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60Y1 -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60Y1
KR200470360Y1 KR2020120000160U KR20120000160U KR200470360Y1 KR 200470360 Y1 KR200470360 Y1 KR 200470360Y1 KR 2020120000160 U KR2020120000160 U KR 2020120000160U KR 20120000160 U KR20120000160 U KR 20120000160U KR 200470360 Y1 KR200470360 Y1 KR 200470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b
hdmi
output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397U (ko
Inventor
정헌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전자
Priority to KR2020120000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6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USB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USB 입력단자들; 상기 USB 입력단자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USB 입력단자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USB 신호를 수신하는 USB 허브; 상기 USB 허브를 통해 수신된 상기 USB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USB 신호처리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HDMI 입력단자; 상기 HDMI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HDMI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HDMI 신호처리부; 상기 USB 입력단자들로 입력되는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SB 선택버튼 및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HDMI 선택버튼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HDMI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USB 신호 및 상기 HDMI 신호 중 출력을 위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임시 저장 및 출력하는 버퍼; 및 상기 USB 신호 및 상기 HDMI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An apparatus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s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USB 입력단자, 하나의 HDMI 입력단자, 컴포지트 출력단자, 컴포넌트 출력단자 및 HDMI 출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화질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차량에 탑재되는 관계로 멀티미디어 기기의 부피가 제한될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수행하는 기능 또한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해상도에 있어서는 사이즈의 제한으로 인해 저해상도의 화질을 갖는 디스플레이기기를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량 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함으로 인해, 단순한 기능의 멀티미디어 기기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추세에 따라, 종래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수행할 수 없었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개 이상의 USB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2개 이상의 USB 입력단자들과 HDMI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HDMI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된 USB 신호를 컴포지트 출력단자 또는 컴포넌트 출력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입력된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HDMI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해상도의 HDM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6개 이상의 외부기기들과 접속할 수 있는 입력단자들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외부기기들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M 및 FM 라디오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마이크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USB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USB 입력단자들; 상기 USB 입력단자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USB 입력단자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USB 신호를 수신하는 USB 허브; 상기 USB 허브를 통해 수신된 상기 USB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USB 신호처리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HDMI 입력단자; 상기 HDMI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HDMI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HDMI 신호처리부; 상기 USB 입력단자들로 입력되는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SB 선택버튼 및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HDMI 선택버튼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HDMI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USB 신호 및 상기 HDMI 신호 중 출력을 위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임시 저장 및 출력하는 버퍼; 및 상기 USB 신호 및 상기 HDMI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단자들은, 상기 USB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단자; 상기 USB 신호를 컴포지트 비디오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컴포지트 출력단자; 상기 USB 신호를 컴포넌트 비디오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컴포넌트 출력단자; 및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HDMI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적어도 6개 이상의 외부 기기들과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외부기기 입력단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외부기기 선택버튼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들 중 상기 외부기기 선택버튼의 선택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AM 및 FM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AM 및 FM 라디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 입력단자; 및 오디오 효과음을 생성하는 효과음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효과음 생성부는 상기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들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시에 상기 USB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자동 페이드 다운(Auto Fade Dow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상기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신호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속도 조절부의 속도조절을 위한 속도조절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USB 입력 단자에 외장하드 또는 USB 메모리 스틱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만을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의 출력단자로서 컴포지트 출력단자 또는 컴포넌트 출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HDM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HDMI 입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1920*1080급의 고화질 영상을 읽어들일 수 있으며, 아울러, HDMI 출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HDMI 신호의 고화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로 HDM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성능에 따라, 컴포지트 신호, 컴포넌고 신호 또는 HDM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호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6개 이상의 외부기기 입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기기에서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편리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라디오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음성신호 출력시에 배경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행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재생 속도 조절의 편의성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외관 중 전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외관 중 후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원 및 자체 스피커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전원 및 외부기기 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USB 입력단자 1(100), USB 입력단자 2(10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 USB 허브(106), 제어부(108), USB 신호 처리부(110), 버퍼(112), 오디오 출력 단자(114), 컴포지트 출력단자(116), 컴포넌트 출력단자(118), HDMI 입력단자(120), HDMI 신호 처리부(122), HDMI 출력단자(124),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 126, 128, 130, 132, 134, 136), 라디오 안테나(138), 마이크 입력단자(140), 효과음 생성부(142), 속도 조절부(144)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외관 중 전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식별번호 200은 전원 스위치 버튼을 예시한 것이고, 식별번호 202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신호에 대한 센서를 예시한 것이고, 식별번호 204는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외관 중 후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USB 입력단자 1(100) 및 USB 입력단자 2(102)는 USB 메모리 스틱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 등으로부터 USB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단자들에 해당한다. USB 입력단자 1(100) 또는 USB 입력단자 2(102)는 USB 메모리 스틱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가 접속되면, USB 메모리 스틱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에 해당하는 USB 신호를 USB 허브(106)로 출력한다. USB 입력단자 1(100) 및 USB 입력단자 2(10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3의 식별기호 300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후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USB 입력단자 1(100)의 접속 케이블을 예시한 것이고, 식별기호 302는 USB 입력단자 2(102)의 접속 케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입력단자 1(100) 및 USB 입력단자 2(102)는 각각 독립적인 USB 접속 케이블 300 및 302로 구성되어 있으며, USB 접속 케이블 300 및 302에 각각 독립적으로 USB 메모리 스틱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는 2 개의 USB 입력단자 1 및 2(100, 102)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USB 입력단자들을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USB 입력단자 1 및 2(100, 102)로 입력되는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SB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식별번호 206은 USB 선택버튼을 예시한 것으로, USB 선택버튼(206)은 USB 입력단자 1 및 2(100, 102)로 입력되는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USB 허브(10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USB 선택버튼(200)을 누름으로써, USB 입력단자 1(100) 또는 USB 입력단자 2(102)를 통해 수신되는 USB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USB 신호의 입력 명령을 제어부(108)로 출력한다.
제어부(1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로 입력된 USB 신호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USB 입력단자 1 및 2(100, 102)로 입력되는 USB 신호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USB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USB 허브(106)로 출력한다.
USB 허브(106)는 USB 입력단자 1 및 2(100, 102)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USB 입력단자 1(100) 또는 USB 입력단자 2(102)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USB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USB 신호를 USB 신호 처리부(110)로 출력한다.
USB 신호 처리부(110)는 USB 허브(106)를 통해 전송된 USB 신호를 출력단자들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버퍼(112)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USB 신호 처리부(110)는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USB 신호 처리부(110)는 USB 허브(106)를 통해 전송된 USB 신호를 출력을 위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복호화한다.
버퍼(112)는 USB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변환된 USB 신호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8)의 출력 제어에 따라, USB 신호를 출력단자들(114, 116, 118)로 출력한다.
출력단자들은 USB 신호를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기기로 출력하는 단자들로서, 오디오 출력단자(114)와 컴포지트 출력단자(116) 및 컴포넌트 출력단자(118) 를 포함한다.
오디오 출력단자(114)는 USB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기기(예를 들어, 스피커, 앰프 등)로 출력하는 단자로서, 도 3의 식별번호 304는 오디오 출력단자를 예시한 것이며, 식별번호 306은 오디오 출력단자의 또 다른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브우퍼 전용앰프의 오디오 출력단자를 예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4 채널의 외부 앰프와 서브우퍼 전용앰프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독립적으로 RCA Line Output 출력단자를 내장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자체 출력을 발생할수 있도록 출력 IC를 내장하여 별도의 외부 앰프의 사용 없이도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도 2의 식별번호 208은 오디오 출력단자(304)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다이얼을 예시한 것이고, 식별번호 210은 자체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다이얼을 예시한 것이고, 식별번호 212는 서브우퍼 전용앰프의 오디오 출력단자(306)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다이얼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의 식별번호 214에 해당하는 7 밴드 이퀄라이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퀄라이저 기능을 통해 오디오 신호의 출력 조건 등을 조정함으로써, 최상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컴포지트 출력단자(116)는 USB 신호의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의미한다. 컴포지트 비디오신호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므로 화질이 컴포넌트 비디오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도 3의 식별번호 308은 2개의 컴포지트 출력단자들(VIDEO OUT 1 및 2)을 예시한 것이다. 2개의 컴포지트 출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비디오 출력기기(도시되지 않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거리의 비디오 출력기기에서도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비디오 출력기기가 컴포지트 출력단자(116)에 연결되어 있으면, 컴포지트 출력단자(116)를 통해 출력된 컴포지트 비디오신호가 비디오 출력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컴포넌트 출력단자(118)는 USB 신호의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Pb 및 Pr)를 각각 분리하여 3 가닥의 케이블들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의미한다. 컴포넌트 비디오신호는 영상신호를 3가닥의 케이블들을 통해 전송하므로 화질이 컴포지트 비디오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도 3의 식별번호 310은 3가닥으로 구성된 하나의 컴포지트 출력단자를 예시한 것이다. 비디오 출력기기가 컴포넌트 출력단자(118)에 연결되어 있으면, 컴포넌트 출력단자(118)를 통해 출력된 컴포넌트 비디오신호가 비디오 출력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단자(12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HDMI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단자를 의미한다. 전술한 컴포지트 신호 및 컴포넌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것이 비해, HDMI 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가 비압축된 디지털 신호로서 Full HD(1920*1080)급의 고해상도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제공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HDMI 입력단자(120)는 HDMI 케이블이 접속되면, HDMI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HDMI 신호를 HDMI 신호 처리부(122)로 출력한다. HDMI 입력단자(120)는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식별번호 312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후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HDMI 입력단자(120)의 접속 케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1 개의 HDMI 입력단자(120)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HDMI 입력단자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HDMI 신호 처리부(122)는 HDMI 입력단자(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HDMI 입력단자(120)를 통해 수신된 HDMI 신호를 버퍼(112)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한다. 즉, HDMI 신호 처리부(122)는 HDMI 입력단자(120)를 통해 수신된 HDMI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팅 신호로 변환하여 버퍼(112)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HDMI 입력단자(120)로 입력되는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HDMI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식별번호 216은 HDMI 선택버튼을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HDMI 선택버튼(216)을 선택함으로써, HDMI 신호의 출력을 위한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HDMI 입력단자(120)로 입력되는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08)로 출력한다.
제어부(1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HDMI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버퍼(112)로 출력한다.
버퍼(112)는 HDMI 신호 처리부(122)로부터 제공되는 HDMI 신호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8)의 출력 제어에 따라, HDMI 신호를 HDMI 출력단자(124)로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HDMI 신호를 HDMI 신호 처리부(122)로 출력한다. HDMI 신호 처리부(122)는 HDMI 신호를 출력을 위한 신호로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팅하여 HDMI 출력단자(124)로 출력한다.
출력단자들 중 HDMI 출력단자(124)는 HDMI 신호 처리부(122)에서 변환된 HDMI 신호를 HDMI 출력단자(124)와 연결된 HDMI 출력기기(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한다. HDMI 출력단자(124)는 비압축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동시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다. 도 3의 식별번호 314는 하나의 HDMI 출력단자(124)의 접속 케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외관상 HDMI 입력단자(312)와 HDMI 출력단자(314)가 공통 포트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HDMI 입력단자(312)와 HDMI 출력단자(314)는 각각 독립적인 HDMI 접속 케이블 312 및 314와 연결되어 있으며, HDMI 접속 케이블 312에는 HDMI 신호의 입력을 위한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동시에 HDMI 접속 케이블 314에는 HDMI 신호의 출력을 위한 HDMI 출력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HDMI 출력기기가 HDMI 출력단자(124)에 연결되어 있으면, HDMI 출력단자(124)를 통해 출력된 HDMI 신호가 HDMI 출력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적어도 6개 이상의 외부 기기들과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을 포함하고 있다. 외부기기 입력단자들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외부기기와 기타 부속 기기들을 포함한다.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은 각각 연결된 외부기기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버퍼(112)로 전송한다. 도 3에서 식별번호 316은 하나의 비디오 신호와 좌/우 오디디오 신호로 각각 구성된 6개의 외부기기 입력단자 AV 1 내지 6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외부기기 입력단자들은 6개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7개 이상이 외부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입력단자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외부기기 입력단자들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에 연결된 외부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외부기기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식별번호 218은 외부기기 선택버튼 AV 1 내지 6을 예시한 것으로, 6개의 외부기기 선택버튼(218)은 6개의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로 입력되는 외부기기들의 멀티미디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단자들(114, 116, 118)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외부기기 선택버튼(21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로 입력되는 외부기기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기기의 선택에 따른 명령을 제어부(108)로 출력한다.
제어부(1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로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외부기기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버퍼(112)로 출력한다.
버퍼(112)는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126, 128, 130, 132, 134, 136)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외부기기 신호를 출력단자들(114, 116, 118)로 출력한다. 외부기기 신호 중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단자(114)로 전송되며, 외부기기 신호 중 비디오 신호는 컴포지트 출력단자(116) 또는 컴포넌트 출력단자(118)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단자(114)는 외부기기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기기로 출력한다. 한편, 컴포지트 출력단자(116)는 외부기기 신호의 비디오 신호에 대해,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비디오 출력기기로 출력한다. 또한, 컴포넌트 출력단자(118)는 외부기기 신호의 비디오 신호에 대해,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3 가닥의 케이블들을 통해 비디오 출력기기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AM 및 FM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138)를 포함한다. 도 3의 식별번호 317은 라디오 안테나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라디오 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도 2에서는 AM 및 FM 라디오 신호의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선택버튼(220)을 예시하고 있다. 식별번호 220에 해당하는 채널 선택버튼은 AM 또는 FM으로의 전환을 위한 신호이고, 보조 선택버튼들을 사용하여 AM 또는 FM 상에서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보조 선택버튼들에는 각 채널에 대한 선택된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어서 해당 버튼을 누를 경우에 즉시, 해당 채널로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APS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AM 및 FM 라디오 신호에서 신호의 강도에 따른 각각의 채널들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라운드 온/오프 버튼을 구비하여, 현장감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채널 선택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라디오 신호를 라디오 안테나(138)를 통해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라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단자(114)를 통해 출력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 입력단자(1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식별번호 222는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예시한 것이고, 도 3의 식별번호 318은 후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2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들을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3 개의 마이크를 동시에 마이크 입력단자(222 및 318)에 접속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3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 이상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 2의 식별번호 224에 해당하는 마이크 출력 다이얼을 구비함으로써, 식별번호 222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식별번호 226에 해당하는 마이크 출력 다이얼을 구비함으로써, 식별번호 318에 해당하는 2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 각각에 대한 출력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의 식별번호 228에 해당하는 마이크용 4밴드 이퀄라이저를 구비함으로써, 식별번호 222 또는 318의 마이크 입력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음성신호에 대해, 4개의 주파수 대역(저대역, 저중대역, 고중대역, 고대역)에 따른 출력 레벨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도 2의 식별기호 230에 해당하는 AUTO TALK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AUTO TALK" 선택버튼은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함께 출력될 때, 배경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자동으로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이다. 사용자가 AUTO TALK 선택버튼(230)을 선택하면, 제어부(108)는 음성 신호의 출력시에 오디오 신호가 자동 페이드 다운(Auto Fade Down)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3 개의 마이크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 입력단자(예를 들어, 식별기호 222의 입력단자)에 Auto Fade Down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면, 식별기호 222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명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08)는 음성 신호와 함께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이 자동 다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음성 신호의 출력 시에, 사용자가 배경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하지 않더라도, 배경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Fade-Down되므로, 음성 신호가 명확하게 출력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오디오 효과음을 생성하는 효과음 생성부(142)을 포함하고 있다. 효과음 생성부(142)는 마이크 입력단자(14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오디오 출력단자(114)로 출력하는 한편, 마이크의 이펙트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Echo/Delay/Repeat의 효과음을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이펙트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식별번호 224에 해당하는 마이크 출력 다이얼은 마이크의 출력 볼륨을 조정하는 한편, 에코(Echo) 효과음의 출력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도 3의 식별번호 320에 해당하는 에코 반복(Echo Repeat) 다이얼 및 에코 지연(Echo Delay) 다이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코 반복(Echo Repeat) 다이얼 또는 에코 지연(Echo Delay) 다이얼을 조정하면, 효과음 생성부(14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코 반복 수에 따라 에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에코 효과음을 일정 시간 지연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효과음 생성부(142)는 노래방 기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6 가지 이상의 리듬이 출력되도록 하는 리듬 효과음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에는 도 2의 식별번호 232에 해당하는 리듬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리듬 온/오프 버튼을 누른 후에, 리듬 선택버튼(232) 중 어느 하나의 버튼(예를 들어, 트롯 1, 트롯 2, 디스코, 고고, 민요 1, 민요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효과음 생성부(142)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리듬을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단자(114)로 출력한다. 특히, 리듬 선택버튼의 누르는 횟수에 따라, 리듬, 음성 또는 배경음 등의 오디오 신호가 상호 조합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리듬 선택버튼을 1번 누루면, 리듬, 음성 및 배경음이 같이 출력되도록 하고, 2번 누루면, 리듬 및 배경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3번 누루면, 리듬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신호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144)를 포함한다. 속도 조절의 선택하기 위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에는 속도 조절부(144)의 속도조절을 위한 속도조절 버튼(234)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출력되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속도조절 버튼을 선택하면, 속도 조절부(144)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재생 속도를 조절한다.
기타,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리모트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원거리에서 조절 할수 있도록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전면부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도 2의 식별번호 236에 해당하는 비디오 전환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비디오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비디오 전환버튼을 한번씩 누를 때마다, 외부기기 AV1 내지 6과 HDMI 신호에 대한 비디오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이 기능은 오디오 신호(라디오 신호)와 별개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비디오 신호의 선택을 위한 기능이다. 또한, 오디오 출력단자(114)를 통해 출력되는 외부기기의 고역대 주파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 저역대 주파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 및 외부기기 각각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식별번호 322는 고역대 주파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Treble) 3 개와 저역대 주파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Bass) 3개와 외부기기 AV 1 내지 6에 대한 레벨 조정을 위한 6개의 다이얼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식별번호 208에 해당하는 오디오 출력다이얼은 해당 오디오 출력다이얼의 푸쉬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조정, 고역대 주파수 레벨조정, 저역대 주파수 레벨조정, 레벨 감소, 레벨 증가 등으로 기능이 전환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식별번호 324에 해당하는 스코어 출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마이크(특히, 후면부에 구비된 마이크 MIC 2 또는 3)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노래방 기기 등의 점수 출력을 위한 기기등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사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식별번호 326에 해당하는 전원 및 자체 스피커 연결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원, 자체 출력을 위한 스피커, 및 운전석에 구비되는 자체 스피커 등을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전원 및 자체 스피커 연결단자(326)에 연결되는 전원 및 외부기기 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원(Battery), 자체 스피커, 운전석 스피커, 앰프 리모트, 야간 조명 연결선 등의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USB 입력단자 1
102: USB 입력단자 2
1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6: USB 허브
108: 제어부
110: USB 신호 처리부
112: 버퍼
114: 오디오 출력단자
116: 컴포지트 출력단자
118: 컴포넌트 출력단자
120: HDMI 입력단자
122: HDMI 신호 처리부
124: HDMI 출력단자
126, 128, 130, 132, 134, 136: 외부기기 입력단자 1 내지 6
138: 라디오 안테나
140: 마이크 입력단자
142: 효과음 생성부
144: 속도 조절부

Claims (6)

  1. USB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USB 입력단자들;
    상기 USB 입력단자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USB 입력단자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USB 신호를 수신하는 USB 허브;
    상기 USB 허브를 통해 수신된 상기 USB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USB 신호처리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HDMI 입력단자;
    상기 HDMI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HDMI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HDMI 신호처리부;
    상기 USB 입력단자들로 입력되는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SB 선택버튼 및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HDMI 선택버튼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USB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HDMI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USB 신호 및 상기 HDMI 신호 중 출력을 위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임시 저장 및 출력하는 버퍼;
    상기 USB 신호 및 상기 HDMI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 입력단자; 및
    오디오 효과음을 생성하는 효과음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효과음 생성부는 상기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들로 출력하고, 에코음, 에코 지연, 에코 반복을 포함하는 에코 효과음을 출력하고, 트롯, 디스코, 고고, 민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리듬 효과음을 출력하며, 상기 리듬 효과음의 선택 횟수에 따라 상기 리듬 효과음, 상기 음성신호 및 배경이 되는 오디오신호를 상호 조합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단자들은,
    상기 USB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단자;
    상기 USB 신호를 컴포지트 비디오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컴포지트 출력단자;
    상기 USB 신호를 컴포넌트 비디오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컴포넌트 출력단자; 및
    상기 HDMI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HDMI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적어도 6개 이상의 외부 기기들과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외부기기 입력단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외부기기 선택버튼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들 중 상기 외부기기 선택버튼의 선택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AM 및 FM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AM 및 FM 라디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시에 상기 USB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자동 페이드 다운(Auto Fade Dow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상기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신호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속도 조절부의 속도조절을 위한 속도조절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2020120000160U 2012-01-06 2012-01-06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200470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60U KR200470360Y1 (ko) 2012-01-06 2012-01-06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60U KR200470360Y1 (ko) 2012-01-06 2012-01-06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397U KR20130004397U (ko) 2013-07-16
KR200470360Y1 true KR200470360Y1 (ko) 2013-12-10

Family

ID=5075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160U KR200470360Y1 (ko) 2012-01-06 2012-01-06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588B1 (ko) * 2016-06-08 2017-04-18 주식회사 굿텔 차량용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avn 시스템
KR101966310B1 (ko) * 2017-07-14 2019-04-05 김영제 버스 멀티미디어 장치의 원격진단 방법
US20220396224A1 (en) * 2019-12-16 2022-12-15 Molex, Llc Power delivery assembl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36U (ja) * 1992-02-17 1994-02-18 皇吉 渡辺 自動車電話と音響装置とを備えた自動車における音響装置の音声一時停止機構
KR200143635Y1 (ko) * 1993-04-21 1999-06-15 구자홍 마이크 입력 음향효과 전자악기
KR20110049083A (ko) * 2009-11-04 2011-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시스템
KR20110100926A (ko) * 2010-03-05 2011-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36U (ja) * 1992-02-17 1994-02-18 皇吉 渡辺 自動車電話と音響装置とを備えた自動車における音響装置の音声一時停止機構
KR200143635Y1 (ko) * 1993-04-21 1999-06-15 구자홍 마이크 입력 음향효과 전자악기
KR20110049083A (ko) * 2009-11-04 2011-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오디오 시스템
KR20110100926A (ko) * 2010-03-05 2011-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397U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4962B (en) Sound device and its configuration method
US9733890B2 (en) Streaming audio, DSP, and light controller system
US20130051584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6034737A (en) TV set and a combination apparatus of a TV set and an AV amplifier
US20130053992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9260458A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映像音声視聴システム
KR200470360Y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EP2207261A1 (en) Audio device, AV system having the audio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the audio device
JP2003309892A (ja) スピーカ出力装置
US2010005838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integrated surround sound systems
KR101000720B1 (ko) 오디오신호 출력레벨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 노래반주기
JP2006050195A (ja) Avアンプ
CN214177543U (zh) 一种影院解码终端处理器
US9767851B2 (en) Document camera, video and audio output system, and video and audio output method
JP4907749B1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
KR101432054B1 (ko) 다중 음성출력 영상표시장치
JP2947826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音声出力装置
JP200722815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0696953B1 (ko) 마이크 보관 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
JP3606424B2 (ja) Avシステム
JP3177443U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JP3029593U (ja) 携帯用無線映像歌謡伴奏器
KR100654995B1 (ko) 오디오 신호의 선택적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KR200277993Y1 (ko) 티브이 수상기의 색변환 장치
KR100582183B1 (ko) 개인용 가상극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