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285A - 조립식 화환 받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285A
KR20140038285A KR1020130013159A KR20130013159A KR20140038285A KR 20140038285 A KR20140038285 A KR 20140038285A KR 1020130013159 A KR1020130013159 A KR 1020130013159A KR 20130013159 A KR20130013159 A KR 20130013159A KR 20140038285 A KR20140038285 A KR 2014003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ost
garland
leg
prefabricat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용
김재군
Original Assignee
신광용
김재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용, 김재군 filed Critical 신광용
Publication of KR2014003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2Apparatus for binding bouquets or wreat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 상기 다리에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수직 포스트, 상기 다리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조립식 화환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와 상기 고정부에는 길이가 길거나 짧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와 상기 고정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가 축으로 결합되어 접혀지며 부피를 축소하고 펼쳐지며 화분이나 꽃꽂이 용품이 놓여지는 선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화환 받침대{garland support of fabricated}
본 발명은 조립식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되 저렴한 비용으로 가치가 있게 제작하여 결혼식장 또는 장례식장에서 행사를 마친 후 소비자가 원하면 집으로 가져가 가정에서 화단을 꾸미거나 화분을 올려놓는 선반 또는 앉은뱅이 테이블로 변신하며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 소비자들이 불쾌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판매자가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폭을 확대할 수 있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은 대표적으로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 등에 축하나 조의를 표하기 위하여 개인이나 단체 이름으로 설치하며 축하나 조의를 표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환은 그 크기나 단수 등에 따라 비용도 차등되며 형태도 다양하게 연출된다.
화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환 받침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받침대는 대부분 대나무나 각목 등의 목재로 제작된 지지대에 여러 형태의 받침대를 여러 단으로 형성하고 각 받침대에는 스티로폼 또는 수분을 보유하는 속칭 오아시스라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고정체를 결합 고정한 후 그 고정체에 꽃꽂이를 통하여 2단 또는 3단으로 화환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환의 가장 큰 단점은 주로 행사 기간 또는 장례 기간 동안만 화환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또 사용 후에는 재사용할 수 없고 폐기되며 버려지는 일회용이었고 그러다 보니 폐기물이 양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환 받침대를 제대로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하며 소비자를 기만하는 사회적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또 높은 화환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의부피가 커서 보관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화환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적재공간의 높이가 높은 화물차량에 싣고 운반해야 하므로 운송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은, 화환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가 단지 화환을 설치한 후 그 겉모습만 장식하기 위한 뼈대 역할만 할 뿐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재사용할 정도로 가치있는 제품을 제작하지 못했던 구조적인 문제점에 기인한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20-2010-0004113호 화환 지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화환 지지장치는 두 쌍의 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두 쌍의 다리 안쪽에서 한 쌍의 받침부재를 다리 상, 하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그 받침부재에 각각 꽃꽂이를 할 수 있는 일명 오아시스를 설치하는 것으로, 화환 설치장소에 화환 지지장치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송한 후 현장에서 꽃꽂이를 하며 화환을 장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화환 지지장치에서는 다수개의 볼트 공이 형성된 4개의 분리 구성된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 "+"자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상,하측 받침부재를 각각 끼워서 그 끝 단부가 상기 지주에 형성된 볼트 공 밖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너트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에 의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에 의해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2010-0004113 U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되 가치가 있게 제작하여 결혼식장 또는 장례식장에서 행사를 마친 후 소비자가 원하면 집으로 가져가 가정에서 화단을 꾸미거나 화분을 올려놓는 선반 또는 앉은뱅이 테이블로 형태를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하되 그 가치를 높혀 행사 후에는 판매자가 다시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신속히 조립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 상기 다리에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수직 포스트, 상기 다리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조립식 화환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와 상기 고정부에는 길이가 길거나 짧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와 상기 고정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가 축으로 결합되어 접혀지며 부피를 축소하고 펼쳐지며 화분이나 꽃꽂이 용품이 놓여지는 선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고정부에는 리본을 걸 수 있는 홀 또는 돌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수직 포스트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화환이 장식되는 선반이 장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수직 포스트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다수의 화분이 끼워지는 화분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수직 포스트는 지관, 플라스틱, 금속 등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변형 예는, 상기 수직 포스트 중 전방 또는 측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포스트는 단락되어 한 쌍의 관절 링크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 링크에는 관절 링크를 축으로 회전하며 부분적으로 수직 포스트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결 포스트가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되 가치가 있게 제작하여 결혼식장 또는 장례식장에서 행사를 마친 후 소비자가 가져가 가정에서 화단을 꾸미거나 베란다 등에서 화단을 조성할 때 화분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하되 그 가치를 높혀 행사 후에는 판매자가 다시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화환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또 운송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또 다른 변형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또 다른 변형상태를 보인 참고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환 받침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10)와 상기 다리(10)에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수직 포스트(20) 그리고 상기 다리(10)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2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20)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부(30)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골격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다리(1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지만 별도로 분리 제작된 후 상기 수직 포스트(20)에 끼워지며 상기 다리(10)가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다리(10)에서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31)가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각 연결부(31)는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가 "X"자 형상을 갖도록 축(32)에 의해 결합되며 보관 및 휴대시에는 도 3과 같이 접혀지며 부피를 축소하고 사용할 때에는 펼침으로써 그 상측에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 연결부(31)가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활하게 접혀지거나펼쳐지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부(31)가 맞닿는 면을 부분적으로 절삭함으로써 각 연결부(31)의 상측 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30)에는 문구가 적힌 리본을 걸 수 있는 홀(33) 또는 돌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수직 포스트(20)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20)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수직 포스트(20) 또는 고정부(30)에 형성된 홀(33)에 끼워서 결합하거나 분리가 가능하며 화환을 꽂아 장식할 수 있는 선반(40)이 장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사용하는 선반(40)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여러 가지의 꽃을 꽂아 디스플레이하기 용이하도록 그물 구조를 갖는 선반(40)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선반(40)에는 수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인 속칭 오아시스를 올려놓거나 또는 꽃꽂이를 위한 스티로폼을 고정시킨 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포스트(20)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20)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다수의 화분이 끼워지는 화분 받침대(50)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화분 받침대(50)는 그 둘레 부분에 다수의 화분이 끼워져 지지되는 화분 지지홀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부 중 하나인 상기 수직 포스트(20)는 제품별 또는 가격별로 그 재질을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재활용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한 지관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수직 포스트(20)의 재질을 지관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경우 미관을 고려하여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채색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색상이 있는 비닐지나 은박지 등을 덧씌우며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의 미 사용시는 접혀진 상태에서 부피가 축소되며 보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사용할 때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펼치게 되면 상기 연결부(31)는 선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연결부(31)의 상측에 화분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화분을 올려놓고 상기 수직 포스트(20)를 좁히면서 화분을 견고하게 고정하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포스트(20) 또는 상기 고정부(30)에 형성된 상기 홀(33)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20)를 이용하여 별도로 제작된 꽃꽂이 선반(40)을 걸어 놓거나 장식하며 도 6과 같이 그 꽃꽂이 선반(40)에 꽃을 꽂아 화환을 연출하며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도 5와 같이 상기 수직 포스트(20)의 상측에 위치된 상기 고정부(30)에 별도의 화분 받침대(50)를 장착한 후 그 화분 받침대(50)에 다수의 화분을 꽂은 상태에서 화환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꽃꽂이가 완료된 상태에서 행사를 완료한 후에는 선반(40) 또는 화분 받침대(50)에 장식된 꽃이나 화분만을 별도로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집으로 가져가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집으로 가져가 다양하게 연출하며 화단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사업자 측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를 행사 후 다시 수거한 후 재사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또 산업 폐기물을 줄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는 사업자의 다양한 사업 형태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되어질 수 있으며, 소비자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의 용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의 가장 큰 장점은 보관할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면 되므로 보관 장소에 대한 점유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소형 차 또는 오토바이 등을 이용해서도 현장으로 운반이 용이하며, 이동 후 현장에서 직접 화환을 장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환 받침대는 그 수직 포스트의 길이를 짧게 하여 입설 식이 아닌 테이블용 화환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포스트의 길이를 필요한 길이로 자르거나 또는 알맞은 길이의 수직 포스트를 구입하여 별도의 화분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고정부의 상측에 유리 내지 합판을 올려놓은 후 테이블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다리 20 : 수직 포스트
30 : 고정부 31 : 연결부
32 : 축 33 : 홀
40 : 꽃꽂이 선반 50 : 화분 받침대
60 : 관절 링크 61 : 연결 포스트

Claims (6)

  1.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
    상기 다리에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수직 포스트,
    상기 다리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조립식 화환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와 상기 고정부에는 길이가 길거나 짧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와 상기 고정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가 축으로 결합되어 접혀지며 부피를 축소하고 펼쳐지며 화분이나 꽃꽂이 용품이 놓여지는 선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리본을 걸 수 있는 홀 또는 돌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포스트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화환이 장식되는 선반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포스트 또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다수의 화분이 끼워지는 화분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포스트는 지관, 플라스틱, 금속 등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포스트 중 전방 또는 측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포스트는 단락되어 한 쌍의 관절 링크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 링크에는 관절 링크를 축으로 회전하며 부분적으로 수직 포스트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결 포스트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1020130013159A 2012-09-20 2013-02-06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20140038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22 2012-09-20
KR20120104522 2012-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85A true KR20140038285A (ko) 2014-03-28

Family

ID=5064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159A KR20140038285A (ko) 2012-09-20 2013-02-06 조립식 화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8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196A (ko) * 2021-01-12 2022-07-20 김두수 화분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196A (ko) * 2021-01-12 2022-07-20 김두수 화분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090B1 (ko) 조립식 경조사용 쌀 화환
CN202020142U (zh) 一种多层花架
CA2779783C (en) Ready-to-assemble plant stand
KR101603205B1 (ko) 오아시스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화환받침대
KR200455756Y1 (ko) 조립식 화환
KR20140038285A (ko)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102195624B1 (ko) 조립식 바구니 화환
CN106136718A (zh) 一种花卉展示架
KR102404696B1 (ko) 절첩식 화환 거치대
JP6802452B2 (ja) 保形フレーム
CN201928709U (zh) 一种多层花箱
CN202759921U (zh) 一种可伸缩式植物枝条攀爬盆架
CN201467751U (zh) 立体花塔
CN105850548A (zh) 一种具有导流槽的花架
KR102126125B1 (ko) 조립식 포트화환
CN211093264U (zh) 一种圣诞树支架
KR200467080Y1 (ko) 경조사용 쌀화환 받침대
KR200451248Y1 (ko) 쌀화환 받침대
KR200295841Y1 (ko) 꽃 받침대
KR200453336Y1 (ko) 경조용 쌀 화환대
KR200234689Y1 (ko) 경조사용 3단 분리 조화 화환
KR20170030288A (ko)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101431681B1 (ko) 조립식 쌀화환 받침대
KR20150142872A (ko) 종이지지체 화환
KR930003318Y1 (ko) 꽃꽂이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