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07Y1 -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07Y1
KR200469907Y1 KR2020110011372U KR20110011372U KR200469907Y1 KR 200469907 Y1 KR200469907 Y1 KR 200469907Y1 KR 2020110011372 U KR2020110011372 U KR 2020110011372U KR 20110011372 U KR20110011372 U KR 20110011372U KR 200469907 Y1 KR200469907 Y1 KR 200469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martphone
tilting
pi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929U (ko
Inventor
변윤정
이형우
Original Assignee
이형우
변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우, 변윤정 filed Critical 이형우
Priority to KR202011001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0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전면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접촉되는 사각 블록 형상을 갖는 것으로, 폭방향의 일측에는 외면이 코일스프링이 끼워진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스프링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제1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되 이들 스프링홀과 제1가이드홀은 감소된 내경을 갖는 연결홀로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제2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홀이 구비된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하단에 부착 구비되어 그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 상면은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의 하단 정면이 걸리도록 하부 걸림턱을 구비하는 받침블록과; 상기 스프링홀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의 일측 정면이 걸리도록 하는 제1측면걸림턱을 구비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제1가이드홀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타측에 부착 구비되어 상기 제1,2가이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핀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의 일측 정면에 걸리도록 하는 제2측면걸림턱을 구비하는 가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원목재를 블록타입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가공성과 대량 양산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인 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목이 갖는 고급스러움과 미려한 질감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용도외에도 인테리어적인 요소로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가동부위에 대한 보강구조를 통해 재질의 특성상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함으로써 안정된 가동 성능의 유지와 제품 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간편한 조작만으로 거치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가록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는 쉽게 유동되지 않아 차량용으로 사용시 추돌사고 등에 의한 실내 안전성을 저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The cradle for smart phone}
본 고안은 책상이나 차량에서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원목으로 제조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목재를 사용하여 제품의 고급스러움과 인테리어 요소로서의 미감을 높이도록 하고,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거치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주변에서 전자제품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로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발전속도가 빠른 것은 본격적으로 보급이 시작한 것이 약 15년 정도에 불과한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처음에는 기능은 기본적인 것이고 휴대폰의 소형화와 차별되는 디자인으로 시장공략에 나섰던 업계에서 스틱형, 폴더형, 슬라이드형으로 그 유행이 점차 옮겨가다가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열풍으로 과반수가 스마트폰을 휴대하고 있어 이제 디자인보다는 내장된 기능으로 승부를 보는 경우가 많아졌다.
반면에 이동통신단말기의 편안한 사용을 위하여 책상 위에나 차량에 거치하는 것은 과거 다양한 모델의 등장으로 인하여 호환성이 부족했던 것이 주요 이유로 주춤해진 이후 좀처럼 발전을 하지 않고 있다. 즉, 최초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폰의 뒷면에 철판을 부착하여 자석에 의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휴대폰의 전체적인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운 철판이 고정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사용을 기피하였다.
또한, 장착된 휴대폰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니버셜 조인트를 응용한 것과, 임의의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주름관을 이용한 것이 있었는데 이들은 특히 차량에 적용할 경우 급정거와 회전시 관성에 의하여 쉽게 변위되는 단점이 있었다.
선출원 예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89360호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40398-0000호의 경우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하여 휴대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며 후자의 경우 양측을 가압하는 프레싱 부재에 의하여 가압 고정하는 것으로 최근 스마트폰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그 내부 구성의 한계에 의하여 합성수지로 제작해야만 하며 이러한 합성수지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기에는 고급스러움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10631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0353373-0000호의 경우 다양한 규격의 휴대폰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나타내었며 양측의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이드 사이에 휴대폰을 위치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에서도 그 구성이 복잡하여 합성수지를 제외한 다른 재질로 제조가 곤란하다.
이렇게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충격에 의하여 그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과 일반적인 합성수지보다는 목재로도 용이하게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급스러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89360호 (2005년09월08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40398-0000호 (2005년12월26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10631호 (2008년01월31일) (특허 문헌 4) 실용신안등록 제20-0353373-0000호 (2004년06월03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원목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고급스러움을 높임으로써 인테리어적인 요소로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안정되게 거치시킨 상태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의 회전 변위를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목재의 단점인 가동부위의 취약성을 보강 개선하여 잦은 가동에 따른 파손이나 손상의 우려를 낮춤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전면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접촉되는 사각 블록 형상을 갖는 것으로, 폭방향의 일측에는 외면이 코일스프링이 끼워진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스프링홀 및 그 일측에 결속핀의 일단이 끼움 삽입되는 핀끼움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제1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되 이들 스프링홀과 제1가이드홀은 감소된 내경을 갖는 연결홀로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제2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홀이 구비된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하단에 부착 구비되어 그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 상면은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의 하단 정면이 걸리도록 하부 걸림턱을 구비하는 받침블록과; 상기 스프링홀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속핀의 타단이 끼움 삽입되는 결속핀홀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의 일측 정면이 걸리도록 하는 제1측면걸림턱을 구비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제1가이드홀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타측에 부착 구비되어 상기 제1,2가이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핀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의 일측 정면에 걸리도록 하는 제2측면걸림턱을 구비하는 가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메인블록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된 수직부 및 이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틸팅블록과; 일단이 상기 틸팅블록의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블록의 후면에 나사체결되는 수평힌지핀과;
상기 틸팅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과 받침블록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과; 상기 틸팅블록의 수평부와 테이블블록을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 힌지결합하는 수직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테이블블록은 저면에 완충재로 된 쿠션재이 부착되고, 상기 쿠션재는 그 하면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테이블블록은 스마트폰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다단 굽힘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제1,2,3변위블록으로 분할 구성되고, 이들 제1,2,3변위블록 중 전·후 끝에 위치한 제1,2블록는 양측면에 가이드블록이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메인블록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과 측면으로 각각 입구가 형성된 ′T′자 형상을 갖는 T홈이 형성된 틸팅블록과; 상기 틸팅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과 받침블록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과; 상기 테이블블록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부측에 상기 T홈의 일측 입구에 삽입되는 중심핀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인블록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 및 이 제1밀착면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를 구비하는 위치결정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메인블록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과 측면으로 각각 한 쌍의 수직 및 수평고정핀이 돌출되는 틸팅블록과; 상기 틸팅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과 받침블록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과; 상기 테이블블록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부측에 상기 수직고정핀 또는 수평고정핀이 삽입되는 복수의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인블록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 및 이 제1밀착면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를 구비하는 위치결정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메인블록의 후면에 부착 구비되며, 상기 메인블록의 후면과 마주하는 대향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테두리끼움부 및 수평테두리끼움부를 갖는 틸팅블록과; 상기 틸팅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과 받침블록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과; 상기 테이블블록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블록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 및 이 제1밀착면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테두리끼움부 또는 수평테두리끼움부가 끼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1,2,3밀착면에 대응하는 제1,2,3절개홈이 형성된 위치결정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원목재를 블록타입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가공성과 대량 양산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인 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목이 갖는 고급스러움과 미려한 질감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용도외에도 인테리어적인 요소로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가동부위에 대한 보강구조를 통해 재질의 특성상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함으로써 안정된 가동 성능의 유지와 제품 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간편한 조작만으로 거치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가록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는 쉽게 유동되지 않아 차량용으로 사용시 추돌사고 등에 의한 실내 안전성을 저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1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2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3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4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도 17 내지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5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내지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6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1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1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스마트폰(1)의 저면과 배면에 접촉되어 지지하고, 상기 스마트폰(1)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지지하여 견고한 거치 상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원목을 블록형상으로 가공하고 이들을 접착제와 기구적인 끼움구조를 통해 일체화함과 동시에 가동부위를 형성되게 한 것을 주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스마트폰(1)의 배면을 지지하는 메인블록(2)과, 이 메인블록(2)의 하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블록(3) 그리고, 상기 메인블록(2)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양측을 지지하는 고정블록(4) 및 가동블록(6)으로 구성된다.
메인블록(2)은 전면에 스마트폰(1)의 배면이 접촉되는 사각 블록 형상을 갖는 것으로, 폭방향의 일측에는 외면이 코일스프링(22)이 끼워진 고정나사(26)가 삽입되는 스프링홀(23)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제1가이드핀(24)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홀(25)이 형성되되 이들 스프링홀(23)과 제1가이드홀(25)은 감소된 내경을 갖는 연결홀(21)로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홀(25)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제2가이드핀(28)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홀(27)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나사(26)는 상기 코일스프링(22)이나 연결홀(21)에서 왕복하면서 걸리거나 마찰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가이드핀(24)과 결합되는 끝단 부분에만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블록(3)은 상기 메인블록(2)의 하단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체로 부착 결합되며, 그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의 상면은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1)의 하단 정면이 걸림될 수 있게 하부 걸림턱(31)을 형성한다.
고정블록(4)은 상기 스프링홀(23)이 형성된 메인블록(2)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1)의 일측 정면이 걸리도록 하는 제1측면걸림턱(41)을 형성한다.
가동블록(6)은 상기 제1가이드홀(25)이 형성된 메인블록(2)의 타측에 부착 구비되어 상기 제1,2가이핀(24,28)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핀고정홀(5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블록(6)의 제1측면걸림턱(41)과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1)의 일측 정면에 걸림되게 하는 제2측면걸림턱(5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상기 가동블록(6)이 고정블록(4)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1)에 대한 견고한 지지를 가능하게 하며, 원목으로 제조됨에 따라 목재 특유의 고급스러운 질감표현이 가능하여 인테리어적인 요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받침블록(3)은 상기 메인블록(2)과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하지만, 원목의 경우 공정상 절삭되는 량을 고려하면 별도록 제작한 후 접착제로 접착고정하거나, 또는 못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8a)는 결속핀을 나타낸 것이고, 부호 (40a)는 고정블록(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28a)의 일단이 끼움 삽입되는 결속핀홀을 지칭한 것이고, 미설명 부호 (27a)는 상기 메인블록(2)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28a)의 타단이 끼움 삽입되는 핀끼움홀을 지칭한 것이다. 이때의 상기 결속핀(28a)과 결속핀홀(40a) 및 핀끼움홀(27a)는 억지 끼움에 의해 조립되거나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끼움 조립되어 상기 고정블록(4)과 메인블록(2)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2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전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테이블블록(7)에 부착되는 부가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본 실시례에서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스마트폰(1)의 배면을 지지하는 메인블록(2)과, 이 메인블록(2)의 하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블록(3) 그리고, 상기 메인블록(2)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양측을 지지하는 고정블록(4) 및 가동블록(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틸팅블록(6), 수평힌지핀(65), 테이블블록(7), 수직힌지핀(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틸팅블록(6)은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릿(61h)이 형성된 수직부(61)와, 이 수직부(61)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고 일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관통구멍(63h)이 형성된 수평부(63)로 이루어진다.
수평힌지핀(65)은 일종의 나사부재로서, 그 선단부가 상기 틸팅블록(6)의 슬릿(61h)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수평힌지핀(65)은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블록(6)을 상기 메인블록(2)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회전이 가능하고, 위치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61h)을 통과하여 메인블록(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틸팅블록(6)의 위치 고정을 이루게 된다.
테이블블록(7)은 상기 틸팅블록(6)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을 갖는 크기의 받침요소이다. 이러한 테이블블록(7)은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에서 책상 위나 차량의 대시보드 위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면이 평탄하게 구비되며, 이외에도 상기 테이블블록(7)은 곡면을 갖는 대상면에 안정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 완충재로 된 쿠션재(71)이 부착되고, 상기 쿠션재(71)는 그 하면에 양면 접착테이프(73)가 부착 구비될 수 있다.
수직힌지핀(67)은 상기 수평힌지핀(65)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나사부재로서, 그 선단부가 상기 틸팅블록(6)의 수평부(63)에 형성된 관통구멍(63h)을 삽입 통과한 뒤 상기 테이블블록(7)에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수직힌지핀(67)은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블록(6)을 상기 메인블록(2)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위치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63h)을 통과하여 메인블록(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틸팅블록(6)의 위치 고정을 이루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3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례에서서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며, 다만 테이블블록(7)을 제공함에 있어 거치 상태의 스마트폰(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굽힘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실시례에서의 테이블블록(7)은 스마트폰(1)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다단 굽힘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제1,2,3변위블록(75a,75b,75c)으로 분할 구성되고, 이들 제1,2,3변위블록(75a,75b,75c) 중 전·후 끝에 위치한 제1,2변위블록(75a,75c)는 양측면에 가이드블록(75d)이 힌지핀(75d)으로 힌지 결합하는 구성이다.
즉, 스마트폰(1)을 거치한 상태에서 전방측에 제1변위블록(75a)이 위치되고, 그 후방으로 폭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변위블록(75b)가 위치되며, 그 후방으로 상기 제1변위블록과 동일한 폭 길이를 갖는 제3변위블록(75c)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3변위블록(75a,75c)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면에 각각 상기 제2변위블록(75b)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단차부(75a′,75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변위블록(75a,75b,75c)의 양 측면에는 길이재의 가이드블록(75d)이 각각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가이드블록(75d)은 상기 제1,3변위블록(75a,75c)의 단차부(75a′,75c′) 사이에 끼움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75a′,75c′)에 힌지핀(75p)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례에서의 상기 테이블블록(7)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면을 갖는 대상면의 굴곡을 따라 밀착 구비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4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는 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스마트폰(1)의 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스마트폰(1)을 축 방향 회전 변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스마트폰(1)을 종축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틸팅블록(6-1), 테이블블록(7), 위치결정블록(8)으로 구성된다.
틸팅블록(6-1)은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과 측면으로 각각 입구가 형성된 ′T′자 형상을 갖는 T홈(6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되거나 또는 나사부재나 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의 상기 T홈(62)은 후술할 위치결정블록(8)의 중심핀(81)에 하면 또는 측면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1)을 세로 방향으로 거치되게 하거나 또는 가로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테이블블록(7)은 상기 틸팅블록(6-1)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1)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로서, 상부 일측에 상기 틸팅블록(6-1)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위치결정블록(8)이 일체로 구비된다.
위치결정블록(8)은 상기 테이블블록(7)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구정되거나 또는 나사부재나 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위치결정블록(8)은 그 상부측에 상기 T홈(62)의 일측 입구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중심핀(81)이 돌출되며, 상기 고정블록(4)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인블록(2)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1)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82) 및 이 제1밀착면(82)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83,84)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면(82)에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이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2)에 거치된 스마트폰(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도 1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2밀착면(84)에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이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2)에 거치된 스마트폰(1)은 좌측 방향으로 각도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5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7은 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스마트폰(1)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0 및 도 21은 상기 스마트폰(1)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도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스마트폰(1)을 종축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틸팅블록(6-2), 테이블블록(7), 위치결정블록(8-1)으로 구성된다.
틸팅블록(6-2)은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과 측면으로 각각 한 쌍의 수직 및 수평고정핀(63′,64′)이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되거나 또는 나사부재나 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의 상기 수직 및 수평고정핀(63′,64′)은 후술할 위치결정블록(8-1)에 형성된 복수의 핀홀(8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1)을 세로 방향으로 거치되게 하거나 또는 가로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테이블블록(7)은 상기 틸팅블록(6-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2)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로서, 상부 일측에 상기 틸팅블록(6-2)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위치결정블록(8-1)이 일체로 구비된다.
위치결정블록(8-1)은 상기 테이블블록(7)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부측에 상기 수직고정핀(63′) 또는 수평고정핀(64′)이 삽입되는 복수의 핀홀(8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인블록(2)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1)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82) 및 이 제1밀착면(82)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83,84)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도 20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면(82)에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이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2)에 거치된 스마트폰(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도 2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2밀착면(84)에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이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2)에 거치된 스마트폰(1)은 좌측 방향으로 각도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22는 내지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의 제6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2는 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스마트폰(1)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5 및 도 26은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스마트폰(1)을 좌·우 방향에 대한 각도 변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의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는 스마트폰(1)을 종축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틸팅블록(6-3), 테이블블록(7), 위치결정블록(8-2)으로 구성된다.
틸팅블록(6-3)은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과 마주하는 대향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테두리끼움부(66′) 및 수평테두리끼움부(65′)을 형성한다. 이러한 틸팅블록(6-3)은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되거나 또는 나사부재나 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직테두리끼움부(66′) 및 수평테두리끼움부(65′)은 후술할 위치결정블록(8-2)에 형성된 제1,2,3절개홈(86, 87, 88)에 끼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1)을 세로 방향으로 거치되게 하거나 또는 가로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테이블블록(7)은 상기 틸팅블록(6-3)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3)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로서, 상부 일측에 상기 틸팅블록(6-3)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위치결정블록(8-2)이 일체로 구비된다.
위치결정블록(8-2)은 상기 테이블블록(7)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블록(2)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블록(2)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1)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82) 및 이 제1밀착면(82)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83,84)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테두리끼움부(66′) 또는 수평테두리끼움부(65′)이 끼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1,2,3밀착면(81,83,84)에 대응하는 제1,2,3절개홈(86, 87, 88)이 형성된다.
즉, 도 20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면(82)에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이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2)에 거치된 스마트폰(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테두리끼움부(66′) 또는 수평테두리끼움부(65′) 중 어느 하나는 제1절개홈(86)에 끼움 삽입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2밀착면(84)에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이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2)에 거치된 스마트폰(1)은 좌측 방향으로 각도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며, 이때의 상기 수직테두리끼움부(66′) 또는 수평테두리끼움부(65′) 중 어느 하나는 제3절개홈(88)에 끼움 삽입된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례 또는 수정례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폰
2 : 메인블록
3 : 받침블록
4 : 고정블록
5 : 가동블록
6 : 틸팅블록
7 : 테이블블록
8 : 위치결정블록

Claims (7)

  1. 삭제
  2. 전면에 스마트폰(1)의 배면이 접촉되는 사각 블록 형상을 갖는 것으로, 폭방향의 일측에는 외면이 코일스프링(22)이 끼워진 고정나사(26)가 삽입되는 스프링홀(23) 및 그 일측에 결속핀(28a)의 일단이 끼움 삽입되는 핀끼움홀(27a)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제1가이드핀(24)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홀(25)이 형성되되 이들 스프링홀(23)과 제1가이드홀(25)은 감소된 내경을 갖는 연결홀(21)로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홀(25)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제2가이드핀(28)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홀(27)이 구비된 메인블록(2)과;
    상기 메인블록(2)의 하단에 부착 구비되어 그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 상면은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1)의 하단 정면이 걸리도록 하부 걸림턱(31)을 구비하는 받침블록(3)과;
    상기 스프링홀(23)이 형성된 메인블록(2)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속핀(28a)의 타단이 끼움 삽입되는 결속핀홀(40a)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1)의 일측 정면이 걸리도록 하는 제1측면걸림턱(41)을 구비하는 고정블록(4)과;
    상기 제1가이드홀(25)이 형성된 메인블록(2)의 타측에 부착 구비되어 상기 제1,2가이핀(24,28)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핀고정홀(51)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1)의 일측 정면에 걸리도록 하는 제2측면걸림턱(52)을 구비하는 가동블록(5)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릿(61h)이 형성된 수직부(61) 및 이 수직부(61)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63)로 이루어진 틸팅블록(6)과;
    일단이 상기 틸팅블록(6)의 슬릿(61h)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나사체결되는 수평힌지핀(65)과;
    상기 틸팅블록(6)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7)과;
    상기 틸팅블록(6)의 수평부(63)와 테이블블록(7)을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 힌지결합하는 수직힌지핀(67);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블록(7)은 저면에 완충재로 된 쿠션재(71)이 부착되고, 상기 쿠션재(71)는 그 하면에 양면 접착테이프(73)가 부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블록(7)은 스마트폰(1)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다단 굽힘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제1,2,3변위블록(75a,75b,75c)으로 분할 구성되고, 이들 제1,2,3변위블록(75a,75b,75c) 중 전·후 끝에 위치한 제1,2블록(75a,75c)는 양측면에 가이드블록(75d)이 힌지핀(75p)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과 측면으로 각각 입구가 형성된 ′T′자 형상을 갖는 T홈(62)이 형성된 틸팅블록(6-1)과;
    상기 틸팅블록(6-1)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1)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7)과;
    상기 테이블블록(7)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부측에 상기 T홈(62)의 일측 입구에 삽입되는 중심핀(81)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블록(4)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인블록(2)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1)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82) 및 이 제1밀착면(82)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83,84)를 구비하는 위치결정블록(8);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과 측면으로 각각 한 쌍의 수직 및 수평고정핀(63′,64′)이 돌출되는 틸팅블록(6-2)과;
    상기 틸팅블록(6-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2)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7)과;
    상기 테이블블록(7)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부측에 상기 수직고정핀(63′) 또는 수평고정핀(64′)이 삽입되는 복수의 핀홀(8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인블록(2)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1)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82) 및 이 제1밀착면(82)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83,84)를 구비하는 위치결정블록(8-1) ;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에 부착 구비되며, 상기 메인블록(2)의 후면과 마주하는 대향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테두리끼움부(66′) 및 수평테두리끼움부(65′)을 갖는 틸팅블록(6-3)과;
    상기 틸팅블록(6-3)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틸팅블록(6-3)과 받침블록(3)을 수용하는 면적 크기를 갖는 받침요소인 테이블블록(7)과;
    상기 테이블블록(7)의 상부 일측에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블록(2)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블록(2)의 배면에 밀착하여 상기 스마트폰(1)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제1밀착면(82) 및 이 제1밀착면(82)의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된 제2,3밀착면(83,84)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테두리끼움부(66′) 또는 수평테두리끼움부(65′)이 끼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1,2,3밀착면(82,83,84)에 대응하는 제1,2,3절개홈(86, 87, 88)이 형성된 위치결정블록(8-2) ;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KR2020110011372U 2011-12-22 2011-12-22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KR200469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372U KR200469907Y1 (ko) 2011-12-22 2011-12-22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372U KR200469907Y1 (ko) 2011-12-22 2011-12-22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29U KR20130003929U (ko) 2013-07-02
KR200469907Y1 true KR200469907Y1 (ko) 2013-11-14

Family

ID=507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372U KR200469907Y1 (ko) 2011-12-22 2011-12-22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61B1 (ko)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KR101999927B1 (ko) 2018-10-16 2019-07-12 최나도 우드슬랩 전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52B1 (ko) * 2016-08-05 2016-12-06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KR102174071B1 (ko) * 2019-07-16 2020-11-04 김용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61B1 (ko)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KR101999927B1 (ko) 2018-10-16 2019-07-12 최나도 우드슬랩 전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29U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907Y1 (ko)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EP2163803A2 (en) Support stand
CN110896419B (zh) 壳体组件、移动终端及装饰件的装配方法
JP2008522219A5 (ko)
US20070072658A1 (en) Clam Type Mobile Phone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CN105592647A (zh) 电子装置
US7722264B2 (en)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KR10142076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US20120024931A1 (en) Saddle stapler
US7896490B1 (en) Eyeglass structure with adjustable temple member
WO2009001411A1 (ja) 携帯電話機に内蔵されるアンテナおよび携帯電話機
CN209299116U (zh) 一种音圈马达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140003190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KR20110004381U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67316Y1 (ko)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KR200357730Y1 (ko) 휴대용 의자
JP600703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KR101735634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JP2012501902A (ja) 特に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の取り付け台用の保持ヒンジ部品、及びこの保持ヒンジ部品を備える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
US10491258B1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holder
JP2017011403A (ja) 携帯端末カバー
US20080142664A1 (en) Supports for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