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65Y1 - 신발털이장치 - Google Patents

신발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65Y1
KR200470865Y1 KR2020120009294U KR20120009294U KR200470865Y1 KR 200470865 Y1 KR200470865 Y1 KR 200470865Y1 KR 2020120009294 U KR2020120009294 U KR 2020120009294U KR 20120009294 U KR20120009294 U KR 20120009294U KR 200470865 Y1 KR200470865 Y1 KR 200470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e
water tank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엘
Priority to KR2020120009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4Rigid cleaning-gratings; Tread plates or scrapers for cleaning the soles of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털이판 하부로 물이 흐르도록 설계하여 에어분사로 제거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장치 작동시 먼지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순환시스템을 채용하여 사용된 물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종국적으로는 효율적 이물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면을 기대할 수 있는 에어와 물이 함께 이용되는 신발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털이장치{SHOES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신발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분사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존 장치 작동시 주변에 이물질이 튀고 먼지가 날리는 현상이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털이판 하부로 물이 흐르도록 설계하여 에어분사로 제거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장치 작동시 먼지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순환시스템을 채용하여 사용된 물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종국적으로는 효율적 이물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면을 기대할 수 있는 에어와 물이 함께 이용되는 신발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에서 골프를 치기 위해서는 골프 운동에 적합한 골프복과 골프화를 신게 되고, 상기 골프화를 신은 상태에서 야외 필드를 돌아다니게 된다.
즉 골프를 치기 위해서는 잔디가 심어진 야외를 골프화를 신고 통상적으로 전후반 18홀을 걸어다녀야 하기 때문에 골프화 및 골프복에는 많은 흙 또는 잔디가 묻게 됨으로써 이를 신고 실내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들어가기 전 야외에서 흙 내지 잔디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야 한다.
특히 골프화는 드라이버를 안정된 자세에서 스윙해야하기 때문에 신발 저면에 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파이크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스파이크들 사이에 잔디 또는 흙이 많이 묻기 때문에 골프화에 묻은 흙을 털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흙을 털어내기 위한 강한 에어 분사 등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통상적으로 흙이나 잔디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해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는 신발털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이는 금속재로 제작됨과 아울러 창살 형태로 형성된 상판(1)과, 상기 상판이 결합되도록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골프화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통(2)과, 그리고 전방에는 고압의 공기 분사를 위한 에어건(3)이 구비된 구조로 통상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상기 상판에 올라와 에어건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켜 골프화 저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골프화만이 아니라 골프복에도 공기를 분사시켜 옷에 묻은 이물질을 함께 제거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조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284478호(2002.07.23) 야외용 신발 및 의복 털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84478호는 전술된 구조에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광고를 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하고 있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20-0284478호를 비롯한 기존의 신발털이장치는 단순히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여서 신발에서 떨어진 이물질은 저장통에 저장되기 보다는 대부분이 고압의 공기 분사로 인해 주변으로 날리게 되고, 주변 사람들은 이로 인해 또 다른 피해를 입게 된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한편으로 등록특허 제10-0841258호(2008.06.19)신발털이장치도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신발 등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수단을 별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단순히 떨어진 이물질을 아래의 저장통에 저장하는 것보다는 흡입수단을 통해 인위적으로 저장통에 저장하도록 설계된 것이어서 주변 먼지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수단 구동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하는바, 장치 가동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 소모가 예견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물을 이용한 신발털이장치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47495호(2010.01.20)흙,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발판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고압의 공기 분사가 아니라 털이판에 신발을 비비게 하고, 털이판 하부에는 물이 흐르도록 설계하여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먼지가 흐르는 물을 타고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물을 이용하여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출한다는 점에서는 이하 설명할 본원고안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원고안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물을 이용하고 친환경적인 설계방식을 채택하고, 나아가 이물질 분리작업 역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47495호와의 차별화가 인정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내지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의 에어 및 물의 동시 분사를 통해 떨어진 흙이나 잔디 등의 이물질이 주변으로 날리지 않고 아래에 구비된 물에 흘러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일단 흐른 물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물질은 물과 분리시켜 배출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된 신발털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된 물을 버리지 않고 순환시켜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고, 나아가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진 신발털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배출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신발털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발털이장치는 에어와 물이 함께 이용되는 장치인 것으로,
전방에 물탱크 수용을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면에 형성된 경사부에 구비되는 털이판과,
상기 털이판 하부에 위치하는 물흐름경사판과,
상기 물흐름경사판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로와,
상기 저장로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회수시키는 회수로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대상체에 묻는 이물질털이를 위한 에어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수로는 저장로와 물탱크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저장로에서 물탱크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형태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물흐름경사판 단부에서 연결되어 흘러내린 물은 저장로로 관통시키고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거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름부는 베이스로부터 탈착되는 구조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에어건은 고압수가 함께 분사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의하면,
털이판 하부에 물이 흘러내리는 물흐름경사판이 구비되어 고압의 에어 분사를 통해 떨어진 흙이나 잔디 등의 이물질이 상기 물흐름경사판을 따라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에어 분사시 주변으로 이물질이 날리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물은 순환되도록 구성하되, 물흐름경사판 가운데에 경사지게 형성된 회수로를 통해 물흐름경사판을 따라 저장로로 떨어진 물이 자연스럽게 물탱크로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였는바, 물을 순환시킴에 있어서도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물흐름경사판에서 저장로로 가는 과정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거름부를 거치도록 하여 이물질과 물을 분리시켜 이물질을 별도 배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거름부를 신발털이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게 하였는바 유지 보수에서 편리한 구조의 신발털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거름부 구성으로 인해 사용된 물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순화시스템 가동이 가능하여 자원절약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대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A'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사시도.
도 5는 종래 신발털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신발털이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신발털이장치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신발에 묻은 이물질만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의복 등 고압분사를 통해 이물질 제거가 필요한 다양한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고, 신발이나 의복 등과 같이 신발털이장치에 의한 분사 대상은 대상체로 통칭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신발털이장치는 골프장에 주로 설치되는 장치이기는 하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신발 등의 대상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장소 어디에서든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신발털이장치 용도는 골프장을 비롯하여 등산로나 식품 및 제약, 반도체 공장을 비롯한 청정도 관리업체에서 신발이나 옷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요긴하게 사용된다.
또한 골프장의 경우 본 고안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은 신발에 붙은 흙이나 잔디가 될 수 있으나, 이는 신발 등의 대상체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하 언급되는 이물질을 흙이나 잔디에 한정해석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에어건이 위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신발털이장치는 고압의 에어 분사를 통해 대상체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을 물과 함께 흘러보냄으로써 주변에 이물질이 흩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전방에 물탱크(13) 수용을 위한 수용부(11)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가서 이물질을 터는 털이판(20)과,
상기 털이판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물탱크로부터 물이 펌핑되어 분사되는 물흐름경사판(30)과,
상기 물흐름경사판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로(40)와,
상기 저장로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다시 회수시키는 회수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베이스 전방에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F)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에어건(60)이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는 물탱크(13) 저장을 위해 전방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베이스 상판(10a)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베이스 상판에는 물탱크 개방을 위한 덮개(15)가 구비된다.
상기 물탱크의 바닥에는 물탱크내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마개(13a)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상판 단부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7)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부에 털이판(20)이 설치된다. 상기 털이판은 사용자가 올라서고 대상체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이 관통되기 위한 구조인 것으로 창살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털이판은 경사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탈부착되는 구조이다. 즉,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털이판(20)은 베이스에 구비된 "ㄴ"형 안착부(17a)에 걸쳐지는 구조이다.
이에 후술되는 관수파이프(19)의 유지 보수 작업이나 물흐름경사판(30)의 청소 작업이 필요한 경우 털이판(20)을 베이스(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쉽게 필요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털이판 하부에는 물흐름경사판(30)이 위치하는데,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도록 한다.
물흐름경사판의 최상부에는 물탱크로부터 펌핑된 물이 물흐름경사판으로의 제공을 위한 관수파이프(19)가 설치된다. 이에 물탱크(13)에서 펌핑된 물은 상기 관수파이프(19)를 통해 물흐름경사판(30)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고, 후술되는 저장로(40)에 수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저장로(40)는 물흐름경사판(30)의 단부에서 연결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로 상부에는 거름부(70)가 구비되는데, 상기 거름부에는 거름망(71)이 설치된다.
이에 물흐름경사판을 통해 흘러내린 물과 이물질은 거름부(70)의 거름망(71)을 거치게 되고, 이때 이물질은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물만이 거름망을 통고하여 저장로(40)로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장로에 이송된 물은 회수로(50)를 통해 물탱크(13)로 회수되는데,
상기 회수로는 저장로와 물탱크를 연통시키는 구조임과 동시에 저장로에 수용된 물을 다시 물탱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흐름경사판(30)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로(50)는
다수 개 구비된 물흐름경사판들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흐름경사판(30)에서 떨어져 저장로(40)에 저장된 물이 자연스럽게 물탱크(13)로 흘러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저장로에서 물탱크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로(40)는 첨부된 도면에서는 저면이 경사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나,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회수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쉽게 회수로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거름부(70)를 살펴보면 이는 저장로(40)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물흐름경사판 단부에서 거름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름부(70)는 베이스로부터 탈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거름부로 걸러진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고 거름망 역시 쉽게 교체할 수 있기 위함이다.
이에 본 고안의 거름부(70)는 베이스 내부에 구비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는 소위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설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름부(70)를 베이스(10)로부터 분리시켜 거름망 교체 내지 세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베이스로부터 거름부를 분리시키지 않고 일부만을 인출시킨 상태에서 거름망의 교체 내지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수로(50)에서 물탱크(13)로 진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도 제2 거름망(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거름부의 거름망에 의해 미쳐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을 한 번 더 점검하고 걸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40) 저면에도 물탱크와 같이 마개(미도시)를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서는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저장부에서 바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대상체로부터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에어건(60)은 순수 고압 공기만을 분사할 수 있으나 고압수를 함께 분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즉 고압수가 함께 분사되는 에어건을 특히 에어워터건(61)이라 칭할 수 있는데, 이는 순수 공기만이 아니라 에어워터건에서 고압수를 함께 분사시킴으로써 분사과정에서부터 먼지 날림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 최 우측에 구비된 에어워터건(61)이 고압수가 함께 분사되는 에어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R)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사용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참고로, 릴 구조 내지 에어건의 구체적인 구조는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구조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사용되는 물은 순환을 통해 재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나 상황에 따라 추가적 물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 측면에서 수도 배관(P)이 물탱크와 연결되도록 하여 필요시 별도의 물을 외부에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기본적 물 공급은 재순환 방식을 이용한 것이어서
물탱크(13)에서 관수파이프(19)를 통해 물흐름경사판(30)으로 끌어올려지는 물은 저장로(40)로 떨어지고, 이후 회수로(50)를 통해 다시 물탱크(13)로 수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수분 증발 등의 현상으로 물탱크에 물 보충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이때 수도 배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 공급을 받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물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자동공급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물공급 과정을 자동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자동화의 경우 별도 에너지 소모가 이루어지는 자동화가 아니라 기계식 구조로 물이 특정 조건하에서 기계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자동공급수단을 본 고안에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는 양변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조(즉, 양변기에서 용변을 본 후 레버를 내리면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물 사용이 이루어지고, 사용된 물 만큼의 물 보충을 위해 물이 공급되는데 저장탱크에 일정 수위로까지의 물 공급이 되면 추가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로 이에 대한 별도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신발털이장치에는 인체감지센서(S)가 구비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센서(S)는 프레임 상단 중앙에 설치되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체감지센서(S)는 장치 근처에 사용자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인데, 접근이 감지된 경우 이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물순환모터(미도시)가 작동함으로써 물탱크에서는 물이 펑핑되어 물흐름경사판으로 공급되게 된다.
물론, 사용자 접근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물순환모터 작동은 멈추게 되고 추가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역시 자원절약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에어와 물이 함께 이용되는 신발털이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1: 수용부 13: 물탱크
15: 덮개 17: 경사부 19: 관수파이프
10a: 상판 13a: 마개 17a: L형안착부
20: 털이판 30: 물흐름경사판
40: 저장로 50: 회수로
60: 에어건 70: 거름부 S: 인체감지센서

Claims (4)

  1. 신발털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털이장치는
    전방에 물탱크 수용을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형성된 경사부에 구비되는 털이판;
    상기 털이판 하부에 위치하는 물흐름경사판;
    상기 물흐름경사판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로;
    상기 저장로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회수시키는 회수로;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대상체에 묻는 이물질털이를 위한 에어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수로는
    상기 신발털이장치 내부에 구비되면서 저장로와 물탱크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저장로에서 물탱크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덮개를 통해 외부와 개방되고, 물탱크의 바닥에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외부에서의 물 공급을 위한 수도배관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수도배관을 통해 물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자동공급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흐름경사판 단부에서 연결되어 흘러내린 물은 저장로로 관통시키고 이물질은 걸러주기 위한 거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름부는 슬라이딩 인출 형태로 베이스로부터 인출되고 탈착되는 서랍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털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건은 고압수가 함께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털이장치.
KR2020120009294U 2012-10-16 2012-10-16 신발털이장치 KR200470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294U KR200470865Y1 (ko) 2012-10-16 2012-10-16 신발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294U KR200470865Y1 (ko) 2012-10-16 2012-10-16 신발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65Y1 true KR200470865Y1 (ko) 2014-01-17

Family

ID=5141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294U KR200470865Y1 (ko) 2012-10-16 2012-10-16 신발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6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7396A (zh) * 2018-05-03 2018-09-25 王紫蓉 一种实用的鞋底清理装置
CN109482574A (zh) * 2018-10-12 2019-03-19 安徽优诺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结构的厂房
KR102214955B1 (ko) * 2020-09-28 2021-02-10 케이스타주식회사 분무수단이 구비되는 야외용 먼지털이장치
KR20220048610A (ko) * 2020-10-13 2022-04-20 김현동 야외용 먼지 털이 집진 부스
KR20220154308A (ko) 2021-05-12 2022-11-22 케이스타주식회사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KR20220161524A (ko) 2021-05-29 2022-12-06 이상익 야외 이용 시설용 의복 먼지 제거 및 신발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68A (ja) * 1992-04-28 1993-11-16 Sakurako Ebara ゴルフシューズの掃除機
JPH08187218A (ja) * 1995-01-10 1996-07-23 Taisei Corp 履物の汚れを除去する装置
JP2003070715A (ja) 2001-09-07 2003-03-11 Sakamoto:Kk 靴の水洗い・乾燥装置
KR20060015147A (ko) * 2004-08-13 2006-02-16 이영환 골프화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68A (ja) * 1992-04-28 1993-11-16 Sakurako Ebara ゴルフシューズの掃除機
JPH08187218A (ja) * 1995-01-10 1996-07-23 Taisei Corp 履物の汚れを除去する装置
JP2003070715A (ja) 2001-09-07 2003-03-11 Sakamoto:Kk 靴の水洗い・乾燥装置
KR20060015147A (ko) * 2004-08-13 2006-02-16 이영환 골프화청소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7396A (zh) * 2018-05-03 2018-09-25 王紫蓉 一种实用的鞋底清理装置
CN109482574A (zh) * 2018-10-12 2019-03-19 安徽优诺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结构的厂房
KR102214955B1 (ko) * 2020-09-28 2021-02-10 케이스타주식회사 분무수단이 구비되는 야외용 먼지털이장치
KR20220048610A (ko) * 2020-10-13 2022-04-20 김현동 야외용 먼지 털이 집진 부스
KR102452888B1 (ko) * 2020-10-13 2022-10-12 김현동 야외용 먼지 털이 집진 부스
KR20220154308A (ko) 2021-05-12 2022-11-22 케이스타주식회사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KR102485379B1 (ko) 2021-05-12 2023-01-09 케이스타주식회사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KR20220161524A (ko) 2021-05-29 2022-12-06 이상익 야외 이용 시설용 의복 먼지 제거 및 신발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865Y1 (ko) 신발털이장치
US11857133B2 (en) Use of recycled wash and rinse water for the pre-rinse operation of dishes
KR101324740B1 (ko) 수세식 집진기
CN104032820B (zh) 带保洁装置的小便器
KR102485379B1 (ko)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TW200847941A (en) Vegetable washing method and vegetable washing device
ES2326208T3 (es) Aparato movil para la limpieza de suelos.
CN205512215U (zh) 豆芽清洗去壳机
ES2911263T3 (es) Dispositivo para la cría de insectos
US2309458A (en) Poultry cage apparatus
KR20110112735A (ko) 신발세척장치
JP3799255B2 (ja) 靴の水洗い・乾燥装置
CN106332830A (zh) 一种淡水鱼暂养系统
JP5800754B2 (ja) 揚送研磨装置
KR102613906B1 (ko) 야외 이용 시설용 의복 먼지 제거 및 신발 세척장치
JP3152723U (ja) 靴清掃用集塵装置
US11752526B1 (en) Shoe sole cleaning device
KR101291080B1 (ko) 군화 흙 제거장치
KR102619122B1 (ko) 에어클렌징 먼지털이장치
KR20100006488U (ko) 우산 탈수장치
JP4361817B2 (ja) 靴の水洗い・乾燥装置
JP3811493B1 (ja) 洗浄装置
KR200497664Y1 (ko) 장화 세척기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0368995Y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