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41Y1 - 판지형 화환 거치대. - Google Patents

판지형 화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41Y1
KR200469541Y1 KR2020110009180U KR20110009180U KR200469541Y1 KR 200469541 Y1 KR200469541 Y1 KR 200469541Y1 KR 2020110009180 U KR2020110009180 U KR 2020110009180U KR 20110009180 U KR20110009180 U KR 20110009180U KR 200469541 Y1 KR200469541 Y1 KR 200469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rnament
front plate
cardboar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445U (ko
Inventor
노한수
Original Assignee
노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한수 filed Critical 노한수
Priority to KR2020110009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4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Abstract

본 고안은 판지형 화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판지로 제조되는 화환 거치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는 하부전면판과, 상기 하부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측면판과, 상기 하부전면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상면판을 구비하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상면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는 상부전면판과, 상기 상부전면판이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전면판 및 상기 상부전면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되며, 모형 쌀포대와 같은 물품이 상면에 올려질 수 있는 물품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지로 제조되는 하부전면판 및 상부전면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되는 물품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물품 거치대에 올려지는 물품이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판지형 화환 거치대. {Support for wreath made of paperboard.}
본 고안은 판지형 화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품 거치대에 올려지는 물품이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은 결혼식장이나 상가 등에 축하나 조의를 표하기 위하여 개인이나 단체가 설치하는 것으로서, 생화를 스티로폼 등에 꽂아 환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화환은 화환 거치대에 설치하게 되며, 화환 거치대는 통상적으로 대나무나 각목 등을 이용하여 화환을 지지하는 구조이며, 화환의 전면이나 하단 또는 중앙에는 각종 문구가 새겨진 리본이나 명판 등을 부착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지나친 화환 제작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생화로 제작된 대형 화환을 보내는 대신에, 불우 이웃을 돕기 위한 기부용 물품(예컨대 쌀) 또는 그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물품 교환권을 결혼식장 등의 행사장에 보내고, 그러한 물품을 상징화하는 모형물(예컨대 판지로 제작된 모형 쌀포대)을 꽃이 인쇄된 사진이나 장식물과 함께 행사장에서 전시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목 등으로 제조된 종래의 화환 거치대는, 일반적인 소형 차량에 적재하기 힘들 정도로 높아지고 부피가 커지며, 사용 후에는 다시 회수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형 쌀포대와 같이 무게가 가벼운 모형물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화한 거치대가 지지해야할 하중이 매우 낮으므로, 각목 등으로 제조된 종래의 화환 거치대는 지지해야 할 모형물의 무게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튼튼하게 제조되는 것인 바, 불필요한 자재 비용 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모형 쌀포대와 같은 가벼운 모형물을 거치하는 경우에 적절한 지지력을 발휘하고, 용이한 운반을 위하여 운반시에는 낮은 높이와 적은 부피를 가지며, 사용시에는 높은 높이와 안정된 설치가 가능한 화환 거치대의 개발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품 거치대에 올려지는 물품이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판지형 화환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판지형 화환 거치대는, 판지로 제조되는 화환 거치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는 하부전면판과, 상기 하부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측면판과, 상기 하부전면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상면판을 구비하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상면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는 상부전면판과, 상기 상부전면판이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전면판 및 상기 상부전면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되며, 모형 쌀포대와 같은 물품이 상면에 올려질 수 있는 물품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판지는 골판지이며, 상기 하부받침대는, 하나의 평면 골판지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사용시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며, 상기 상부지지대는, 하나의 평면 골판지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사용시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며, 사용시에, 상기 조립된 상부지지대가 상기 조립된 하부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은, 상기 상부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지지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하부상면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품 거치대의 상면에는, 상기 모형 쌀포대와 같은 물품이 이탈하여 추락하지 않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측면판의 후단으로부터 말림으로써 상하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되는 보강다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에 배치되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식품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장식품부착공; 상기 상부전면판의 중앙부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장식품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을 관통한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 장식품부착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이 경사진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장식품부착공이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과 제2 장식품부착공을 차례로 관통한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의 반대편 보강판에 형성되는 제3 장식품부착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전면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거치판; 상기 상단거치판에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단거치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장식품부착공; 상기 상부전면판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단거치판의 삽입공에 결합되는 돌출지지부; 상기 돌출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거치판의 제1 장식품부착공을 관통한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의 아래에 배치된 제2 장식품부착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의 일단부가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 상기 장식품의 타단부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식품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면판 및 상기 상부전면판이 후방으로 미리 정한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전면판의 하단은, 상기 하부상면판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상면판의 전후방향 길이의 25% 이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식되는 리본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측면판의 일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본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측면판들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손잡이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지로 제조되는 하부전면판 및 상부전면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되는 물품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물품 거치대에 올려지는 물품이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판지형 화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받침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지지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판지형 화환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부받침대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받침대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물품거치대에 모형 쌀포대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부전면판 후면에 종려나무 가지 모양의 장식품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판지형 화환 거치대에 모형 쌀포대와 종려나무 가지 모양의 장식품과 리본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판지형 화환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받침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지지대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판지형 화환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결혼식장이나 상가 등에서 사용되는 화환을 거치하기 위한 화환 거치대로서, 하부받침대(10)와, 상부지지대(20), 물품거치대(25)와, 장식품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대(10)는, 하나의 평면 판지(paperboard)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받침대로서,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세워지며, 평상시에는 분해된 상태로 접어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판지는 백판지, 골판지, 합성수지로 보강된 합성판지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하부받침대(10)는, 하부전면판(16)과, 하부측면판(11)과, 하부상면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전면판(16)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전방을 향하여 세워서 배치되는 사각형 판지이다.
상기 하부측면판(11)은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전면판(16)에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선(C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다리꼴 판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전면판(16)이 후방으로 미리 정한 각도(α1)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측면판(11)의 전단부에는, 장식되는 리본(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측면판(11)의 일부가 절곡선(C1)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본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본지지부(15)의 끝단부에는 상기 리본지지부(15)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가락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하부측면판(11)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부손잡이공(1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면판(11)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슬릿(slit) 형태의 구멍인 결합공(112)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면판(11)의 하단부에는, 절곡선(C2)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날개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면판(11)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사각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하부측면판(11)의 후단으로부터 절곡선(C3, C4, C5)을 기준으로 차례로 절곡되어 말림으로써 상하로 길게 연장된 사각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되는 보강다리(1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기 보강다리(14)의 측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부(141)가 상기 하부측면판(11)의 결합공(112)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강다리(14)가 사각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다리(14)의 상단에는, 슬릿 형태로 가늘고 길게 절곡선(C4)를 따라 하방으로 함몰된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면판(11)의 상단에는, 절곡선(C6)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각형 판지인 상면판보강날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판보강날개(1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절곡선(C6)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판보강날개(12)의 타단에는 슬릿 형태로 가늘고 길게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상면판(13)은, 상기 하부전면판(16)의 상단으로부터 절곡선(C7)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각형 판지이다.
상기 하부상면판(13)의 전단부에는, 상기 절곡선(C7)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결합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상면판(13)의 양측단부에는, 절곡선(C8)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보강날개(12)의 결합공(1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상면판(13)의 후단부에는, 절곡선(C9)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다리(14)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날개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날개부(132)의 끝단에는, 상기 보강다리(14)의 결합홈(1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 형태로 가늘고 길게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날개부(132)의 결합홈(133)이 상기 보강다리(14)의 결합홈(14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날개부(132)가 상기 보강다리(14)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지지대(20)는, 상기 하부받침대(10)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평면 판지(paperboard)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지지대로서, 평상시에는 분해된 상태로 접어서 보관되며, 사용시에는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지지대(20)는, 상기 하부받침대(10)의 하부상면판(13) 위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때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cable tie), 스냅 핏(snap fit) 결합 방식을 채용한 플라스틱 리벳(Plastic Rivet), 호치키스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용 부품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시 현장에서, 상기 조립된 상부지지대(20)가 상기 조립된 하부받침대(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스냅 핏(snap fit) 결합 방식의 상기 플라스틱 리벳(Plastic Rivet)이 사용된다.
상기 상부지지대(20)는, 상부전면판(21)과,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전면판(21)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전방을 향하여 세워서 배치되는 사각형 판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전면판(21)은 상반부가 하반부보다 폭이 좁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물품거치대(25)는,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거치대로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단부로부터 절곡선(C22)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물품거치대(25)는, 모형 쌀포대(E)와 같은 물품이 상면에 올려질 수 있는 거치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전면판(16) 및 상기 상부전면판(2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상면판(13)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된다.
상기 물품거치대(25)의 끝단에는, 절곡선(C17, C16)을 기준으로 차례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거치대보강부(2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보강부(253)의 끝단에는 절곡선(C18)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날개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품거치대(25)의 결합날개부(254)가 상기 하부상면판(13)에 형성된 결합공(13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물품거치대(25)의 상면에는, 상기 모형 쌀포대(E)와 같은 물품이 이탈하여 추락하지 않도록, 절곡선(C19)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2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51)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부(251)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가락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은, 상기 상부전면판(21)이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부(211, 22)와, 보강판(212, 23)과 결합부(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11, 22)는,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양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리벳(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반부에 마련된 한 쌍의 하측연결부(211)과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반부에 마련된 한 쌍의 상측연결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연결부(211)는, 절곡선(C10)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반부의 양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플라스틱 리벳(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반부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상측연결부(22)는, 절곡선(C11)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반부의 양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플라스틱 리벳(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반부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보강판(212, 23)은, 상기 연결부(211, 22)의 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반부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하측보강판(212)과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반부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상측보강판(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보강판(212)은, 절곡선(C20)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연결부(211)의 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90도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상면판(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상측보강판(23)은, 절곡선(C12)을 기준으로 상기 상측연결부(22)의 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90도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접착 테이프(미도시)로 상기 하측보강판(212)의 상단과 결합된다.
상기 상측보강판(23)에는, 사용자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부손잡이공(2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연결부(211)와 하측보강판(2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전면판(21)이 후방으로 미리 정한 각도(α2)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하측보강판(2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하부상면판(13) 위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플라스틱 리벳(미도시)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상면판(1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단까지의 길이(L2)가 상기 하부상면판(13)의 전후방향 길이(L1)의 25% 이내가 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20)를 전진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하부상면판(13)에 결합된다.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P)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제1 장식품부착공(231)과, 제2 장식품부착공(215)과, 제3 장식품부착공(2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은, 상기 장식품(P)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212, 23)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상기 상측보강판(23)에 2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보강판(212)에 1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장식품부착공(215)은,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을 관통한 상기 장식품(P)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중앙부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장식품지지부(21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장식품부착공(215)은,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P)이 경사진 각도(α3)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장식품부착공(232)은,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과 제2 장식품부착공(215)을 차례로 관통한 장식품(P)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제2 장식품부착공(215)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보강판(212, 23)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품(P)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과 제2 장식품부착공(215)을 차례로 관통한 후,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212, 23)의 반대편 보강판(212, 23)에 형성된 제3 장식품부착공(232)을 관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단거치판(24)과, 돌출지지부(244)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거치판(24)은,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단으로부터 절곡선(C13)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단거치판(24)의 중앙 상단부에는, 상기 장식품(P)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장식품부착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거치판(24)의 중앙 하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형태의 삽입공(2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선(C13)의 양단부에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식품관통공(234)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244)는,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단부로부터 절곡선(C14)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단거치판(24)의 삽입공(24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돌출지지부(244)에는, 상기 상단거치판(24)의 제1 장식품부착공(241)을 관통한 상기 장식품(P)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41)의 아래에 배치된 제2 장식품부착공(2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품(P)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41)을 세로로 관통한 후, 상기 돌출지지부(244)에 형성된 제2 장식품부착공(242)을 관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대(20)의 절곡선(C12, C20)을 따라서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장식품관통공(234)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장식품관통공(234)은,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P)의 일단부가 상기 장식품부착공들(231, 232, 215)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 상기 장식품(P)의 타단부의 일부 즉 종려나무 잎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상술한 구성의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상면판(13)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되는 물품 거치대(2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모형 쌀포대(E)와 같이 물품 거치대(25)에 올려지는 물품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전면판(16) 및 상기 상부전면판(2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물품 거치대(2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모형 쌀포대(E)와 같이 물품 거치대(25)에 올려지는 물품이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어, 사람들의 눈에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하나의 평면 골판지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사용시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받침대(10)와 상부지지대(20)를 구비하며, 사용시에 상기 플라스틱 리벳으로 상기 조립된 상부지지대(20)가 상기 조립된 하부받침대(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므로, 분해된 상태로 접을 수 있어 소형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기 용이하며, 사용시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각목 등으로 제조된 종래의 화환 거치대에 비하여 재료비가 저렴한 골판지로 제조되므로, 사용 후에 다시 회수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연결부(211, 22)와 보강판(212, 23)과 결합부(213)을 포함하는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부전면판(21)이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튼튼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물품 거치대(25)의 상면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25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품거치대(25)의 상면에 올려진 상기 모형 쌀포대(E)와 같은 물품이 이탈하여 추락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물품거치대(25)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거치대보강부(253)와, 상기 거치대보강부(25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며, 상기 하부상면판(13)에 형성된 결합공(13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날개부(25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거치대보강부(253)에 의하여 상기 물품거치대(25)가 구조적으로 보강되며, 상기 결합날개부(254)에 의하여 상기 물품거치대(25)가 상기 하부상면판(1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측면판(11)의 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말림으로써 상하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되는 보강다리(1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하부받침대(10)가 구조적으로 보강되어 상기 하부받침대(10)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이, 상기 보강판(212, 2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장식품부착공(231)과,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중앙부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장식품지지부(214)에 형성된 제2 장식품부착공(21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 양측단부에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P)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의 제2 장식품부착공(215)이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 양측단부에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P)이 경사진 각도(α3)로 고정될 수 있는바, 전체적인 심미감이 뛰어나고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으로부터 상기 장식품(P)이 쉽게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이,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212, 23)의 반대편 보강판(212, 23)에 형성되는 제3 장식품부착공(232)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231)과 제2 장식품부착공(215)을 차례로 관통한 장식품(P)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장식품부착공(23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2 개의 장식품부착공(231, 215)에 의하여 고정된 경우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상기 장식품(P)이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이,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장식품부착공(241) 및 제2 장식품부착공(24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단거치판(24)의 제1 장식품부착공(241)을 세로로 관통한 상기 장식품(P)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장식품부착공(242)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장식품(P)을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후면 상단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상부지지대(20)의 절곡선(C12, C20)을 따라서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장식품관통공(23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P)의 일단부가 상기 장식품부착공들(231, 232, 215)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 상기 장식품(P)의 타단부의 일부 즉 종려나무 잎이 상기 장식품관통공(234)에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품부착공들(231, 232, 215)에 고정된 종려나무 가지의 잎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가지런하게 배치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전면판(16) 및 상기 상부전면판(21)이 후방으로 미리 정한 각도(α1, α2)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전면판(16) 및 상기 상부전면판(21)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전면판(16) 및 상기 상부전면판(21)에 꽃무늬 사진이나 그림 등이 부착되었을 때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시선 각도와 잘 부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상면판(1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상부전면판(21)의 하단까지의 길이(L2)가 상기 하부상면판(13)의 전후방향 길이(L1)의 25% 이내가 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20)가 전진 배치되므로, 상기 하부상면판(13)과 상기 상부전면판(21)이 거의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어, 심미감이 뛰어나고, 장식되는 리본(R)도 가지런히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측면판(11)의 일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본지지부(15)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부전면판(21)의 상단부에 장식되는 리본(R)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전면판(16) 부착된 꽃무늬 사진이나 그림을 가리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리본지지부(15)에 의하여 용이하게 받쳐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판지형 화환 거치대(100)는, 상기 하부측면판(11)들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손잡이공(111)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립된 하부받침대(10)을 운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판지형 화환 거치대 10 : 하부받침대
11 : 하부측면판 12 : 상면판보강날개
13 : 하부상면판 14 : 보강다리
15 : 리본지지부 16 : 하부전면판
20 : 상부지지대 21 : 상부전면판
211 : 하측연결부 212 : 하측보강판
214 : 장식품지지부 215 : 제2 장식품부착공
22 : 상측연결부 23 : 상측보강판
24 :상단거치판 25 : 물품거치대
251 : 걸림부 231 : 제1 장식품부착공
232 : 제3 장식품부착공 233 : 상부손잡이공
234 : 장식품관통공 E : 모형 쌀포대
P : 종려나무 가지 R : 리본

Claims (14)

  1. 판지로 제조되는 화환 거치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는 하부전면판과, 상기 하부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측면판과, 상기 하부전면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상면판을 구비하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상면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는 상부전면판과, 상기 상부전면판이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전면판 및 상기 상부전면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되며, 모형 쌀포대와 같은 물품이 상면에 올려질 수 있는 물품 거치대;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대는, 하나의 평면 판지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사용시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며,
    상기 상부지지대는, 하나의 평면 판지를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사용시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며,
    사용시에, 상기 조립된 상부지지대가 상기 조립된 하부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면판 보강수단은,
    상기 상부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하부상면판에 의하여 지지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하부상면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거치대의 상면에는, 상기 모형 쌀포대와 같은 물품이 이탈하여 추락하지 않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면판의 후단으로부터 말림으로써 상하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되는 보강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에 배치되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식품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면판의 후면에 배치되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식품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장식품부착공;
    상기 상부전면판의 중앙부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장식품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을 관통한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 장식품부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이 경사진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장식품부착공이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과 제2 장식품부착공을 차례로 관통한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의 반대편 보강판에 형성되는 제3 장식품부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전면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거치판;
    상기 상단거치판에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단거치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장식품부착공;
    상기 상부전면판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단거치판의 삽입공에 결합되는 돌출지지부;
    상기 돌출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거치판의 제1 장식품부착공을 관통한 상기 장식품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품부착공의 아래에 배치된 제2 장식품부착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려나무 가지 등과 같은 장식품의 일단부가 상기 장식품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 상기 장식품의 타단부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식품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면판 및 상기 상부전면판이 후방으로 미리 정한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전면판의 하단은, 상기 하부상면판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상면판의 전후방향 길이의 25% 이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13. 제 1항에 있어서,
    장식되는 리본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측면판의 일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본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14. 제 1항에 있어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측면판들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손잡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형 화환 거치대.
KR2020110009180U 2011-10-14 2011-10-14 판지형 화환 거치대. KR200469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80U KR200469541Y1 (ko) 2011-10-14 2011-10-14 판지형 화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80U KR200469541Y1 (ko) 2011-10-14 2011-10-14 판지형 화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45U KR20130002445U (ko) 2013-04-24
KR200469541Y1 true KR200469541Y1 (ko) 2013-10-28

Family

ID=5077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80U KR200469541Y1 (ko) 2011-10-14 2011-10-14 판지형 화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4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27B1 (ko) * 2010-06-25 2011-01-25 김진욱 경량화된 경조사용 쌀 화환
KR101034008B1 (ko) 2011-02-01 2011-05-16 노한수 슬라이딩 방식의 화환 거치대
KR20110006575U (ko) * 2009-12-23 2011-06-29 박종원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KR101069090B1 (ko) 2011-03-03 2011-09-30 송석명 조립식 경조사용 쌀 화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575U (ko) * 2009-12-23 2011-06-29 박종원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KR101010327B1 (ko) * 2010-06-25 2011-01-25 김진욱 경량화된 경조사용 쌀 화환
KR101034008B1 (ko) 2011-02-01 2011-05-16 노한수 슬라이딩 방식의 화환 거치대
KR101069090B1 (ko) 2011-03-03 2011-09-30 송석명 조립식 경조사용 쌀 화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45U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090B1 (ko) 조립식 경조사용 쌀 화환
KR200469541Y1 (ko) 판지형 화환 거치대.
KR101380293B1 (ko) 화환 골격
US20120227298A1 (en) Sign Exhibiting Kit
KR101403740B1 (ko) 벽걸이 화분프레임을 이용한 재활용이 가능한 화환
US6561464B2 (en) Stand for supporting bouquet holder
KR101041360B1 (ko) 접이식 화환
US20200205585A1 (en) Serving stadium
JP3113637U (ja) 慶事物品等のメモリアルプレート装置
KR101315170B1 (ko) 경조물품 받침대
KR200452867Y1 (ko) 화환 받침대
KR200453336Y1 (ko) 경조용 쌀 화환대
JP3042836U (ja) 物品支持台
JP4924461B2 (ja) 作品展示台
CN201398743Y (zh) 多功能置物座
JP3107110U (ja) ガーデニング用立て置きボード
KR20100120106A (ko) 선물 적재 화환
KR200163759Y1 (ko) 폐목재를이용한탁자받침대
KR20120102885A (ko) 3단 접이식 경조사용 화환 지게
KR200155253Y1 (ko) 받침다리의 절첩 고정판을 구성한 화환
KR200170151Y1 (ko) 화환 장식구
KR101107480B1 (ko) 조립식 화환 거치대
KR20140038285A (ko) 조립식 화환 받침대
JP5005992B2 (ja) 仏事用の装飾装置
CN2592058Y (zh) 一种可折叠式花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