부 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 홀더부 대응부가 형성되어 맞물림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블록 스위치 하우징과 하우징 격벽부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등, 요구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격벽 플랫이 격벽 플랫 관통구에 압입 체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양자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는 등 격벽 플랫을 구비하는 하우징 격벽부가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격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격벽부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블록 스위치 10...스위치 유니트
100...블록 스위치 하우징 200...하우징 격벽부
210...격벽 프레임 220...격벽 플랫
Claims (5)
- 복수 개의 블록 스위치;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블록 스위치가 안착되는 블록 스위치 안착부와, 상기 블록 스위치가 관통 배치되는 블록 스위치 관통부를 구비하는 블록 스위치 하우징;및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블록 스위치 안착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상기 블록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플랫을 구비하는 하우징 격벽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 격벽부는: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블록 스위치 안착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는 격벽 프레임을 구비하고,상기 격벽 플랫은 상기 격벽 프레임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격벽 플랫을 수용하는 격벽 플랫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격벽 프레임을 맞물림시키는 프레임 홀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 홀더부는 상기 블록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991U KR200470877Y1 (ko) | 2009-12-29 | 2009-12-29 | 스위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991U KR200470877Y1 (ko) | 2009-12-29 | 2009-12-29 | 스위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762U KR20110006762U (ko) | 2011-07-06 |
KR200470877Y1 true KR200470877Y1 (ko) | 2014-01-14 |
Family
ID=4556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6991U KR200470877Y1 (ko) | 2009-12-29 | 2009-12-29 | 스위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877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2201A (ja) * | 2004-07-20 | 2006-02-02 | Asahi Denso Co Ltd | 車両用スイッチ装置 |
JP2006134822A (ja) * | 2004-11-09 | 2006-05-25 | Alps Electric Co Ltd | 照光プッシュスイッチユニット |
KR20090012355U (ko) * | 2008-05-30 | 2009-12-0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자동차용 오디오 프론트패널 |
-
2009
- 2009-12-29 KR KR2020090016991U patent/KR2004708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2201A (ja) * | 2004-07-20 | 2006-02-02 | Asahi Denso Co Ltd | 車両用スイッチ装置 |
JP2006134822A (ja) * | 2004-11-09 | 2006-05-25 | Alps Electric Co Ltd | 照光プッシュスイッチユニット |
KR20090012355U (ko) * | 2008-05-30 | 2009-12-0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자동차용 오디오 프론트패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762U (ko) | 2011-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0132035A (ja) |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 |
US7040686B2 (en) | Integrated center stack electronic module retention system | |
US8820781B2 (en) | Attachment structure for driver seat airbag device | |
KR200470877Y1 (ko) | 스위치 장치 | |
KR200441295Y1 (ko) | 스위치 모듈 | |
US5887704A (en) | Switch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ontrol panel | |
JP6876748B2 (ja) | スイッチ取付構造 | |
US7279648B2 (en) |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 |
JP2012208821A (ja) | つまみ装置 | |
WO2018030335A1 (ja) | 車載部品 | |
KR101110451B1 (ko) |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
JP5071716B2 (ja) | 車両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 |
EP2862191B1 (en) | Switch configuration | |
KR101171559B1 (ko) |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 |
EP3176031B1 (en) | Foot-rest structure for the driving side of the floor of a motor vehicle | |
KR20070014274A (ko) | 자동차 공조장치용 콘트롤러 | |
CN114401878B (zh) | 转向柱 | |
JP2000311750A (ja) |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ネクタの固定構造 | |
JP2019055615A (ja) | センタークラスタパネルの取付構造 | |
US20070051607A1 (en) | Push-button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 |
JP7192428B2 (ja) |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 |
JP6824308B2 (ja)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部材取付構造 | |
JP7163736B2 (ja) |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 |
KR100828604B1 (ko) | 차량용 콘솔박스의 조립체 | |
JP6720793B2 (ja) |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